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다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다메스는 리비아 트리폴리 남서쪽에 위치한 오아시스 도시로, 알제리 및 튀니지 국경과 가깝다. 베르베르족이 주로 거주하며,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쾨펜 기후 구분상 열대 사막 기후에 속하며, 여름은 덥고 겨울은 비교적 온화하다. 가다메스는 기원전 4천년기부터 정착이 시작된 유서 깊은 지역으로, 고대 로마 시대에는 키다무스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7세기에는 이슬람교로 개종했으며, 사하라 횡단 무역의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11년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다가 2011년 리비아 내전 중 투아레그 군대에 의해 통제되었으며, 이후 민족 청소 행위로 인해 투아레그 공동체가 쫓겨났다. 1986년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가다메스 구시가지는 2016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훼손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의 세계유산 - 키레네 (리비아)
    키레네는 기원전 7세기 그리스인들이 현재의 리비아 지역에 건설한 고대 도시로, 한때 "아프리카의 아테네"라 불리며 지중해 학술 중심지였으나 쇠퇴 후 버려졌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리비아의 세계유산 - 렙티스 마그나
    렙티스 마그나는 기원전 7세기 후반 페니키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카르타고 제국의 주요 도시였으며 로마의 지배를 거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후원으로 번성했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하여 현재는 로마 유적지로 남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 리비아의 오아시스 - 쿠프라
    쿠프라는 리비아 남동부에 위치한 사막 오아시스 지역으로,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센누시 교단의 주요 중심지였고, 현재는 농업 프로젝트와 이주민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 리비아의 오아시스 - 우바리 (리비아)
    리비아 남서부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우바리는 열대 사막 기후를 지닌 오아시스 도시로, 대추야자가 자생하며, 리비아 내전 당시 사이프 알이슬람 카다피가 체포된 곳이자 렙솔 유전이 위치해 있다.
  • 리비아의 도시 - 트리폴리 (리비아)
    트리폴리는 리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주요 항구로, 지중해 연안에 위치하여 "지중해의 인어"라고도 불리며, 기원전 7세기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오에아에서 유래하여 오랜 역사 동안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1951년 리비아 독립 후 수도가 되어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 역할을 하고, 2011년 리비아 내전과 이후 혼란을 겪기도 했다.
  • 리비아의 도시 - 아지지야
    아지지야는 리비아에 위치한 도시로, 한때 세계 최고 기온을 기록했으나 측정 오류로 판명되었으며,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열대 사막 기후를 나타낸다.
가다메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가다메스 모스크
가다메스 모스크
공식 명칭غدامس
로마자 표기Ghadames
별칭알려진 별칭 없음
위치리비아
지역트리폴리타니아
행정 구역날루트주
ISO 코드정보 없음
지리
좌표30° 8′ N 9° 30′ E
해발 고도589m
인구
인구 (추정치)약 10,000 명 (2011년 기준)
기타 정보
시간대EET (+2)
차량 번호판 코드17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지정 명칭: 가다메스 구 시가지
지정 연도: 1986년
지정 기준: (v)
유형: 문화
지역: 아랍 국가
사이트: 유네스코 관련 자료

2. 지리

가다메스는 리비아트리폴리에서 남서쪽으로 대략 462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알제리튀니지 국경 근처에 있다. 가다메스는 알제리의 일리치 주 및 튀니지의 타타윈 주와 경계를 이룬다.

이 오아시스에는 약 10,000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주로 베르베르족이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도시의 옛 구역에 살았던 7개의 부족은 각자 축제를 열 수 있는 공공 장소가 있는 자체 구역을 가지고 있었다.

