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홋카이도 신칸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홋카이도 신칸센은 일본 철도 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가 건설하고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신칸센 노선이다. 신아오모리역에서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을 잇는 구간이 2016년 3월 개통되었으며, 2031년 삿포로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노선은 표준궤를 사용하며, 세이칸 터널 구간은 재래선과 선로를 공유하는 삼선 궤조로 되어 있다. 열차는 E5계, H5계 전동차를 사용하며, 도쿄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하야부사, 모리오카 또는 신아오모리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하야테가 있다. 홋카이도 신칸센은 겨울철 폭설에 대비한 설비와 지진 대책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세이칸 터널 구간의 최고 속도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이쿄선 - 쓰가루 해협선
    1988년 세이칸 터널 개통과 함께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며 운영되던 쓰가루 해협선은 2016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폐지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어 운영 중이다.
  • 가이쿄선 - 카시오페이아 (열차)
    카시오페이아는 JR 동일본과 JR 홋카이도가 1999년부터 2016년까지 우에노역과 삿포로역을 잇는 침대 특급 열차로 운행했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후에는 단체 전용 열차로, E26계 객차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관차가 견인하는 투어 상품으로 운영되었다.
  • 아오모리현의 철도 - 오우 본선
    오우 본선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역에서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역을 잇는 JR 동일본/화물 노선으로, 표준궤/협궤 혼용, 전철화 구간, 신칸센 환승 등의 특징을 가진 총 연장 486.3km의 철도 노선이다.
  • 아오모리현의 철도 - 고노선
    고노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는 아키타현 히가시노시로역과 아오모리현 가와베역을 잇는 147.2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1936년 개칭되었으며 해안을 따라 GV-E400계 기동차가 운행되고, 센보쿠이와 터널을 포함한다.
  • 신칸센의 철도 노선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신칸센의 철도 노선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홋카이도 신칸센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2015년 11월 시험 운행 중인 H5 시리즈 신칸센
2015년 11월 시험 운행 중인 H5 시리즈 신칸센
노선 종류고속철도 (신칸센)
시스템신칸센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아오모리현홋카이도, 일본
기점신아오모리역
종점신하코다테호쿠토역
역 수4개
노선하야부사
하야테
연간 승객 수211만 명 (2016년 회계연도)
개통일2016년 3월 26일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소유자[[파일:Img identity logo.png|20px|link=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 JRTT
운영자JR 홋카이도
사용 차량E5 시리즈
H5 시리즈
노선 길이148.8 km
전체 길이 (2030년)360.6 km
선로 수복선
최대 경사2.08% (현재)
3.0% (건설 중)
최소 곡선 반지름4,000 m (대부분)
6,500 m (세이칸 터널)
신호 방식차내 신호 폐색식
열차 보호 장치DS-ATC
전철화 방식교류 25,000 V 50 Hz (가공 전차선)
속도260 km/h
세이칸 터널 통과 시:
160 km/h
260 km/h (주요 공휴일)
노선도
홋카이도 신칸센 노선도
홋카이도 신칸센 노선도
명칭
기타 정보
개업 정보 출처홋카이도 신칸센 개업은 내년 3월 26일 - JR 홋카이도가 최종 조정 중
속도 및 안전 정보 출처차세대 신칸센은 더 빠르고 안전할 뿐만 아니라 전력도 절약할 것이다
노선 연장 정보 출처민주당, 새로운 고속철도 3개 구간 승인 가능성

2. 노선 정보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가 건설을 담당하였으며, 홋카이도 신칸센 건설국은 신아오모리 기점 44.733km - 148.996km 구간을 담당했다.[80]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구간이다.[80] 궤간표준궤 (1,435 mm)이다. 신나카오구니 신호장 - 기코나이역 간 (쓰가루 해협선)은 듀얼 게이지로, 오히라 터널 갱내에서 신칸센과 재래선(1,067 mm)이 합류하여 기코나이역 부근에서 분리된다. 좌측 통행 방식이며, 역 수는 4개, 전 구간 복선이다. 전 구간이 전철화 구간(교류 25,000V 50Hz)이며,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홋카이도 신칸센 종합 시스템 (CYGNUS)을 사용한다.

구조 종별 연장 비율은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은 노반 8%, 교량 4%, 고가교 23%, 터널 65%이며,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은 노반 7%, 교량 3%, 고가교 14%, 터널 76%이다. 최고 속도는 260km/h이나, 재래선 공용 구간은 당분간 140km/h이다. 정비 신칸센 규격은 260km/h이나, 차량 경량화, 집전 장치 개량, 소음 대책 등으로 산요 신칸센에서는 1997년부터 300km/h 주행이 시행되었고, 홋카이도 신칸센의 목표 최고 속도는 360km/h이다.

해저 역으로 영업했던 세이칸 터널 내의 정점(닷피 정점, 요시오카 정점)은 유지 보수 작업 및 대피용 거점으로 정비·보수용 차량을 측선에 수용할 수 있다.

영업 주체는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이며, 건설 주체는 독립 행정 법인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이다. 노선 거리는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148.8km,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삿포로역 간 약 211.5km (건설 중)이다.

궤간은 신아오모리역 - 신나카오구니 신호장 간·키코나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은 1,435mm (표준궤)이며, 신나카오구니 신호장 - 키코나이역 간은 1,067mm·1,435mm (해협선과 삼선 궤조로 공용)이다. 역 수는 4개, 신호장 수는 2개이며 전 구간 복선이다. 전철화 구간은 교류 25,000V·50Hz이며, 가선 조가 방식은 헤비 컴파운드 카테나리식(세이칸 터널 내), PHC 심플 카테나리식(세이칸 터널 이외의 구간)이다. 보안 장치는 ATC (DS-ATC)를 사용하며, 차량 기지는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 차량소이다. 삿포로 연장 시에는 삿포로역에 유치선을 설치한다.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은 홋카이도 신칸센 종합 시스템 (CYGNUS)을 사용한다. 구조 종류별 연장 비율은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노반 7%, 교량 4%, 고가교 24%, 터널 65%이며,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삿포로역 간 노반 5%, 교량 2%, 고가교 13%, 터널 80%이다. 최고 속도는 260km/h (세이칸 터널 구간은 일부 기간만 260km/h, 통상은 160km/h, 세이칸 터널을 제외한 재래선 공용 구간은 140km/h)이다. 화물 열차 대피 설비는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 유노사토시리우치 신호장에 있으며, 세이칸 터널 내 보수 작업 및 피난용 거점은 류히테이텐, 요시오카테이텐이다.

2. 1. 차량

홋카이도 신칸센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E5계와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의 H5계이다.[8] 두 차량 모두 최고 속도는 260km/h이며,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8]

E5계는 2009년부터 도입되어 현재 운행 중이며,[8] H5계는 E5계를 기반으로 2014년에 4개 편성이 주문되어 2016년 3월부터 홋카이도 신칸센에 투입되었다.[15] H5계의 외관은 상단은 녹색, 하단은 흰색이며, 중간에는 보라색 줄무늬가 있다.[17] 보라색은 홋카이도의 라일락, 루피너스, 라벤더를 상징한다.[17] 내부에는 일반석 객차에 나무 패널과 눈송이 무늬 카펫, 그린샤에는 현지 낙농업을 나타내는 크림색 벽과 유빙 무늬 카펫, 그란클래스에는 노선상의 반짝이는 호수와 수역을 본뜬 짙은 파란색 카펫이 사용되었다.[17]

3. 역사

홋카이도 신칸센 연장에 따른 도쿄와 삿포로 간의 예상 소요 시간을 보여주는 차트


1969년 (쇼와 44년) 5월 30일에 "신 전국 종합 개발 계획"이 각의 결정되었다. 이 안에서 주요 개발 사업의 구상으로 "철도에 관해서는, 세이칸 터널의 조사를 조속히 종료하고, 건설을 추진한다. 또한, 세이칸 터널을 거쳐 삿포로시에 이르는 신칸센 철도를 건설하는 것과 더불어, (중략) 신칸센 철도를 삿포로에서 도호쿠까지 연장하여, '''홋카이도 종관 신칸센 철도'''로 정비하는 동시에, 도오에서 도토에 이르는 '''홋카이도 횡단 신칸센 철도'''의 건설을 도모한다."라고 현재의 홋카이도 신칸센에 상당하는 신칸센 철도를 포함한 몇 개의 신칸센 노선 건설 구상이 포함되었다.

1970년 (쇼와 45년)에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 (이하 "전간법")이 공포되었다. 이 법률에 의해, 절박한 간선의 수송력 증강을 목적으로 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과는 달리, 경제 발전이나 지역의 진흥을 목적으로 한 신칸센의 건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971년 (쇼와 46년) 4월 1일의 운수대신 통달에 의해 세이칸 터널은 장래 신칸센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배려하게 되었고, 세이칸 터널의 규격은 당시 신칸센 기준이었던 최대 경사 12‰, 최소 곡선 반경 6,500 m로 변경되어, 9월 27일에 공사 실시 계획이 인가되었다.

1972년 (쇼와 47년) 6월 29일에 기본 계획이 결정, 7월 3일에 전간법 제5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건설을 시작해야 할 신칸센 철도의 노선을 정하는 기본 계획"(쇼와 47년 운수성 고시 제243호)에 의해 '''홋카이도 신칸센 (아오모리시 - 삿포로시)''', 호쿠리쿠 신칸센 (도쿄도 - 오사카시),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 - 가고시마시)의 3개 노선의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다. 이 기본 계획에서 홋카이도 신칸센 (아오모리시 - 삿포로시)은 아오모리시를 기점으로 하코다테시 부근을 주요 경과지로 하여 삿포로시를 종점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듬해 1973년 (쇼와 48년) 6월 9일에, 정부와 자민당은 루트 선정 기준을 작성하는 방침을 보였다. 국철 및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의 토목 조사에서, 오샤만베 - 삿포로 간의 최단 루트인 "중앙 루트"는 화산 지대에 거의 30 km의 장대 터널을 건설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단념되었다. 니세코・오타루 방면을 경유하는 "북쪽 우회 루트"는 남쪽 우회에 비해 거리가 약 70 km 짧지만 눈 문제로 불리하다. 한편, 무로란이나 도마코마이를 경유하는 "남쪽 우회 루트"는 연선 인구가 많고, 재래선과의 역할 분담의 점에서 이점이 있다고 하여 "남쪽 우회 루트"가 유력시되었다. 9월 18일에 조사 결과의 개요가 제시되었고, 홋카이도 신칸센은 "북쪽 우회 루트"로 결정되었다. 이 배경에는 당시 수상다나카 가쿠에이가 열도 개조의 대동맥으로서 남홋카이도의 개발도 고려한 뒤에 지지했다고 한다.

같은 해 11월 13일에는 앞서 언급한 3개 노선에 더해,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시 - 아오모리시),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 - 나가사키시)을 포함한 5개 노선 (소위 정비 신칸센)의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 홋카이도 신칸센 (아오모리시 - 삿포로시)은 최고 설계 속도 260 km/h, 주요 경과지로 "하코다테시 부근, 오타루시 부근"이 표시되었고, 그 외 "홋카이도 신칸센, 쓰가루 해협부에서, 세이칸 터널을 쓰가루 해협선과 공용한다."라고 되어, 건설 주체는 일본 철도 건설 공단으로 결정되었다. 같은 해 11월 15일에는 운수성 고시 제466호에 의해 홋카이도 신칸센 (삿포로시 - 아사히카와시)을 포함한 12개 노선의 기본 계획이 결정되었다.

