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엇 터브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리엇 터브먼은 미국 흑인 노예 출신으로, 노예 해방 운동가이자 남북 전쟁 당시 간호사, 정찰병으로 활동했다. 메릴랜드에서 노예로 태어나 가혹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10대 시절 머리를 다치는 사고를 겪은 후 발작 증세를 겪었다. 1849년 자유를 찾아 탈출한 후, '지하철도'를 통해 수많은 노예들을 자유의 땅으로 이끄는 '모세'로 불렸다. 남북 전쟁 발발 후 연방군에 합류하여 간호, 정찰, 콤바히 강 습격 작전을 지휘했으며, 전쟁 후에는 여성 참정권 운동에 참여했다. 20달러 지폐의 인물로 선정되었으며, 미국 사회에서 평등과 민권을 위한 상징적인 인물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하철도 관련자 - 존 브라운
존 브라운은 미국의 노예제 폐지 운동가로서, 1859년 하퍼스 페리에서 노예 해방을 위한 무장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처형되었으며, 캔자스 준주에서 포타와토미 학살을 주도하기도 했다. - 지하철도 관련자 - 아모스 브론슨 알코트
아모스 브론슨 알코트는 혁신적인 교육 방식으로 교사 생활을 시작하여 템플 스쿨을 설립하고 초절주의자들과 교류했으며 유토피아 사회 건설을 시도하고 콩코드 철학 학교를 설립하여 미국 성인 교육에 기여한 미국의 교육자이자 초절주의 철학자이다. - 해방 노예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해방 노예 - 호라티우스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노예 출신 아버지 밑에서 교육받고 전투 경험을 쌓은 후 마이케나스의 후원을 받아 사비나 농장에서 시 창작에 전념하며 풍자시, 서정시, 서간시, 시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작품들을 남겼고, 그의 작품은 고대 로마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여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가나계 미국인 - 나스
나스는 1973년 뉴욕에서 태어나 1994년 데뷔 앨범으로 힙합 역사에 큰 영향을 준 래퍼, 싱어송라이터, 배우, 기업가로, 뛰어난 가사 작성 실력과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으며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찬사를 받았고, 음악 외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2021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랩 음반상을 수상했다. - 가나계 미국인 - 코피 킹스턴
가나 출신 미국 프로레슬러 코피 킹스턴은 WWE에서 다양한 타이틀을 획득하고 뉴 데이 멤버로서 WWE 태그팀 챔피언십 최다 기록을 보유했으며, 아프리카 태생 최초 WWE 챔피언에 등극했다.
해리엇 터브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아라민타 로스 |
출생일 | 1822년 3월경 |
출생지 | 미국 메릴랜드주 도체스터군 |
사망일 | 1913년 3월 10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오번 |
안장 장소 | 미국 뉴욕주 오번 포트 힐 묘지 |
안장 장소 좌표 | 42.9246, -76.5750 |
다른 이름 | 민티 모세 |
직업 | 남북 전쟁 정찰병 스파이 간호사 여성 참정권론자 시민 권리 운동가 |
알려진 업적 | 노예들을 자유로 인도 |
배우자 | 존 터브먼 (1844년 결혼, 1851년 이혼) 넬슨 데이비스 (1869년 결혼, 1888년 사별) |
친척 | 해리엇 터브먼의 가족 참고 |
군사 정보 | |
소속 | 미국 전쟁부 |
소속 부대 | 메릴랜드 육군 국가방위군 (사후 명예) |
계급 | 준장 (사후 명예) |
참전 전투 | 미국 남북 전쟁 콤바히 강 급습 제2차 와그너 요새 전투 |
기타 정보 | |
종교 | 시온 감리 감독제 교회 |
2. 가족과 출생
해리엇 터브먼은 아라민타 "민티" 로스라는 이름으로 노예였던 해리엇("릿") 그린과 벤 로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머니 릿은 메리 패티슨 브로디스(이후 아들 에드워드에게로)의 소유였고, 아버지 벤은 메리의 두 번째 남편 앤서니 톰슨의 소유였다. 톰슨은 메릴랜드주 캠브릿지 근처 블랙워터 강에서 큰 농장을 경영했다.[22]
대부분의 미국 노예들과 마찬가지로 터브먼의 정확한 출생 시기나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역사가 케이트 라슨은 산파를 부른 기록과 다른 사료를 통해 출생년도를 1822년으로 추정했다.[23] 한편 진 휴메즈는 “현재 유력한 증거에 따르면 터브먼이 1820년에 태어난 것 같으나, 1~2년 후였을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24] 역사학 교수 캐서린 클린턴은 터브먼이 자신의 출생년도를 1825년이라고 신고했다 하였으며, 그의 사망 증명서에는 출생년도 1815년으로, 묘비에는 1820년으로 나와 있다.[25] 남북 전쟁 과부 부조금 기록에는 터브먼이 자신의 출생년도를 1820, 1822, 1825년으로 얘기하고 있는데, 이는 그도 자신의 출생년도에 대해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터브먼의 외할머니 마데스티는 아프리카에서 노예선을 타고 미국에 도착하였다. 그의 조상에 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26] 어릴 적, 터브먼은 자신이 아샨티 족(현 가나에 살던 부족)의 자손이라고 말을 들었으나, 이를 뒷받침하거나 반박할 증거는 없다.[27] 그의 어머니 릿 (백인의 아이였을 가능성이 있음)[27][28]은 브로디스 가족의 집에서 요리사로 일하였다.[24] 그의 아버지 벤은 능숙한 목수로 농장에서 목수 일을 도맡아하였다.[27]
