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는 기원전 3세기에 활동한 시인이자 학자이다. 그는 알렉산드리아 출신이거나 나우크라티스 출신으로, 칼리마쿠스의 제자였으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을 역임했다. 대표작으로는 서사시 《아르고나우티카》가 있으며, 이 작품은 호메로스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헬레니즘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는 헬레니즘 시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베르길리우스에게 영향을 주었다.

2. 생애

아폴로니오스의 생애에 대한 정보는 주로 다음 네 가지 사료에서 얻을 수 있다.


  • 『아폴로니오스의 생애』라는 제목으로 발견된 두 텍스트 (『생애(1)』, 『생애(2)』)
  • 10세기의 백과사전인 수다 사전
  • 기원전 2세기의 옥시린쿠스 파피루스 1241. 여기에는 복수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 이름 중에 아폴로니오스의 이름이 나온다. 이 파피루스는 아폴로니오스가 살았던 시대와 가깝기 때문에 다른 문헌보다 정보의 비중이 크다.


그 외의 여러 텍스트에서도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아폴로니오스의 아버지 이름은 실레우스(Silleus) 또는 일레우스(Illeus)로 기록되어 있는데, 두 이름 모두 매우 희귀하며(단 한 번 나타남), 풍자를 뜻하는 σίλλοςgr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5] 그의 어머니 이름은 "로데"(Rhodē)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로도스 여성"을 의미하며 아폴로니오스의 별칭인 "로도스인"을 설명하기 위한 후대의 창작일 가능성이 높다. 『전기』, 『수다 사전』,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그가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라고 전한다.[6] 반면 아테나이오스와 아일리안은 그가 알렉산드리아에서 남쪽으로 약 70km 떨어진 나일강 변의 나우크라티스 출신이라고 주장한다.[7] 그의 출생 연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Ἀπολλώνιος ὁ Ῥόδιοςgrc에 대한 고대 기록과 《수다 사전》에서는 그가 칼리마코스의 제자(μαθητὴς)였다고 전한다.[8] 그러나 '문법학자 아폴로니오스'의 작품으로 알려진 《그리스 선집》에 실린 경구는 칼리마코스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두 사람 사이에 문학적 갈등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6]

:Καλλίμαχος, τὸ κάθαρμα, τὸ παίγνιον, ὁ ξυλινὸς νοῦς, αἴτιος, ὁ γράψας Αἴτια Καλλιμάχου.grc

:[17](번역: 칼리마코스, 그 쓰레기, 그 장난감, 그 마호가니 머리, 그 자신이 원인, ''원인''을 쓴 칼리마코스.)

칼리마코스의 시 ''이비스''(현재 전해지지 않음)가 아폴로니오스를 대상으로 한 논쟁적인 작품이라는 고대 기록도 존재한다.[18] 이러한 증거들을 바탕으로 두 사람 사이에 격렬한 문학적 불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폴로니오스의 《생애》에서는 두 시인의 우정을 강조하며, 심지어 함께 묻혔다고까지 전하고 있다.[19] 또한 칼리마코스의 ''이비스''는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쓰여졌기 때문에, 그 대상이 아폴로니오스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지만, 갈등이 있었다 하더라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우세하다.[19]

아폴로니오스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을 역임했다는 기록이 있다. 관련 기록은 두 번째 『전기』, 『수다 사전』, P.Oxy. 1241에서 찾아볼 수 있다.[11] P.Oxy. 1241에는 아폴로니오스가 에라토스테네스에게 도서관장 자리를 물려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가 에라토스테네스를 등용했고, 프톨레마이오스 3세의 즉위 시기가 기원전 247/246년이므로, 아폴로니오스가 도서관장직을 맡은 시기는 그 이후로 추정된다.[10]

아폴로니오스의 제자였을 수 있는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의 모습을 담은 동전


