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염기는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을 가장 많이 생성하는 염기를 의미한다. 알칼리 금속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의 수산화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수산화물, 구아니딘 등이 강염기에 속하며,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강염기성을 나타낸다. 수용액에서는 수평화 효과로 인해 염기성이 제한되지만, 비수용매에서는 더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초염기가 존재한다. 초염기는 산도 함수 H−로 나타내며, 무기 고체 초염기, 알콕사이드 및 유기 금속류, 유기 초염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염기 - 수산화물
    수산화물은 수산화 이온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브뢴스테드-로우리 염기 및 루이스 염기로 작용하며, 다양한 무기 및 유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염기 - 산 해리 상수
    산 해리 상수(pKa)는 용액 내 산의 해리 반응을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척도로, 산의 세기를 나타내며, 산의 분자 구조, 용매, 온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강염기
강염기
정의수용액에서 완전히 이온화되어 수산화 이온(OH-)을 생성하는 염기
특징수용액에서 높은 pH 값을 가짐
강한 부식성을 가짐
산과 반응하여 염과 물을 생성함
일반적인 강염기
1족 및 2족 금속 수산화물LiOH
NaOH
KOH
RbOH
CsOH
Ca(OH)2
Sr(OH)2
Ba(OH)2
4급 암모늄 수산화물N(CH3)4OH
N(C2H5)4OH
강염기의 활용
화학 공업각종 화학 물질의 제조
pH 조절
세정제 및 비누 제조지방산과 반응하여 비누를 생성
제지 공업목재 펄프의 처리
금속 제련금속 추출 및 정제
안전
주의 사항피부, 눈, 점막에 심각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음
취급 시 적절한 보호 장비 착용
희석 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강산과 격렬하게 반응할 수 있음
참고 자료
관련 문서염기

pH
중화 반응

2. 종류

강염기는 주로 알칼리 금속수산화물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로 나뉜다.

2. 1. 수용액에서의 강염기

수용액에서 강염기는 주로 알칼리 금속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의 수산화물이다.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며, 분자성 물질 중에서는 구아니딘 등이 강염기에 속한다.[1]

금속 수산화물의 염기 강도는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수산화물 이온과의 정전기력이 약해져 강염기가 된다.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용해도곱도 커진다. 또한 염기 강도는 금속의 전기음성도가 작을수록 이온 결합성이 강해져 커진다.[1]

따라서 금속 아쿠아 이온의 산 해리 상수()는 전하를 ''e'', 이온 반지름을 ''r''로 하면 ''e''2/''r''과 거의 직선 관계에 있으며, 금속 아쿠아 이온의 가 크고 가수분해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그 금속의 수산화물은 강염기가 된다.[1]

:{M^{n+}(aq)} + H2O(l)\ <=>\ {H^+(aq)} + M(OH)^{(n-1)+}(aq)

:{M(OH)^{(n-1)}^+(aq)}\ <=>\ {M^{n+}(aq)} + OH^-(aq)\ , \mbox{p}K_{b} = 14 - \mbox{p}K_{a} \,

또한 수산화물 및 산화물을 암모니아수에 용해하여 얻어지는 암민 착물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디암민은(I) 수산화물 ([Ag(NH3)2]OH)
  • 테트라암민구리(II) 수산화물 ([Cu(NH3)4](OH)2)[1]


알킬 술포늄 및 알킬(아릴) 요오드늄 등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수산화트리메틸술포늄 (S(CH3)3OH)
  • 수산화디페닐요오드늄 (I(C6H5)2OH)[1]

2. 1. 1.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수용액에서 가장 강한 염기는 알칼리 금속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의 수산화물이다.

과립상 수산화나트륨


금속 수산화물의 염기 강도는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수산화물 이온과의 정전기력이 약해져 강염기가 된다. 또한 금속의 전기음성도가 작을수록 이온 결합성이 강해져 염기 강도가 커진다.

2. 1. 2.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수산화 칼슘(Ca(OH)2), 수산화 스트론튬(Sr(OH)2), 수산화 바륨(Ba(OH)2), 수산화 유로퓸(II)(Eu(OH)2), 수산화 탈륨(I)(TlOH)은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이다.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과 테트라알킬암모늄 수산화물 다음으로 강한 염기이다. 금속 수산화물의 염기 강도는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강해진다. 또한, 금속의 전기음성도가 작을수록 이온 결합성이 강해져 염기 강도가 커진다.