1808년경에 결혼한 이들 부부의 자녀는 다음과 같다.[29]
이름 | 출생년도 |
---|---|
리나 | 1808년 |
머라이어 리티 | 1811년 |
소프 | 1813년 |
로버트 | 1816년 |
민티(해리엇) | 1822년 |
벤 | 1823년 |
레이철 | 1825년 |
헨리 | 1830년 |
모세 | 1832년 |
어머니가 “큰 집”에서 일하게 되어 가족을 돌볼 시간이 없어지자, 어린 터브먼이 동생들을 돌보게 되었다.[35] 5~6세 때, “미스 수잔”이라는 여자에게 아이 보는 여자로 고용되었다. 터브먼은 아기가 잘 자는지 지켜보는 역을 맡았다. 아기가 깨어나 울기 시작하면, 터브먼은 채찍질을 당했다. 그는 아침 식사를 하기도 전에 다섯 번을 채찍질 당했던 날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이때의 상처는 평생 그의 몸에 남았다.[36] 이후 설탕 덩어리를 훔쳤다는 누명을 쓴 터브먼은, 이웃집의 돼지우리에 5일 동안 숨어 지냈으며, 여기서 동물들의 사료로 배를 채우곤 하였다. 굶주린 상태로, 그는 미스 수잔의 집으로 돌아왔으며 심한 구타를 당하였다.[37] 이후 그런 학대로부터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그는 옷을 여러 겹 껴입었으며, 혹여 구타당하려 할 때는 소리를 질렀다.[38] 언젠가, 그는 폭행을 당하는 도중 백인의 무릎을 깨물었다. 이후, 그는 그와 간격을 유지하였다.[38]
1840년, 터브먼의 아버지는 전 주인의 유서에 따라 노예 신분에서 해방되었다. 그는 자신을 소유했던 톰슨 가족 아래서 계속 목재 평가인과 십장(什長)으로서 일하였다.[47] 몇 년 후, 터브먼은 백인 변호사에게 5달러를 지불하고 그의 어머니가 가진 법적 지위를 확인해 보았다. 변호사는 전 주인이 릿도 그의 남편과 마찬가지로 45세에 자유가 될 것을 명시해 놓은 것을 발견하였다. 릿의 아이들 역시 비슷한 조건이었으며, 45세 이후 태어난 아이들은 태어났을 때부터 자유인 것을 암시하였다. 하지만 패티슨과 브로디스 가족은 그런 사항들을 무시하였으며, 그 일이 실현되는 것을 보는 것은 터브먼에게 불가능한 일이었다.[48]
1849년, 터브먼은 건강이 나빠져 노예로서의 가치가 떨어졌다. 주인 에드워드 브로디스는 터브먼을 팔려고 했지만, 구매자를 찾을 수 없었다.[52] 브로디스가 자신을 팔려고 하고 친척들을 계속 노예로 부리려 한 것에 분노한 터브먼은, 브로디스가 마음을 바꾸도록 기도하기 시작했다.[53] 그러나 브로디스가 사망하면서, 터브먼은 팔려나가 가족과 헤어질 가능성이 더 커졌다.[57] 브로디스의 아내 일라이자가 노예들을 팔기 시작했기 때문이다.[58] 터브먼은 남편의 설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운명을 브로디스 가족에게 맡기지 않기로 결심했다.[59]
필라델피아에 도착한 후, 터브먼은 가족을 생각하며 "나는 낯선 땅에 있는 낯선 사람이었다. 아버지, 어머니, 형제와 누이, 친구들 모두 메릴랜드에 있었다. 나는 자유였고, 그들도 자유로워야 할 권리가 있었다."라고 회상했다.[72] 그녀는 가족을 구출하기로 결심하고, 돈을 모으기 위해 여러 가지 일을 했다.[73]
1858년 4월, 터브먼은 노예 제도를 없애기 위해 폭력도 불사해야 한다는 노예 폐지론자이자 반정부 운동가인 존 브라운을 만났다. 터브먼은 백인에 대한 폭력을 옹호한 적은 없으나, 그의 직접 행동 방식에 동의하며 그의 목표를 지지했다.[103] 터브먼처럼, 브라운도 하나님의 부름에 관해 말하였으며, 노예 주인들의 분노로부터 자신을 하나님이 지켜주실 것이라 믿었다. 한편 그는 이미 그들이 만나기 전에 두 사람의 만남에 대해 하나님으로부터 계시를 받았다고 말했다.[104]
1859년 초, 터브먼은 노예 폐지론자인 윌리엄 H. 수어드 상원 의원에게서 뉴욕주 오번 외곽의 작은 땅을 1200USD에 구입했다.[114] 오번은 반노예주의의 온상이었고, 터브먼은 이 곳을 가족과 친구들의 안식처로 삼았다. 그는 캐나다의 혹한 속에 있던 부모를 이 곳으로 모셔왔다.[115] 오번의 땅을 얻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터브먼은 메릴랜드로 돌아가 그의 “조카”라고 불렀던, 마가렛이라는 8살 흑인 소녀를 데려왔다.[115]
1861년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터브먼은 북부 연방의 승리가 노예 제도 폐지의 핵심 단계라고 생각했다. 벤자민 버틀러 장군은 포트 먼로로 들어오는 탈출 노예들을 콘트라밴드라 부르면서 급여 없이 기지에서 일하게 하였다.[124] 터브먼은 자신의 기술을 연방군을 위해 쓰고자 했으며, 곧 보스턴과 필라델피아의 노예 폐지론자들과 만나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힐튼 헤드 구역으로 향하였다.[125]
터브먼은 오번에서 가족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돌보며 여생을 보냈다. 그는 농장을 경영하고 하숙인을 받는 등 여러 일을 하며 노부모를 부양했다.[83] 하숙인 중 한 명이었던 넬슨 데이비스는 1869년 3월 18일 중앙 장로교회에서 터브먼과 결혼했다.[153] 넬슨 데이비스는 터브먼보다 22살 어렸지만, 둘은 20년을 함께 살았고 1874년에는 거티라는 여자아이를 입양했다.[154]
해리엇 터브먼은 살아생전에도 존경받는 인물이었으며, 사망한 후에는 미국 전역에서 우상이 되었다. 20세기 말 조사에서 터브먼은 남북 전쟁 이전의 가장 유명한 인물 중 3위로 베치 로스, 폴 리비어의 뒤를 이었다.[179] 터브먼은 평등과 권리를 위해 싸우는 여러 세대의 흑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여러 정치적 리더들의 칭송을 받았다.[180]
[1]
웹사이트
Maryland posthumously promotes Harriet Tubman to one-star general to honor her military service
https://www.cbsnews.[...]
