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남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정은 남송 영종 시기 사용된 연호로, 1208년 1월 15일에 제정되어 1225년 1월 5일까지 사용되었다. 가정 연간에는 몽골 제국의 부상, 금나라와의 전쟁과 화의 반복, 민란 발생 등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 주요 사건으로는 한탁주의 사망, 사미원의 집권, 몽골의 중도 포위, 금나라의 남송 침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정 (남송) | |
---|---|
개요 | |
국가 | 남송 |
연도 | 1208년 ~ 1224년 |
사용 기간 | 17년 |
황제 | 영종 (남송) |
이전 연호 | 개희 |
다음 연호 | 보경 |
2. 연호 사용 배경
개희 3년 1208년 1월 15일(음력 12월 26일)[2]에 연호를 '''가정'''(嘉定)으로 정하고, 다음 해 1208년 1월 19일(음력 1월 1일)[3]에 개원하였다.[4][5][6][7]
개희 3년 12월 26일(1208년 1월 15일)에 연호를 '''가정'''(嘉定)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1208년 1월 19일)에 개원하였다.[4][5][6][7] 가정 17년 11월 25일(1225년 1월 5일)에 연호를 '''보경'''(寶慶)으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1225년 2월 9일)에 개원하였다.[10][11][7]
3. 주요 사건
가정 연간에는 사미원의 집권, 금나라와의 관계 변화, 몽골의 부상, 그리고 잦은 민란 발생 등 굵직한 사건들이 많았다.
3. 1. 사미원의 집권과 권력 강화
가정 원년(1208년) 10월 10일, 사미원이 우승상에 임명되었다. 가정 2년(1209년) 5월 4일, 사미원은 단독 재상이 되어 정권을 장악했다.
사미원은 한탁주를 제거하고 금나라와 화의를 맺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후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3. 2. 금나라와의 관계: 화의와 전쟁의 반복
가정 원년(1208년) 윤 4월 28일 한탁주의 수급을 양회 지방에 효수하고 금나라에 보냈다.[1] 9월 22일 금과 화약을 맺었는데(세 번째),[2] 양국 관계는 백질(伯姪) 관계로 정해졌고, 국경은 개희북벌 이전대로 되돌아갔다.[3] 송나라가 금나라에 보내는 세폐는 늘어나, 은은 30만 냥, 비단은 30만 필이 되었다.[4]
가정 4년(1211년) 6월 7일 금나라에 파견된 남송의 사신이 몽골의 침략을 만나 돌아왔고,[5] 10월 26일 금나라의 혼란에 대비하여 강회·경호·사천의 방어를 엄중히 했다.[6]
가정 6년(1213년) 10월, 몽골이 금나라의 중도를 포위했다.[7] 가정 7년(1214년) 5월, 금나라는 개봉으로 천도했고,[8] 7월 27일 진덕수의 상소에 따라 금나라에 대한 세폐 지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9]
가정 8년(1215년) 3월 17일 남송이 금나라에 화의 유지를 조건으로 세폐 감액을 요구했으나, 금나라는 이를 거부했다.[10] 5월, 몽골이 중도를 함락시키고 행성을 설치했다.[11]
가정 10년(1217년) 4월 1일 금나라가 세폐 중단을 이유로 침공을 시작한 이후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 전쟁이 반복되었다. 가정 11년(1218년) 12월, 금나라가 화의를 청했으나 남송은 거부했고, 금나라의 남침이 재개되었다. 가정 13년(1220년) 정월, 회북에 들어간 송군이 패하고 금군은 번성을 공격했으나 격퇴되었다. 8월 15일 남송과 서하가 금나라를 협공하기로 약조했고, 10월 남송·서하 연합군이 공주를 공격했으나 전과 없이 돌아왔다.
가정 14년(1221년) 4월 14일 북으로 돌아가던 금군이 이전의 요격을 받고 패퇴했다. 가정 15년(1222년) 4월, 금군이 회남에 재침했고, 5월 15일 송군이 회수에서 퇴각하는 금군을 요격하여 대승했다. 가정 17년(1224년) 6월, 금나라가 남송에 대한 침공을 멈추었다.
