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라일리우스는 기원전 210년부터 기원전 202년까지 활동한 로마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다. 그는 이베리아 원정에서 스키피오의 부사령관으로 활약하며 카르타고 노바 점령, 바에쿨라 전투, 일리파 전투 등에 참여했다. 이후 아프리카 원정에 동행하여 자마 전투에서 로마 기병대를 지휘하며 승리에 기여했다. 정치적으로는 퀘스토르, 아이딜리, 프라이토르를 역임했으며, 갈리아 지역을 통치하고 식민 도시 건설에 기여했다. 외교 활동으로는 페르세우스 왕과 갈리아 왕에게 사절로 파견되었고, 작가 폴리비우스에게 스키피오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그의 아들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사피엔스 또한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라일리우스는 기원전 16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로마인 -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는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을 격파하고 아프리카에서 로마의 세력을 확장한 고대 로마의 장군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말년에는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 기원전 2세기 로마인 -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쿠스' 칭호를 얻었지만 에피루스 약탈로 비판받기도 하며 로마의 영웅적, 제국주의적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는 인물이다. - 로마 공화국의 법무관 - 퀸투스 세르토리우스
퀸투스 세르토리우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술라 내전에서 마리우스파에 가담해 술라에 맞섰고, 히스파니아에서 반란을 일으켜 폼페이우스와 메텔루스를 상대로 게릴라전을 펼쳤으나 부하에게 암살당했다. - 로마 공화국의 법무관 -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승리하여 '마케도니쿠스' 칭호를 얻었지만 에피루스 약탈로 비판받기도 하며 로마의 영웅적, 제국주의적 면모를 동시에 보여주는 인물이다. - 히스파니아 총독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히스파니아 총독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몰락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유구르타 전쟁과 동맹시 전쟁에서 공훈을 세워 기원전 88년 집정관에 선출되었고, 미트라다테스 6세와의 전쟁 지휘권을 두고 마리우스와 대립하며 로마를 장악, 숙청을 단행하고 독재관으로 공화정 개혁을 시도하여 로마 공화정 쇠퇴와 제정 이행에 큰 영향을 미친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 |
---|---|
인물 정보 | |
이름 |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
로마자 표기 | Gaius Laelius |
상세 정보 | |
출생 | 알 수 없음 |
사망 | 알 수 없음 |
출신 계급 | 평민 |
씨족 | 라일리우스 씨족 |
경력 | |
레가투스 | 기원전 209년 |
분견대 사령관 | 기원전 209년 |
레가투스 | 기원전 206년 |
분견대 사령관 | 기원전 205년-204년 |
레가투스 | 기원전 204년-203년 |
재무관 | 기원전 202년 |
평민 조영관 | 기원전 197년 |
법무관 | 기원전 196년 |
집정관 | 기원전 190년 |
전직 집정관 | 기원전 189년 |
레가투스 | 기원전 174년-173년, 170년 |
2. 군사 경력
라일리우스는 스키피오의 부하로서 오랜 기간 군사 경력을 쌓았다. 특히 히스파니아 원정과 아프리카 원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210년부터 기원전 206년까지 진행된 히스파니아 원정에서 라일리우스는 함대를 지휘하고, 카르타고 신 시(현재의 카르타헤나) 공격에 참여하여 승전 소식을 로마에 전달했다.[12] 기원전 208년 바에쿨라 전투에서는 군대의 좌익을 지휘하여 하스드루발의 우익을 공격했다. 또한, 외교 사절로 파견되어 슈팍스와 협상을 시도하기도 했다.[12] 카르테이아 전투에서는 카르타고 함대를 격파했으며, 병사들의 반란과 지역 부족들의 반란 진압에도 참여했다.