WJZ News
2024-11-11
릿은 가족을 지키려 애를 썼으나 노예 제도가 그를 가만히 두질 않았다. 에드워드 브로디스는 그의 세 딸(리나, 머라이어 리티와 소프)을 팔아넘겨, 영원히 가족들로부터 결별시켰다고한다.[30] 조지아주에서 온 노예 상인이 브로디스에게 릿의 막내아들 모세를 팔아넘길 것을 제안해 오자, 그는 다른 노예와 자유 흑인들의 도움을 받아 한 달 간 그를 숨겼다.[31] 또 그는 자신의 자식들을 매매하는 것에 관해 주인에게 맞서기도 하였다.[32] 결국, 브로디스와 “조지아 상인”이 그의 아이를 잡으러 노예 구역에 들어왔을 때, 릿은 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당신들은 내 아들을 쫓고 있죠. 하지만 이 집에 들어오는 첫 번째 남자는, 내가 머리를 쪼개 버리겠어요.”[32] 브로디스는 결국 포기하고 매매를 취소하였다.[33] 터브먼의 전기 작가들은 그의 가족들에게 일어났던 이러한 일들이 그에게 저항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 주었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다.[33][34]
3. 유년기
또 그는 어릴 적에 제임스 쿡이란 이름의 대농장주인 아래에서 일하였으며, 그곳에서 그는 근처의 늪에서 사향뒤쥐 덫을 확인하는 일을 맡았다. 홍역에 걸린 이후에도 그는 허리 높이까지 오는 차가운 물에 들어가야 했다. 결국 그는 병들어 집으로 돌려보내졌다. 어머니의 간호로 회복된 뒤엔 여러 농장에 다시 고용되어 일하였다.[39] 터브먼은 이후 그때의 향수병에 대해 얘기하며, 스테판 포스터의 노래를 인용하여 자신을 스와니 강의 소년들에 빗대어 말하였다.[39] 더 나이를 먹고 강해지면서, 그는 힘든 밭과 숲에서의 일을 맡게 되었다.[40]
어느 날, 그가 10대일 때 의류점에 보내진 때가 있었다. 그곳에서 그는, 허가 없이 농장을 떠난 다른 집의 노예를 만났다. 그 노예의 관리자는, 터브먼에게 그를 잡아둘 것을 요구하였다. 그가 이를 거부하고, 노예가 도망치자, 관리자는 그를 잡기 위해 약 0.91kg짜리 물건을 던졌다. 그러나 그 물건은 빗나가 터브먼을 맞췄다.[41] 이후 그는 “한 번도 빗질한 적 없고... 양동이처럼 서있던” 머리카락이 그의 목숨을 구한 것 같다고 말하였다.[41] 의식을 잃고 피를 흘리는 상태로 주인의 집으로 돌려보내진 터브먼은, 베틀 의자에 누워 아무런 의학적 도움을 받지 못한 채로 이틀간 방치되었다.[41] 이후 그는 즉시 밭으로 다시 내보내졌으며, “보지도 못할 정도로 피와 땀이 얼굴로 흘러내리는” 상태였다.[41] 그의 주인은 그가 “6펜스어치도 되지 않는다.”라며 그를 브로디스에게 다시 보냈으며, 이후 브로디스는 그를 파는 데 계속 실패하였다.[42] 이후 그는 발작을 일으키고 의식을 잃곤 하였으나, 그는 그 상태에서도 주변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아무런 경고 없이 갑자기 잠이 들어 깨어나지 않곤 했던 그는, 가족들에게는 매우 큰 두려움으로 다가왔다. 이러한 신체 상태는 그가 죽을 때까지 계속되었다. 훗날 라슨은 그가 그날의 사건으로 측두엽 발작을 일으켰을 것으로 추측하였다.[21][43][71]
터브먼은 노예였던 부모, 해리엇 ("릿") 그린과 벤 로스 사이에서 아라민타 "민티" 로스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릿은 메리 패티슨 브로데스(그리고 나중에는 그녀의 아들 에드워드)에게 노예로 팔렸다. 벤은 앤서니 톰슨에게 노예로 팔렸는데, 톰슨은 메리 브로데스의 두 번째 남편이었고 메릴랜드주 도체스터 군 매디슨 지역의 블랙워터 강 근처에 큰 농장을 운영했다.
미국의 많은 노예들과 마찬가지로, 터브먼의 정확한 출생 연도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터브먼은 자신의 출생 연도를 1825년으로 기록했지만, 사망 증명서에는 1815년, 묘비에는 1820년으로 기록되어 있다. 역사가 케이트 라슨의 2004년 터브먼 전기는 조산사의 지불 기록과 도망 광고를 포함한 다른 여러 역사적 문서를 바탕으로 출생 연도를 1822년으로 기록하고 있다.[41] 라슨의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의 전기들은 1822년 3월을 터브먼의 출생 시기로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받아들이고 있다.