다만, P.Oxy. 1241의 연대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기원전 283년 사망)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기원전 210년 출생) 아래에 아폴로니오스를 나열하고 있어 혼란이 있다. 『수다 사전』은 아폴로니오스가 에라토스테네스의 후임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역시 다른 증거들과 맞지 않는다.[11]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의 뒤를 이은 "에이도그래퍼"(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라는 또 다른 아폴로니오스가 있었기 때문에 혼동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

아폴로니오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도스 섬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로도스의"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13] 수다 사전과 『생애』에서는 아폴로니오스가 로도스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다고 전한다. 그러나 그가 로도스에서 사망했는지, 아니면 도서관장 직위를 맡기 위해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3]

두 개의 『생애』만이 아폴로니오스의 죽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 내용은 서로 다르다. 『생애 (1)』은 아폴로니오스가 로도스 섬에서 죽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생애 (2)』는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간 후에 죽었다고 보고하며, "어떤 사람들은" 그가 칼리마쿠스와 함께 묻혔다고 덧붙인다.[11]

2. 1. 사료

아폴로니오스의 생애에 대한 정보는 주로 다음 네 가지 사료에서 얻을 수 있다.

  • 『아폴로니오스의 생애』라는 제목으로 발견된 두 텍스트 (『생애(1)』, 『생애(2)』)
  • 10세기의 백과사전인 수다 사전
  • 기원전 2세기의 옥시린쿠스 파피루스 1241. 여기에는 복수의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 이름 중에 아폴로니오스의 이름이 나온다. 이 파피루스는 아폴로니오스가 살았던 시대와 가깝기 때문에 다른 문헌보다 정보의 비중이 크다.


그 외의 여러 텍스트에서도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2. 출생 및 초기 생애

아폴로니오스의 아버지 이름은 실레우스(Silleus) 또는 일레우스(Illeus)로 기록되어 있는데, 두 이름 모두 매우 희귀하며(단 한 번 나타남), 풍자를 뜻하는 σίλλοςgr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대 전기 작가들은 종종 희극 시인들의 증언을 수용하거나 오해했기 때문이다.[5] 그의 어머니 이름은 "로데"(Rhodē)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로도스 여성"을 의미하며 아폴로니오스의 별칭인 "로도스인"을 설명하기 위한 후대의 창작일 가능성이 높다. 『전기』, 『수다 사전』,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그가 알렉산드리아 출신이라고 전한다.[6] 반면 아테나이오스와 아일리안은 그가 알렉산드리아에서 남쪽으로 약 70km 떨어진 나일강 변의 나우크라티스 출신이라고 주장한다.[7] 그의 출생 연도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2. 3. 칼리마코스와의 관계

Ἀπολλώνιος ὁ Ῥόδιοςgrc에 대한 고대 기록과 《수다 사전》에서는 그가 칼리마코스의 제자(μαθητὴς)였다고 전한다.[8] 그러나 '문법학자 아폴로니오스'의 작품으로 알려진 《그리스 선집》에 실린 경구는 칼리마코스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두 사람 사이에 문학적 갈등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6]

:Καλλίμαχος, τὸ κάθαρμα, τὸ παίγνιον, ὁ ξυλινὸς νοῦς, αἴτιος, ὁ γράψας Αἴτια Καλλιμάχου.grc

:[17](번역: 칼리마코스, 그 쓰레기, 그 장난감, 그 마호가니 머리, 그 자신이 원인, ''원인''을 쓴 칼리마코스.)

칼리마코스의 시 ''이비스''(현재 전해지지 않음)가 아폴로니오스를 대상으로 한 논쟁적인 작품이라는 고대 기록도 존재한다.[18] 이러한 증거들을 바탕으로 두 사람 사이에 격렬한 문학적 불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폴로니오스의 《생애》에서는 두 시인의 우정을 강조하며, 심지어 함께 묻혔다고까지 전하고 있다.[19] 또한 칼리마코스의 ''이비스''는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쓰여졌기 때문에, 그 대상이 아폴로니오스가 아니었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지만, 갈등이 있었다 하더라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우세하다.[19]

