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さ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さ행(사행)은 일본어 음운의 한 종류로, 'さ', 'し', 'す', 'せ', 'そ'로 구성된 청음과 탁점을 붙인 'ざ', 'じ', 'ず', 'ぜ', 'ぞ'로 구성된 탁음, 그리고 'しゃ', 'しゅ', 'しぇ', 'しょ' 및 'じゃ', 'じゅ', 'じぇ', 'じょ'로 구성된 요음으로 나뉜다. 중세 일본어에서는 'せ'와 'ぜ'가 각각 [ʃe]와 [ʒe]에 가깝게 발음되었으며, s, z는 파찰음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일본어에서 사행 청음의 두자음은 /s/이며, 'し'는 구개음화되어 [ɕ]로 발음된다. 탁음은 /z/이며, 발음 위치에 따라 [ʣ], [z], [ʥ], [ʑ] 등으로 변한다. 외래어 표기에는 'シェ', 'スィ', 'ズィ' 등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십음 - あ행
  • 오십음 - や행
    や행은 일본어 가나의 한 행으로, 'や', 'ゆ', 'よ'를 포함하며 자음 y 또는 j와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역사적으로 음운 변화와 요음 형성의 특징을 가지며, 현대 일본어에는 'え'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나고야시
    아이치현에 위치한 나고야시는 아쓰타 신궁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의 거점이었으며, 도요타 자동차 중심의 자동차 산업과 MICE 산업 발달, 엑스포 2005 개최, 나고야 의정서 채택 등으로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한 16개 구로 구성된 약 2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복합적인 도시이다.
  • 미완성 문단이 포함된 문서 - 진공관
    진공관은 진공 상태 용기 내부에 전극을 갖춘 전자 장치로, 다이오드와 트라이오드 발명 후 20세기 중반까지 널리 쓰였으나 트랜지스터 등장으로 사용이 줄었지만, 고주파/고출력 분야나 오디오 앰프 등 특정 분야에서 다양한 종류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さ행
일본어 문자
종류가나, 오십음
문자 체계히라가나 / 가타카나
로마자 표기sa
유니코드히라가나: U+3055
가타카나: U+30B5
일본어 점자 'さ'
일본어 점자 'さ'
모스 부호--・--
히라가나
글꼴
음성/sa/
가타카나
글꼴
음성/sa/
변형 가나
글꼴
유래左 (사)
散 (산)
일본어 문자
종류가나, 오십음
문자 체계히라가나 / 가타카나
로마자 표기sa
유니코드히라가나: U+3055
가타카나: U+30B5
일본어 점자 'さ'
일본어 점자 'さ'
모스 부호--・--
히라가나
글꼴
음성/sa/
가타카나
글꼴
음성/sa/
변형 가나
글꼴
유래左 (좌)
散 (산)

2. 역사

さ행의 발음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중세 일본어에서는 'せ'(세)와 'ぜ'(제)가 현대의 'しぇ'(셰)와 'じぇ'(제)에 가까운, 즉 IPA|ʃe일본어, IPA|ʒe일본어와 같은 구개음화된 발음이었다. 더 오래전에는 's'와 'z'가 후속 모음에 관계없이 IPA|ʦ일본어, IPA|ʣ일본어 또는 IPA|ʧ일본어, IPA|ʤ일본어와 같은 파찰음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일본 한자음과 중국어 중고음(中古音)과의 비교를 통해 강하게 지지된다. '津'(진)의 음독은 'シン'(신)이고 훈독은 'つ'(쓰)이며, '束'(속)은 'ソク'(소쿠)이고 지명에 'つか'(쓰카)가 있는 것이 그 예시이다.

2. 1. 방언음

일포사전의 기술 등으로부터, 중세 시대의 "세"(せ)와 "제"(ぜ)의 표준적인 발음은 각각 'しぇ'와 'じぇ'와 같은 소리에 가까웠음이 밝혀졌다. 주로 서일본의 일부 방언에서는 현재도 이와 같은 발음이 남아 있다.