국철의 경영 악화 등을 배경으로 1982년 (쇼와 57년) 9월의 임시 행정 조사회의 기본 답신에 따라, 홋카이도 신칸센을 포함한 정비 신칸센 계획을 당분간 보류하는 각의 결정이 내려졌다.

국철 개혁이나 행재정 개혁의 진전, 연선 지역의 건설 촉진에 대한 강한 요구 등을 배경으로, 1987년 (쇼와 62년) 1월에 정비 신칸센 보류의 각의 결정이 변경되어, 신칸센의 건설에 길이 열렸다.

1988년(쇼와 63년) 3월 13일에 세이칸 터널을 포함한 해협선 나카고쿠역 - 키코나이역 구간이 개통하고, 세이칸 연락선은 폐지되었다.

세이칸 터널 개통 시점에서의 수요 예측은, 모리오카 - 삿포로 간의 신칸센이 전 노선 개통했을 경우 하코다테 - 삿포로 간에 11,000명/일, 모리오카 - 하코다테 간이 개통했을 경우 아오모리 - 하코다테 간에 8000명/일 정도이며, 전액 무상 자금으로 건설을 한 경우에도, 병행 재래선을 포함한 종합 수지에서는 대폭적인 적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 때문에, JR 홋카이도의 회사 의견으로는, 건설비의 전액 공적 부담, 시설의 무상 대여, 세이칸 터널과 동등 이상고정 자산세의 감면 조치, 시설의 갱신, 재해 시 복구의 공적 부담을 전제로 아오모리 - 하코다테 간의 건설을 실시하고, 삿포로까지는 그 실적 등을 감안하여 판단하고 싶다고 표명했다.

1996년(헤이세이 8년) 12월 25일의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 여당 합의'에서는,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규 착공 구간으로서 신아오모리 - 삿포로 간의 루트가 공표되었다.. 헤이세이 8년의 합의에 기초하여, 1998년(헤이세이 10년) 1월에 '정부・여당 정비 신칸센 검토 위원회에서의 검토 결과'가 공표되어, 종래의 정비 신칸센 계획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신규 착공 구간이 제시되었다.

2000년(헤이세이 12년) 12월 18일의 '정비 신칸센의 취급에 대해' 정부・여당 협의에서,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아오모리 - 삿포로 간에 대해서는 "환경 영향 평가 종료 후 공사 실시 계획의 인가 신청을 실시",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에 대해서는 "세이칸 터널에 대해, 화물 철도 주행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다"라고 했다. 이번에 착공하지 않는 구간에 대해서는, 도호쿠 신칸센(모리오카역 - 하치노헤역 간), 규슈 신칸센 (신야츠시로역 - 가고시마 중앙역 간)의 개업 후에 재검토를 실시한다고 했다.

2002년(헤이세이 14년) 1월에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 - 삿포로 간의 공사 실시 계획 인가 신청이 이루어졌다. 같은 해 12월에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 - 하치노헤역 간이 개업했다.

2003년(헤이세이 15년) 10월 1일에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가 설립되어, 일본 철도 건설 공단은 해산했다. 이로 인해 홋카이도 신칸센의 건설・대여 업무는 기구에 인계되었다.

2004년(헤이세이 16년)12월 16일의 "정비 신칸센 취급에 관하여" 정부·여당 협의에서,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에 대해서는 "2005년도 초에 착공하여, 2015년도 말 완성을 목표로 한다"고 결정되었다. 이 협의에 따라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은 2005년(헤이세이 17년)4월에 공사 실시 계획의 추가 인가를 신청하여, 인가되었다. 5월에는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의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해협선과의 공용 구간에 대해서는 JR 홋카이도에 공사의 일부가 위탁되었다. 2008년 3월 시간표 개정부터 해협선의 심야 시간 간격을 4시간으로 확대하여, 쓰가루이마베쓰역 및 지나이역 구내에 설치된 궤도 기지로부터의 치라50000형 화차에 의한 롱레일의 현지까지의 수송, 현지에서의 삼선 궤도 부설, 전선의 장력을 조정하는 터널 텐션 밸런서(TTB)의 설치가 시작되었다.

2010년(헤이세이 22년)12월에 하치노헤역 - 신아오모리역 간이 개통됨으로써 도호쿠 신칸센은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

2011년(헤이세이 23년)12월 26일의 "정비 신칸센 취급에 관하여" 정부·여당 확인 사항에서, 홋카이도 신칸센은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의 "2015년도 말 개업" 및 새로운 착공 구간으로서, 신하코다테 - 삿포로 간에 대해 영업 주체인 JR 홋카이도의 동의와 병행 재래선의 경영 분리에 관한 연선 자치 단체의 동의를 조건으로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 간의 개업으로부터 대략 20년 후"를 예상 완성·개업 시기로 하는 방침을 제시했다. 다음 2012년(헤이세이 24년)6월에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가칭) - 삿포로 간이 인가, 착공되었다.

2012년(헤이세이 24년)4월에 공표된 정비 신칸센 미착공 구간의 "수지 채산성 및 투자 효과의 확인"에 관한 정리에서, "화물 열차와 병용하는 홋카이도 신칸센의 청函 터널 등의 공용 주행 구간에서는 신칸센 열차는, 당분간, 시속 140km로의 운행이 예정되어 있지만, 향후, 적극적으로 기술적인 검토를 실시하여,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속도 향상의 전망을 세우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라고 결정되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청函 공용 주행 구간 기술 검토 WG에서 다음과 같은 안의 검토가 시작되었다.

  • 1. 고속 신칸센과 재래선의 운행 시간대를 구분
  • 2. 교차 시에 고속 신칸센이 감속
  • 3. 화물 전용 신칸센(트레인 온 트레인 등)을 도입한다
  • 4. 제2의 청函 터널을 건설한다
  • 5. 상하선의 사이에 격벽을 설치한다
  • 6. 기타


2013년(헤이세이 25년)3월 29일에 "청函 공용 주행 문제에 관한 당면의 방침"이 제시되었다. 당면의 방침으로서, (1) "시간대 구분 안"에 의해, 개업 1년 후인 2017년(헤이세이 29년)봄(방음벽 등의 완공 시기)부터 1년 후의 시간표 개정 시기인 2018년(헤이세이 30년)봄에, 안전성의 확보에 필요한 기술의 검증이 원활하게 진행되는 것을 전제로, 1일 1왕복의 고속 주행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2) (1)과 병행하여, "교차 시 감속 시스템 등에 의한 공용 주행 안" 및 "신칸센 화물 전용 열차 도입 안"의 기술적 실현 가능성의 검토를 심화시켜, 개발의 방향성의 전망을 얻는다고 했다.

2014년 11월 1일,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선로 부설 완료를 기념하는 행사가 기코나이역에서 열렸다.[18] 홋카이도 내 홋카이도 신칸센 선로에서의 시험 운행은 201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저속으로 시작하여 그 달 말에 최고 속도 260km/h까지 속도가 올라갔다.[19] 시험 운행은 2014년 12월에 세이칸 터널을 지나 오쿠쓰가루이마베츠 역까지 연장되었다.[20] 오쿠쓰가루이마베츠 남쪽에서의 시험 운행은 2015년 4월 21일에 시작되었으며, 첫 열차는 5월 24일 새벽에 북쪽에서 신아오모리역에 도착했다.[20]

2015년(헤이세이 27년)1월 14일의 "정비 신칸센 취급에 관하여" 정부·여당 협의에서, 정비 신칸센의 개업 앞당기기를 도모하는 방침이 제시되었다. 홋카이도 신칸센에서는 신하코다테(가칭) - 삿포로 간의 완성·개업 시기를 2035년도에서 5년 앞당겨 2030년도 말의 완성·개업을 목표로 한다고 했다.

2016년 3월 26일에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이 개업했다. 이에 따라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의 소요 시간은 최단 4시간 2분이 되었다.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삿포로역 구간에서는 현지 상황과 연선 자치체 등으로부터의 요청을 받아 공사 계획 변경이 이루어졌다.

2016년 7월에는 무라야마 터널(5,265 m)과 오시마 터널(26,470 m) 사이 구간은 치산의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구배를 변경하여 두 개의 터널을 일체화하여 오시마 터널(32,675 m)로 했다. 개업하면 총 길이 30km가 넘는 국내 최장의 육상 터널이 된다. 요테이 터널의 구배 변경과 인가 시에는 지평역이었던 구루치안역이 고가역으로 변경되었다.

2017년 9월에는 인가 시 고가교 구조였던 삿포로 시가지 구간을 터널 구조로 변경하고, 터널명을 테이네 터널(18,750 m)에서 삿쇼 터널(26,230 m)로 변경했다. 인가 시 지평역이었던 오샤만베역이 고가역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1월에는 삿포로역 신칸센 승강장 위치를 홋카이도, 삿포로시, 철도·운수 기구, JR 홋카이도, 국토교통성에 의한 "홋카이도 신칸센 삿포로역 승강장 위치에 관한 조정 회의"의 확인 사항에 근거하여, 재래선 1, 2번선 승강장을 신칸센 승강장으로 전용하는 인가 안에서 재래선역 동쪽에 상대식 승강장을 새로 건설하고 재래선과는 육교나 연락 통로로 연결하는 안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11월에는 반세키 터널(4,540 m)과 사이레이 터널(2,000 m) 사이 구간은 치산의 필요성이 높기 때문에 구배를 변경한 뒤 반세키 터널로 일원화했다.

2019년 3월 16일: 공용 주행 구간 중,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가 160km/h로 인상되었다.

2024년 5월 8일, 철도・운수기구가 국토교통성에 2030년도까지의 삿포로 연장이 극히 곤란함을 보고했다.

타테이와 터널 공사 현장(야쿠모정)

3. 1. 착공 전 국철 시대

1946년 4월, 세이칸 터널 지질 조사가 시작되었다. 1954년 9월 26일, 세이칸 연락선에서 도야마루 사건이 발생하여 세이칸 터널 건설 계획이 본격적으로 부상했다.

1967년 7월, 일본국유철도(국철)가 전국 신칸센망 구상을 발표했다. 1970년 5월 18일에는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이 공표되었다. 1969년(쇼와 44년) 5월 30일에 "신 전국 종합 개발 계획"이 각의 결정되었는데, 이 안에서 주요 개발 사업의 구상으로 '''홋카이도 종관 신칸센 철도'''와 '''홋카이도 횡단 신칸센 철도'''의 건설을 도모한다고 하였다.

1971년 9월 28일, 세이칸 터널이 공사 착수되었고, 11월 14일에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1972년 6월 29일에는 기본 계획이 결정되었고, 7월 3일에 쇼와 47년 운수성 고시 제243호에 의해 '''홋카이도 신칸센 (아오모리시 - 삿포로시)'''의 기본 계획이 고시되었다.

1973년 11월 13일, 홋카이도 신칸센(아오모리 시 - 삿포로 시)을 포함한 5개 노선의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 당시 수상다나카 가쿠에이가 열도 개조의 대동맥으로서 남홋카이도의 개발도 고려한 뒤에 "남쪽 우회 루트"를 지지했다고 한다.

