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단 (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단은 아랍어로 "검은 사람"을 의미하며, 북아프리카 아랍인들이 흑인 거주 지역을 지칭하는 지리적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서아프리카 일대를 포괄하며, 역사적으로 가나, 말리, 송가이 제국 등 고대 왕국들이 번성했던 지역이다.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과 노예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19세기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로 프랑스령 수단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수단 공화국과 남수단 공화국, 그리고 주변 국가들을 포함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열대·아열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클리퍼턴섬
    클리퍼턴섬은 멕시코 남서쪽 태평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환초 섬으로, 독특한 담수 석호와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지만 환경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과거 영유권 분쟁을 겪은 바 있다.
  • 열대·아열대 초원·사바나·관목지 - 사헬
    사헬은 사하라 사막 남쪽에 위치한 열대 반건조 지역으로, 아카시아 사바나 지형을 특징으로 하며 급격한 인구 증가, 사막화, 가뭄, 테러 등으로 환경 및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여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아프리카의 지역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아프리카의 지역 - 다르푸르
    수단 서부에 위치한 광대한 고원 지대인 다르푸르는 마라 산맥과 데리바 분화구를 중심으로 농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거주하며, 왕국들의 역사와 분쟁을 거쳐 현재는 5개 주로 나뉘어 다르푸르 지역 정부가 운영되고 있다.
수단 (지역)
지리
감비아 북부의 탁 트인 건초 풍경
감비아 북부의 탁 트인 건초 풍경
위치사하라 사막 이남
차리 강
니제르 강
백나일
생물지리학적 영역해당 없음
기후해당 없음
토양해당 없음
면적해당 없음
고도해당 없음
좌표해당 없음
지질해당 없음
해안해당 없음
국경사하라 사막
일반 정보
명칭 (아랍어)(빌라드 앗-수단)
(아르드 앗-수단)
의미검은 피부의 사람들의 땅
생태
주요 생태 지역서수단 사바나
동물해당 없음
조류 종해당 없음
포유류 종해당 없음
서식지 손실해당 없음
보호 구역해당 없음
기타
국가해당 없음
국가들해당 없음
해당 없음
지역 유형해당 없음
보존 상태해당 없음
글로벌 200해당 없음
포함 지역해당 없음

2. 지리적 범위

지리 개념으로서의 "수단"은 السودان|아랍어ar로 "검은 사람"을 의미하는 al-Sūdān에서 유래한다. 이 경우의 "수단"은 북아프리카의 아랍인들이 볼 때 남쪽에 거주하는 흑인의 거주 지역, 즉 Bilād al-Sūdān "수단(검은 사람)이 사는 땅"이라고 불려 온 지역을 가리킨다고 생각해도 좋다.

즉, "사하라 사막 너머에 펼쳐진 수단인들이 사는 대상 무역으로 번영한 풍요로운 지역"이라는 이미지로 여겨져 온 지역이며, 아프리카의 기니만 이남 지역은 지리 개념으로서의 "수단"에는 막연하게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2]

3. 역사

일부 현대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모든 지역 중 서수단은 "농업, 시장과 장거리 무역, 그리고 복잡한 정치 시스템이 가장 오랫동안 발전한 지역"이며,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 중 "아프리카 이슬람이 뿌리를 내리고 번영한 최초의 지역"이다.[2]

수단이라 불린 지역에는 많은 고대 왕국이 흥망했다. 서쪽에는 와가두, 만데족 지역, 송가이 제국, 모시족 지역이 있었다.[4][5]

3. 1. 중세 시대

8세기~11세기 니제르강 연안의 가나 왕국은 사하라 횡단 무역(사하라 교역)의 중계지로 번영했고, 14세기~15세기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가오 제국, 1464년~1590년)도 번영했다.[4][5] 같은 시기 중부 수단·차드 호 북안에는 카네무-보르누 제국이 번영했다.

이들 수단 왕국의 번영은 북아프리카의 아랍 상인이나 이슬람 왕조의 부러움을 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질투를 불러일으켰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1077년 가나 왕국은 모로코의 알모라비드 왕조에 의해 멸망했고, 1590년 송가이 제국은 모로코의 사아디 왕조에 의해 공격받아 멸망했다.

수단의 중세 역사는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Trans-Saharan trade)으로 특징지어진다.[3] 동수단에는 다르푸르 술탄국, 바기르미 술탄국, 세나르 술탄국, 와다이 술탄국이 있었다. 중부 수단에는 카넴-보르누 제국과 하우사 왕국이 있었다.

3. 2. 노예 무역

1천년기 초, 수단의 많은 사람들이 사하라 횡단 노예 무역을 통해 지중해 세계로 팔려나갔다. 15세기 포르투갈 제국의 등장으로 대서양 노예 무역이 활발해졌으며, 사하라 노예 무역은 1000년 이상, 대서양 노예 무역은 400년 동안 이어졌다. 그 결과, 노예 제도는 수단의 제도와 사회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포르투갈인들은 세네감비아에 처음 도착했을 때 노예 제도가 이미 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고, 연안 왕국의 궁정을 비롯하여 내륙의 중세 제국에서도 이용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포획, 노예화, 그리고 새로운 공동체로의 편입 과정에서 노예는 어떠한 권리나 사회적 정체성도 가지지 못했다. 따라서 노예로 팔린 사람들의 정체성은 대개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집단 구성원 자격에서 비롯되었다.[6]

3. 3. 근대

아프리카 분할서아프리카의 넓은 부분이 프랑스령이 되자, 그 일부가 '''프랑스령 수단'''이라 불리게 되었다. 1960년 4월, 말리 연방이 독립하면서 "프랑스령 수단"은 소멸했다.

현대에 "수단"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중세부터 근대에 걸쳐 "수단"이라고 불렸던 지역의 동부(지도의 하늘색 부분의 동쪽)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1899년부터 1955년 말까지 영국이집트가 공동 통치하는 '''영국-이집트 수단'''이었지만, 1956년 1월 1일에 독립하여 '''수단 공화국'''이 되었다. 2011년, 수단 공화국에 포함되어 있던 남부 10개 주가 주민투표를 거쳐 분리·독립하여 '''남수단 공화국'''이 되었다.

4. 현대의 수단

현대에 "수단"이라고 불리는 지역은 중세부터 근대에 걸쳐 "수단"이라고 불렸던 지역의 동부(지도의 하늘색 부분의 동쪽)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1899년부터 1955년 말까지 영국이집트가 공동 통치하는 '''영국-이집트 수단'''이었다. 1956년 1월 1일 영국-이집트 수단은 독립하여 '''수단 공화국'''이 되었으나, 2011년 남부 10개 주가 주민투표를 거쳐 남수단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남수단 독립 후, 기존의 수단 공화국을 "북수단"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지만, 남북 관계를 나타내는 경우 외에는 "북"을 붙이지 않고 "수단"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4. 1. 현대 국가

현대에는 여러 국가가 수단 지역에 걸쳐 있다.

동부 수단서부 수단


4. 1. 1. 동부 수단

4. 1. 2. 서부 수단

참조

[1] 간행물 Numen EJ Brill
[2] 서적 Klein 1998
[3]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IX
[4]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and Culture, volume II New York: Facts on File, 2005
[5] 서적 New Encyclopedia of Africa, volume 4 Farmington Hills
[6] 서적 Klein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