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치 공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치 공학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능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방법론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너럴 일렉트릭(GE)에서 숙련된 노동력과 자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로렌스 D. 마일스에 의해 가치 분석이라는 체계적인 기술로 발전했다. 1954년 미국 해군 선박국에서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수립했고, 1996년에는 연방 기관에 가치 공학의 사용이 의무화되었다. 가치 공학은 기능에 기반한 구조화된 사고 과정을 따르며, 가치를 높이는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합리적 논리와 기능의 비합리적 분석을 사용한다. 가치 공학은 신제품 개발, 제품 개선, 품질 관리, 업무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공공 사업 및 정책 결정에도 활용될 수 있다. 가치 공학은 비용 절감, 기능 향상, 기능 향상 및 비용 절감, 기능 향상 및 비용 증가를 통해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치 분석과 가치 공학은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되지만, 가치 분석은 기존 품목의 원가 절감에, 가치 공학은 신제품 설계에 주로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공학 - 방법공학
    방법공학은 생산 과정에서 작업자의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설계하여 비용 절감,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분야이다.
  • 산업공학 - 파일럿 플랜트
    파일럿 플랜트는 대규모 공정 플랜트 건설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소규모 생산 설비이며, 벤치, 파일럿, 데모 규모로 나뉘어 제약 및 석유 산업 등에서 활용된다.
가치 공학
개요
유형경영 기법
목적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치 향상
핵심 원리기능 분석, 비용 분석
역사
창시자로렌스 델로스 마일스
개발 시기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 배경자재 부족 문제 해결
주요 단계
정보 수집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기능 분석제품 또는 서비스의 기능 정의 및 분석
아이디어 창출기능 수행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발상
평가아이디어 평가 및 최적안 선택
개발선택된 아이디어 구체화 및 실행 계획 수립
구현계획 실행 및 결과 측정
활용 분야
적용 범위제품 설계, 제조, 건설,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
활용 목적비용 절감, 품질 향상, 성능 개선 등
관련 기법
연관 기법가치 분석, 비용 편익 분석
유사 기법린 생산 방식, 식스 시그마
특징
핵심 특징기능 중심적 접근, 창의적 아이디어 중시, 팀워크 강조
장점비용 절감 효과, 품질 향상,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
단점초기 투자 비용 발생 가능성, 팀 구성 및 운영의 어려움
참고 자료
관련 단체SAVE International
관련 서적마일스의 가치 분석 기술
가치 공학 핸드북
같이 보기
관련 항목기능 (공학), 비용, 가치, 프로젝트 관리, 산업공학

2. 역사

가치 공학(Value Engineering, VE)은 1947년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GE)의 로렌스 D. 마일스에 의해 개발된 가치 분석(Value Analysis, VA)이 그 시초이다.[19]

제너럴 일렉트릭(GE)에서 개발된 가치 분석은 1954년 미국 국방부 선박국에 의해 "가치 공학"이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고, 이후 이 명칭이 일반화되었다.[19] "전시 중, 더 적은 자재, 공수 및 대체 자재로 동등한 기능을 가진 제품을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전시 설계에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다.[19]

일본에는 1955년 일본 생산성 본부(현 사회 경제 생산성 본부)가 미국에 파견한 코스트 컨트롤 시찰단에 의해 비용 절감 방법으로 소개되었다.[20]

2. 1. 제2차 세계 대전과 GE의 가치 분석

제2차 세계 대전 중, 제너럴 일렉트릭사(GE)는 숙련된 노동력, 원자재, 부품 부족에 직면했다. 로렌스 D. 마일스, 제리 레프토우, 해리 얼리커는 대체품을 찾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대체품이 비용 절감, 제품 개선, 혹은 두 가지 모두를 가져올 수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마일스는 컨베이어 아래 석면 시트를 대체할 불연재를 찾았고, 이를 통해 GE의 화재 방지 규칙을 개정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GE는 "가치 분석" 또는 "가치 관리"라는 체계적인 기술을 개발했다.[19]

2. 2. 미국 국방부의 도입과 확산

1954년, 미국 해군 선박국은 로렌스 D. 마일스와 레이먼드 파운틴의 감독하에 가치 공학의 공식적인 프로그램을 수립했다.[8] 1970년대 이후, 미국 감사원(GAO)은 가치 공학의 이점을 인식하고, 연방 기관에 가치 공학 채택을 권고했다.

