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효창운동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창운동장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규격 축구 경기장으로,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 유치를 계기로 효창공원에 건설되었다. 1960년 10월 12일 개장했으며, 같은 달 14일 1960년 AFC 아시안컵이 개최되었다. 완공 당시 천연 잔디 경기장이었으나, 1983년 인조잔디, 조명탑 등의 개보수 공사를 거쳤다. 효창운동장 건립 과정에서 독립운동가 묘역 이장 논란이 있었으며, 1960년 AFC 아시안컵,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등 주요 경기가 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 서울 시청 아마조네스 WFC
    서울 시청 아마조네스 WFC는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는 여자 축구단으로, WK리그에 참가하며 박은선과 같은 유명 선수를 배출했고, 2013년 WK리그 준우승과 2014년 전국체육대회 우승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2020년부터 유영실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다.
  • 1967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경기장 - 스타디움 메르데카
    스타디움 메르데카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역사적인 경기장으로, 말라야 연방 독립 선언과 말레이시아 연방 결성 선포가 이루어진 곳이며, 한때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었고, 현재는 국가 유산 건물로 지정되어 독립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효창운동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효창운동장
원어 이름Hyochang Stadium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5 (효창동 3번지)
기공1959년 11월 19일
건설 기간11개월
개장1960년 10월 12일
보수1983년 8월 29일 (인조잔디 설치)
2008년 12월 19일 (인조잔디 교체)
소유서울특별시청
운영서울특별시축구협회
건설 비용8억 8천 5백만
표면인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규모필드: 105 × 69 m
트랙: 400 m x 4레인
좌석15,194석
수용 인원18,000명
이미지
효창운동장
효창운동장
사용 정보
홈 경기장서울 유나이티드 FC
서울 시청 아마조네스 WFC
개최 대회1960년 AFC 아시안컵
2019년 전국체육대회
K5리그 서울
K6리그 서울
WK리그
U리그1
K3리그 어드밴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67년)
기타 정보
운영 주체서울시설공단
건설 시작1959년 11월 19일
개장일1960년 10월 12일
보수1983년
인조잔디 교체2008년 12월 19일
건설비2억
사용팀 (과거)서울 유나이티드 FC (2009–2010)
서울시청 WFC (2015–2019)

2. 역사

본래 1956년효창공원에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묘를 다른 곳으로 이장하고 그 자리에 운동장 건립할 계획을 수립했지만, 사회 기관 단체, 여론, 국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가 확정되자, 대한민국이승만 대통령은 효창공원에 축구 경기장을 짓도록 지시한다. 한달 뒤 1959년 7월 14일 이기붕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 축구 경기장 건설 위원회가 구성된 후 효창공원 내 7,822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59년 11월 19일 축구장 건설에 들어갔다. 경기장은 건물형 구조물이 아니라 언덕을 깎아내고 흙을 돋우어 관중석을 설치하는 설계법으로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1960년 10월 12일 개장 기념으로 경평 OB전이 열렸고, 그 해 10월 14일 1960년 AFC 아시안컵이 개최되었다. 완공 당시는 천연 잔디 경기장이었으나 이 후 잔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표면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가 되었고, 1983년 4월 1일 인조잔디, 조명탑, 조명 시설 등의 개보수 공사 기공식을 하였으며[6] 10월 3일 완공식을 가지고[7]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를 초청해 4개국 청소년 축구 대회를 열었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56년 ~ 1960년)

1956년효창공원에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묘를 다른 곳으로 이장하고 그 자리에 운동장 건립할 계획을 수립했지만, 사회 기관 단체, 여론, 국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가 확정되자, 대한민국이승만 대통령은 효창공원에 축구 경기장을 짓도록 지시하였다. 한달 뒤 1959년 7월 14일 이기붕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 축구 경기장 건설 위원회가 구성된 후 효창공원 내 7,822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59년 11월 19일 축구장 건설에 들어갔다. 경기장은 건물형 구조물이 아니라 언덕을 깎아내고 흙을 돋우어 관중석을 설치하는 설계법으로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1960년 10월 12일 개장 기념으로 경평 OB전이 열렸고, 그 해 10월 14일 1960년 AFC 아시안컵이 개최되었다.

2. 2. 개장 및 1960년 AFC 아시안컵 개최

1956년 효창공원에 있는 독립운동가들의 묘를 다른 곳으로 이장하고 그 자리에 운동장 건립할 계획을 수립했지만, 사회 기관 단체, 여론, 국회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가 확정되자, 대한민국이승만 대통령은 효창공원에 축구 경기장을 짓도록 지시하였다. 한달 뒤 1959년 7월 14일 이기붕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 축구 경기장 건설 위원회가 구성된 후 효창공원 내 7,822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59년 11월 19일 축구장 건설에 들어갔다. 경기장은 건물형 구조물이 아니라 언덕을 깎아내고 흙을 돋우어 관중석을 설치하는 설계법으로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1960년 10월 12일 개장 기념으로 경평 OB전이 열렸고, 그 해 10월 14일 1960년 AFC 아시안컵이 개최되었다. 완공 당시는 천연 잔디 경기장이었으나 이 후 잔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표면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2. 3. 개보수 및 현재 (1961년 ~ 현재)

