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문망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문망둑은 망둑어목에 속하는 물고기로, 최대 12cm까지 자란다. 몸은 옅은 갈색이며, 뺨에 반점이 있고 몸 측면에 흑갈색 반점이 있다. 일본, 한반도, 중국, 대만, 베트남 등지에 분포하며, 하천 하류의 모래나 자갈 바닥에 서식한다. 수생 곤충이나 갑각류를 먹는 잡식성 어종이며, 7월부터 10월까지 산란한다. 특별히 어획 대상은 아니지만, 다른 물고기와 함께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수조에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망둑어과 - 큰볏말뚝망둥어
    큰볏말뚝망둥어는 흑갈색을 띠고 몸길이가 9cm 정도이며, 등지느러미가 두 개이고 꼬리 부분으로 갈수록 납작해지며, 대한민국 남해안과 서해안의 개펄 바닥에 주로 분포한다.
  • 망둑어과 - 사백어
    사백어는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 남부, 한반도 남부 경상남도 주변 연안에 서식하는 몸이 희고 뼈가 연한 망둑어과 물고기로,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수질 오염과 하천 개발로 인해 일본 환경성에서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 베트남의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 베트남의 물고기 - 갯장어
    갯장어는 날카로운 이빨과 긴 몸을 가진 뱀장어목 갯장어과의 바닷물고기로, 서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등지에서 식용으로 이용된다.
  • 대만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대만의 물고기 - 가물치과
    가물치과는 몸이 길고 원통형이며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아가미 외 상새기관을 통한 공기 호흡이 특징인 농어목 민물고기 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육식성으로 1m 이상 자라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하고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갈문망둑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hinogobius giurinus (하마마쓰, 시즈오카, 일본)
Rhinogobius giurinus, 하마마쓰, 시즈오카, 일본
학명Rhinogobius giurinus
명명자Rutter, 1897
일반명고쿠라쿠하제
보존 상태상태: LC
평가 기준: IUCN3.1
참고 자료: Huckstorf, V. 2012. Rhinogobius giurin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2: e.T166980A1159466. https://dx.doi.org/10.2305/IUCN.UK.2012-1.RLTS.T166980A1159466.en. Accessed on 05 February 2024.IUCN
크기8 cm
분류 정보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스즈키목
아목망둑어아목
망둑어과
아과고비오넬스아과
요시노보리속
학명 정보
학명Rhinogobius giurinus
명명자(Rutter, 1897)
이명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갈문망둑

2. 형태

갈문망둑은 몸길이가 12cm에 달하지만, 보통 6cm에서 10cm 정도의 개체가 많다.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크다. 몸은 옅은 갈색이며, 뺨에 벌레 먹은 자국 같은 반점이 있고, 몸 측면에는 흑갈색 반점이 5-6개 늘어서 있다. 또한 전신에 푸른색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7]

눈 뒤까지 비늘이 있고, 배지느러미가 앞뒤로 긴 타원형이며, 다른 종보다 비교적 머리가 큰 특징이 있어 요시노보리류 중에서 구별이 쉽다. '고쿠라쿠하제'라는 일본어 명칭은 다나카 시게호가 명명했다.[7]

2. 1. 성어

성어는 보통 6cm에서 10cm 크기이며, 최대 12cm까지 자란다.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크다. 몸은 옅은 갈색을 띠며, 뺨에는 벌레 먹은 자국 같은 반점이 있고, 몸 측면에는 흑갈색 반점이 5-6개 늘어서 있다. 전신에 푸른색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7]

눈 뒤까지 비늘이 있는 것, 배지느러미가 앞뒤로 긴 타원형인 것, 다른 종보다 비교적 머리가 큰 것 등으로, 이른바 요시노보리류 중에서 구별이 용이하다. 표준 일본어 명칭인 '고쿠라쿠하제'는 다나카 시게호가 명명했다.[7]

2. 2. 특징

성어는 전장이 12cm에 달하지만, 6-10cm 정도의 개체가 많다.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크다. 몸은 옅은 갈색이며, 뺨에 벌레 먹은 자국 같은 반점이 있고, 몸 측면에 흑갈색 반점이 5-6개 늘어서 있다. 또한 전신에 푸른색 작은 반점이 점재한다[7]

