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를 나타낸다. 훈민정음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었으며,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경음 표기로 정식 채택되었다. 현대 한국어에서 ㅃ은 단어의 첫머리나 중간에서 [ˀp]로, 구개음화될 경우 [ˀpʲ]로 발음되며, 뒤에 평음이 오면 평음이 경음으로 변하는 이음 현상이 나타난다. 유니코드 코드 값은 낱자 U+3138, 초성 U+1108, 반각 U+FFB3이며, 문화관광부 2000년식 및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pp'로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ㅃ | |
---|---|
한글 정보 | |
종류 | 닿소리 |
자질 | 예사소리, 된소리 |
첫소리 위치 | 12번째 |
로마자 표기 | pp |
소리 정보 | |
문화어 | 된비읍 |
표준어 | 쌍비읍 |
IPA | '[ p˭ ]' '[ p͈ ]' |
2. 역사
훈민정음 창제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ㅃ은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고, 경음 표기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았다.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경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정식 채택되었으며, '쌍비읍'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졌다.
2. 1. 훈민정음과 쌍비읍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 순음(脣音)의 전탁(全濁)으로 분류된다. 훈민정음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ㅂ 순음은 彆(별) 자의 초성과 같고, 竝書(병서)하면 歩(보)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는 전청(全淸)을 병서(竝書)하면 전탁이 된다고 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전탁은 유성음(탁음)이 아니라, 당시에도 경음(된소리)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2. 2. 근대 이후의 변화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었던 ㅃ은, 훈민정음의 세종 어제 서문에서 "ㅂ 순음은 彆(별) 자의 초성과 같고, 竝書(병서)하면 歩(보) 자의 초성과 같다"라고 규정되었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는 전청을 병서하면 전탁이 된다고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전탁은 탁음(유성음)이 아닌, 당시에도 경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훈민정음 창제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ㅃ은 경음 표기에 자주 사용되지 않았고, 주로 한자음의 탁음 표기에 사용되었다.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경음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정식 채택되면서, '쌍비읍'이라는 명칭도 이때 붙여졌다.
3. 음성
ㅃ은 입술을 닫아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한꺼번에 터뜨려 내는 양순파열음이다. 한국어의 파열음은 유기음인지, 된소리인지에 따라 세 가지 소리로 나뉜다. ㅃ은 성대 긴장을 동반하는 된소리에 해당하며,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로 발음된다. 음소 기호는 /p'/ 등으로 나타낸다.
3. 1. 현대 한국어 발음
현대 한국어에서 ㅃ은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영어로 발음된다. 어두와 어중에서는 ˀp영어로, 어말에서는 p ̚영어로 소리난다. 다만, 실제로 어말에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구개음화될 경우 남북 모두 ˀpʲ영어로 발음된다.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된다.3. 2. 이음(異音)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이 경음으로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4. 코드 값
wikitext
명칭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SSANGBIEUP | 단독 | U+3138 | ㄸ | ㅃ |
HANGUL CHOSEONG SSANGBIEUP | 첫소리(초성) | U+1108 | ᄈ | ᄈ |
끝소리(종성) | ||||
HALFWIDTH HANGUL LETTER SSANGBIEUP | 반각 | U+FFB3 | ᄈ | ᄈ |
4. 1. 유니코드
명칭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SSANGBIEUP | 단독 | U+3138 | ㄸ | ㅃ |
HANGUL CHOSEONG SSANGBIEUP | 첫소리(초성) | U+1108 | ᄈ | ᄈ |
끝소리(종성) | ||||
HALFWIDTH HANGUL LETTER SSANGBIEUP | 반각 | U+FFB3 | ᄈ | ᄈ |
4. 2. 기타
HTML에서 ㅃ은 `ㄸ`(낱자), `ᄈ`(첫소리)로 표기한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 및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pp'로 표기한다.명칭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SSANGBIEUP | 단독 | U+3143 | `ㅃ` | ㅃ |
HANGUL CHOSEONG SSANGBIEUP | 초성용 | U+1108 | `ᄈ` | ᄈ |
종성용 |
5. 관련 항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