2. 4.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

아폴로니오스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을 역임했다는 기록이 있다. 관련 기록은 두 번째 『전기』, 『수다 사전』, P.Oxy. 1241에서 찾아볼 수 있다.[11] P.Oxy. 1241에는 아폴로니오스가 에라토스테네스에게 도서관장 자리를 물려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가 에라토스테네스를 등용했고, 프톨레마이오스 3세의 즉위 시기가 기원전 247/246년이므로, 아폴로니오스가 도서관장직을 맡은 시기는 그 이후로 추정된다.[10]

다만, P.Oxy. 1241의 연대기에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기원전 283년 사망)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기원전 210년 출생) 아래에 아폴로니오스를 나열하고 있어 혼란이 있다. 『수다 사전』은 아폴로니오스가 에라토스테네스의 후임이라고 기록하고 있지만, 이 역시 다른 증거들과 맞지 않는다.[11]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의 뒤를 이은 "에이도그래퍼"(알렉산드리아 도서관장)라는 또 다른 아폴로니오스가 있었기 때문에 혼동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

2. 5. 로도스 섬 체류

아폴로니오스는 알렉산드리아에서 로도스 섬으로 이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로도스의"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13] 수다 사전과 『생애』에서는 아폴로니오스가 로도스에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다고 전한다. 그러나 그가 로도스에서 사망했는지, 아니면 도서관장 직위를 맡기 위해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13]

2. 6. 사망

두 개의 『생애』만이 아폴로니오스의 죽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 내용은 서로 다르다. 『생애 (1)』은 아폴로니오스가 로도스 섬에서 죽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생애 (2)』는 알렉산드리아로 돌아간 후에 죽었다고 보고하며, "어떤 사람들은" 그가 칼리마쿠스와 함께 묻혔다고 덧붙인다.[11]

3. 작품

아폴로니오스는 서사시 《아르고나우티카》 외에도 여러 편의 시를 썼으나, 대부분 단편만이 남아 전해진다. 이 작품들은 주로 도시의 기원을 다룬 건국시(κτίσειςgrc)로, 헬레니즘 시대의 문학적 경향을 반영한다.[25]


  • '''알렉산드리아 건국''': 제목과 다른 작가(니칸더)의 필사본에 있는 학자의 주석만이 남아 있다. 이 시는 모든 물어뜯는 생물이 고르곤의 피에서 유래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한다.
  • '''카우누스 건국''': 파르테니오스의 '사랑 이야기'에 두 개의 언급이 남아있는데, 서로 상반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리르쿠스의 이야기를, 다른 하나는 비블리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는 통일된 서사보다는 느슨하고 에피소드적인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26]
  • '''크니두스 건국''':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는 Ψυκτήριοςgrc(냉각)에 대해 "트라키아의 한 장소로, 헤라클레스가 아드라밀레스를 레슬링에서 던져 버렸을 때 그의 땀을 식힌 곳이라 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아폴로니오스가 그의 '크니두스 건국'에서 말한다."라고 기록했다.[28]
  • '''나우크라티스 건국''': 아테나이오스는 6개 반의 헥사미터 구절을 인용하고 해설을 제공하는데, 아폴론이 오키로에를 납치하고, 그녀를 보호하려다 같은 이름의 물고기로 변한 어부 폼필루스에 대한 처벌에 관한 것이다.
  • '''로도스 건국''': 사전학적인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가 인용한 1개 반의 헥사미터 구절과 핀다르의 '승리 송가' 7.48에 대한 주석의 증언이 전부이다. 아폴로니오스는 로도스인들이 불 없이 희생하는 관습을 설명하는 기원 신화를 제시하고 있다.
  • '''레스보스 건국''': 21개의 헥사미터 구절이 파르테니오스에 의해 'Lesbou ktisis'라는 제목으로 인용되었다. 현대 학자들은 이 구절이 제이슨메데이아의 이야기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폴로니오스의 작품이라고 본다.