1959년 6월 AFC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가 확정되자, 대한민국이승만 대통령은 효창공원에 축구 경기장을 짓도록 지시하였다. 한달 뒤 1959년 7월 14일 이기붕 대한체육회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국제 축구 경기장 건설 위원회가 구성된 후 효창공원 내 7,822평의 부지를 확보하고 1959년 11월 19일 축구장 건설에 들어갔다. 경기장은 건물형 구조물이 아니라 언덕을 깎아내고 흙을 돋우어 관중석을 설치하는 설계법으로 공사 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1960년 10월 12일 개장 기념으로 경평 OB전이 열렸고, 그 해 10월 14일 1960년 AFC 아시안컵이 개최되었다. 완공 당시는 천연 잔디 경기장이었으나 이 후 잔디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표면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가 되었다. 1983년 4월 1일 인조잔디, 조명탑, 조명 시설 등의 개보수 공사 기공식을 하였으며 10월 3일 완공식을 가지고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를 초청해 4개국 청소년 축구 대회를 열었다.

3. 특징

효창운동장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규격 축구 경기장이다. 완공 당시 축구장을 둘러싼 타원형의 관중석으로 구성된 축구 전용 경기장이었지만, 축구장을 둘러싼 보행주로 때문에 관중석에서의 시야는 종합운동장에 비해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현재는 400m 육상 트랙이 설치되어 있다.

3. 1. 독립운동가 묘역 이장 논란

1956년 정부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묘가 있는 효창공원효창운동장을 건립하겠다는 발표를 하자, 6월 9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김두한 의원은 "선열에 대해서는 물질보다 추모의 정신으로 보답해야 하는 만큼 우선 정부는 분묘에 대한 모든 절차를 결정한 후에 운동장 설비공사에 착수했어야 할 것이라."라고 말하고 "효창공원의 선열 묘지는 성묘이다. 이 성묘를 함부로 파서 헐어 트리는 것은 생명을 조국광복에 바친 선열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피력하였다. 공사중지건의안은 여야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8][9]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권 역시 골프장을 만들려는 공사를 시도했지만 유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지만, 효창공원에 반공투사 위령탑, 김구의 묘 옆에 노인회관을 세웠다.[10][11] 박정희 대통령은 독립유공자 사업을 시작하고 김구, 안중근 기념관을 남산에 세우기도 했다.

3. 2. 박정희 정권의 효창공원 개발 시도

1956년 정부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묘가 있는 효창공원에 다른 곳으로 이장하고 효창운동장을 건립하겠다는 발표를 하자 6월 9일 대한민국 국회에서 김두한 의원은 "선열에 대해서는 물질보다 추모의 정신으로 보답해야 만큼 우선 정부는 분묘에 대한 모든 절차를 결정한 후에 운동장 설비공사에 착수했어야 할 것이라."라고 말하고 "효창공원의 선열 묘지는 성묘이다. 이 성묘를 함부로 파서 헐어 트리는 것은 생명을 조국광복에 바친 선열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피력하였다. 공사중지건의안은 여야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8][9]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 정권 역시 골프장을 만들려는 공사를 시도했지만 유족들의 반대로 무산되었지만, 효창공원에 반공투사 위령탑, 김구의 묘 옆에 노인회관을 세웠다.[10][11] 하지만 박정희 대통령은 독립유공자 사업을 시작하고 김구 안중근 기념관을 남산에 세우기도 했다.

4. 주요 경기 기록

4. 1. 1960년 AFC 아시안컵

1960년 AFC 아시안컵1960년 10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남베트남, 이스라엘, 중화민국을 차례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2.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1961년 11월 26일 대한민국과 유고슬라비아 간 경기가 열렸으며, 대한민국이 1-3으로 패배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효창운동장 (孝昌運動場) http://www.encyber.c[...] 2017-04-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임의로 00으로 처리
[2] 뉴스 19일에 착공 효창공원의 국제축구경기장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9-11-20
[3] 서적 2023 전국 공공체육시설 현황 (2022년 12월말 기준) http://www.mcst.go.k[...]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24-00-00 # 연도만 제공되므로 월, 일 정보는 00으로 처리
[4] 뉴스 문 열린 효창축구장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0-10-13
[5] 웹인용 효창운동장 http://stadium.seoul[...] 서울특별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6] 뉴스 인조잔디, 나이터 시설 등 작업 효창운동장 새단장 기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4-01
[7] 뉴스 성형수술 받은 효창구장 푸른옷의 스타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10-04
[8] 뉴스 효창공원 공사중지를 건의 국회선열묘존엄성강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56-06-10
[9] 뉴스 효창공원문제논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56-06-10
[10] 뉴스 효창 공원 독립투사들의 수난 https://news.naver.c[...] MBC 뉴스데스크 2007-04-13
[11] 웹사이트 http://ahnjunggeun.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