1982년 6월 23일, 도호쿠 신칸센 오미야 역 - 모리오카역 구간이 개업했다. 같은 해 9월, 임시 행정 조사회의 기본 답신에 따라 홋카이도 신칸센을 포함한 정비 신칸센 계획을 당분간 보류하는 각의 결정이 내려졌다. 1985년 3월 14일, 도호쿠 신칸센 우에노역 - 오미야 역 사이가 연장 개업했다.

국철 개혁이나 행재정 개혁의 진전, 연선 지역의 건설 촉진에 대한 강한 요구 등을 배경으로, 1987년 1월에 정비 신칸센 보류의 각의 결정이 변경되어 신칸센 건설의 길이 열렸다.

3. 2. 착공 전 JR 홋카이도 출범 후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발족하면서 홋카이도 신칸센은 JR 홋카이도의 관할로 편성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세이칸 터널이 완성되었다. 1988년 3월 13일에는 쓰가루 해협선이 개업하고 세이칸 연락선이 폐지되었다.

1988년 8월 11일, 교통부는 정비 신칸센의 잠정 정비 계획안을 발표했고, 정부와 여당의 합의에 따라 정비 신칸센 착공 우선 순위가 결정되었다. 1989년 1월 17일, 정부와 여당은 정비 신칸센의 이전 재원 계획을 수립했다. 1990년 12월 24일, 정부와 여당의 합의에서는 병행 재래선을 JR에서 경영 분리하는 것을 명시했다. 1991년 10월 1일, 신칸센 철도 보유기구가 해산되고 철도 정비 기금이 설립되었다.

1997년 5월 30일, 전국 신칸센 철도 정비법 개정 법률이 공포되어 재원 체계가 재검토되었다. 같은 해 10월 1일, 철도 정비 기금이 선박 정비 공단과 통합되어 운수 시설 정비 사업단이 설립되었다. 1998년 10월 8일,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삿포로역 간 환경 영향 평가가 시작되었고, 2002년 1월 8일에 종료되었다. 2002년 12월 1일,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 - 하치노헤역 구간이 연장 개업했다. 2003년 10월 1일, 일본 철도건설 공단과 운수 시설 정비 사업단이 통합되어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가 설립되었다.

3. 3. 착공 후

2005년 5월 22일,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 역(가칭) 구간이 풀 규격 신칸센으로 착공되어, 하코다테 본선 오시마오노 역에서 건설 공사 기공식이 실시되었다. 9월에는 기코나이역 - 신하코다테 역 (가칭) 사이의 오시마토베쓰토 터널이 착공되었다.

2006년 4월 3일, 하코다테 종합 차량 기지 부지 측량 현지 작업이 시작되었고, 6월 19일에는 하코다테 항에 신칸센 궤도 레일이 처음으로 양륙되었다. 2007년 1월 25일에는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 역 (가칭) 사이의 레일 부설이 시작되었다.

2010년 12월 4일, 도호쿠 신칸센 하치노헤 역 - 신아오모리 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012년 6월 29일, 국토교통성은 일본 철도건설·운수시설정비지원기구에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하코다테 역 (가칭) - 삿포로 역 간 신칸센을 풀 규격으로 승인 및 착수하게 하였다. 2012년 8월 25일, 오샤만베쵸에서 신하코다테 역 (가칭) - 삿포로 역 간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2014년 4월 16일, 홋카이도 신칸센 차량으로 H5계의 개요 디자인이 정식 발표되었고,[81] 4월 30일, 홋카이도와 JR 홋카이도는 에사시 선의 고료카쿠 역 - 기코나이 역 사이를 운영하는 제3섹터 철도 회사의 안전 운행 체제 구축 및 병행 재래선에 대한 협력 내용에 대하여 기본 합의를 체결했다. 5월 12일에는 에사시 선 기코나이 역 - 에사시역 사이가 폐지되고 버스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6월 11일, JR 홋카이도는 정례 기자 회견에서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 역 (가칭) 사이의 역명 및 신호장 이름을 발표했다. 6월 16일에는 홋카이도 측 신설 구간의 가선 통전 시험이 시작되었다.

2014년 11월 1일,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선로 부설 완료를 기념하는 행사가 기코나이역에서 열렸다.[18] 홋카이도 내 홋카이도 신칸센 선로에서의 시험 운행은 2014년 12월 1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저속으로 시작하여 그 달 말에 최고 속도 260km/h까지 속도가 올라갔다.[19] 시험 운행은 2014년 12월에 세이칸 터널을 지나 오쿠쓰가루이마베쓰 역까지 연장되었다.[20] 오쿠쓰가루이마베츠 남쪽에서의 시험 운행은 2015년 4월 21일에 시작되었으며, 첫 열차는 5월 24일 새벽에 북쪽에서 신아오모리역에 도착했다.[20]

2015년 6월 30일, 오쿠쓰가루이마베쓰 역의 역사가 완공되었고, 7월 24일에는 기코나이 역의 역사가 완성되었다. 9월 16일,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사이의 개업일이 2016년 3월 26일로 발표되었다. 동시에 운행 편성도 발표되어 1일 13회 왕복, 그 중 10회 왕복은 환승 없이 신하코다테호쿠토 역과 도쿄역을 직결 운행한다. 10월 13일,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호쿠토 역 사이의 운임·요금이 발표되었다.

2016년 1월 28일, 보도 기관용 시승회가 실시되었고, 3월 26일, 신아오모리 역 - 신하코다테호쿠토 역 구간이 개업했다.[82]

2019년 3월 16일: 공용 주행 구간 중,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가 160km/h로 인상되었다.

2024년 5월 8일, 철도・운수기구가 국토교통성에 2030년도까지의 삿포로 연장이 극히 곤란함을 보고했다.[29]

3. 4. 향후 계획

2031년 봄에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역 - 삿포로 역 구간이 개업할 예정이다.[83] JR 홋카이도는 홋카이도 신칸센을 신하코다테호쿠토 역에서 삿포로 역까지 연장할 예정이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3] 그러나 2024년 5월, JRTT는 국토교통성에 2030년까지 삿포로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것이 '극히 어렵다'고 보고했다.[21]

신하코다테호쿠토 역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무라야마 터널(5265m)의 터널 공사는 2015년 3월에 시작되었으며, 2021년 3월 완공 예정이다. 211.3km 연장 구간은 오시마(26.5km), 테이네(18.8km) 및 시리베시(18km)와 같은 주요 터널을 포함하여 약 76%가 터널로 구성된다.[22]

삿포로까지 구간이 개통되면 도쿄에서 삿포로까지의 예상 이동 시간은 최대 5시간 1분이지만, 목표는 4시간 이내이다.[23]

4. 역 목록

한글 표기명일본어 표기명신아오모리 기점 누적 거리 (km)도쿄 기점 누적 거리 (km)환승 노선역사 위치
2016년 3월 26일 개통 구간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신아오모리新青森0.0674.9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도쿄 방면 직결 운행), 오우 본선아오모리아오모리현
오쿠쓰가루이마베쓰奥津軽いまべつ38.5713.4JR 동일본 쓰가루 선 (쓰가루후타마타역)이마베쓰아오모리현
(닷피 정점)竜飛定点58.0732.9소토가하마아오모리현
세이칸 터널
(요시오카 정점)吉岡定点81.0755.9후쿠시마홋카이도
기코나이木古内113.3788.2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기코나이홋카이도
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148.8823.7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84]호쿠토홋카이도
건설 중인 노선 (2031년 상반기 개통 예정,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가칭) 신야쿠모新八雲202.9877.8(신칸센 전용 역)야쿠모홋카이도
오샤만베長万部235.9910.8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85], 무로란 본선오샤만베홋카이도
굿찬倶知安290.3965.2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86]굿찬홋카이도
(가칭) 신오타루新小樽328.31003.2(신칸센 전용 역)오타루홋카이도
삿포로札幌360.31035.2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 지토세 선, 가쿠엔토시선, 삿포로시 교통국 지하철 난보쿠선, 지하철 도호선삿포로 (주오구, 기타구)홋카이도


4. 1. 개통 구간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2016년 3월 26일 개통된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은 다음과 같다.[84]

한글 표기명일본어 표기명신아오모리 기점 누적 거리 (km)도쿄 기점 누적 거리 (km)환승 노선역사 위치
신아오모리新青森0.0674.9JR 동일본 도호쿠 신칸센(도쿄 방면 직결 운행), 오우 본선아오모리아오모리현
오쿠쓰가루이마베쓰奥津軽いまべつ38.5713.4JR 동일본 쓰가루 선 (쓰가루후타마타역)이마베쓰아오모리현
(닷피 정점)竜飛定点58.0732.9소토가하마아오모리현
세이칸 터널
(요시오카 정점)吉岡定点81.0755.9후쿠시마홋카이도
기코나이木古内113.3788.2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기코나이홋카이도
신하코다테호쿠토新函館北斗148.8823.7JR 홋카이도 하코다테 본선[84]호쿠토홋카이도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구간에는 세이칸 터널이 포함되어 있으며, 신나카오고쿠 신호장(오오히라 분기부) - 키코나이(키코나이 분기부) 구간은 재래선(해협선)과 선로를 공용한다. 신아오모리역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기코나이역에는 일부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4. 2. 건설 중인 구간 (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은 2031년 개통 예정이다.[29][32] 이 구간에 위치한 역들은 다음과 같다.

한글 표기명일본어 표기명신아오모리 역 기점 누적 거리 (km)도쿄 역 기점 누적 거리 (km)환승 노선역사 위치
(가칭) 신야쿠모新八雲202.9877.8(신칸센 전용 역)후타미 군 야쿠모
오샤만베長万部235.9910.825px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85]  · 무로란 본선야마코시 군 오샤만베
굿찬倶知安290.3965.225px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86]아부타 군 굿찬
(가칭) 신오타루新小樽328.31003.2(신칸센 전용 역)오타루
삿포로札幌360.31035.225px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  · 지토세 선  · 가쿠엔토시선
|25px]]삿포로시 교통국
|15px]] 지하철 난보쿠선  ·
|15px]] 지하철 도호선 || 삿포로시 주오구  · 기타구


4. 3. 각 역의 구조

홋카이도 신칸센 각 역의 구내 배선 및 형식은 다음과 같다.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통과 열차가 없는 역에서는 2면 4선 구내 배선이 기본이 된다. 섬식 홈 2면을 배치하여 상하선 각각 2개소, 총 4곳의 정류장을 마련하는 구조이다. 상하선 모두 2개의 열차가 동시에 정차 가능하며, 상호 환승이 가능하다.

통과 열차가 있는 역에서는 본선(통과선)에 직접 홈을 설치하지 않고, 본선과는 별도로 대피선을 설치한 후 홈을 마련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는 홈 이용객과 고속으로 통과하는 열차 사이에 거리를 확보하여 풍압 등에 의한 사고를 막기 위함이다.

역 구내 배선 및 홈 형식
배선 분류2면4선2면2선+상행 통과선2면2선+하행 통과선2면2선
구내도
150px
150px
150px
150px
해당역신아오모리역오쿠쓰가루이마베쓰 역기코나이역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각 역의 승강장에는 가동식 안전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 모든 승강장의 유효 길이는 25m급 차량 10량분(263m)이다.