기원전 205년부터 기원전 202년까지 이어진 아프리카 원정에서 라일리우스는 시칠리아에서 스키피오의 아프리카 침공 준비를 도왔다. 북아프리카 정탐 임무를 수행하고, 마시니사와 협력하여 스키피오의 침공을 지원했다.[4] 우티카 전투에서는 카르타고 진영에 불을 질렀으며,[4] 기원전 203년에는 시팍스를 생포하고 주요 인물들을 로마로 압송했다.[5] 기원전 202년 자마 전투에서는 기병대를 지휘하여 스키피오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7]
2. 1. 히스파니아 원정 (기원전 210년 ~ 기원전 206년)
기원전 210년, 스키피오가 히스파니아의 카르타고 노바를 공격할 때, 라일리우스는 함대를 지휘하며 프라이펙투스(분함대 사령관)로서 참가했다.[12] 그는 포로와 함께 로마로 귀환하여 원로원에 승전 보고를 했다.[12]기원전 209년 카르타고 신(현재의 카르타헤나)을 공격할 때 30척의 함대를 지휘했고, 점령 후에는 중요한 인질들을 관리했다. 스키피오는 이 승전 소식을 전하기 위해 5단 노선 갤리선에 그를 로마로 보냈다. 원로원은 라일리우스에게 스키피오에 대한 추가 명령을 내렸고, 라일리우스는 타라코에서 이 명령들을 스키피오에게 전달했다.
기원전 208년 바에쿨라 전투에서 군대의 좌익을 지휘하며 하스드루발의 우익을 공격했다.
기원전 206년, 스키피오는 아프리카 여러 민족과의 외교관계 수립을 위해 카르타고와 동맹 관계에 있던 슈팍스에게 라일리우스를 사자로 파견했다. 슈팍스는 로마와의 우호 관계에는 동의했지만, 조약 체결은 집정관 입회 하에 하고 싶다고 하여 라일리우스는 안전 통행권만 확보하고 돌아왔다.[12]
같은 해 일리파 전투 직후, 라일리우스는 시팍스에게 로마와의 동맹을 갱신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가데스(현재의 카디스)가 카르타고 지배에 불만을 품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스키피오는 라일리우스를 해상으로 보내 도시를 점령하게 했다. 가는 길에 도시의 배신자들이 체포되었지만, 아프리카로 추방될 함대는 라일리우스에 의해 카르테이아 전투에서 격파되었다.
이후 로마군은 병사들의 반란과 지역 부족들의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라일리우스는 스키피오가 일르게테족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진군할 때 기병대를 지휘했다.
2. 2. 아프리카 원정 (기원전 204년 ~ 기원전 202년)
기원전 205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집정관 임기를 시작하면서, 라일리우스는 스키피오와 함께 시칠리아로 갔다. 그곳에서 스키피오가 아프리카 침공을 준비하는 동안, 라일리우스는 북아프리카로 원정을 떠나 상황을 정탐했다.[4] 이 원정에서 마시니사가 라일리우스를 찾아와 자신의 상황을 알리고, 스키피오에게 침공의 긴급성을 전달했으며, 이 습격은 히포 레기우스 지역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기원전 204년, 스키피오는 아프리카 침공 준비를 마쳤다. 로마군은 우티카 전투에서 연합군 진영을 공격했고, 스키피오와 라일리우스는 카르타고 진영에 불을 질렀다.[4]
기원전 203년, 라일리우스는 시팍스를 격파하고 키르타를 점령하여 그를 생포했다. 라일리우스는 포로로 잡힌 시팍스와 그의 아들 베르미나, 그리고 주요 인물들을 로마로 압송했다.[5]
기원전 202년, 자마 전투에서 라일리우스는 기병대를 지휘하여 큰 공을 세웠다.[6] 라일리우스의 기병대는 좌익에, 마시니사의 기병대는 우익에 배치되었다.[6] 결정적인 순간에 라일리우스의 기병대가 카르타고군을 뒤에서 공격하여 스키피오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
3. 정치 경력
라일리우스는 기원전 202년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결정적인 승리 이후 퀘스토르(재무관)로 선출되었다.[8] 기원전 197년에는 평민 아이딜리(조영관)로 선출되었고, 동료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와 함께 루디(축제)를 7번 개최하고, 그 수익으로 케레스, 리베르, 리베라의 동상을 세웠다.[21] 기원전 196년에는 프라이토르(법무관)로 선출되어 시칠리아를 담당했는데, 두 번 모두 이전 지휘관이자 오랜 친구였던 스키피오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8] 그러나 스키피오의 영향력은 라일리우스가 기원전 192년에 집정관직을 얻는 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8]
