한암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암회는 대한제국 시기 경상북도 상주에서 출생하여, 일제강점기 일본 규슈 제국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했다. 해방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상주지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북 상주 갑 선거구에 당선되었다. 한국 전쟁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는 설과, 한감석으로 개명하여 대한민국에서 별세했다는 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 동문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 동문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이범석
이범석은 조선 왕족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으로, 청산리 대첩에서의 활약과 대한민국 건국 참여, 초대 국무총리 역임 등 뚜렷한 업적을 남겼으나, 과장된 서술 및 정치적 행보에 대한 논란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정낙훈
정낙훈은 충청남도 공주 출신으로 군수, 충청북도지사, 농림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 평양종로보통학교 동문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평양종로보통학교 동문 - 채병덕
채병덕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초기 서울 방어 실패의 책임을 지고 해임된 군인이며, 2005년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한암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감석 |
원어명 | 韓邯錫 |
출생일 | 1900년 7월 17일 |
사망일 | 1975년 5월 25일 |
출생지 | 대한제국 경상북도 상주 |
사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에서 병사 |
거주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상주 대한민국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진 평해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청주(淸州) |
정치 | |
의원 선수 | 1 |
정당 | 무소속 |
경력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당무위원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무소속 국회의원 |
학력 | |
학력 | 일본 규슈 제국대학교 농학과 학사 |
2. 생애
아명(兒名)은 '''한엄회'''(韓嚴回)였으며, 1903년 '''한암회'''(韓巖回)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국회의원 임기를 마친 뒤인 1956년에는 '''한감석'''(韓邯錫)으로 다시 개명하였다.
경상북도 상주 출신으로, 양정고등보통학교와 일본 규슈 제국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하였다. 8·15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제헌 국회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 이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상반된 기록이 존재한다.[1][2][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00년 대한제국 경상북도 상주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한성 종로에서 잠시 살았으며, 1904년부터 1913년까지는 평안남도 평양에서 성장했다. 1919년 경성에 있는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에는 일본 규슈 제국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했다.8·15 광복 이후인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는 설이 있다.[1] 그러나 '한감석'(韓邯錫)이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대한민국에서 계속 살다가 1975년에 사망했다는 설이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진다.[2][3]
2. 2. 일제강점기 활동
1900년 대한제국 경상북도 상주에서 출생하였고, 잠시 한성 종로에서 유아기를 보냈다. 1904년부터 1913년까지는 평안남도 평양에서 성장하였다. 1919년 경성의 양정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4년 일본 규슈 제국대학교 농학부를 졸업하였다.2. 3. 광복 이후 정치 활동
광복 이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상주지회장과 상주지구사법보호위원회 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 1948년 5월 10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 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상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4. 한국 전쟁 이후 행적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갔다는 설이 있다.[1] 그러나 '''한감석'''(韓邯錫)이라는 이름으로 바꾸고 대한민국에서 계속 살다가 1975년에 별세했다는 설이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진다.[2][3]3. 역대 선거 결과
3.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으로 경상북도 상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다. 이 선거에서 총 15,384표를 얻어 36.79%의 득표율로 1위를 기록하며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 헌정회
http://www.rokps.or.[...]
[2]
뉴스
制憲議員 韓邯錫옹
http://www.kinds.or.[...]
한국일보
1975-05-27
[3]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한암회선생 전기
http://kdaq.empas.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