터브먼의 외할머니 모데스티는 아프리카에서 온 노예선을 타고 미국에 도착했다. 다른 조상에 대한 정보는 없다. 어린 시절 터브먼은 자신의 성격 때문에 아샨티족 사람처럼 보인다는 말을 들었지만, 이 혈통을 확인하거나 부정하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녀의 어머니 릿(백인 아버지를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브로데스 가족을 위해 요리사로 일했다. 그녀의 아버지 벤은 숙련된 나무꾼으로 톰슨의 농장에서 목재 작업을 관리했다. 그들은 1808년경 결혼하여 법원 기록에 따르면 리나, 마리아 리티, 소프, 로버트, 민티(해리엇), 벤, 레이첼, 헨리, 모세스 등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
릿은 노예 제도가 가족을 찢어놓을 위협을 받으면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 애썼다. 에드워드 브로데스는 그녀의 세 딸(리나, 마리아 리티, 소프)을 팔아 가족으로부터 영원히 떼어놓았다. 조지아 출신의 상인이 브로데스에게 릿의 막내아들 모세스를 사겠다고 접근했을 때, 그녀는 다른 노예들과 지역 사회의 해방 노예들의 도움을 받아 한 달 동안 그를 숨겼다. 한때 그녀는 브로데스에게 그 판매에 대해 따졌다. 마침내 브로데스와 "조지아 사람"이 아이를 잡으러 노예 숙소로 왔을 때, 릿은 그들에게 "당신들은 내 아들을 노리고 있지만, 내 집에 들어오는 첫 번째 사람의 머리를 쪼개 버릴 것이다"라고 말했다. 브로데스는 물러서서 판매를 포기했다. 터브먼의 전기 작가들은 이 사건에 대한 가족 내에서 전해지는 이야기들이 저항의 가능성에 대한 그녀의 믿음에 영향을 미쳤다는 데 동의한다.
4. 가족과 결혼
1844년경, 그는 존 터브먼이라는 자유 노동자 신분의 흑인과 결혼하였다.[49] 두 사람이 함께 보낸 기간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의 자유롭지 못한 신분 때문에 두 사람의 결합은 복잡한 문제였다. 무엇보다 해리엇의 신분이 그들의 자식들에게 계승된다는 것이 문제였다. 그러한 다른 신분의 결혼은, 흑인들의 반이 자유였던 메릴랜드 동부 해안에서는 흔한 일이었다. 대부분의 흑인 가족에 자유와 노예 흑인이 섞여 있었다. 라슨은 터브먼 부부가 매매를 통한 방법으로 그의 자유를 사려 했을지도 모른다고 말하였다.[50]
터브먼은 결혼한 지 얼마 안 되어 자신의 이름을 “아라민타”에서 “해리엇”으로 바꾸었다. 라슨은 이 일이 결혼식 직후에 일어났다고 하였고,[49] 클린턴은 터브먼이 노예 계급으로부터 탈출하려 할 때 일어났다고 말하였다.[51] 새로운 이름은 그의 어머니의 이름을 딴 것이었는데, 그밖에도 종교적인 이유 또는 사라져 버린 자신의 누이를 기리기 위한 의도가 있을 수도 있다.[49][51]
5. 노예 계급에서 벗어나다
1849년 9월 17일, 터브먼은 형제 벤, 헨리와 함께 탈출했다. 터브먼은 당시 캐롤라인군에서 플랜테이션을 경영하던 앤서니 탐슨 박사 밑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형제들도 그곳에서 일했을 가능성이 높다. 노예들이 다른 곳에서 일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라이자 브로디스는 처음에는 그들이 도망친 것을 알아채지 못한 것 같다. 하지만 2주 후, 그는 캠브릿지 “민주당”에 노예 셋 중 하나를 잡을 때마다 100달러를 주겠다는 현상금 포스터를 내걸었다.[60] 터브먼의 두 형제는 도중에 생각이 바뀌었다. 벤은 아버지가 막 된 참이었고, 둘은 결국 위험에 겁을 먹고 스스로 돌아갔다. 그로 인해 터브먼도 그들과 함께 돌아가야만 했다.[61]
얼마 후, 터브먼은 홀로 탈출을 감행했다.[62] 그는 탈출하기 전, 어머니에게 자신이 떠난다는 사실을 알렸다. 그는 믿음직한 친구였던 매리를 찾아, 암호처럼 쓰이던 작별의 노래를 불렀다. "아침에 보자꾸나, 나는 약속된 땅으로 간다."[63]
터브먼은 ‘지하철도’라는 비밀 네트워크를 활용하였다. 이 조직은 자유 흑인, 백인 노예 폐지론자, 그리고 기독교인 운동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독교 공동체 중 가장 잘 알려진 퀘이커는 기독교 근본주의와 달리 역사적, 사회적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진보적인 교회였고, 노예제에 대해서도 인권사상에 근거하여 투쟁했다.[64]
캐롤라인군의 포플러 넥 근처의 프레스턴 지역은 퀘이커들이 많이 사는 곳이었으므로, 터브먼이 탈출 과정에서 적어도 한 번은 경유했을 것으로 보인다.[65] 그는 도주 노예들이 일반적으로 택하는 길을 따라갔다. 촙탱크 강을 따라 동북쪽으로, 델라웨어를 지나 펜실베이니아로 북쪽으로 가는 길이었다.[71][66] 145km에 달하는 이 여행은, 도보로만 갈 경우 최소 5일에서 최대 3주까지 걸리는 길이었다.[67]
여행의 위험한 조건 때문에 터브먼은 밤에만 움직이면서 (북극성을 길잡이로 잡아) “노예 사냥꾼”들의 눈을 피해야 했다.[68] 지하철도의 “차장”은 숨어서 그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변장을 썼다. 예를 들어 초반의 ‘정거장’ 중 하나에선, 집주인이 터브먼에게 마당을 쓸라고 하여 마치 터브먼이 그 집의 노예인 것처럼 보이게 했다. 밤이 오면, 가족은 그를 카트에 숨겨 다음 집으로 옮겨주었다.[69] 터브먼은 그 지역의 숲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낮에는 숲 속에 숨었을 가능성도 있다.[66]
터브먼은 안도감과 경이로움을 느끼며 펜실베이니아를 건넜다. 그는 몇 년 후 이때의 경험을 이렇게 회고하였다.[71][63]
6. 모세
1850년 국회에서 도망노예법이 통과되어 탈출 노예들의 위험이 증가했고, 많은 이들이 캐나다로 피신했다.[74] 필라델피아 역시 인종차별로 인한 긴장감이 감돌기 시작하였다.[75]