3. 기후

가다메스는 여름이 덥고 겨울은 비교적 시원한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보인다. 연중 최고 기온은 7월에 평균 40.3°C로 가장 높다. 연평균 강수량은 매우 적다.[1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7.6°C20.7°C24.4°C29.7°C34.6°C39.8°C40.3°C39.8°C36.4°C30°C23.8°C18.2°C29.6°C
평균 최저 기온 (°C)3.6°C5.7°C9°C13.8°C17.8°C22.3°C22.4°C22.5°C20.1°C15°C9°C4.4°C13.8°C
평균 강수량 (mm)5mm4.6mm6.8mm3.6mm2.3mm0.1mm0mm0.3mm0.8mm4mm2.1mm3.4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11.21.50.90.40.20.10.10.21.00.81.2-
평균 상대 습도 (%)52413628262222232935475334
월 평균 일조 시간248.0240.1257.3273.0313.1309.0372.0353.4273.0263.5246.0232.5-

[18][19][20]

4. 역사

가다메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키다무스(Cydamu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당시 군대가 주둔하기도 했다.[1] 비잔틴 제국의 영향으로 주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한 6세기에는 주교가 마을에 거주했다.[1] 그러나 7세기에 무슬림에게 점령당하면서 주민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했다.[1] 19세기까지 사하라 사막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4. 1. 고대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지역은 기원전 4천년기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사하라 사막 이전의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추정된다. 사막 한가운데의 수원지 근처에 위치하여 이 지역에 정착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중요한 장소였을 것이다.

가다메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시 정착지는 현대 가다메스의 이름의 기원이 된 '''키다무스'''로 알려졌다. 기원전 1세기에 로마의 집정관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통치 기간 동안 키다무스를 침략했다.[8]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통치 기간 동안 영구적인 로마 주둔군이 설치되었으며, 황제는 서기 202년경에 이 정착지를 방문했을 수도 있다.[9] 그러나 로마인들은 3세기 위기 동안 몇십 년 후에 이 지역에서 철수했다.

6세기 동안, 인구가 비잔틴 제국 선교사들에 의해 기독교로 개종된 후, 한 주교가 이 오아시스에 살았다. 이곳은 무슬림 마그레브 정복 때까지 도나투스파 이단의 요새가 되었다.

7세기 후반, 가다메스는 무슬림 아랍인에 의해 통치되었다. 인구는 빠르게 이슬람교로 개종했고, 가다메스는 19세기까지 사하라 횡단 무역의 기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2세기 지리학자 아부 하미드 알-가르나티는 가다미스를 수단 (즉, 흑인의 나라)의 국가에 포함시켰는데, 사드는 가다미스가 항상 팀북투에 그를 대표하는 정착민을 두었기 때문에 이 가설을 가능하다고 여긴다.[10]

4. 2. 중세

고대 로마 시대에는 키다무스(Cydamus)라는 명칭으로 알려졌으며, 당시 마을에는 군대가 주둔하기도 했다.[1] 6세기에는 비잔틴 제국의 개입으로 주민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면서 주교가 마을에 거주했다.[1] 그러나 7세기에 무슬림에게 점령당하면서 주민들은 곧바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1]

19세기까지 사하라 사막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4. 3. 근현대

1911년 10월, 이탈리아-투르크 전쟁 발발 직후, 가다메스는 트리폴리에서 진군한 이탈리아 군인들에게 점령되었다. 그러나 이탈리아의 도시 지배는 1915년 6월까지 여러 차례 중단되었는데, 이 시기 리비아 전역에서 일어난 봉기로 인해 이탈리아 주둔군은 가다메스에서 트리폴리 요새로 후퇴했다. 1918년 12월에 도시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게 되었지만, 페잔 전역의 반란으로 인해 가다메스는 1923년까지 비상 상태에 놓였다.

1943년, 자유 프랑스군은 이전 이탈리아 식민지 리비아 남부 지역의 가다메스 및 그 주변 지역을 점령하여 1951년 리비아 독립 전까지 페잔-가다메스 군사령부를 구성했다. 이 기간 동안 가다메스는 이 지역의 수도가 되었다.

1970년대에 정부는 구시가지 외부에 새로운 집들을 건설했다. 그러나 많은 주민들은 여름 동안 구시가지로 돌아가는데, 이는 구시가지의 건축 양식이 더위로부터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같은 시기에, 영화 감독 무스타파 아카드는 이슬람 서사 드라마 영화인 ''메시지''에서 메디나의 실내 장면 촬영지로 가다메스를 선택했다.