더욱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와 는 후속 모음에 관계없이 각각 , 또는 , 와 같은 파찰음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주로 일본의 한자음과 중국어 중고음과의 비교를 통해 강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津(진)'의 음은 "신"이며 훈독은 "つ(쓰)"이고, '束(속)'은 "소쿠"이며 지명에 "つか(쓰카)"가 있다.

3. 청음

さ행 청음의 두자음(음소)은 /s/이다. 음성학적으로, 'さ', 'す', 'せ', 'そ'의 두자음(단음)은 무성 치경 마찰음 [s]이다. 'し'의 두자음은 경구개화되어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ɕ]가 된다. 구개음화되지 않는 외래어 [si]를 표기하기 위해 'スィ'를 사용하기도 한다. 훈령식 로마자 및 일본식 로마자 표기는 'sa', 'si', 'su', 'se', 'so'이고, 헵번식 로마자 표기는 'sa', 'shi', 'su', 'se', 'so'이다.

4. 탁음

さ행(さ행) 음의 가나에 탁점을 붙인 ざ행(탁음)의 두자음(음소)은 /z/이다(음운론). 음성학적으로 'ざ', 'ず', 'ぜ', 'ぞ'의 두자음은 문절의 머리 또는 발음() 뒤에서는 유성 치경 파찰음 [ʣ](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이다. 그 외에는 유성 치경 마찰음 [z](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또는 폐쇄 밀착도가 약한 유성 치경 파찰음이 된다. 'じ'의 두자음은 구개음화되어, 문절의 머리 또는 발음() 뒤에서는 유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 [ʥ](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가 된다. 그 외에는 유성 치경 경구개 마찰음 [ʑ](의 자음을 유성화한 음) 또는 폐쇄 밀착도가 약한 유성 후치경 파찰음이 된다. 구개음화되지 않는 외래어 [zi]를 가나로 표기하기 위해 'ズィ'를 사용하기도 한다. ざ행음의 일본식 로마자 표기는 'za', 'zi', 'zu', 'ze', 'zo'이고, 헵번식 로마자 표기는 'za', 'ji', 'zu', 'ze', 'zo'이다. 탁음의 발음은 지역, 연령 등에 따라 차이가 클 수 있다.

5. 요음

さ행 및 ざ행의 'い'단음을 첫 글자로 하는 개요음은 しゃ행('しゃ', 'しゅ', 'しぇ', 'しょ')과 じゃ행('じゃ', 'じゅ', 'じぇ', 'じょ')이다. 이들의 두자음(음소)은 각각 , 이며, 음성학적으로 'し', 'じ'와 같다. ('しぇ'와 'じぇ'는 요음으로 보지 않는 의견도 있다.)

일본식 로마자 표기는 각각 sya, syu, sye, syo, zya, zyu, zye, zyo이다. 헵번식 로마자 표기는 각각 sha, shu, she, sho, ja, ju, je, jo이다.

'じ'와 'ぢ', 'じゃ'행과 'ぢゃ'행, 'ず'와 'づ'는 음성학적으로 같은 발음이다.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じ', 'じゃ'행, 'ず'로 통일하여 표기한다. (た행 문서 참조)

6. 외래어 표기

"셰"는 외래어 표기에 사용되는 가나이다.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ɕ])과 모음 "에"를 조합한 음을 나타낸다.

"스ィ"나 "즈ィ"는 외래어 표기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외래어의 원음이 [si]나 [zi]임을 명시하기 위해 "시"나 "지" 대신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7. 음성학적 분류

다음 표는 사행, 샤행, 자행, 쟈행의 발음을 정리한 것이다.

발음표
모음
사행
샤행
자행
쟈행



무색은 무성음, 주황색은 유성음이다. 엄밀히 말하면 사행이나 자행의 자음은 발음 속도나 직전의 모음, 비음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