표준궤·협궤를 공용하는 삼선 궤조 구간(신나카고쿠 신호장 - 키코나이역 간) 중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과 유노사토시리우치 신호장에서는 부분적으로 협궤만 부본선 측으로 분기·대피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위의 구내도에는 협궤 부분은 포함되지 않는다.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은 장래 삿포로 방면행 승강장이 될 12번선의 반대쪽에 1선을 증설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삿포로 연장 시에는 2면 3선이 될 예정이다.

5. 운행 형태

홋카이도 신칸센에서는 두 종류의 열차 운행 계통이 있다. 도쿄 또는 센다이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특급 하야부사 열차와 모리오카 또는 신아오모리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준급 하야테 열차가 있다.[8]

초기 시간표에 따르면, 도쿄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에는 매일 10편의 왕복 하야부사 열차가 운행되고, 센다이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에는 매일 1편의 왕복 열차가 운행된다. 모리오카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에는 매일 1편의 왕복 하야테 열차가 운행되며, 신아오모리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에는 매일 1편의 왕복 열차가 운행된다.[8]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을 운행하는 "하야테"를 제외하고는 도호쿠 신칸센과 직통 운전을 하며, 대략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된다. 또한, 2016년(헤이세이 28년) 3월 26일에 개업한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의 거리가 약 148km로 짧기 때문에, 도호쿠 신칸센과 일체적인 열차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두 열차 모두 전 좌석 지정석이며 자유석 설정은 없다.

5. 1. 운행 계통

홋카이도 신칸센에는 두 종류의 열차 운행 계통이 있다. 도쿄 또는 센다이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특급 하야부사 열차와 모리오카 또는 신아오모리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을 운행하는 준급 하야테 열차가 있다.[8]

style="text-align:left; padding-top:1em;"|
열차 등급신아오모리오쿠쓰가루이마베쓰기코나이신하코다테호쿠토
하야부사
하야테
●=정차;■=일부 정차;↔=통과



하야부사는 도쿄역·센다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에서 운행되는 열차이다. 사용 차량은 E5계·H5계이며, '''전 좌석 지정석'''이다. 도호쿠 신칸센 내에서는 오미야역 - 센다이역 구간을 논스톱으로 운행하며, 우츠노미야역 - 모리오카역 구간에서는 최고 속도 320km/h로 주행한다. 2021년 3월 시점에서의 소요 시간은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에서 최단 3시간 57분이다.


  •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직통 열차: 10왕복
  • 센다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직통 열차: 1왕복


하야테는 모리오카역·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 차량 지정석'''이며, 사용 차량은 E5계·H5계이다.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역 - 신아오모리역 구간 및 홋카이도 신칸센은 정비 신칸센이므로 최고 속도는 260 km/h이다.

  • 모리오카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직통 열차: 1왕복
  •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운행 열차: 1왕복

6. 관련 사업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을 준비하기 위해 세이칸 터널(가이쿄선)과 관련 접근로(총 약 82 km)는[5] 신칸센 표준궤 및 1067mm 협궤 트랙을 모두 갖춘 복선 궤간으로 개조되었다.[6]

2016년 3월, 키코나이역 인근의 듀얼 게이지 가이쿄선


신칸센 노선 개통과 함께 고료카쿠키코나이 사이의 동일한 노선과 거의 평행하게 운행하던 재래선(협궤) 에사시선 구간은 JR 홋카이도의 관리에서 새로 설립된 제3섹터 철도 운영 회사인 남홋카이도 철도 주식회사로 이관되어 이사리비선이 되었다.[7]

7. 운행 속도

홋카이도 신칸센은 2016년 운행 개시 당시 세이칸 터널을 포함한 약 82km의 궤간 가변 구간에서 최고 속도가 140km/h로 제한되었다.[9] 2019년 3월에는 160km/h로 속도가 향상되었으며,[9]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이 4분 단축되어 최단 3시간 58분이 되었다.

하루 약 50편의 화물 열차가 궤간 가변 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칸센 운행 시간 외에 화물 열차 운행을 제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9] 이러한 상황과 기타 기상 관련 요인으로 인해, 현재 도쿄와 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의 최단 소요 시간은 3시간 57분이다.[9]

2020-21년 새해 연휴 기간 동안 화물 열차 운행이 줄어들면서 일부 신칸센 열차는 궤간 가변 구간에서 210km/h로 운행되었으며,[9] 2021년 골든 위크 연휴 기간에도 같은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9] 2024년 1월, JR 홋카이도는 주요 연휴 기간 동안 세이칸 터널 구간의 최고 속도를 260km/h까지 올릴 것이라고 발표했다.[10] 이로 인해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은 최단 3시간 52분이 된다.

궤간 가변 구간에서 신칸센 열차가 260km/h로 운행하기 위한 대안으로, 협궤 열차가 통과할 때 신칸센 열차의 속도를 자동으로 200km/h로 늦추는 시스템, 또는 특수 "열차 적재" 표준 궤 열차에 화물 열차를 적재하는 방안 등이 고려되고 있다.[9]

2019년 5월, JR 홋카이도는 신하코다테호쿠토와 삿포로 사이에 건설될 신규 선로 약 212km 구간의 제한 속도를 320km/h로 높이기 위해 국토교통성에 허가를 요청했다.[11]

8. 겨울철 운행 영향

홋카이도 신칸센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을 운행하기 때문에, 눈이 쌓이는 현상이 열차 운행에 여러 영향을 미친다.[12] 이는 장비 손상을 유발하거나, 운행 중인 열차가 분기기를 지나치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열차의 대차에 눈이 쌓이는 현상은 심각하며, 손상이나 운행 지연을 초래한다.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추정치는 역 도착 시 대차에 최대 3cm까지 눈이 쌓일 수 있다고 예측한다.[12]

겨울철은 철도 노선의 이용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1월과 2월에는 최저 19%의 이용률을 기록했다.[13]

9. 주요 기술

9. 1.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



공용 주행 구간의 최고 속도(2024년)


홋카이도 신칸센 중 세이칸 터널(총 길이 약 54km)을 포함한 신나카고쿠니 신호장 - 키코나이역 간 약 82km의 구간은 홋카이도 신칸센과 재래선(해협선)이 선로와 설비를 공유하는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이다.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은 신칸센과 재래선이 공유하는 레일, 재래선 전용 레일, 신칸센 전용 레일 3개가 부설된 삼선 궤조 구간이며, 이 구간 특유의 장치인 한계 지장(支障) 경보 장치, 레일 파단 검지 장치, 차축 검지식 급전 구분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은 삼선 궤조 구간인 점과 화물 열차와의 교행 시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신칸센 열차의 최고 속도가 제한되어 있다. 세이칸 터널 구간은 터널 내에서 고속 주행하는 신칸센과 화물 열차가 교행할 때의 압력 변동이 컨테이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최고 속도가 160km/h이지만, 골든 위크나 오본, 연말연시의 화물 열차 운행 횟수가 적은 특정 시기에 신칸센 열차만 운행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대 구분 방식"으로 최고 속도 260km/h의 고속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이칸 터널 이외의 밝은 구간은 최고 속도가 140km/h이다.

신칸센 열차가 200km/h 이상으로 고속 주행할 때에는 영업 열차 주행 전에 확인차에 의한 확인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신칸센 노선에서는 6시간 정도의 간격이 확보되지만,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에서는 야간에도 화물 열차가 운행하므로 짧은 시간밖에 간격을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확인차의 속도를 90km/h에서 120km/h로 올린 고속 확인차를 개발했다. 기존 확인차는 육안과 검지봉으로 확인했지만, 고속 확인차는 더 먼 거리를 확인할 수 있는 원격 감시 카메라와 신칸센 전용 레일과 재래선 전용 레일 사이의 지장물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또한, 신칸센 열차가 고속 주행을 할 때 공용 주행 구간 내에 화물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만약 화물 열차가 운행하고 있을 경우 신칸센 열차의 속도를 낮추는 "오진입 검지 시스템"을 개발했다. 세이칸 터널 내의 보수 시간 확보를 위해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일요일 막차 운행이 중단된다.[37]

고속화의 경위는 "#세이칸 터널 내의 고속화"를 참조

9. 2. 겨울철 대책 설비

홋카이도 신칸센이 경유하는 아오모리현과 홋카이도는 일본에서도 유수의 호설 지대로, 겨울에도 안정적인 수송을 유지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에 맞춰 지금까지 없던 혹독한 조건에서 신칸센이 운행하기 때문에, 2번의 겨울을 거쳐 차량의 착설 상황 조사 및 지상 설비 시험이 진행되었다.

「에어 제트」 발생음 주의 환기 표지판(신하코다테호쿠토역 부근에서 2019년 5월 촬영)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신아오모리역 부근에서는 도호쿠 신칸센의 아오모리현 구간과 동일한 스프링클러를 사용한 살수 소설 방식이 채용되었다.

신아오모리 이북 지역은 겨울철 평균 기온이 -1 ℃를 밑돌아 영하가 되기 때문에, 제설을 위해 살수한 물이 결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고가교 궤도 아래의 노반 콘크리트를 높게 하고, 선로 양 옆에 눈을 저장하는 저설식 고가교를 채용하고 있다. 비교적 강설량이 많은 아오모리현 측에서는, 고가교 내의 강설을 줄이기 위한 설면을 설치한 반설면식 저설형 고가교가 채용되었다. 신칸센 열차의 공용 주행을 상정하여 건설된 해협선과의 공용 구간이나 일부 신설 구간 등, 인가가 적어 소음 문제가 없는 곳에서는, 궤도면 외에 개구부를 설치하여 눈을 고가교 아래로 떨어뜨리는 개상식 고가교가 채용되었다. 홋카이도 측에서는 통상적인 저설식 고가교가 채용되었다.

빙괴나 눈의 개입에 의한 분기기 불전환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전기 융설기를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JR 홋카이도의 재래선에서 실적이 있는 분기기 융설 피트와 압축 공기 분사로 빙설을 제거하는 에어 제트를 설치한다. 해협선과의 공용 주행 구간의 삼선 분기기 지점에는, 전기 융설기와 에어 제트에 더해 스노 쉘터를 정비했다. 궤도상의 제설을 하는 제설용 기계(모터카)는 9량을 도입할 예정이며, 지금까지의 신칸센용과 기본적으로는 다르지 않지만, 공용 주행 구간의 삼선 궤도를 제설할 경우에는, 삼선 궤도에 맞춘 형태의 철판(플랜저)을 내려 제설을 한다.

에어 제트는, 개업 당시인 2016년 3월에 작동에 따른 소음 문제가 표면화되어, 방음 대책을 담당하는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와,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이 위치한 호쿠토시 간에 협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평행선을 달리는 상태가 되었다. 소음 문제에 따라, 에어 제트 설치 지점 주변에는 발생음에 관한 주의 환기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에 착설된 눈은 낙하하면서 설비의 파손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하행 열차는 신하코다테호쿠토역 도착 후 모든 열차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 차량소에 입고하여 융설 작업을 받는다. 상행 열차는 신아오모리 이남으로 운행하는 열차에 대해, 착설 상황에 따라 신아오모리역에서 인력에 의한 제설 작업을 하고 있다.