1850년 12월, 터브먼은 조카 케시아가 두 자식과 함께 캠브릿지에서 팔릴 것이라는 경고를 받았다. 그녀는 볼티모어로 가서 매부 톰 터브먼의 도움을 받아 케시아 가족을 구출하고 필라델피아로 데려왔다.[76]
1851년 봄, 터브먼은 다시 메릴랜드로 돌아가 두 번째 여행에서 자신의 형제 모세와 다른 두 명의 노예를 구해냈다.[77] 이때 터브먼은 윌밍턴의 노예 폐지론자이자 퀘이커교도인 토머스 가렛과 함께 했을 가능성이 높다.[78] 그의 업적을 듣고 그의 가족은 용기를 냈으며, 전기 작가들은 그가 메릴랜드로 올 때마다 더욱 자신감이 커졌을 거라 말하고 있다.[77][79]
더 많은 사람들을 노예 제도에서 구출해내면서, 터브먼은 출애굽기에서 모세가 야훼의 뜻에 따라 하비루 즉, 이집트에서 억압받던 민중을 해방한 것에 빗대어 “모세”라는 별명으로 유명해졌다.[80]
1879년 작가 윌버 시버트와의 인터뷰에서, 터브먼은 지하철도에서 사용하였던 장소와 도우미의 이름을 일부 밝혔다. 그는 메릴랜드의 자유흑인 샘 그린 목사와 함께 지냈으며, 포플러 넥에 있는 그의 부모님 집 근처에도 숨었었다. 거기서 동북쪽으로 가 델라웨어의 샌드타운과 윌로우 그로브를 거쳐, 자유 흑인 요원 윌리엄 브링클리, 냇 브링클리와 에이브러험 깁스가 있는 캠든에 도착하였다. 세 요원은 그를 도버와 블랙버드 지역을 지나 북쪽으로 갈 수 있게 도와주었으며, 다른 요원들은 체사피크와 델라웨어 운하를 지나 뉴캐슬과 윌밍턴 쪽으로 그를 이끌었다. 윌밍턴에선, 퀘이커교도 토머스 가렛이 윌리엄 스틸의 사무실이나 다른 지하철도 차장의 집으로 그를 안전히 데려다주곤 하였다. 흑인 요원이었던 스틸은 수백 명의 노예들을 뉴욕, 뉴잉글랜드와 캐나다 쪽으로 안전하게 데려다준 업적이 있는 사람이다.[81]
1851년 가을, 터브먼은 남편 존을 찾기 위해 도체스터군으로 돌아왔지만, 존은 캐롤라인이라는 여자와 재혼한 상태였다. 터브먼은 그를 설득하는 것을 포기하고, 다른 노예들을 찾아 필라델피아로 데려갔다.[82]
탈출노예송환법으로 미국 북부가 탈출 노예들에게 위험한 지역이 되자, 많은 탈출자들이 캐나다에 정착하게 되었다. 1851년 12월, 터브먼은 11명의 탈출 노예들을 북쪽으로 이끌었는데, 이들은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집에 머물렀을 것으로 추측된다.[84] 더글러스와 터브먼은 노예 제도에 맞서 싸우면서 서로 존경했다. 터브먼의 초기 전기가 1868년에 출간되자, 더글러스는 그를 기리는 편지를 썼다.[86]
터브먼은 11년간 13번의 여행을 통해 70여 명의 노예를 구출하고, 50-60명에게 탈출 방법을 조언했다.[88] 그는 겨울에만 움직이고, 토요일 저녁에 마을을 빠져나오는 등 주의를 기울였다.[89] 그는 임기응변을 발휘하여 위험에서 빠져나왔다. 닭을 이용해 주인과 눈을 마주치지 않거나,[71][90] 기차에서 신문을 읽는 척하여 문맹인 자신을 숨기기도 했다.[91]
터브먼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으로 머리 손상으로 인한 환각을 하늘의 계시로 받아들였다.[93] 그는 찬송가를 암호로 사용해 위험을 알리기도 했다.[94] 그는 리볼버를 들고 다녔으며, 탈출자들에게 "계속 가거나 죽거나예요."라고 말하며 위협하기도 했다.[96][71][95]
터브먼은 잡히지 않았고, 그가 이끈 노예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제 기차는 한 번도 탈선한 적 없으며, 손님을 놓친 적도 없다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00] 그는 마지막으로 노부모를 구출하여 캐나다 온타리오주 세인트 캐서린스로 데려다주었다.[102]
7. 존 브라운과 하퍼스 페리
브라운은 곧 노예 소유자들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기 위해 지지자를 모았고, 여기에는 터브먼도 참여했다. 당시 터브먼은 "터브먼 장군" (존 브라운이 그에게 붙인 별명)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었다.[103] 펜실베이니아, 메릴랜드, 델라웨어의 국경 주에 있는 지원 네트워크와 자원에 대한 그녀의 지식은 브라운과 그의 계획자들에게 매우 귀중했다. 프레더릭 더글러스와 같은 다른 폐지론자들은 그의 전술을 지지하지 않았지만, 브라운은 노예에서 해방된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주를 건설하기 위해 싸우는 꿈을 꾸었고, 군사 행동을 위한 준비를 했다. 그는 첫 전투가 시작된 후 노예들이 일어나 노예 주 전역에서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믿었다.[105] 그는 터브먼에게 당시 남부 온타리오에 살고 있던 전 노예들 중에서 자신의 전투 부대에 합류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을 모으라고 요청했고, 그녀는 그렇게 했다.[106]
1858년 5월 8일, 브라운은 캐나다 채텀에서 회의를 열고 버지니아 하퍼스 페리 습격 계획을 공개했다.[107] 그 계획이 정부에 유출되었을 때, 브라운은 그 계획을 보류하고 결국 재개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시작했다. 터브먼은 이 노력과 공격에 대한 더 자세한 계획으로 그를 도왔다.[108]
터브먼은 이 기간 동안 폐지론자 청중들에게 연설하고 친척들을 돌보는 등 바쁜 시간을 보냈다. 1859년 10월 초, 브라운과 그의 부하들이 공격을 시작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터브먼은 매사추세츠주 뉴베드퍼드에서 병이 들었다.[109] 그녀가 여전히 브라운의 습격에 참여할 의향이 있었는지, 아니면 계획에 회의적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110][111] 10월 16일 하퍼스 페리 공격이 일어났을 때, 터브먼은 병에서 회복되어 뉴욕시에 있었다.[111]