기원전 190년, 마침내 그는 스키피오의 동생인 스키피오 아시아티쿠스와 함께 집정관으로 선출되었지만, 안티오코스 3세에 대한 원정 지휘권을 얻는 데는 실패했다. 두 집정관 모두 그리스로의 부임을 원했고, 투표나 동의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고 정해졌지만, 라일리우스는 원로원에서 큰 영향력을 갖게 되었고, 원로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제안했다. 동료인 아시아티쿠스는 이에 동의했지만, 형인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동생에게 그리스를 맡겨준다면 자신이 그 밑에 따르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에, 만장일치로 아시아티쿠스가 그리스 담당이 되었고, 라일리우스는 이탈리아 담당이 되었다.[23]
그는 갈리아를 속주로 받았으며, 최근 정복한 지역인 알프스 이남 갈리아를 조직하는 데 투입되었다. 피아첸차와 크레모나에서는 잦은 전쟁과 인근 갈리아인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는 호소가 있었고, 라일리우스의 승인을 얻은 후 6000명을 식민하는 것이 결정되었다.[24] 피아첸차와 크레모나가 재건되었다. 다음 해의 집정관 선거가 다가오자 라일리우스는 갈리아에서 돌아와, 식민시로의 입주자를 등록하고, 또한 보이족의 땅에 두 개의 식민시를 건설하는 법안을 제출했다.[25] 다음 해인 기원전 189년에도 임페리움이 연장되어 갈리아로 파견되었다.[26]
4. 외교 활동
기원전 174년, 마시니사로부터 페르세우스 (마케도니아 왕)가 카르타고와 사신을 주고받고 있다는 정보가 전해지자, 로마는 페르세우스에게 3명의 사절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라일리우스는 마르쿠스 메살라 등과 함께 이 사절로 선택되었다.[27] 다음 해에 귀국한 그들은 페르세우스가 병을 핑계로 면회조차 거부했다고 보고하여 전쟁이 임박했다고 여겨졌다.[28]
기원전 170년, 전년도 집정관 가이우스 롱기누스가 행한 약탈에 대해 갈리아 왕 Cincibilus|킨키빌루스de가 항의했기 때문에, 원로는 롱기누스가 귀국 후 조사하기로 결정하고, 라일리우스와 마르쿠스 레피두스는 선물을 가지고 그 사실을 전하는 사절로 선택되었다.[29]
5. 말년과 유산
다른 은퇴한 로마 장군들처럼, 라일리우스는 훗날 마케도니아의 페르세우스 왕(기원전 174-173년)과 트란스알피나 갈리아(기원전 170년)에 파견되는 사절단으로 활동했다.[9]
라일리우스의 아내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원전 188년경, 그는 기원전 140년에 집정관이 되는 적자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사피엔스를 두었다. 그의 아들은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와의 관계는 여러 면에서 라일리우스 (대)가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와의 우정을 반영하는 것이었는데, 라일리우스 (소)는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아에밀리아누스의 부하로 싸웠고, 스키피오 서클의 일원으로서 그의 정치적 동맹이자 의뢰인이었다.
기원전 160년, 노년의 라일리우스(아마 당시 70대 중반)는 로마에서 작가 폴리비우스를 만났으며,[10] 그의 말년에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에 대한 많은 직접적인 정보를 그에게 제공했다.[11] 폴리비우스는 스키피오의 처남 루키우스 아에밀리우스 파울루스 마케도니쿠스 (기원전 160년에 갑자기 사망)의 의뢰인이었고, 그의 두 아들, 특히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 (아프리카누스의 양손자)와 친구가 되었다.