2. 1. 3. 기타 수산화물

수용액에서 가장 강한 염기는 알칼리 금속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의 수산화물이다.

이들 다음으로 강한 염기로는 알칼리 토류 금속 등의 수산화물과, 분자성 물질로는 양이온이 공명에 의해 안정화되는 구아니딘 등이 있다.

  • 수산화 칼슘(Ca(OH)2)
  • 수산화 스트론튬(Sr(OH)2)
  • 수산화 바륨(Ba(OH)2)
  • 수산화유로피움(II) (Eu(OH)2)
  • 수산화탈륨(I) (TlOH)
  • 구아니딘 (HN=C(NH2)2)


금속 수산화물의 염기 강도는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수산화물 이온과의 정전기력이 약해지고, 강염기가 되어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용해도곱도 커진다. 또한 염기 강도는 금속의 전기음성도가 작을수록 이온 결합성이 강해져 커진다.

따라서 금속 아쿠아 이온의 산 해리 상수(pKa)는 전하를 ''e'', 이온 반지름을 ''r''로 하면 ''e''2/''r''과 거의 직선 관계에 있으며, 금속 아쿠아 이온의 pKa가 크고 가수분해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그 금속의 수산화물은 강염기가 된다.

또한 수산화물 및 산화물을 암모니아수에 용해하여 얻어지는 암민 착물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디암민은(I) 수산화물 ([Ag(NH3)2]OH)
  • 테트라암민구리(II) 수산화물 ([Cu(NH3)4](OH)2)


또한 알킬 술포늄 및 알킬(아릴) 요오드늄 등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수산화트리메틸술포늄 (S(CH3)3OH)
  • 수산화디페닐요오드늄 (I(C6H5)2OH)

2. 2. 강염기성의 세기

수용액에서 가장 강한 염기는 알칼리 금속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의 수산화물이다.

  • 수산화리튬 (LiOH)
  • 수산화나트륨 (NaOH)
  • 수산화칼륨 (KOH)
  • 수산화루비듐 (RbOH)
  • 수산화세슘 (CsOH)
  •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N(CH3)4OH)
  • 수산화테트라에틸암모늄 (N(C2H5)4OH)


이들 다음으로 강한 염기로는 알칼리 토류 금속 등의 수산화물과, 분자성 물질로는 양이온이 공명에 의해 안정화되는 구아니딘 등이 있다.

  • 수산화칼슘 (Ca(OH)2)
  • 수산화스트론튬 (Sr(OH)2)
  • 수산화바륨 (Ba(OH)2)
  • 수산화유로퓸(II) (Eu(OH)2)
  • 수산화탈륨(I) (TlOH)
  • 구아니딘 (HN=C(NH2)2)


금속 수산화물의 염기 강도는 금속 이온의 전하가 작고, 이온 반지름이 클수록 수산화 이온과의 정전기력이 약해져 강염기가 되며,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용해도곱도 커진다. 또한 염기 강도는 금속의 전기음성도가 작을수록 이온 결합성이 강해져 커진다.

금속 아쿠아 이온의 산 해리 상수는 전하를 ''e'', 이온 반지름을 ''r''로 하면 ''e''2/''r''과 거의 직선 관계에 있으며, 금속 아쿠아 이온의 산 해리 상수 값이 크고 가수분해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그 금속의 수산화물은 강염기가 된다.

:{M^{n+}(aq)} + H2O(l)\ <=>\ {H^+(aq)} + M(OH)^{(n-1)+}(aq)

:{M(OH)^{(n-1)}^+(aq)}\ <=>\ {M^{n+}(aq)} + OH^-(aq)\ , \mbox{p}K_{b} = 14 - \mbox{p}K_{a} \,

수산화물 및 산화물을 암모니아수에 용해하여 얻어지는 암민 착물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디암민은(I) 수산화물 ([Ag(NH3)2]OH)
  • 테트라암민구리(II) 수산화물 ([Cu(NH3)4](OH)2)


알킬 술포늄 및 알킬(아릴) 요오드늄 등의 수산화물도 강염기이다.

