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로마 시대의 작가로,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다양한 분야의 저술 활동을 했으나, 현존하는 작품은 《신화집》과 《천문시》 두 가지이다. 《신화집》은 그리스 신화와 천상 계보를 담고 있으며, 《천문시》는 별자리와 관련된 신화를 다룬다. 그의 저작은 현대에도 연구 자료로 활용되며, 달의 히기누스 크레이터와 소행성 12155 히기누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생애

히기누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일설에 따르면 출생지는 스페인 또는 알렉산드리아로 여겨진다.[1] 그는 노예 신분으로 로마로 끌려와 알렉산데르 폴리히스토르의 강의를 들었고, 이후 노예에서 해방되었다.[1]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팔라티누스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었다.[1] 그는 시인 오비디우스와 친분이 있었으나, 황제의 미움을 사 빈곤한 생활을 하다가 Gaius Clodius Licinus|클라우디우스 리키니우스영어의 도움을 받았다.[1]

3. 작품

히기누스는 지형학, 전기, 헬비우스 친나와 베르길리우스 시에 대한 주석, 농업 및 양봉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 활동을 했으나, 원본은 모두 소실되었다. 현존하는 저작은 《신화집(Fabulae)》과 《천문시(De astronomia 또는 Poeticon Astronomicon)》 두 가지이며, 히기누스의 원전을 요약한 학생의 필기 노트로 추정된다.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에 대한 ''주석''도 히기누스의 자료에 포함되어 있다.[9] 일각에서는 현존하는 두 저작의 저자가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와 동명이인일 가능성을 제기한다.[11]

3. 1. 신화집 (Fabulae)

야코프 미키루스가 부주의하고 비판 없이[5] 필사하여 1535년에 최초로 인쇄된, 프라이징 수도원[4]에서 발견된 서기 900년경의 베네벤토 서체로 쓰인 단 하나의 필사본을 바탕으로 한다. 미키루스는 《Fabulae》라는 제목을 붙였다.[6] 약 300편의 매우 짧고 평이하며 조잡하게 묘사된 신화(아그노디케 등)와 천상 계보를 담고 있다.[2]

현대 편집자 H. J. 로즈는 이 책의 저자를 "무지한 청년, 반쯤 배운, 멍청이"(''adulescentem imperitum, semidoctum, stultum'')로 혹평했지만, 현재는 유실된 그리스 비극 작가들의 작품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12] 아서 L. 키스는 H. J. 로즈의 《히기누스 파불라에(Hygini Fabulae)》 1934년판을 검토하면서[3] "아이스킬로스의 많은 희곡, 리비우스의 역사 대부분, 그리고 다른 값을 매길 수 없는 보물들이 사라지게 하고, 이 학동의 연습작이 살아남아 학문적 노력의 ''pabulum''이 되게 한 운명의 변덕에" 의문을 제기했다.

《파불라에(Fabulae)》의 원본은 거의 유실되었는데, 인쇄 과정에서 15세기와 16세기에 인쇄된 필사본이 인쇄소에서의 취급을 견디고 살아남는 경우가 거의 없었던 일반적인 관례에 따라, 필사본은 찢겨졌다. 그중 단 두 개의 작은 조각만이 책 제본의 보강재로 발견되었다.[7] 5세기에 쓰인 또 다른 단편 텍스트는 바티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8]

1864년 레겐스부르크와 1942년 뮌헨에서 두 개의 단편이 발견되어[15] 뮌헨에 보존되어 있으며, 바티칸 도서관에는 15세기에 필사된 불완전한 텍스트가 있다.

3. 2. 천문시 (De astronomia 또는 Poeticon Astronomicon)

에르하르트 라트돌트가 1482년 베네치아에서 《Clarissimi uiri Hyginii Poeticon astronomicon opus utilissimum|가장 유명한 히기누스의 시적 천문학, 매우 유용한 작품la》이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판했다. 이 책은 주로 별자리와 관련된 신화를 다루며,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10]

《신화집》과 마찬가지로 요약본 형태로 전해진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11판에 따르면, 문체, 라틴어 수준, 초보적인 실수(특히 그리스어 번역) 등으로 인해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별 목록이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와 동일한 순서로 되어 있어, 2세기경에 편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

라트돌트 판 《천문시》. 목판화는 카시오페이아자리안드로메다자리. 미국 해군 천문대 소장

4. 유산

달의 히기누스 크레이터와 소행성 12155 히기누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영국의 작가 토머스 브라운은 그의 저서 ''키루스의 정원''(1658)을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서 유래한 창조 신화로 시작한다.

히기누스의 저작은 대한민국에서 고대 그리스 로마 신화 연구 및 번역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히기누스 『그리스 신화집』 (마츠다 오사무・아오야마 테루오 역, 고단샤 학술 문고, 2005년 2월) ISBN 978-4061596955
  • 히기누스 『신화 전설집』 (고노치 마사히로 역, 교토 대학 학술 출판회〈서양 고전 총서〉, 2021년 1월) ISBN 978-4814002825

참조

[1] 논문 Not everyone is sure that the Hyginus of ''Fabulae'' was this freedman of Augustus; for one, Edward Fitch, reviewing Herbert J. Rose, ''Hygini Fabulae'' in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1935
[2] 논문 "the ''Fabulae'' (more correctly ''Genealogiae'') of Hyginus", according to H. J. Rose, "Second Thoughts on Hyginus" 1958
[3] 논문 A.L. Keith, in ''The Classical Journal'' 1935-10
[4] 서적 A ''Codex Freisingensis'', noted by Fitch, reviewing Rose, ''Hygini Fabulae'' 1934
[5] 논문 A. H. F. Griffin, "Hyginus, Fabula 89 (Laomedon)" 1986
[6] 문서 Smith, p. 100.
[7] 서적 One was discovered at Regensburg in 1864, another in Munich, 1942. Both fragments are conserved in Munich. See M.D. Reeve on Hyginus, Fabulae in L.D. Reynolds, ed., Texts and Transmission Oxford 1983
[8] 웹사이트 Review by Wilfred E. Major of P.K. Marshall, ''Hyginus: Fabulae. Editio altera.'' 2002 http://ccat.sas.upen[...]
[9] 문서 Noted by Rose 1958:42 note 3.
[10] 웹사이트 Julius Hyginus Poeticon Astronomicon https://www.theiet.o[...] 2019-01-18
[11] 논문 Edward Fitch, reviewing H. I. Rose,Hygini Fabulae in The American Journal of Philology 56,4 (1935), p 422. 1935
[12] 문서 H.I. Rose 1934 1934
[13] 논문 Arthur L. Keith, reviewing H. I. Rose Hygini Fabulae 1934 in The Classical Journal 31.1 (October 1935) p. 53。「[[アイスキュロス]]の多数の劇、[[ティトゥス・リウィウス|リウィウス]]の歴史の大部分など値段もつけられない消えてなくなった財宝を与えられた幸運の一方で、この学生の勉強は研究者の努力の精神的な糧となるべく存在する」。 1935-10
[14] 서적 A Codex Freisingensis, noted by Fitch, reviewing Rose, Hygini Fabulae 1934:421. 1934
[15] 서적 M.D. Reeve on Hyginus, Fabulae in L.D. Reynolds, ed., Texts and Transmission (Oxford) 1983, pp 189f. Oxford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