1996년 회계연도 국방수권법 섹션 4306에 의해 연방 기관에 가치 공학이 명시적으로 의무화되었다.[8] 이 법은 연방 조달 정책 사무국법(41 U.S.C. 401 et seq.)을 수정하여, 각 행정 기관이 비용 효율적인 가치 공학 절차와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유지하도록 규정했다. 여기서 '가치 공학'은 자격을 갖춘 기관 또는 계약자 직원이 프로그램, 프로젝트, 시스템, 제품, 장비 품목, 건물, 시설, 서비스 또는 행정 기관의 공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성능, 신뢰성, 품질, 안전 및 수명 주기 비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2. 3. 한국으로의 도입과 발전

한국에는 1955년 일본 생산성 본부(현 사회경제 생산성 본부)의 코스트 컨트롤 시찰단을 통해 비용 절감 방법으로 처음 소개되었다.[1] 초기에는 제조업의 자재 부문을 중심으로 도입되었으나, 점차 기획, 설계, 제조 부문으로 확산되었고, 현재는 간접 부문,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1]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공공 사업 및 정책 결정 과정에서 가치 공학을 활용하여 예산 낭비를 막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조하고 있다.[1]

3. 가치공학의 기본 원칙과 정의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은 "최소의 라이프 사이클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 연구에 쏟는 조직적인 노력"으로 정의된다.[16]

가치분석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품목의 원가 절감을 목표로 하는 반면, 가치공학은 주로 신제품의 설계 및 생산에 적용된다. 가치분석은 현재 품목의 기능과 가치를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가치공학은 앞으로 사용될 품목을 연구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가치공학은 기능 가치와 비용의 관계에 주목하며, 비용 대비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공통 인자를 찾아 그 차이를 최대화하고 기능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러나 가치에는 사용가치 외에도 교환가치, 희소가치, 비용가치 등 무형의 가치가 존재하며, 이러한 무형의 가치는 제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어 가치를 측정하는 공통 인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가치 공학은 프로젝트 관리, 산업 공학, 건축 등에서 시스템의 산출물 가치를 성능(기능)과 비용의 혼합을 왜곡하여 피상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로 가르쳐지기도 한다. 이는 낮은 수명 주기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장비, 시설, 서비스 및 공급품을 조사하는 분석에 기반한다.

가치 공학은 어떤 것이 "하는 일", 즉 "기능"에만 기반한 구조화된 사고 과정을 따른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는 페인트 통을 젓는 데 사용될 때 나사를 조이는 본래 의미가 아닌, 페인트 통 내용물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치 공학에서 "기능"은 활동 동사와 측정 가능한 명사(동사 – 무엇을 하는지, 명사 – 무엇을 하는지)로 구성된 두 단어 약어로 설명되며, 가능한 가장 비기술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 드라이버와 페인트 통의 예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액체 혼합"이며, 이는 "페인트 젓기"보다 덜 기술적이다.

가치 공학은 가치를 높이는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합리적 논리("어떻게"-"왜" 질문 기술)와 기능의 비합리적 분석을 사용한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는 "기능"과 "비용"의 관계로나타낼수 있으며, 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가치(Value) = 기능(Function) / 비용(Cost)


이는 VE에서의 가치가 기능이 가져다주는 만족도와 비용의 적절성의 정도라고 간주하는 것을 나타낸다.