눈 뒤까지 비늘이 있고, 배지느러미가 앞뒤로 긴 타원형이며, 다른 망둑어류에 비해 머리가 비교적 큰 특징이 있어 요시노보리류 중에서 구별이 용이하다. '고쿠라쿠하제'라는 일본어 명칭은 다나카 시게호가 명명했다[7]

3. 분포

갈문망둑은 황허강, 양쯔강, 첸탕강, 링강, 주강,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지역(티베트 고원과 윈난-구이저우 고원을 포함한 중국 북서부 제외), 타이완, 홍콩, 한반도, 일본, 베트남 등지에 분포한다.[3] 일본에서는 아키타현이바라키현 이남의 혼슈,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와 같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분포한다. 또한 싱가포르, 티베트 고원, 윈난 지역에도 도입되었다.[3]

3. 1. 원산지

갈문망둑의 원 서식지는 황허강, 양쯔강, 첸탕강, 링강, 주강, 푸젠성, 광둥성, 하이난성 지역(티베트 고원과 윈난-구이저우 고원을 포함한 중국 북서부 제외), 타이완, 홍콩, 한반도 남부 지방의 하천 하류와 기수역, 일본 이바라키현의 톤강에서 이리오모테섬까지, 나가사키현의 가와하라 호수, 오가사와라 제도, 류큐 열도, 북 베트남을 포함한다.[3]

일본에서는 아키타현이바라키현 이남의 혼슈,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와 같은 난류에 면한 지역에 분포한다.

3. 2. 도입된 지역

이 종은 싱가포르, 티베트 고원 및 윈난에도 도입되었다.[3]

4. 생태

갈문망둑은 수생 곤충, 무척추동물, 작은 물고기, 동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 및 식물 부스러기를 먹는다.[4] 주로 수생 곤충이나 갑각류 등 저서성 소동물을 포식하지만, 부착 조류도 먹는 잡식성이다.[8] 수면에 배를 대고 모래와 자갈, 작은 돌 사이를 헤엄치며, 가까이 가면 돌 밑이나 풀 사이, 모래 속에 숨는다.

4. 1. 서식지

갈문망둑은 강, 저수지, 연못, 기수역 등에서 서식한다.[4] 회유성 어류[5]이지만, 완전히 폐쇄된 배수 시스템에서도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다.

하천 하류의 모래나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어린 물고기나 성어는 순수한 담수역 혹은 비교적 염분 농도가 옅은 기수역에 많다. 망둑어, 긴가이새우류, 고둥 등과 함께 발견된다.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힘이 없어, 물살이 빠른 상류와 중류까지 도달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육봉 개체군도 존재하여 바다에서 떨어진 호소나 댐 안, 그리고 그 유입 하천에서 발견되기도 한다.[9][7]

4. 2. 번식

산란기는 7월부터 10월이며[8], 수컷이 돌 밑으로 암컷을 유인하고, 암컷은 돌 천장에 알을 낳는다. 수컷은 산란·수정 후에도 알 곁에 머물며 부화할 때까지 알을 보호한다[8]。 부화한 새끼는 바다로 내려가 2개월 정도 바다(육봉 개체군은 호소 등)에서 지내고, 전체 길이 2cm~3cm로 성장한 어린 물고기는 가을에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8][7]

5. 인간과의 관계

다른 작은 물고기와 함께 혼획되어 장조림, 된장국, 가라아게, 계란찜 등으로 식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수조에서 사육도 비교적 쉽지만, 영역 다툼이나 다른 물고기를 포식하는 경우가 있다. 싱가포르, 중동에서는 국외 외래종으로 정착해 있다.[9][10]

참조

[1] IUCN Rhinogobius giurinus 2021-11-20
[2] FishBase
[3] 웹사이트 子陵吻鰕虎鱼 http://www.yafish.co[...] 雅魚水族網 2009-05-07
[4] 서적 Freshwater Fish in Hong Kong Friends of the Country Parks 2002-00-00
[5] 웹사이트 台北小世界 從關渡開端 http://big51.chinata[...] 中國台灣網
[6] IUCN Rhinogobius giurinus 2024-02-05
[7] 서적 山渓カラー名鑑 改訂版 日本の淡水魚
[8] 논문 ゴクラクハゼの生態・生活史 https://hdl.handle.n[...] 長崎大学水産学部 2020-11-05
[9] 서적 増補改訂 日本の淡水魚 山と渓谷社
[10] 서적 エコロン自然シリーズ 魚 保育社 1966-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