9. 3. 지진 대책 설비

지진에 대비하여 최신 관측 기술과 고속 네트워크에 대응하고, 조기 탐지 알고리즘을 개량한 "조기 지진 방재 시스템"이 개발되어 홋카이도 신칸센에도 도입되었다 . 2004년에 발생한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에 의한 조에쓰 신칸센 탈선 사고를 겪은 후, 신칸센 차량이 지진 등으로 탈선할 경우에도 차량이 레일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이탈 방지 L형 가이드"가 개발되어 사용 차량인 H5계, E5계의 모든 편성 차량에 설치되어 있다 . 레일의 전도나 대폭적인 이동을 막고, L형 차량 가이드가 유효하게 기능하도록 "레일 전도 방지 장치"의 부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

10. 사업 효과 및 이용 현황

10. 1. 대중교통 변화

10. 1. 1. 수도권 - 도난

수도권(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지바현) - 도난 간의 대중교통 분담률 변화는,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가칭) 구간 착공 후인 2005년도는 철도 14%, 항공 86%, 도호쿠 신칸센 전선 개업 후인 2011년도는 철도 12%, 항공 86%, 개업 전 해인 2015년도에는 철도 13%, 항공 87%로 철도의 비율은 1할 남짓이었다. 그러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6년도는 철도 34%, 항공 66%로 철도가 증가했지만 항공의 비율이 우세하다. 2018년도에도 철도 26%, 항공 74%로 그 경향은 지속되고 있다.

수도권 - 도난 간의 운행 편수 변화는,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가칭) 간 착공 후인 2005년은, 철도 8편, 항공(하네다 - 하코다테) 9편, 2015년은 철도 8편, 항공 8편이었다.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6년은 철도가 10편으로 증가했고, 항공은 8편을 유지했다. 2018년은 철도, 항공 모두의 운행 편수도 변화하지 않았다.

수도권 - 도난 간의 철도 이용 실적은, 2005년도는 22만 명, 2014년도는 17만 명이었지만,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6년도는 55만 명으로 약 3.3배 증가했고, 2017년도도 38만 명으로 개업 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10. 1. 2. 아오모리 - 하코다테

아오모리현 - 도난 간의 교통 분담률 변화는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가칭) 간 착공 후인 2005년에는 철도 53%, 선박 47%였으나, 도호쿠 신칸센 전선 개업 후인 2011년도에는 철도 73%, 선박 27%로 철도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7년도에는 철도 76%, 선박 24%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아오모리 - 하코다테 간의 운행 편수 변화는,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가칭) 간 착공 후인 2005년에는, 철도 9편, 페리 21편이었으나, 도호쿠 신칸센 전선 개업 후인 2011년도에는 철도가 10편으로 소폭 증가했고, 페리는 16편으로 감소했다.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6년에는 철도가 13편으로 증가했지만, 페리는 16편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여기서 철도는 슈퍼 하쿠초(-2015년), 홋카이도 신칸센하코다테 라이너의 환승 편수(2016년-)의 하행 편수를 의미한다.

아오모리현 - 도난 간의 철도 이용 실적은, 2005년도는 49만 명, 개업 전년도인 2015년도는 51만 명이었으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개업 후인 2016년도는 70만 명으로 1.4배 증가했다. 그 후 2018년도는 59만 명이다. 이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인해 철도 이용객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준다.

10. 2. 도쿄 간 연간 수송 인원

홋카이도 신칸센과 직통 운행하는 JR 동일본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이 없었던 2018년도(2018년) 도쿄 - 하코다테 간 연간 수송 인원은 신칸센이 '''약 39.5만 명'''(점유율 28%), 항공기가 '''약 101.3만 명'''(점유율 72%), 신칸센과 항공기의 합계는 '''약 140.8만 명'''이었다.[40]

같은 해 도쿄 - 아오모리 간 연간 수송 인원은 신칸센이 '''약 262만 명'''(점유율 78%), 항공기가 '''약 70.7만 명'''(점유율 22%), 신칸센과 항공기의 합계는 '''약 336.8만 명'''으로,[39] 도쿄 - 하코다테 간과는 신칸센과 항공기의 점유율이 역전되어 있다.

도쿄 - 하코다테 연간 수송 인원(천 명)
연도신칸센항공기합계출처
2014년(2014년)1551,0921,247[40]
12%88%100%
2015년(2015년)169 1,108 1,277
13%87%100%
2016년(2016년)5721,0441,616
35%55%100%
2017년(2017년)3989971,395
29%71%100%
2018년(2018년)3951,0131,408
28%72%100%
2019년(2019년)3941,0291,423
28%72%100%
2020년(2020년)176355531
33%67%100%
2021년(2021년)189513702
27%73%100%
2022년(2022년)3259301,255
26%74%100%
2023년(2023년)4371,0661,503
29%71%100%



2018년도(2018년)
구간신칸센항공기합계출처
 도쿄 - 하코다테 3951,0131,408[40]
28%72%100%
 도쿄 - 아오모리 2,6207483,368
78%22%100%
 도쿄 - 모리오카 2,621-[42]2,621
100%0%100%
 도쿄 - 아키타 1,3579722,329
58%42%100%



2024년 3월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의 도쿄 - 하코다테 간 소요 시간은 최속 3시간 57분, 운임(통상기)은 23,430엔이며, 1일 10왕복 운행된다. 항공기의 경우 소요 시간은 약 2시간 40분[41], 1일 8왕복 운항된다.[40] 도난과 북토호쿠의 주요 도시에서는 신칸센 수송 인원은 도쿄 - 아오모리 간과 도쿄 - 모리오카 간이 거의 동일하게 가장 많고, 항공기의 수송 인원은 도쿄 - 하코다테 간이 최다, 신칸센과 항공기를 합한 수송 인원에서는 도쿄 - 아오모리 간이 최다이다.

10. 3. 이용 현황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 1년 후인 2017년 3월 27일, JR 홋카이도는 최초 1년간(2017년 3월 25일까지)의 이용 상황을 발표했다.[43] 이에 따르면 연간 이용자 수는 229.2만 명, 하루 평균 약 6,300명으로, 재래선 시대 전년 대비 164% 증가했다. 평균 승차율은 32%를 기록했다.[43] 이는 사전 예상치를 넘어선 것이지만,[43] 평균 승차율은 개업 직후 2016년 32%를 정점으로, 2017년 26%, 2018년 24%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네다-하코다테 노선 항공 이용객은 2016년 상반기에 전년 대비 97%로, 시간 제약으로 항공기가 우위에 설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갔다는 평가를 받았다.[43] 한편, 하코다테 대학 등의 조사에 따르면 비즈니스 고객은 이용자의 2할 이하이며, 청函 구간에서는 운임·요금 면에서 차이가 커진 페리 이용객이 증가했다.[43]

사업 전체의 투자 효율성(개업 후 50년 후까지)
구간시산 연도수요
(인 킬로미터/일·km)
편익
(B)
비용
(C)
순현재 가치
(B-C)
비용 편익비
(B/C)
경제적 내부
수익률
출처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2011년(헤이세이 23년)7,2006,694억 엔5,950억 엔744억 엔1.14.7 %
2020년(레이와 2년)4,3004,925억 엔10,057억 엔-5,132억 엔0.50.5 %



신아오모리 - 신하코다테호쿠토 간 정비 총 사업비는 5,783억 엔(헤이세이 26년 4월 가격)이다. 헤이세이 15년 4월 인가액은 4,591억 엔이었으나, 물가 상승, 법령·기준 개정, 동일본 대지진 등의 영향으로 1,192억 엔(약 26%) 증액되었다.

10. 4. 수송 밀도

홋카이도 신칸센의 수송 밀도는 다음과 같다.

연도수송 밀도
(명/일)
비고
2016년도(2016년)5,971태풍 10호의 영향 제외, 9 - 12월 제외한 수치.
2016년도(2016년)5,6389 - 12월 포함한 수치.
2017년도(2017년)4,510전년도의 개업 붐 효과 하락으로 전년 대비 감소. 해당 연도부터 집계 방법 변경.
2018년도(2018년)4,899
2019년도(2019년)4,645코로나19(COVID-19)의 확산 영향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
2020년도(2020년)1,326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대폭 감소.
2021년도(2021년)1,635
2022년도(2022년)3,095
2023년도(2023년)4,391


10. 5. 수지 및 영업 계수

계수
(엔)비고출처영업
수익영업
비용영업
손익2016년도 (2016년)11,65317,059▲5,406146 2017년도 (2017년)9,67919,556▲9,877202차량 검사의 본격화 및 청함 터널 내 노후 설비 교체 비용 등의 증가로 인해 전년도 대비 확대. 같은 해부터 집계 방법 재검토2018년도 (2018년)9,33418,907▲9,573203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운송 수입 및 감가상각비, 전기 설비, 제설 비용 등의 감소로 전년도 대비 개선2019년도 (2019년)9,19918,546▲9,347202코로나19 (COVID-19)의 확산 및 감가상각비 감소로 전년도 대비 개선2020년도 (2020년)4,08018,509▲14,429454COVID-19의 영향으로 전년도 대비 확대2021년도 (2021년)4,55319,411▲14,858426선로 설비 및 전기 설비의 수리 증가로 인해 전년도 대비 확대2022년도 (2022년)6,87419,751▲12,877287 2023년도 (2023년)9,10520,800▲11,695228 


11. 향후 전망

2031년 개통 예정인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은 소요 시간 단축, 교류 인구 증가, 환경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46][47][48]

개통 시 도쿄-삿포로 간 소요 시간은 현재 7시간 44분에서 약 2시간 55분 단축된 4시간 49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신아오모리 간 320km/h 속도 향상을 가정한 결과이다.[23] 하코다테-삿포로 간 소요 시간은 3시간 33분에서 약 2시간 10분 단축된 1시간 22분으로, 항공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44]

홋카이도(도난 제외)와 도난 간 교류 인구는 21,000명/일에서 약 1.1배 증가한 23,000명/일, 홋카이도(도난 제외)와 도호쿠 지방 간 교류 인구는 4,300명/일에서 1.2배 증가한 5,300명/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칸센 개통으로 항공기, 버스 이용객이 신칸센으로 전환되면서 홋카이도 운수 부문(자동차 제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8%에 해당하는 217,000t이 삭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9년도 기준 삿포로(신치토세·오카다) 공항과 홋카이도 및 도호쿠 신칸센 연선 공항 간 직항편 연간 여객 수는 다음과 같다.

삿포로(신치토세·오카다) 공항과 홋카이도·
도호쿠 신칸센 연선 공항 간의 직항편 연간 여객수(2019년도)
홋카이도·도호쿠 신칸센
연선 항공 노선명
연간 여객수
(명)
출전
하네다(도쿄도) - 신치토세8,807,306[45]
센다이(미야기현) - 신치토세840,340
아오모리(아오모리현) - 신치토세151,184
하코다테(홋카이도) - 오카다110,122
하나마키(이와테현) - 신치토세86,539
하코다테(홋카이도) - 신치토세76,811
후쿠시마(후쿠시마현) - 신치토세54,483
미사와(아오모리현) - 오카다18,393



신하코다테호쿠토-신야쿠모 간 연간 수송 인원은 약 620만 명, 신야쿠모-오샤만베 간 약 650만 명, 오샤만베-굿찬 간 약 690만 명, 굿찬-신오타루 간 660만 명, 신오타루-삿포로 간 630만 명으로 예측된다. 신칸센 정비로 영업 거리가 단축되어 도쿄-삿포로 간 운임·요금은 현재 27,760엔에서 26,830엔, 하코다테-삿포로 간은 9,440엔에서 9,370엔으로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기준 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간 사업비는 약 2조 3,159억 엔으로 예상된다.