리비아 내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군은 2011년 8월 30일 이 도시로 진입했는데, 그 도시는 분쟁 시작부터 과도국가위원회 군대의 포위 공격을 받고 있었다. 2011년까지 이 도시는 독립 투아레그 군대의 통제를 받았다.[11] 리비아 국민군에게 점령된 후, 전체 투아레그 공동체는 민족 청소 행위로 인해 도망쳐야 했다.[12][13]

4. 4. 리비아 내전과 그 이후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위원회군은 2011년 8월 30일 가다메스로 진입했다. 이 도시는 분쟁 초기부터 과도국가위원회 군대의 포위 공격을 받고 있었다. 2011년까지 이 도시는 독립 투아레그 군대의 통제를 받았다.[11] 리비아 국민군에게 점령된 후, 투아레그 공동체 전체는 민족 청소 행위로 인해 도망쳐야 했다.[12][13]

5. 가다메스 구시가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1986년에 등재된 가다메스 구시가지는 1990년대에 주민들이 떠나면서 유지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낡은 건물들이 붕괴될 위험에 처해졌다.[14]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피해와 추가 피해 위협 때문에, 2016년부터 리비아의 다른 4곳과 함께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5]

5. 1. 세계유산 등재 기준

가다메스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기준 5:''' 전통적인 정착지, 토지 이용 또는 해상 이용의 모범이며, 또는 그것이 취약한 환경의 인간 상호 작용의 모범이 되는 탁월한 사례. 특히 불가역적인 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멸망할 위기에 처했을 때.

5. 2.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1986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가다메스 구시가지는 1990년대에 주민들이 떠나면서 유지 보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낡은 건물들이 붕괴될 위험에 처해졌다.[14] 이곳은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피해와 추가 피해 위협 때문에, 2016년부터 리비아의 다른 4곳과 함께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5]

2016년 제40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리비아 국내의 충돌로 인한 훼손 및 앞으로 발생할 추가적인 훼손에 대한 우려로, 본 유산을 포함하여 그 시점에 등록된 리비아의 세계유산 5건 모두가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17]

참조

[1] 웹사이트 Der Spiegel http://www.spiegel.d[...] 2014-10-06
[2] 웹사이트 Wolfram-Alpha: Making the world's knowledge computable http://www.wolframal[...]
[3] 웹사이트 Old Town of Ghadamès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Whc.unesco.org 2018-05-26
[4] 웹사이트 Old Town of Ghadamès –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6-07-20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12-19
[6] 웹사이트 Klimatafel von Ghadames / Liby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3-27
[7] 웹사이트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s://web.archive.[...] Springer 2016-03-27
[8] 웹사이트 Ghadames (Ghudamis), Cydamus: the Pearl of The Libyan Sahara http://www.temehu.co[...] Temehu
[9]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Routledge 2000
[10] 서적 Social History of Timbuktu: The Role of Muslim Scholars and Notables 1400–19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뉴스 Libya: what about the south?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8-24
[12] 웹사이트 Libyan Tuaregs Flee to Algeria Amid Reports of Ethnic Cleansing https://web.archive.[...] 2017-10-17
[13] 웹사이트 Libyan Tuareg face reprisals https://www.bbc.com/[...] 2011-09-18
[14] 간행물 The World Heritage Newsletter, No.9, December 1995 1995-12
[15] 웹사이트 Libya's five World Heritage sites put on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s://whc.unesco.o[...]
[16] 웹사이트 Old Town of Ghadamès https://whc.unesco.o[...] 2023-04-27
[17] 웹사이트 Libya’s five World Heritage sites put on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whc.unesco.or[...] null
[18] 웹인용 Climatological Information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12-19
[19] 웹인용 Klimatafel von Ghadames / Liby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03-27
[20] 웹인용 Appendix I: Meteorological Data http://extras.spring[...] Springer 2016-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