공격은 실패했고, 브라운은 반역죄, 살인 및 반란 선동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12월 2일에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의 행동은 많은 폐지론자들에게 고귀한 순교자에 의해 수행된 자랑스러운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112] 터브먼 자신도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녀는 나중에 친구에게 "그는 죽으면서 100명의 남자가 살면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했다"고 말했다.[113]
8. 오번과 마가렛
이 과정은 여러 의문을 남겼다. 마가렛의 부모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터브먼은 그들이 자유 흑인이었다고 말했다. 마가렛은 메릴랜드에 집과 쌍둥이 오빠를 두고 왔다.[116] 몇 년 후, 마가렛의 딸 앨리스는 터브먼의 행동을 “납치”라고 비판하며, “그는 안전한 집에 있던 소녀를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곳에 데려다놓았다.”라고 말했다.[117][118]
몇몇 역사가는 마가렛이 실제로는 터브먼의 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19][120] 라슨은 둘의 강한 유대감을 언급하며, 어머니에게서 떨어진 아이의 고통을 아는 터브먼이 자유 흑인 가족을 ভেঙে놓는 일은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21] 클린턴은 앨리스도 인정한 둘의 외모 유사성을 근거로 제시한다.[119] 그러나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이 관계는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122]
1860년 11월, 터브먼은 마지막 구출 임무를 수행했다. 1850년대 동안 터브먼은 그의 누이 레이철과 두 자녀(벤과 앤저린)를 구출하지 못했다. 도체스터군으로 돌아온 그는 레이철이 사망했고, 두 아이를 구하려면 30USD의 뇌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돈이 없었던 터브먼은 아이들을 노예로 남겨둘 수밖에 없었고, 그들의 이후 운명은 알려지지 않았다. 대신 터브먼은 에널 가족 등 다른 그룹을 모아 북쪽으로 탈출시켰다. 노예 사냥꾼들을 피해 몇 주 동안 숨어 지내야 했고, 추운 날씨와 식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들은 1860년 12월 28일 오번에 있는 데이빗과 마사 코핀 라이트의 집에 안전하게 도착했다.
9. 남북 전쟁
터브먼은 노예 제도 폐지를 강하게 지지하는 데이빗 헌터 장군을 만났다. 헌터 장군은 포트 로열의 모든 콘트라밴드들을 자유로 선포하고, 전 노예로 이루어진 흑인 군대를 조직하기 시작하였다.[126] 에이브러험 링컨 미국 대통령은 당시 남부 주에서 노예 해방을 강제할 힘이 없었으며, 헌터의 행동을 질책하였다.[126] 터브먼은 링컨의 이러한 반응에 대해 도덕적, 실용적 측면에서 비판했다.
터브먼은 포트 로열에서 간호사로 일하며, 약초로 약을 만들어 적리로 고생하는 군인들을 도왔다.[71] 천연두에 걸린 사람들을 돕기도 하였는데, 그가 전염되지 않는다는 사실은 하나님에게 축복받았다는 소문을 퍼지게 했다.[128] 처음에는 정부에서 급여를 지급했으나, 새로 자유가 된 흑인들이 그가 특별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하여 긴장을 풀기 위해 급여를 포기하고, 저녁에 파이와 맥주를 만들어 다음 날 파는 식으로 돈을 벌었다.[129]
1863년 1월 1일 링컨 대통령이 노예 해방 선언을 하자, 터브먼은 이것을 모든 흑인의 자유로 이끄는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하였다.[130] 그는 남부동맹의 패배를 위해 일하는 각오를 새롭게 하였으며, 얼마 안 가 포트 로열 근처의 지대를 정찰하는 부대를 이끄는 자리를 맡게 되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늪과 강은 메릴랜드 동부 해안의 환경과 비슷하여 그의 잠복 이동과 속임수 기술에 대한 지식이 유용하게 쓰였다.[131] 그의 그룹은, 전쟁 장관 에드윈 스탠턴의 지휘 아래, 낯선 지형과 그곳의 거주민을 답사하였다.[132] 이후 그는 제임스 몽고메리 장군에게 자신의 여러 지식을 전하면서 잭슨빌의 정복을 도왔다.[132]
이후, 터브먼은 남북 전쟁 중 무장 군대를 이끌고 처음으로 공격 작전을 수행한 여성이 되었다.[133] 몽고메리와 그의 부대가 콤바히강 근처의 여러 플랜테이션을 습격하였을 때, 터브먼은 고문으로써 습격을 도왔다. 1863년 6월 2일 아침, 터브먼은 세 척의 증기선을 남부동맹 영역으로 인도하였다.[134] 해안 상륙 후, 북부 연방군은 플랜테이션에 불을 질러, 동맹군의 경제 기반을 무너뜨리고 수천 달러어치의 음식과 보급품을 손에 넣었다.[135] 증기선이 기적을 울리자, 그 지역의 노예들은 자신들이 자유가 되었음을 직감하였다. 터브먼은 노예들이 보트로 몰려드는 것을 지켜보았다. 훗날 그는 "그런 광경은 본 적이 없어요."[136]라고 말했다. 아직 김이 나는 쌀 한 포대를 메고 달리는 여자들, 어깨에 메여 신음하는 돼지들, 부모들 목에 매달려있는 아기들이 얽히고설키는 혼란을 묘사하였다. 그들의 주인들이 권총과 채찍을 가지고 집단 탈출을 막아보려 하였으나, 그들의 노력은 거의 허사였다.[135] 동맹군이 막 현장에 도착했을 때, 증기선은 이미 노예들을 싣고 사우스캐롤라이나 보포트를 향해 출발한 후였다.[137]