3. 3. 몽골의 부상과 남송의 대응
가정 4년(1211년) 6월, 금나라에 파견된 남송의 사신이 몽골의 침략 소식을 가지고 돌아왔다. 가정 6년(1213년) 10월, 몽골이 금나라의 수도인 중도를 포위하였다. 가정 7년(1214년) 5월, 금나라는 개봉으로 천도하였다. 7월, 남송은 진덕수의 상소에 따라 금나라에 대한 세폐 지급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가정 8년(1215년) 5월, 몽골은 중도를 함락시키고 행성을 설치하였다. 가정 10년(1217년) 4월, 금나라는 남송이 세폐 지급을 중단한 것을 이유로 침공을 시작하였다. 가정 14년(1221년) 7월, 몽골에 사신으로 갔던 남송 사신이 "공응천명지보"를 얻어 영종에게 바쳤다.
3. 4. 민란 발생과 사회 불안
가정(嘉定) 연간에는 남송 내부에서 여러 민란이 발생하여 사회 불안이 심화되었다.
연도 | 사건 | 비고 |
---|---|---|
가정 원년(1208년) | 천주 흑풍동에서 요족인 나세전이 반란을 일으킴. | [1] |
가정 2년(1209년) | 흑풍동의 이원려가 난을 일으킴. | [2] |
가정 3년(1210년) | 이원려가 이끄는 만적이 남웅주를 급습. 나세전이 이원려를 사로잡아 항복. | [3] |
가정 4년(1211년) | 이원려 처형. 나세전의 살해로 흑풍동의 반란 평정. | [4] |
가정 6년(1213년) | 사주 지주인 전종범이 반란을 꾀하여 토벌됨. | [6] |
가정 10년(1217년) | 아주의 만적이 변경을 침략. | [10] |
가정 12년(1219년) | 흥원부의 군인 장복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처형됨. | |
가정 13년(1220년) | 아주의 만이가 투항. |
4. 연대 대조표
가정 | 서기 (西紀) | 간지 (干支) | 금 연호 | 서하 연호 |
원년 | 1208년 | 무진 (戊辰) | 태화 8년 | 응천 3년 |
---|---|---|---|---|
2년 | 1209년 | 기사 (己巳) | 태화 9년 대안 원년 | 응천 4년 |
3년 | 1210년 | 경오 (庚午) | 대안 2년 | 황건 원년 |
4년 | 1211년 | 신미 (辛未) | 대안 3년 | 황건 2년 광정 원년 |
5년 | 1212년 | 임신 (壬申) | 숭경 원년 | 광정 2년 |
6년 | 1213년 | 계유 (癸酉) | 숭경 2년 지녕 원년 정우 원년 | 광정 3년 |
7년 | 1214년 | 갑술 (甲戌) | 정우 2년 | 광정 4년 |
8년 | 1215년 | 을해 (乙亥) | 정우 3년 | 광정 5년 |
9년 | 1216년 | 병자 (丙子) | 정우 4년 | 광정 6년 |
10년 | 1217년 | 정축 (丁丑) | 정우 5년 흥정 원년 | 광정 7년 |
가정 | 서기 (西紀) | 간지 (干支) | 금 연호 | 서하 연호 |
11년 | 1218년 | 무인 (戊寅) | 흥정 2년 | 광정 8년 |
12년 | 1219년 | 기묘 (己卯) | 흥정 3년 | 광정 9년 |
13년 | 1220년 | 경진 (庚辰) | 흥정 4년 | 광정 10년 |
14년 | 1221년 | 신사 (辛巳) | 흥정 5년 | 광정 11년 |
15년 | 1222년 | 임오 (壬午) | 흥정 6년 원광 원년 | 광정 12년 |
16년 | 1223년 | 계미 (癸未) | 원광 2년 | 광정 13년 건정 원년 |
17년 | 1224년 | 갑신 (甲申) | 정대 원년 | 건정 2년 |
5. 동시대 연호
가정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
서력기원 | 1208년 | 1209년 | 1210년 | 1211년 | 1212년 | 1213년 | 1214년 | 1215년 | 1216년 | 1217년 | |
간지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
가정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
서력기원 | 1218년 | 1219년 | 1220년 | 1221년 | 1222년 | 1223년 | 1224년 | ||||
간지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
베트남 리 왕조에서는 찌빈롱응(1205년 ~ 1210년), 끼엔자(1211년 ~ 1224년), 티엔쯔엉흐우다오(1224년 ~ 1225년)가 사용되었다. |
5. 1. 중국
지녕 원년정우 원년
흥정 원년
광정 원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