밸류 엔지니어링 활동은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를 모아 조직 횡단적인 팀을 편성하여 진행한다. 이는 다각적인 시야로 분석하여 새로운 관점에서의 가치 개선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3. 1. 가치공학의 기본 원칙

가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추구하기 위한 개별 행동 및 활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유도하거나 지도하기 위한 법칙으로, 가치공학(VE) 활동의 행동 지침이다.[17] 뛰어난 VE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기본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 사용자 우선의 원칙

# 기능 본위의 원칙

# 창조에 의한 변경의 원칙

# 팀 디자인의 원칙

# 가치 향상의 원칙

4. 가치공학의 진행 방식

가치 공학은 최저 비용으로 적절한 품질과 신뢰성을 갖춘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부터 최종 제품까지 생산 전 과정에 경영 및 공학 기술을 총체적으로 활용하는 연구이다. 조직적이고 정상적인 연구 조사를 통해 불필요한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18]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진행된다.

# 각 부품, 자재, 공정의 기능에 대한 조사 및 연구를 위한 전문 기술 및 응용 조정

# 현재 가공 및 조달 방법과 코스트 파악

# 자재 관리와 다른 기능과의 긴밀한 접촉

가치 분석 계획은 기업 내 모든 기능 부문을 포괄할 수 있도록 고위 경영자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며, 책임자는 제조 또는 기술 부문에서 상당한 경험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18]

가치 공학은 프로젝트 관리, 산업 공학, 건축 지식 체계 내에서 시스템 산출물의 가치를 왜곡하여 피상적으로 최적화하는 기술로 오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가치 공학은 요구되는 성능, 신뢰성, 품질 및 안전 측면에서 목표를 충족하면서, 낮은 수명 주기 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장비, 시설, 서비스 및 공급품을 조사하는 분석에 기반한다.[18]

가치 공학은 '기능'에 기반한 구조화된 사고 과정을 따른다. 예를 들어, 페인트 통을 젓는 데 사용되는 드라이버는 나사를 조이는 원래 의미가 아니라, 페인트 통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치 공학에서 '기능'은 활동 동사와 측정 가능한 명사(동사 – 무엇을 하는지, 명사 – 무엇을 하는지)로 구성된 두 단어 약어로 설명되며, 가능한 가장 비기술적인 방식으로 표현된다. 드라이버와 페인트 통의 예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액체 혼합'인데, 이는 '페인트 젓기'보다 덜 기술적이며, 행동(젓기)과 적용(페인트)을 제한하지 않는다.[18]

가치 공학은 가치를 높이는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합리적 논리와 기능의 비합리적 분석을 사용한다. 이는 가설-결론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관계를 테스트하는 과학적 방법 및 예측 관계를 식별하기 위해 모델 구축을 사용하는 운영 연구와 유사한 정량적 방법으로 간주된다.[18]

4. 1. 가치 분석의 단계 (한국어 문서 기반)

가치 분석은 주로 다음과 같은 기본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18]

# 기존 사실과 비용(cost) 파악

# 기능 파악

# 기존 개념 타파를 통한 창조적 아이디어 창안

# 비교를 통한 평가

이와 동시에 다음과 같은 실제 행동을 시작한다.[18]

# 대체 가능한 자재 대체

# 무기능품(無機能品) 제거

# 특별한 디자인이 필요할 때 표준 방법 사용을 위한 노력

# 생산 단계의 제조 방법 변경

# 부품의 여러 설계

가치 분석은 구입 자재비 절감에 가장 큰 효과가 있다. 구입 자재 원가 절감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하다.[18]

# 제품 설계, 필요 자재 및 제조 방법에 기본적인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한다.

# 장래의 필요 조건 및 계속적인 구입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 대상 부품 및 자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구매 담당자와 긴밀히 협조한다.