콤바히강 습격 작전을 통해 700명 이상의 노예가 구출되었다.[138][139] 신문은 터브먼의 “애국심, 총명함, 힘 그리고 능력”을 주요 기사로 다루었으며,[140] 자유가 된 많은 흑인들은 대부분 연방군에 합류하였다.[141] 터브먼은 이후 로버트 굴드 쇼 장군의 와그너 요새 습격을 도왔으며, 그의 마지막 식사도 그가 제공했다고 알려졌다.[142]
이후 2년 동안, 터브먼은 연방군을 위해 일하며, 새로 자유가 된 노예들을 돌보고, 동맹군 영역을 정찰하고, 버지니아 주에서 부상당한 군인들을 간호하였다.[144] 그는 간간히 오번에 들러, 가족을 만나고 부모를 모셨다.[145] 1865년 4월 남부동맹은 항복하였다. 몇 달 간 더 군 기지에 머무른 후, 터브먼은 집으로 돌아왔다.[146]
몇 년간의 복무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정한 급여를 받지도 못 했으며 몇 년간 연금 대상에서도 제외되었다.[147][148] 그의 비공식적인 지위와 흑인 군대들에게 불공평하게 지급된 급료 때문에 그의 복무 사실을 자료화하는 것은 힘들었으며, 미국 정부는 그에게 진 빚을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였다.[149] 터브먼은 1899년까지 남북 전쟁 시 군복무에 대한 연금을 받지 못하였다.[150] 그의 가족과 과거 노예를 위한 끊임없는 인도주의적인 활동은 그를 항상 가난하게 하곤 하였고, 이 상황에서 정부 연금을 얻지 못하는 것은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151]
터브먼은 전쟁이 끝나고 오번으로 돌아왔다. 뉴욕으로 가는 기차 안에서, 차장이 그에게 흡연차로 자리를 옮기라는 말을 한 일이 있었다. 그는 거절하면서, 자신의 복무 사실을 말하였다. 그는 욕을 하며 그를 움켜쥐었지만, 그는 저항했고, 차장은 도움을 위해 다른 두 명의 승객을 불렀다. 레일을 붙잡고 매달리는 그를, 그들은 그의 팔을 부러뜨리기까지 해가며 그를 떼어냈다. 또한 그들은 그를 흡연차에 던져 더 많은 부상을 입혔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중 다른 한 백인 승객은 터브먼을 욕하면서 차장에게 그를 기차 밖으로 쫓아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152]
10. 여생
터브먼의 친구와 지지자들은 그를 돕기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 사라 브래드포드는 1869년 《해리엇 터브먼의 삶 속의 풍경들》이라는 전기를 출간하여 터브먼에게 1200USD 정도를 제공했다.[155] 이 책은 터브먼의 삶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지만, 미화와 주관적인 관점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156] 브래드포드는 1886년 《해리엇, 그의 친구들의 모세》라는 책을 출간하여 터브먼의 가난 구제를 도왔다.[157]
1873년, 터브먼은 금 수송 사기극에 휘말렸다. 두 남자가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밀수된 금을 2000USD에 팔겠다고 제안했고, 터브먼은 이들의 말을 믿고 돈을 빌려 거래에 나섰다.[158][159][160] 그러나 두 남자는 터브먼을 숲으로 유인하여 클로로포름으로 기절시키고 돈을 훔쳐 달아났다.[158][162] 이 사건으로 터브먼은 큰 상처를 입었지만, 그의 경제적 어려움이 다시 한번 대중에게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163]
터브먼은 여성 참정권 운동에도 참여하여 수잔 앤서니 등과 함께 활동하며 여성 투표권을 지지했다.[166] 그는 뉴욕, 보스턴, 워싱턴 D.C. 등에서 여성 투표권을 옹호하는 연설을 하며, 남북 전쟁 당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여성의 능력이 남성과 동등하다고 주장했다.[168] 흑인 여성 국립 동맹의 첫 회의에서 중요 연설자로 참여하기도 했다.[169]
20세기에 들어 터브먼은 오번의 감리교감독시온교회(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영어[171])에 참여하며 '나이 들고 궁핍한 흑인들'을 위한 집을 짓기 위해 노력했다.[172] 1903년, 그는 자신의 땅을 교회에 기부했지만, 1908년에 완공된 양로원이 입주비를 받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173]
어릴 적 부상으로 인한 수면 장애와 통증이 심해진 터브먼은 1890년대 말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에서 뇌수술을 받았다.[175] 그는 마취 없이 수술을 받았다고 전해진다.[176]
1911년 몸이 쇠약해진 터브먼은 자신의 이름을 딴 양로원에 들어갔다.[177] 1913년 3월 10일, 터브먼은 폐렴으로 사망했고, 오번의 포트 힐 묘지에 묻혔다.[177]
11. 유산
터브먼 사후, 오번 시는 시청사에 기념 액자를 설치해 그를 기렸지만, 철자법 오류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181][182] 부커 워싱턴이 주요 연설자로 참여한 기념행사도 열렸다.[183] 한때 버려졌던 해리엇 터브먼의 집은 복원되어 현재 박물관이자 교육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184]
얼 콘래드의 《해리엇 터브먼: 흑인 용사이자 노예 폐지론자》는 터브먼의 삶을 객관적으로 조명한 전기로, 출판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42년 출간되었다.[185][186] 이후 60년간 성인을 위한 전기가 나오지 않다가, 2003년 진 휴메즈, 2004년 케이트 라슨과 캐서린 클린턴이 터브먼의 전기를 발표했다.