3. 1. 《아르고나우티카》

아폴로니오스의 서사시 《아르고나우티카》는 전통적인 호메로스식 그리스 서사시와는 몇 가지 면에서 다르다. 《아르고나우티카》는 호메로스의 서사시보다 짧은 4권으로 구성되어 총 6,000행 미만인 반면, 《일리아스》는 16,000행이 넘는다. 아폴로니오스는 칼리마코스의 간결함이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옛 서사시보다 규모가 작고, 한 번의 공연에서 상영되는 비극의 그룹에 해당하는 길이의 시"를 요구한 것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아폴로니오스의 서사시는 더 약하고 인간적인 주인공 이아손, 지역 관습, 기원 설화 등 헬레니즘 시의 인기 있는 주제에 대한 많은 이야기로 인해 전통적인 서사시와 다르다. 아폴로니오스는 일부 신화의 덜 충격적인 버전을 선택했는데, 예를 들어 메데이아는 압시르토스를 직접 살해하는 대신 그 살해를 지켜보기만 한다.[20] 신들은 헬레니즘의 종교를 우화화하고 합리화하는 경향에 따라, 서사시의 대부분에서 비교적 거리를 두고 비활성화되어 있다. 이아손과 같은 이성애적 사랑은 헤라클레스힐라스의 사랑과 같은 동성애적 사랑보다 더 강조되는데, 이는 헬레니즘 문학의 또 다른 경향이다. 많은 비평가들은 3권에 등장하는 메데이아와 이아손의 사랑을 가장 잘 쓰여지고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로 여긴다.[24]

《아르고나우티카》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고대 일부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평범하다고 여겼지만, 최근 비평은 이 시에 대한 관심의 부활과 그 자질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었다. 수많은 학문적 연구가 정기적으로 출판되고, 베르길리우스와 같은 후대 시인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현재 잘 알려져 있으며, 이제 서사시의 역사에 대한 모든 설명은 아폴로니오스에 대한 상당한 관심을 포함한다.[41]

3. 2. 기타 작품

아폴로니오스는 《아르고나우티카》 외에도 여러 편의 시를 썼지만, 대부분 단편만이 남아 있다. 이들 작품은 주로 도시의 기원을 다룬 건국시(κτίσειςgrc)로, 헬레니즘 시대의 문학적 경향을 반영한다.[25]