사업 전체의 투자 효율성(개업 후 50년 후까지)
구간시산 연도수요
(인 킬로미터/일·km)
편익
(B)
비용
(C)
순현재 가치
(B-C)
비용 편익비
(B/C)
경제적 내부
수익률
출전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2017년17,80013,997억 엔12,687억 엔1,310억 엔1.14.5 %
2022년16,90019,014억 엔21,314억 엔-2,300억 엔0.93.5 %



2016년 3월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업 당시, 청函공용주행구간 약 82km는 화물 열차와의 교행 문제로 최고 속도가 140km/h로 제한되었다. 국토교통성은 세이칸 터널 내에서 최고 속도를 160km/h로 높이고, 특정 시기에는 시간대를 한정하여 200km/h 주행을 목표로 하는 방침을 세웠다.

2018년 9월, 철도・운수기구는 160km/h에서 210km/h로의 속도 향상 시험을 발표했으나, 태풍 21호 및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의 영향으로 200km/h 이상 주행 시험은 보류되었다. 2019년 3월,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가 160km/h로 향상되어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이 4분 단축되었다.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이칸 터널 내에서 200km/h에서 260km/h까지의 속도 향상 시험이 실시되었다. 2020년 9월, JR 홋카이도와 국토교통성은 연말연시 일부 열차에 대해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를 210km/h로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시간대 구분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소요 시간은 추가로 3분 단축되었다. 그러나 2020년 12월 31일, 확인차의 오검지로 인해 하행 열차는 160km/h로 운행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1일부터 4일까지는 계획대로 210km/h 운행이 이루어졌다.

2024년 1월, JR 홋카이도와 국토교통성은 2024년 골든 위크 기간 동안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를 260km/h로 높여 운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은 최단 3시간 52분이 된다.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 고속화로 인한 시간 단축 효과는, 공용 주행 구간 전체(약 82km)에서 260km/h로 속도를 높일 경우 약 19분, 세이칸 터널(약 54km)에서 260km/h로 속도를 높일 경우 약 10분으로 추정된다.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이북 및 홋카이도 신칸센은 정비 계획에 따라 최고 속도가 260 km/h로 설정되어 있다.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간 착공을 위한 시산에서는 이 구간들의 속도 향상 시나리오도 함께 검토되었다. 모리오카 - 삿포로 구간을 260 km/h, 청함 공용 주행 구간을 140 km/h로 운행하는 기본 안은 도쿄 - 삿포로 간 소요 시간 5시간 1분, 투자 효과(B/C)는 1.1로 나타났다. 청함 공용 주행 구간 속도를 260 km/h로 높이면 소요 시간은 4시간 43분으로 18분 단축, B/C는 1.2로 증가했다. 모리오카 - 삿포로 전 구간을 320 km/h로 운행하면 소요 시간은 4시간 33분으로 28분 단축, B/C는 1.4로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019년 5월 13일, JR 홋카이도는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을 320 km/h로 주행하기 위한 추가 공사 비용을 자체 부담하겠다고 국토교통성에 요청했다. 터널 구간(전체의 약 80%, 약 170 km)에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해 약 30개소에 완충공을 연장 설치하고, 나머지 구간(약 20%, 약 42 km 중 약 30 km)에서는 방음벽을 높이고 고가교 강도를 보강해야 한다. 이 공사에는 약 120억 엔이 소요되며, 약 5분의 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2020년 10월, JR 동일본은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신아오모리 구간(178.4 km)의 최고 속도를 260 km/h에서 320 km/h로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다.

『건설을 시작해야 할 신칸센 철도 노선을 정하는 기본 계획』에 따르면 아사히카와시까지가 홋카이도 신칸센의 정비 계획 구간으로 되어 있지만, 삿포로역 이외 구간은 정비 신칸센에 포함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비 계획도 부상하지 않고 있다.

2031년 3월에 예정된 삿포로역 연장 개업을 전망하여, 홋카이도 카미카와 관내의 시정촌 및 상공회의소 등 총 50개 단체가 2021년 3월 29일에 "홋카이도 신칸센 아사히카와 연장 촉진 기성회"를 설립했다.[49]

하코다테역에 홋카이도 신칸센을 진입시키는 문제는 계획 초기부터 지속적인 과제였으며, 2024년 현재에도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50][51][52][53][54][55]

하코다테시는 JR 홋카이도가 2003년 하코다테역을 개축할 때 "신칸센 진입 대응" 목적으로 50억 엔을 출자하고[50], 하코다테역으로의 신칸센 진입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JR 홋카이도는 "약 1,000억 엔에 달하는 건설비를 전액 지역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고, 홋카이도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으로 2015년에 진입을 포기했다.[51] 그 결과, 2016년에는 신하코다테호쿠토역하코다테 라이너를 운행하여 접근성을 확보하는 형태가 되었다.

2023년 하코다테 시장에 취임한 오이즈미 준은 선거 공약으로 "신칸센의 현 하코다테역 진입에 관한 조사의 실시"를 포함시켰다.[52] 하코다테시는 컨설팅 회사에 위탁하여 진입 조사를 다시 실시, 삿포로 방면에서 7량 편성 차량을 하코다테역까지 직통시키고, 도쿄 방면에서는 10량 편성 차량을 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서 분할하여 3량 편성을 하코다테역까지 진입시키는 안을 9월에 발표했다.[52] 이는 2020년에 전 철건공단의 기술자가 "재래선을 개량한 미니 신칸센 방식의 진입"으로 발표한 사안을 기반으로 하며, 건설비는 약 75억 엔으로 예상된다.[53] 그러나 하코다테 시의회에서 다수파를 차지하는 신시정 클럽(자유민주당 계열)은 반대 의견이 강하다.[54]

2024년 3월, 하코다테시는 최종 보고서를 통해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하코다테역 간 삼선 궤조화, 하코다테역 플랫폼 개량 등 약 160억 엔의 비용으로 하코다테역 진입이 가능하다는 시산을 발표했다. 하지만 차량 구입비 등이 포함되지 않았고, 사업 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JR 홋카이도는 같은 해 4월 17일 기자회견에서 "최소한 당사는 사업 주체가 될 수 없다", "현 시점에서 진입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55]

11. 1. 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간 정비 효과

2031년 개통 예정인 홋카이도 신칸센의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은 소요 시간 단축, 교류 인구 증가, 환경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46][47][48]

개통 시 도쿄-삿포로 간 소요 시간은 현재 7시간 44분에서 약 2시간 55분 단축된 4시간 49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신아오모리 간 320km/h 속도 향상을 가정한 결과이다.[23] 하코다테-삿포로 간 소요 시간은 3시간 33분에서 약 2시간 10분 단축된 1시간 22분으로, 항공보다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44]

홋카이도(도난 제외)와 도난 간 교류 인구는 21,000명/일에서 약 1.1배 증가한 23,000명/일, 홋카이도(도난 제외)와 도호쿠 지방 간 교류 인구는 4,300명/일에서 1.2배 증가한 5,300명/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칸센 개통으로 항공기, 버스 이용객이 신칸센으로 전환되면서 홋카이도 운수 부문(자동차 제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8%에 해당하는 217,000t이 삭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2019년도 기준 삿포로(신치토세·오카다) 공항과 홋카이도 및 도호쿠 신칸센 연선 공항 간 직항편 연간 여객 수는 다음과 같다.

삿포로(신치토세·오카다) 공항과 홋카이도·
도호쿠 신칸센 연선 공항 간의 직항편 연간 여객수(2019년도)
홋카이도·도호쿠 신칸센
연선 항공 노선명
연간 여객수
(명)
출전
하네다(도쿄도) - 신치토세8,807,306[45]
센다이(미야기현) - 신치토세840,340
아오모리(아오모리현) - 신치토세151,184
하코다테(홋카이도) - 오카다110,122
하나마키(이와테현) - 신치토세86,539
하코다테(홋카이도) - 신치토세76,811
후쿠시마(후쿠시마현) - 신치토세54,483
미사와(아오모리현) - 오카다18,393



신하코다테호쿠토-신야쿠모 간 연간 수송 인원은 약 620만 명, 신야쿠모-오샤만베 간 약 650만 명, 오샤만베-굿찬 간 약 690만 명, 굿찬-신오타루 간 660만 명, 신오타루-삿포로 간 630만 명으로 예측된다. 신칸센 정비로 영업 거리가 단축되어 도쿄-삿포로 간 운임·요금은 현재 27,760엔에서 26,830엔, 하코다테-삿포로 간은 9,440엔에서 9,370엔으로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기준 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간 사업비는 약 2조 3,159억 엔으로 예상된다.

사업 전체의 투자 효율성(개업 후 50년 후까지)
구간시산 연도수요
(인 킬로미터/일·km)
편익
(B)
비용
(C)
순현재 가치
(B-C)
비용 편익비
(B/C)
경제적 내부
수익률
출전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2017년17,80013,997억 엔12,687억 엔1,310억 엔1.14.5 %
2022년16,90019,014억 엔21,314억 엔-2,300억 엔0.93.5 %


11. 2.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 고속화

2016년 3월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구간 개업 당시, 청函공용주행구간 약 82km는 화물 열차와의 교행 문제로 최고 속도가 140km/h로 제한되었다. 국토교통성은 세이칸 터널 내에서 최고 속도를 160km/h로 높이고, 특정 시기에는 시간대를 한정하여 200km/h 주행을 목표로 하는 방침을 세웠다.

2018년 9월, 철도・운수기구는 160km/h에서 210km/h로의 속도 향상 시험을 발표했으나, 태풍 21호 및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의 영향으로 200km/h 이상 주행 시험은 보류되었다. 2019년 3월,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가 160km/h로 향상되어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이 4분 단축되었다.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세이칸 터널 내에서 200km/h에서 260km/h까지의 속도 향상 시험이 실시되었다. 2020년 9월, JR 홋카이도와 국토교통성은 연말연시 일부 열차에 대해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를 210km/h로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시간대 구분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소요 시간은 추가로 3분 단축되었다. 그러나 2020년 12월 31일, 확인차의 오검지로 인해 하행 열차는 160km/h로 운행되었다. 이후 2021년 1월 1일부터 4일까지는 계획대로 210km/h 운행이 이루어졌다.

2024년 1월, JR 홋카이도와 국토교통성은 2024년 골든 위크 기간 동안 세이칸 터널 내 최고 속도를 260km/h로 높여 운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도쿄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소요 시간은 최단 3시간 52분이 된다.

세이칸 공용 주행 구간 고속화로 인한 시간 단축 효과는, 공용 주행 구간 전체(약 82km)에서 260km/h로 속도를 높일 경우 약 19분, 세이칸 터널(약 54km)에서 260km/h로 속도를 높일 경우 약 10분으로 추정된다.