라일리우스는 기원전 160년 이후 몇 년 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의 사망 연도는 리비우스도 폴리비우스도 언급하지 않았다.
기원전 174년, 페르세우스 (마케도니아 왕)가 카르타고와 사신을 주고받고 있다는 정보가 마시니사로부터 전해지자, 로마는 페르세우스에게 3명의 사자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라일리우스는 마르쿠스 메살라 등과 함께 이 사절로 선택되었다.[27] 다음 해에 귀국한 그들은 페르세우스가 병을 핑계로 면회조차 거부했다고 보고하여 전쟁이 임박했다고 여겨졌다.[28]
기원전 170년, 전년도 집정관 가이우스 롱기누스가 행한 약탈에 대해 갈리아 왕 Cincibilus|킨키빌루스de가 항의했기 때문에, 원로는 롱기누스가 귀국 후 조사하기로 결정하고, 라일리우스와 마르쿠스 레피두스는 선물을 가지고 그 사실을 전하는 사절로 선택되었다.[29]
그의 아들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사피엔스는 소(小) 스키피오의 친우로서 집정관 취임 등 공적을 남겼다.
6. 대중문화
가이우스 라일리우스는 로마 역사에서 비중이 크지 않은 인물이기에, 미디어에서 자주 다뤄지지는 않는다. 게오르크 헨델의 오페라 ''스키피오''는 '스키피오의 절제'라는 낭만적인 일화를 다룬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오페라에서 라일리우스(이탈리아어로는 '렐리오')는 역사 속 스키피오의 부관 역할 외에도, 이베리아 공주 베레니체와 그의 친구 사이를 중개하고, 자신만의 로맨스를 펼치기도 한다.
최근에는 로스 레키의 ''스키피오''에서 꽤 비중 있는 역할을 맡았고, 데이비드 앤서니 더럼의 ''카르타고의 자부심''에서도 작은 역할이지만 다른 로마 등장인물에 비하면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에릭 'B' 하트만이 자비 출판한 책 ''황제: 이탈리아''는 3부작 또는 연작의 일부로 보이며, 라일리우스가 제2차 포에니 전쟁의 사건들을 기록하는 두 번째 화자로 등장하여, 첫 번째 화자인 폴리비우스와 대화(혹은 회상)를 나눈다. 폴리비우스는 자신의 이름을 딴 ''역사서''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ies of Polybi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07-04-23
[2]
웹사이트
Livy, Book 23, Periochae
www.livius.org/li-ln[...]
[3]
문서
[4]
서적
The Histories of Polybi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07-05-20
[5]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07-05-20
[6]
서적
The Histories of Polybi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07-04-23
[7]
웹사이트
Zama: The Infantry Battle Revisited
http://www.akinde.dk[...]
2005-06
[8]
웹사이트
Scipio_Africanus_:_Princeps_(200_-_190_BCE)
http://www.akinde.dk[...]
2007-04-23
[9]
서적
Livy
[10]
백과사전
Gaius Laelius
http://www.britannic[...]
2007-04-23
[11]
서적
The Histories of Polybiu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edition
2007-04-23
[12]
서적
ローマ建国史
[13]
서적
ローマ建国史
[14]
서적
ローマ建国史
[15]
서적
ローマ建国史
[16]
서적
ローマ建国史
[17]
서적
Strategemata
[18]
서적
歴史 (ポリュビオス)
[19]
서적
ローマ建国史
[20]
서적
Strategemata
[21]
서적
ローマ建国史
[22]
서적
ローマ建国史
[23]
서적
ローマ建国史
[24]
서적
ローマ建国史
[25]
서적
ローマ建国史
[26]
서적
ローマ建国史
[27]
서적
ローマ建国史
[28]
서적
ローマ建国史
[29]
서적
ローマ建国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