  • '''알렉산드리아 건국''': 제목과 다른 작가(니칸더)의 필사본에 있는 학자의 여백 주석만이 남아 있는데, 이 아폴로니오스의 시가 모든 물어뜯는 생물이 고르곤의 피에서 유래했다는 진술을 담고 있다고 한다.
  • '''카우누스 건국''': 파르테니오스의 '사랑 이야기'에 있는 두 개의 언급이 이 시에 대한 유일한 증거이지만, 서로 상반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에 따르면, 이 시는 리르쿠스의 이야기를 다루고, 다른 하나에 따르면, 비블리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것은 통일된 서사보다는 느슨하고 에피소드적인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종류의 처리가 다른 그의 건국 시에도 전형적이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26] (통일성 문제는 때때로 "에피소드 서사시"라고 불리는 '아르고나우티카'에서도 주요 쟁점 중 하나이다).[27] 아폴로니오스에게 귀속되는 5개의 헥사미터 구절이 이 시의 단편일 수 있지만, 리르쿠스와 비블리스의 이야기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일부 학자들은 이 구절이 다음 시에서 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 '''크니두스 건국''':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는 Ψυκτήριοςgrc(냉각)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트라키아의 한 장소로, 아드라밀레스를 레슬링에서 던져 버렸을 때 그의 땀을 식힌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는데, 아폴로니오스가 그의 '크니두스 건국'에서 말한다."[28] 5개의 헥사미터 구절이 여기에 속하지 않는 한, 이 시에 대해 우리가 아는 전부이며, 이 구절은 '아르고나우티카'에서도 다루는 해상 경로를 묘사하고 있다.
  • '''나우크라티스 건국''': 아테나이오스는 6개 반의 헥사미터 구절을 인용하고 해설을 제공하는데, 아폴론이 오키로에를 납치하고, 그녀를 보호하려다 같은 이름의 물고기로 변한 어부 폼필루스에 대한 처벌에 관한 것이다. 이 해설에 따르면, 폼필루스 물고기는 칼리마코스테오크리토스를 포함한 시인과 학자들에게 큰 관심사였다. 아폴로니오스가 "폼필루스"가 "호위 물고기"를 의미하는 어원에서 감상적인 이야기를 전개했을 수 있다. 이 에피소드가 나우크라티스의 기원에 대한 시에 어떻게 들어맞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마도 그 건국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은 헤로도토스에게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29]
  • '''로도스 건국''': 사전학적인 요점을 설명하기 위해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가 인용한 1개 반의 헥사미터 구절과 핀다르의 '승리 송가' 7.48에 대한 주석의 증언이 전부인데, 아폴로니오스를 인용하여 로도스인들이 불 없이 희생하는 관습을 설명하는 기원 신화를 제시하고 있다. 그들은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가 한때 아테나를 강간하려 한 것을 증오했다.[30]
  • '''레스보스 건국''': 21개의 헥사미터 구절이 파르테니오스에 의해 'Lesbou ktisis'라는 제목으로 인용되었다. 작가의 이름은 주어지지 않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 구절이 제이슨메데이아의 이야기와 분명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폴로니오스의 작품이라고 본다. 이 시는 레스보스의 공주 메팀나의 피시디케가 사랑하는 남자 아킬레우스에게 도시 문을 열어 줌으로써 그녀의 동족과 부모를 배신하는 내용을 다룬다. 그녀의 보상은 그녀가 예상했던 결혼이 아니라 아르기보스의 손에 의한 돌에 맞아 죽는 것이었다. 피시디케의 관점이 시를 지배하고, '아르고나우티카'와 마찬가지로 서사시 자료가 여성 심리에 대한 창으로 색다르게 사용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다.[31]

4. 평가 및 영향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시적 기량과 기술은 최근에 와서야 비로소 높이 평가받기 시작했으며, 그의 시와 학문적 성공적인 결합에 대한 비평적 인식이 이루어지고 있다.[34]

참조

[1] 서적 Ptolemaic Epic
[2] 서적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 서적 Editors' Introduction
[4]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5]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6] 웹사이트 14.2.13 https://www.perseus.[...]
[7] 서적 Deipnosophistae and On the nature of animals
[8]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9] 서적 Hellenistic Poetry
[10] 서적 Hellenistic Poetry
[11]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12] 서적 Hellenistic Poetry
[13]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14]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15] 서적 Myth and History in the Biography of Apollonius
[16] 서적 Pal. Anth
[17] 서적 Palatine Anthology
[18] 서적 Apollonius of Rhodes, Argonautica, Book III
[19] 서적 Callimachus and his Critics
[20] 서적 Timon of Phlius
[21] 서적 Apollonius Rhodius as a Homeric Scholar
[22] 서적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23] 서적 Apollonius as a Hellenistic Geographer
[24] 웹사이트 On the sublime and Institutio oratoria http://attalus.org/t[...]
[25]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26]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27] 서적 Outlines of Apollinian Scholarship 1955-1999
[28] 서적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29]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30] 서적 Apollonius Rhodius: Argonautica
[31]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32] 서적 In Search of Apollonius' 'Ktisis' Poems
[33] 서적 Apollonius Rhodius
[34] 서적 Apollonius Rhodius as a Homeric Scholar
[35] 웹사이트 14.2.13 http://www.perseus.t[...]
[36] 서적 Deipnosophistae
[36] 서적 On the nature of animals
[37] 웹사이트 エラトステネス http://www.stoa.org/[...]
[38] 서적 Pal. Anth
[39] 웹사이트 カリマコス http://www.stoa.org/[...]
[40] 논문 Apollonius: the Argonautica
[40] 서적 Callimachus and his Critics
[41] 서적 On the sublime
[41] 서적 弁論家の教育 https://penelope.u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