미국 전역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터브먼을 기념하고 있다. 수많은 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188] 오번의 해리엇 터브먼 생가와 캠브릿지의 해리엇 터브먼 박물관은 기념비로 남아있다.[188] 1944년에는 흑인 여성의 이름이 붙은 첫 함선인 SS 해리엇 터브먼이 만들어졌고,[186] 1978년에는 흑인을 기리는 첫 우표가 발행되었다.[189] 미국 성공회 교회력 7월 20일은 터브먼을 기리는 날이다.
2002년, 몰레피 케트 아산테는 터브먼을 “100명의 위대한 미국 흑인들” 리스트에 포함시켰다.[190] 2008년 토슨 대학은 새로운 기숙사 이름을 “터브먼 하우스”로 지었다.
2016년 4월 20일, 잭 류 재무 장관은 20달러 지폐의 초상을 앤드루 잭슨에서 터브먼으로 바꿀 것이라고 발표했다.[191] 다만 새 지폐 유통 시기는 미정이다.[192]
참조
[2]
웹사이트
『ハリエットの道』 キャロル・ボストン・ウェザフォード, カディール・ネルソン, さくま ゆみこ
https://www.ehonnavi[...]
絵本ナビ
2019-07-27
[3]
뉴스
女性奴隷解放家の新20ドル札計画、バイデン政権が再開
https://jp.reuters.c[...]
2021-01-26
[4]
웹사이트
Harriet Tubman
https://www.womenshi[...]
2020-06-13
[5]
웹사이트
Member Details »Thomas Garrett House
https://www.nps.gov/[...]
アメリカ国務省
2010-11-17
[6]
웹사이트
女性実力者の系譜-奴隷制度の鎖を断ち切る「ハリエット・タブマン」
https://americancent[...]
2019-07-27
[7]
웹사이트
Harriet Tubman's Civil War Campaign (引用元は''Bound For The Promised Land: Harriet Tubman–Portrait Of An American Hero'')
http://www.duboislc.[...]
W.E.B. DuBois Learning Center
2004-06-25
[8]
웹사이트
Compensation for Civil War Services : Harriet Tubman
http://www.harriet-t[...]
2020-02-10
[9]
웹사이트
Scenes in the Life of Harriet Tubman (1869年発行の自叙伝の英語版全文と挿し絵、参考資料)
http://docsouth.unc.[...]
2019-07-26
[10]
뉴스
米紙幣に初の黒人 元奴隷女性のH・タブマン、新20ドル札に
http://www.afpbb.com[...]
AFP BB NEWS
2016-04-21
[11]
웹사이트
Trump: Tubman on the $20 bill is 'pure political correctness'
https://www.cnn.com/[...]
2020-02-10
[12]
웹사이트
Harriet Tubman Museum Benefits from Viral Photo
https://learningengl[...]
2020-02-10
[13]
웹사이트
Harriet Tubman $20 bill no longer coming in 2020: Mnuchin says redesign postponed
https://www.cnbc.com[...]
2019-05-22
[14]
뉴스
See a Design of the Harriet Tubman $20 Bill That Mnuchin Delayed (Published 2019)
https://www.nytimes.[...]
2019-06-14
[15]
웹사이트
H・タブマン採用の新20ドル札延期へ=ムニューシン財務長官
http://www.mashuprep[...]
2019-05-23
[16]
웹사이트
6. Harriet Tubman Museum & Educational Center
https://harriettubma[...]
2016-12-07
[17]
웹사이트
「Lovie meets Harriet ❤ This picture was taken in downtown Cambridge, MD on Cannery Way. This mural is on the back wall of the Harriet…」
https://www.instagra[...]
2020-02-11
[18]
웹사이트
The story behind the photo of a 3-year-old reaching out to Harriet Tubman
https://www.cnn.com/[...]
2020-02-11
[19]
웹사이트
Harriet Tubman Museum Benefits from Viral Photo
https://learningengl[...]
2020-02-11
[20]
웹사이트
映画『ハリエット』オフィシャルサイト
https://harriet-movi[...]
2020-08-27
[21]
웹인용
〈역사 속 여성이야기〉 해리엇터브먼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04-01-29
[22]
서적
Clinton
[23]
서적
Larson
[24]
서적
Humez
[25]
서적
Clinton
[26]
서적
Clinton
[27]
서적
Larson
[28]
서적
Clinton
[29]
서적
Larson
[30]
서적
Clinton
[31]
서적
Larson
[32]
서적
Larson
[33]
서적
Clinton
[34]
서적
Humez
[35]
서적
Humez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두 얼굴을 한 하나님, 성서로 본 노예제
살림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두 얼굴을 한 하나님, 성서를 통해서 본 노예제
살림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뉴스
노예들의 모세로 불렸던 여성, 해리엇 터브먼
https://news.naver.c[...]
여성주의 저널 일다
2005-12-06
[72]
서적
1971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1961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기타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기타
[161]
서적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간행물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기타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기타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웹사이트
Postal Service Celebrates 25th Anniversary of Black Heritage Stamp Series
http://www.usps.com/[...]
US 우체국
2002-02-21
[190]
서적
100 Greatest African American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Prometheus Books
2002
[191]
뉴스
U.S. to keep Hamilton on front of $10 bill, put portrait of Harriet Tubman on $20 bill
https://www.washingt[...]
워싱턴 포스트
2016-04-20
[192]
웹사이트
Harriet Tubman will be face of the $20
http://money.cnn.com[...]
2016-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