# 각 품목에 대하여 가치 측정을 하여 대체 품목이 없는지 확인하고 설계 및 제조 방법상 변경 여지가 없는지 분석한다.

가치 공학(VE) 활동은 다음과 같은 실시 절차에 따라 문제 해결을 진행한다. 이 단계를 통해 문제의 초점이 명확해지고, VE 실시 당사자에게 높은 동기를 부여하며, 밀도 높은 창의력을 발휘하여 가치 있는 대체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18]

VE 실시 절차[18]
단계세부 단계
기능 정의1. VE 대상 정보 수집
2. 기능 정의
3. 기능 정리
기능 평가4. 기능별 비용 분석
5. 기능 평가
6. 대상 분야 선정
대체안 작성7. 아이디어 발상
8. 개략 평가
9. 구체화
10. 상세 평가


4. 2. 가치 분석의 측정 방법 (한국어 문서 기반)

가치 분석의 측정은 다음 질문을 통해 이루어진다.[1]

  • 이 품목은 예상대로의 가치가 있는가?
  • 이 품목의 원가는 이용도에 비례할 수 있는가?
  • 이 품목의 부품은 낮은 원가로 제조 가능한가?
  • 이 품목은 필요할 때 적시에 구입 가능한가?
  • 필요량을 생산할 때 적절한 공구로 생산 가능한가?


이러한 가치 측정은 가치 분석의 기본이며, 부품 및 자재가 이러한 가치 측정에 미달된다면 가치 분석 그룹에서 연구 조사해야 할 대상이 된다.[1]

4. 3. 가치공학의 실시 절차 (일본어 문서 기반)

VE(가치 공학) 활동은 다음과 같은 실시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 각 단계별로 문제 해결을 체계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문제의 핵심이 명확해지고, VE를 실시하는 사람들에게 높은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빠짐없이 밀도 높은 창의력을 발휘하여 가치 있는 대체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돕는다.[18]

1. 기능 정의 : 1. VE 대상 정보 수집

: 2. 기능 정의

: 3. 기능 정리

2. 기능 평가 : 4. 기능별 비용 분석

: 5. 기능 평가

: 6. 대상 분야 선정

3. 대체안 작성 : 7. 아이디어 발상

: 8. 개략 평가

: 9. 구체화

: 10. 상세 평가

5. 가치 분석과 가치공학의 비교 (한국어 문서 기반)

가치 분석(VA)과 가치 공학(VE)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가치 분석은 이미 사용 중인 품목의 원가 절감을 목표로 하는 반면, 가치 공학은 주로 앞으로 설계하거나 생산할 신제품에 적용된다. 즉, 가치 분석은 현재 사용되는 품목의 기능을 파악하고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주된 연구 대상인 반면, 가치 공학은 앞으로 사용될 품목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가치 분석과 가치 공학 모두 기능 가치와 비용 간의 관계에 관심을 둔다. 비용과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공통 인자를 찾아 그 차이를 최대화하고, 기능 수준을 유지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그러나 가치를 측정하는 공통 인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가치에는 기능과 동일하게 생각할 수 있는 사용 가치 외에도 교환 가치, 희소 가치, 비용 가치 등 무형의 가치가 있으며, 이러한 무형의 가치는 제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가 절감 측면에서 가치 분석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경제학에서의 효용 개념을 도입하여 가치 측정 수단을 확립해야 한다.

6. 가치 향상의 형태 (일본어 문서 기반)

バリューエンジニアリング일본어에서의 가치 향상은 기본적으로 기능과 비용을 다음과 같이 변화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는 증가, →는 유지, ↓는 감소)[1]


  • (1) '''비용 절감'''에 따른 가치 향상
  • 가치(Value) ↑ = 기능(Function) → / 비용(Cost) ↓
  • 동일한 기능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얻는다.
  • (2) '''기능 향상'''에 따른 가치 향상
  • 가치(Value) ↑ = 기능(Function) ↑ / 비용(Cost) →
  • 동일한 비용으로, 더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을 얻는다.
  • (3) '''기능 향상 & 비용 절감'''에 따른 가치 향상
  • 가치(Value) ↑ = 기능(Function) ↑ / 비용(Cost) ↓
  • 더 우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저렴한 비용으로 얻는다.
  • (4) '''기능 향상 & 비용 증가'''에 따른 가치 향상
  • 가치(Value) ↑ = 기능(Function) ↑↑ / 비용(Cost) ↑
  • 비용은 증가하지만, 훨씬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을 얻는다.