11. 3. 정비 신칸센 구간 속도 향상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이북 및 홋카이도 신칸센은 정비 계획에 따라 최고 속도가 260 km/h로 설정되어 있다.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간 착공을 위한 시산에서는 이 구간들의 속도 향상 시나리오도 함께 검토되었다. 모리오카 - 삿포로 구간을 260 km/h, 청함 공용 주행 구간을 140 km/h로 운행하는 기본 안은 도쿄 - 삿포로 간 소요 시간 5시간 1분, 투자 효과(B/C)는 1.1로 나타났다. 청함 공용 주행 구간 속도를 260 km/h로 높이면 소요 시간은 4시간 43분으로 18분 단축, B/C는 1.2로 증가했다. 모리오카 - 삿포로 전 구간을 320 km/h로 운행하면 소요 시간은 4시간 33분으로 28분 단축, B/C는 1.4로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019년 5월 13일, JR 홋카이도는 홋카이도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 삿포로 구간을 320 km/h로 주행하기 위한 추가 공사 비용을 자체 부담하겠다고 국토교통성에 요청했다. 터널 구간(전체의 약 80%, 약 170 km)에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해 약 30개소에 완충공을 연장 설치하고, 나머지 구간(약 20%, 약 42 km 중 약 30 km)에서는 방음벽을 높이고 고가교 강도를 보강해야 한다. 이 공사에는 약 120억 엔이 소요되며, 약 5분의 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된다.

2020년 10월, JR 동일본은 도호쿠 신칸센 모리오카 - 신아오모리 구간(178.4 km)의 최고 속도를 260 km/h에서 320 km/h로 높이는 계획을 발표했다.

11. 4. 삿포로역 이원 연장 계획



『건설을 시작해야 할 신칸센 철도 노선을 정하는 기본 계획』에 따르면 아사히카와시까지가 홋카이도 신칸센의 정비 계획 구간으로 되어 있지만, 삿포로역 이외 구간은 정비 신칸센에 포함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비 계획도 부상하지 않고 있다.

2031년 3월에 예정된 삿포로역 연장 개업을 전망하여, 홋카이도 카미카와 관내의 시정촌 및 상공회의소 등 총 50개 단체가 2021년 3월 29일에 "홋카이도 신칸센 아사히카와 연장 촉진 기성회"를 설립했다.[49]

11. 5. 하코다테역 진입 문제

하코다테역에 홋카이도 신칸센을 진입시키는 문제는 계획 초기부터 지속적인 과제였으며, 2024년 현재에도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50][51][52][53][54][55]

하코다테시는 JR 홋카이도가 2003년 하코다테역을 개축할 때 "신칸센 진입 대응" 목적으로 50억 엔을 출자하고[50], 하코다테역으로의 신칸센 진입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JR 홋카이도는 "약 1,000억 엔에 달하는 건설비를 전액 지역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고, 홋카이도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으로 2015년에 진입을 포기했다.[51] 그 결과, 2016년에는 신하코다테호쿠토역하코다테 라이너를 운행하여 접근성을 확보하는 형태가 되었다.

2023년 하코다테 시장에 취임한 오이즈미 준은 선거 공약으로 "신칸센의 현 하코다테역 진입에 관한 조사의 실시"를 포함시켰다.[52] 하코다테시는 컨설팅 회사에 위탁하여 진입 조사를 다시 실시, 삿포로 방면에서 7량 편성 차량을 하코다테역까지 직통시키고, 도쿄 방면에서는 10량 편성 차량을 신하코다테호쿠토역에서 분할하여 3량 편성을 하코다테역까지 진입시키는 안을 9월에 발표했다.[52] 이는 2020년에 전 철건공단의 기술자가 "재래선을 개량한 미니 신칸센 방식의 진입"으로 발표한 사안을 기반으로 하며, 건설비는 약 75억 엔으로 예상된다.[53] 그러나 하코다테 시의회에서 다수파를 차지하는 신시정 클럽(자유민주당 계열)은 반대 의견이 강하다.[54]

2024년 3월, 하코다테시는 최종 보고서를 통해 신하코다테호쿠토역 - 하코다테역 간 삼선 궤조화, 하코다테역 플랫폼 개량 등 약 160억 엔의 비용으로 하코다테역 진입이 가능하다는 시산을 발표했다. 하지만 차량 구입비 등이 포함되지 않았고, 사업 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JR 홋카이도는 같은 해 4월 17일 기자회견에서 "최소한 당사는 사업 주체가 될 수 없다", "현 시점에서 진입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55]

12. 병행 재래선 처리

12. 1.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호쿠토 간 (2015년 말 개업)

1996년 4월 4일, JR 홋카이도는 에사시 선 전 노선의 경영 분리 의향을 나타냈으나, 에사시정가미노쿠니정에사시역 - 키코나이역 구간은 병행 재래선이 아니므로 JR 홋카이도가 계속 경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5년, 국토교통성은 신아오모리-신하코다테(가칭) 간 홋카이도 측 병행 재래선은 키코나이- 고료카쿠역 간이라는 인식을 제시하여 에사시-키코나이 간은 병행 재래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2012년 9월 3일, JR 홋카이도는 키코나이-에사시 간 철도 사업 폐지를 공표했다. 이는 이용객이 적고 선로 노후화로 막대한 비용이 예상되어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다. 결국 에사시-키코나이 간은 2014년 5월 12일 폐지되고 하코다테 버스 (에사시키코나이 선)로 전환되었다.[56]

2016년 3월 26일 신칸센 신하코다테호쿠토 개업에 맞춰 고료카쿠-키코나이 간은 제3섹터 철도 회사인 도난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되었고(도난이사리비 철도선이 됨), 하코다테 본선 고료카쿠-신하코다테호쿠토 간은 교류 전철화되었다. 733계 전동차(1000번대, 3량 편성)를 사용한 하코다테-신하코다테호쿠토 간 접근 열차 "하코다테 라이너"가 16왕복(그 중 하행 6편, 상행 7편은 쾌속 열차) 운행되고 있다.

한편, 홋카이도 신칸센의 혼슈 내 구간인 신아오모리역 -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 간에서 병행하는 쓰가루 선은 운영 주체가 달라 병행 재래선으로 인정되지 않았고, JR 동일본이 계속 운영한다. 2022년 8월 호우 피해로 가니타역 - 미야게역 간이 불통이 되었고, 복구 비용 문제로 해당 구간 폐지가 검토되고 있다.[57][58]

12. 2. 신하코다테호쿠토-삿포로 간 (2031년 말 개업 예정)

하코다테 본선의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은 연선 지자체들이 여객 노선을 폐선하고 버스로 전환하려는 의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구간은 홋카이도와 혼슈를 잇는 화물 열차도 운행하고 있어, 폐선 시 물류망 단절로 인해 도내 지역 경제, 특히 농수산업에 큰 타격을 줄 우려가 있다.[73][74].일본화물철도(JR 화물) 사장 이누카이 아라타는 홋카이도 발착 화물 열차가 폐지될 경우, "모든 컨테이너 수송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연간 약 413만 톤이 소실될 것"이라고 주장한다.[75]

JR 화물 홋카이도 지사 지사장인 코구레 카즈히사는 2022년 5월에 해당 구간 존폐에 대해, 혼슈를 잇는 철도 물류의 대동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존속을 요구하면서도 "자사만으로는 화물 노선의 보유는 곤란하다"라며 "제3섹터 등에 의한 철도 유지가 바람직하다"라는 견해를 밝혔다.[76]

국토교통대신인 사이토 테츠오는 이 문제에 대해, 연선 지자체에 의한 병행 재래선의 존폐 협의와는 별도로 국토교통성 (국) · 홋카이도청 · JR 화물 · JR 홋카이도의 4자가 협의하는 기회를 마련할 방침을 2022년 9월에 발표했다.[75][77]

2023년 7월 26일, 앞서 언급한 4자가 삿포로 시내에서 개최한 협의회에서, 해당 구간에서의 철도 화물 기능을 유지하는 방침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신칸센 연장에 따른 병행 재래선에서는 처음으로 화물 전용 노선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78][79]

12. 2. 1. 화물 열차 문제

하코다테 본선의 하코다테역 - 오샤만베역 구간은 연선 지자체들이 여객 노선을 폐선하고 버스로 전환하려는 의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구간은 홋카이도와 혼슈를 잇는 화물 열차도 운행하고 있어, 폐선 시 물류망 단절로 인해 도내 지역 경제, 특히 농수산업에 큰 타격을 줄 우려가 있다[73][74].일본화물철도(JR 화물) 사장 이누카이 아라타는 홋카이도 발착 화물 열차가 폐지될 경우, "모든 컨테이너 수송량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연간 약 413만 톤이 소실될 것"이라고 주장한다[75]

JR 화물 홋카이도 지사 지사장인 코구레 카즈히사는 2022년 5월에 해당 구간 존폐에 대해, 혼슈를 잇는 철도 물류의 대동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존속을 요구하면서도 "자사만으로는 화물 노선의 보유는 곤란하다"라며 "제3섹터 등에 의한 철도 유지가 바람직하다"라는 견해를 밝혔다[76]

국토교통대신인 사이토 테츠오는 이 문제에 대해, 연선 지자체에 의한 병행 재래선의 존폐 협의와는 별도로 국토교통성 (국) · 홋카이도청 · JR 화물 · JR 홋카이도의 4자가 협의하는 기회를 마련할 방침을 2022년 9월에 발표했다[75][77]

2023년 7월 26일, 앞서 언급한 4자가 삿포로 시내에서 개최한 협의회에서, 해당 구간에서의 철도 화물 기능을 유지하는 방침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신칸센 연장에 따른 병행 재래선에서는 처음으로 화물 전용 노선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78][79]

13. 승차권 특례 제도

홋카이도 신칸센의 운임은 영업 킬로미터에 따라 산출되며, 병행하는 JR 홋카이도의 노선이 전 구간에 걸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거리가 사용된다. 홋카이도 신칸센에서는 간선 상당의 운임이 적용된다.

특급 요금은 각 역 간 개별적으로 정해져 있으며, 해당 구간의 영업 킬로미터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홋카이도 신칸센과 도호쿠 신칸센을 통틀어 승차하는 경우(신아오모리역을 사이에 둠) 특급 요금·그린 요금은 영업 킬로미터를 통산하지 않고 신아오모리역까지의 각 개별 요금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단, 지정석 특급 요금은 좌석 지정 요금을 1석분으로 하기 위해 합산한 특급 요금에서 530엔(통상기)을 공제한다. 또한,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과 도호쿠 신칸센 각 역 상호 간 및 나나토와다역(도호쿠 신칸센)과 홋카이도 신칸센 각 역 상호 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정석 특급 요금은 합산한 자유석 특급 요금에 530엔(통상기)을 더한 요금이 된다.

홋카이도 신칸센 개업 전에는 보통 승차권만으로 특급 "하쿠쵸"・"슈퍼 하쿠쵸"의 일반실 자유석에 한해, 가니타역 - 키코나이역 구간을 추가 요금 없이 승차할 수 있는 특례가 있었다. 이는 세키쇼선에 준한 것으로, "세이슌 18 킵푸"나 "홋카이도 & 동일본 패스"와 같은 보통 열차 전용 특별 기획 승차권에도 적용되었다.