이는 가치(Value) = 기능(Function) / 비용(Cost) 이라는 공식으로 표현된다. バリューエンジニアリング일본어에서의 가치란, 기능이 가져다주는 만족도와 비용의 적절성의 정도라고 간주하는 것을 나타낸다.[1]

7. 적용 범위

가치 공학은 프로젝트 관리, 산업 공학,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시스템의 결과물 가치를 최적화하는 기술로 사용되기도 한다.

가치 공학은 일반적으로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화된 사고 과정을 따른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는 나사를 조이는 본래의 기능 외에도 페인트 통을 젓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치 공학에서는 이처럼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비기술적인 방식으로 설명한다.

가치 공학은 합리적 논리와 기능 분석을 통해 가치를 높이는 관계를 찾는다. 이는 과학적 방법과 유사한 정량적 방법으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적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분야적용 부문
신제품 개발기획 부문, 설계 부문
양산 후 제품 개선설계 부문, 제조 부문
QC 서클 활동제조 부문
업무 개선간접 부문, 비제조업



이 외에도, 행정(정부,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 비대해진 사업 및 사업 계획(예: 토목 사업) 개선에도 사용될 수 있다.

7. 1. 제품 개발 및 개선

가치 공학은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이미 생산 중인 제품을 개선하는 데 활용된다.
신제품 개발의 경우, 기획 및 설계 단계에서 가치 공학을 적용하여 최적의 제품을 개발한다.

  • 기획 부문: 제품의 기본적인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고 측정하는 방법을 찾는다.
  • 설계 부문: 대체 가능한 자재는 없는지, 설계 및 제조 방법 상 변경할 부분은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양산 후 제품 개선의 경우, 이미 생산 중인 제품의 가치를 높인다.

  • 설계 부문: 제품 설계 상에서 불필요한 기능은 없는지, 표준화할 부분은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 제조 부문: 생산 단계에서 제조 방법을 변경할 여지는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1]

7. 2. 품질 관리 및 업무 개선

QC 서클 활동은 제조 현장에서 품질 개선 및 비용 절감을 위해 활용된다.[1] 주로 제조 부문에서 사용된다.[1] 업무 개선은 간접 부문 및 서비스업 등에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데 활용되며,[1] 주로 간접 부문, 비제조업에서 사용된다.[1]

7. 3. 공공 사업 및 정책

행정(정부, 지방 자치 단체 등)에서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불분명해져 비대해진 국민·시민에게 해가 큰 사업 및 사업 계획(예: 토목 사업) 개선에도 가치 공학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8]

8. 비판 및 한계

가치 공학은 때로는 비용 절감에만 치중하여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8. 1. 그렌펠 타워 화재 (영국)

영국에서는 2017년 그렌펠 타워 화재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계약 체결 전에 공급업체와 가치 공학 논의를 진행하는 것의 적법성이 제기되었다.[11] 조사 보고서는 가치 공학 시도 자체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보고서는 "이론적으로 '가치 공학'은 성능 저하 없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설계 또는 사양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실제로는 비용 절감의 완곡한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더 저렴한 제품을 더 비싼 제품으로 대체하거나, 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설계 또는 작업 범위를 변경하는 것은 내용, 성능 또는 외관과 같은 측면에서 거의 항상 타협을 수반한다"라고 덧붙였다.[12]

8. 2. 가치 중심 설계 (미국)

앨라배마 대학교 헌츠빌(UAH)의 ISEEM 학과 교수인 폴 콜로피 박사는 가치 공학의 개선 사항으로 가치 중심 설계를 권고했다.

9. 관련 협회 및 자격증 (일본어 문서 기반)

일본 가치 공학 협회는 VEL/VES/CVS 3단계의 전문가 자격 인증을 제공한다.

9. 1. 일본 가치 공학 협회

일본 가치 공학 협회는 가치 공학 전문가 인증을 위해 VEL(가치 공학 리더), VES(가치 공학 전문가), CVS(공인 가치 전문가) 3단계 전문 자격을 인증하고 있다.

  • VEL (가치 공학 리더, Value Engineering Leader): 직장이나 그룹에서 VE 활동의 리더에게 필요한 기초 지식을 갖춘 인재임을 인증한다. 인증 시험 응시 자격을 얻으려면 소정의 기초 강습을 수강해야 한다.
  • VES (가치 공학 전문가, Value Engineering Specialist): 기업, 단체 등의 조직에서 VE 활동의 실시, 추진 책임을 맡는 책임자, 담당자 등이 VE 전문가로서 갖춰야 할 지식, 기술, 경험을 갖춘 인재임을 인증한다.
  • CVS (공인 가치 전문가, Certified Value Specialist): VE에 관한 올바른 지식과 높은 기술을 가진 인재에게 주어지는 자격이다. 일본에서의 CVS 인정 시험 및 재인정 심사는 미국 VE 협회와 제휴하여 일본 가치 공학 협회가 대행한다.

9. 2. SAVE International (미국 가치 공학 협회)

미국 가치 공학 협회(Society of American Value Engineers, SAVE)는 1959년에 설립되었다.[4] 1996년부터는 SAVE International로 알려져 있다.[4]

참조

[1] 간행물 How they built Grenfell https://www.newstate[...]
[2] 뉴스 Grenfell: council made more on two house sales than it spent on cladding https://www.theguard[...]
[3] 웹사이트 Value Methodology Standard https://web.archive.[...] 2008-12-01
[4] 논문 Applying value management when it seems that there is no value to be managed: the case of nuclear decommissioning https://doi.org/10.1[...] 2019-01-28
[5] 문서 Achieving Success through Value Engineering: A Case Study http://www.iaeng.org[...] Proceedings of the World Congress on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2012 Vol II 2021-12-27
[6] 문서 Value Engineering: Usefulness Well Established When Applied Appropriately https://www.gao.gov/[...] Testimony before the Subcommittee on Legislation and National Security of the Committee on Government Operation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2021-08-24
[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21-06-30
[8] 문서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for Fiscal Year 1996 https://www.gpo.gov/[...] Public Law 104-106 2016-03-04
[9] 문서 H.R.281 – Systematic Approach for Value Engineering Act https://www.congress[...] Congress.gov 2022-11-14
[10] 문서 Part 48 – Value Engineering https://www.acquisit[...] Federal Acquisition Regulation 2023-01-27
[11] 뉴스 Grenfell Tower landlord had 'secret' meeting on cost cutting, inquiry tol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1-04-23
[12] 보고서 Grenfell Tower Inquiry: Phase 2 Report https://www.grenfell[...] 2024-09-04
[13] 웹사이트 About SAVE International https://www.value-en[...] SAVE International 2021-08-06
[14] 웹사이트 VE(バリューエンジニアリング) https://www.murc.jp/[...] 三菱UFJリサーチ&コンサルティング 2024-02-10
[15] 웹사이트 価値工学 2024-02-10
[16] 서적 VEハンドブック 日本バリュー・エンジニアリング協会 2008-01
[17] 서적 新・VEの基本―価値分析の考え方と実践プロセス 産業能率大学出版部 1998
[18] 서적 新・VEの基本―価値分析の考え方と実践プロセス 産業能率大学出版部 1998
[19] 서적 建設コンサルタントの役割に関する研究 1995-03
[20] 서적 新・VEの基本―価値分析の考え方と実践プロセス 産業能率大学出版部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