그러나 신칸센 개업 후에는 재래선 열차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통상 승차권에 있어서의 특례는 폐지되었다. "세이슌 18 킵푸" 등의 기획 상품도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에 따라 "세이슌 18 킵푸"에서는 "세이슌 18 킵푸 홋카이도 신칸센 옵션권"을 구매해야 홋카이도 신칸센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 - 키코나이역 간에서 일반실의 빈 좌석, 그리고 도난이사리비 철도선 키코나이역 - 고료카쿠역 간의 보통 열차를 옵션권 1매당 편도 1회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가을 무제한 승차 패스"에서는 "가을 무제한 승차 패스 홋카이도 신칸센 옵션권"을 구매하여 같은 조건으로 이용할수 있다. "홋카이도 & 동일본 패스"에서는 특정 특급권 또는 "홋카이도 & 동일본 패스 홋카이도선 특급 옵션권"을 구매하면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에서 일반실의 빈 좌석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mlit.go.j[...] 2018-01-30
[2] 웹사이트 http://dd.hokkaido-n[...]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5-08-12
[3] 웹사이트 Next Shinkansen will not only be faster, safer, but save on power http://www.asahi.com[...] 2019-05-11
[4] 웹사이트 DPJ may OK three new bullet-train section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Ltd. 2014-09-22
[5] 웹사이트 Hokkaido Shinkansen prepares for launch http://www.railjourn[...] Simmons-Boardman Publishing Inc. 2016-04-06
[6] 뉴스 First Shinkansen train through the Seikan Tunnel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2015-05-26
[7] 웹사이트 http://response.jp/a[...] IID Inc. 2015-03-24
[8] 웹사이트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5-09-16
[9] 웹사이트 Seikan tunnel Shinkansen speed-up saves 3 min https://www.railwayg[...] 2021-04-04
[10]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青函トンネル内初の260キロ走行 大型連休の5日間 https://www.asahi.co[...] 2024-03-17
[11]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でも最高320km/hへ…JR北海道が新函館北斗以北の高速化を要請 https://response.jp/[...] 2019-09-22
[12] 간행물 Method for Estimating Snow Accretion on Shinkansen Bogies using Weather Data 2021-11-17
[13] 문서 Lots of empty seats on Hokkaido Shinkansen https://asia.nikkei.[...] Nikkei Asia 2022-06-23
[14] 문서 Tentative name
[15] 웹사이트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4-04-16
[16] 웹사이트 http://www.hokkaido-[...]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4-03-19
[17] AV media Special Preview: Hokkaido Shinkansen - Hopes and Challenges http://www3.nhk.or.j[...] NHK 2016-02-28
[18] 웹사이트 http://www.jrtt.go.j[...] Japan Railway Construction, Transport and Technology Agency 2014-09-22
[19] 웹사이트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4-12-01
[20] 웹사이트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5-05-24
[21] 웹사이트 https://www3.nhk.or.[...] 2024-10-16
[22] 웹사이트 Microsoft PowerPoint - 00-2全体概要図ver2 [互換モード] https://www.mlit.go.[...]
[23] 웹사이트 Shinkansen to get 3 new sections http://www.yomiuri.c[...] The Yomiuri Shimbun 2014-09-22
[24]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の駅とルート https://www.pref.hok[...] 北海道庁総合政策部交通政策局交通企画課 2023-04-29
[25] 뉴스 東日本の新幹線「一番稼げる」のはどこか 独自試算!JR北海道・東日本の営業係数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3-04-29
[26]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の最高速度と所要時間 https://www.pref.hok[...] 北海道庁総合政策部交通政策局交通企画課 2023-04-29
[27] 웹사이트 JR東日本の列車たち> 東北新幹線(E6系/E5系/E3系/E2系)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04-29
[28] 웹사이트 実現に向けて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幹線旭川延伸促進期成会 2023-04-29
[29] 뉴스 北海道新幹線の札幌延伸“目標の2030年度末開業 極めて困難” {{!}} NHK https://www3.nhk.or.[...] 日本放送協会 2024-05-08
[30] 문서 津軽線と海峡線の書類上・営業上の分岐点は[[中小国駅]]。
[31] 문서 海峡線(狭軌)の旅客用ホームなし。
[32] 문서 松前郡福島町、上磯郡知内町・同郡木古内町、北斗市、二海郡八雲町、山越郡長万部町は[[渡島総合振興局|渡島管内]]に所在。虻田郡倶知安町・小樽市は[[後志総合振興局|後志管内]]、札幌市は[[石狩振興局|石狩管内]]に所在。
[33] 문서 2016年3月26日以降在来線の定期旅客列車の運行なし。
[34] 문서 北海道新幹線開通時に廃止予定。
[35] 문서 駅ビルは札幌市[[中央区 (札幌市)|中央区]]に所在。
[36]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の総合車両基地「函館新幹線総合車両所」について https://www.town.nan[...] 七飯町 2023-04-29
[37] PDF 青函共用走行区間の保守工事に伴う新幹線列車の運休について https://www.jreast.c[...] JR北海道・JR東日本 2024-01-19
[38] 뉴스 最高速度260キロに上げ 北海道新幹線 青函トンネル内 https://www.toonippo[...] 2022-12-25
[39] 문서 東京 - 青森間の新幹線と航空機を合わせた輸送人員は、東京 - 盛岡間の約262.1万人を上回り北東北1位となっている。
[40] 웹사이트 FACT BOOK 2024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24-10-24
[41] 문서 東京駅からJR線、モノレールで空港へ移動、搭乗までの時間を45分と設定。行先の空港からは空港バスを利用と仮定してJR東日本が算出。
[42] 문서 岩手県と東京都の間に航空機は運航されていない。
[43] 뉴스 北海道新幹線、1年目は229万人利用 - 函館市・木古内町など開業効果如実に 2018-01-20
[44] 뉴스 卓上四季 2018・3・14 北海道新聞社 2018-03-14
[45] 웹사이트 航空輸送統計年報の概要(平成30年度分)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11-19
[46] 뉴스 北海道新幹線 総工費増認可 読売新聞社 2023-04-01
[47] 뉴스 北海道新幹線の総工費、最大2・3兆円試算…資材高騰で当初計画より6450億円増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3-04-29
[48] 뉴스 北海道新幹線の事業費が6445億円増、資材高騰や追加工事など響く https://xtech.nikkei[...] 日経 2023-04-29
[49] 웹사이트 期成会について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幹線旭川延伸促進期成会 2023-10-08
[50] 뉴스 北海道新幹線は試乗会の後も不安がいっぱい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16-01-30
[51] 웹사이트 北海道新幹線の函館市内乗り入れについて https://www.city.hak[...] 函館市 2024-06-21
[52] 뉴스 新幹線「函館駅乗り入れ」フル規格が有力か 東京から「3両編成」で直通? 示された案とは https://trafficnews.[...] 2023-09-21
[53] 뉴스 北海道新幹線が函館駅に乗り入れると「はこだてライナー」はなくなるのか https://bunshun.jp/a[...] 2023-05-14
[54] 뉴스 新幹線函館乗入れの調査費「捨てるようなもの」無知と誤解の原因は https://news.mynavi.[...] 2023-07-18
[55] 뉴스 JR北海道社長、新幹線函館乗り入れ「現時点で可能でない」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24-04-17
[56] 뉴스 JR江差線木古内~江差間、2014年5月廃止へ - JR北海道が国に届け出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0-05-25
[57] 뉴스 大雨で不通、JR津軽線の復旧に6億円の見通し 「鉄道以外も検討」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12-23
[58] 뉴스 津軽線蟹田-三厩間 廃線含め協議へ http://www.mutusinpo[...] 陸奥新報社 2022-12-23
[59] 뉴스 道新幹線の並行在来線について 北海道新聞社 1994-08-02
[60] 웹사이트 2011/12/09 現函館・新函館間JR経営分離反対の理由をあらためてお知らせします http://www.shinkanse[...] 2020-05-25
[61] 뉴스 函館市が函館―新函館の経営分離同意 https://www.ehako.co[...] 函館新聞社 2020-05-25
[62] 뉴스 長万部-余市間の前倒し廃止を検討へ、余市-小樽間の存続は小樽市次第?…北海道新幹線の並行在来線問題 https://s.response.j[...] 2022-05-24
[63] 뉴스 長万部―余市はバス転換 並行在来線 沿線自治体が支持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22-02-03
[64] 뉴스 JR長万部-余市間は廃線、バス転換へ 並行在来線で全国2例目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2-02-03
[65] 뉴스 JR函館線 小樽-余市間も廃線へ 自治体、バス転換で合意 https://mainichi.jp/[...] 2022-03-28
[66] 뉴스 北海道新幹線で分離「並行在来線」存続への妙手 道とJRには「やる気」が感じられず、廃線ありき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2-06-08
[67] 뉴스 北海道新幹線「並行在来線」理不尽な廃止の裏事情 データを精査せず、強引にバス転換を決定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2-06-08
[68] 뉴스 小樽―長万部の廃線決定 JR函館線、新幹線延伸で https://nordot.app/8[...] ノアドット 2022-03-28
[69] 뉴스 北海道新幹線開業5年 どうなるの?並行在来線 https://www.nhk.or.j[...] 日本放送協会 2021-03-26
[70] 뉴스 長万部-小樽の代替バス、鉄道並み困難 運行3社、運転手不足 https://www.hokkaido[...] 2023-10-28
[71] 뉴스 バス運転手不足、今後の鉄路廃止議論にも影響 バス転換も難しい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3-11-07
[72] 뉴스 北海道新幹線「並行在来線」バス転換協議が中断へ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3-11-07
[73] 뉴스 北海道を襲う物流危機 「運べない時代」の到来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22-09-22
[74] 뉴스 函館線を貨物線として維持、国が協議へ 北海道やJRと旅客と分離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9-22
[75] 뉴스 函館線廃止による貨物網分断「全国に多大な影響」 JR貨物社長語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9-22
[76] 뉴스 長万部―函館、鉄道の維持希望 JR貨物支社長、三セク想定 https://nordot.app/9[...] ノアドット 2022-05-28
[77] 뉴스 函館線の貨物網維持へ協議入り表明 国交相、北海道やJR2社と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9-22
[78] 뉴스 函館線「貨物維持が妥当」 25年度めどに結論―国や道、JR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3-07-28
[79] 뉴스 沿線自治体首長、歓迎も課題注視 函館―長万部の鉄道貨物維持 https://digital.hako[...] 函館新聞社 2023-07-28
[80] 웹인용 DPJ may OK three new bullet-train section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Ltd. 2014-09-22
[81] 웹인용 北海道新幹線「H5系」、内装には雪の結晶も https://archive.toda[...] The Yomiuri Shimbun 2014-04-16
[82] 웹인용 北海道新幹線開業は来年3月26日 JRが最終調整 http://dd.hokkaido-n[...] The Hokkaido Shimbun Press 2015-08-12
[83] 웹인용 Hokkaido Shinkansen prepares for launch http://www.railjourn[...] Simmons-Boardman Publishing Inc. 2016-04-06
[84] 문서 2031년경 홋카이도 시칸센이 완전 개통 시에, 제3섹터로 양도 예정노선.
[85] 문서 2031년경 홋카이도 시칸센이 완전 개통 시에, 제3섹터로 양도 예정노선.
[86] 문서 2031년경 홋카이도 시칸센이 완전 개통 시에, 제3섹터로 양도 예정노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