  • 수산화트리메틸술포늄 (S(CH3)3OH)
  • 수산화디페닐요오드늄 (I(C6H5)2OH)

3. 짝염기로서의 강염기

수용액에서 산 HA가 양성자를 방출하여 생성된 짝염기 A⁻의 염기 해리 상수는 산 해리 상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으며, 산이 약할수록 그 짝염기는 강염기가 된다.[1][2]

: K|b영어 = K|w영어 / K|a영어

예를 들어, 매우 약한 산인 메탄올(CH₃OH) (pKa=16)의 짝염기인 메톡시드 이온(CH₃O⁻)은 강염기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으로 간주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약한 산인 암모니아(NH₃) (pKa=35), 수소(H₂) (pKa=35), 그리고 수산화 이온(OH⁻) (pKa>36)의 각각의 짝염기인 아미드 이온(NH₂⁻) (pKb=-21), 수소화물 이온(H⁻) (pKb=-21), 그리고 산화물 이온(O²⁻) (pKb<-22) 등은 더 강력한 염기이다.

알칸 등 탄화수소는 더욱 매우 약한 산이며, 메테인(CH₄)의 경우 pKa는 약 58로 예측되므로,[3] CH₃⁻ 등 알킬 음이온은 더욱 강한 강염기가 된다. 이는 음이온의 한 곳의 비공유 전자쌍에 음전하가 집중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매우 강한 강염기인 음이온은 수용액 중에서는 격렬하게 가수분해를 받아 정량적으로 수산화물 이온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그 염기성을 발휘시키려면 충분히 탈수된 비수용매를 사용해야 한다.

4. 비수용매 중에서의 강염기

비수용매에서는 수용액보다 더 강한 염기를 만들 수 있다. 염기 B가 프로톤성 용매 HS에서 라이에이트 이온(S⁻)을 정량적으로 생성하면, 염기 B는 용매 HS 중에서 강염기이다.[2]

: \rm B + HS\ \overrightarrow\longleftarrow \ BH^+ + S^-

이러한 산염기 평형은 용매의 프로톤 해리성 및 유전율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용액 중에서는 약염기인 암모니아플루오린화 수소 중에서는 강염기로 작용한다. 분자조차 플루오린화 수소 중에서는 상당히 강한 염기이다.[4] 또한, 라이에이트 이온인 플루오린화 이온을 포함하는 플루오린화 나트륨도 플루오린화 수소 중에서는 강염기로 작용한다.

: {NH3} + HF\ <=>\ {NH4^+} + F^-

: {H2O} + HF\ <=>\ {H3O^+} + F^-

수용액에서 강염기는 수평화 효과에 의해 염기성 강도가 라이에이트 이온인 수산화 이온의 강도에 제한되지만, 메탄올 중에서는 메톡시드 이온 CH3O를 포함하는 메톡시드나트륨 CH3ONa 용액, 액체 암모니아 중에서는 아미드 이온 NH2를 포함하는 아미드나트륨 NaNH2 용액과 같이, 특히 프로톤 공여성이 낮은 용매에서는 더 강한 염기성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5. 초염기

희석 수용액에서 염기성은 평준화 효과 때문에 수산화물 이온의 강도로 제한되지만, 비수용매 중에서는 더 강한 힘으로 프로톤을 빼앗는 강염기성 매체, 즉 '''초염기'''(superbase)를 만들 수 있다. 초염기의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5] 산도 함수 ''H'' > 26인 것을 초염기로 제안하기도 한다. 이는 초산 정의(''H''0 > −12)에서 중성(''H''0 = 7)보다 산성이 1019배 강한 것에 대응하여, 염기성이 1019배 이상 강한 것을 초염기라고 부르는 것이다.[5]

초염기의 염기 강도는 매체에 지시약으로 미량 첨가된 약산 HA의 프로톤 해리 정도에 따른 하메트 산도 함수 ''H''로 나타낸다.

::H_- = -\log_{10} \left( a_\mathrm{H^+} \frac{\gamma_\mathrm{A^-}}{\gamma_\mathrm{HA}} \right)

여기서 a_\mathrm{H^+}는 수소 이온의 활동도, \gamma_\mathrm{A^-}\gamma_\mathrm{HA}는 지시약의 활동도 계수이다. ''H'' 값이 클수록 매체의 염기성이 강하며, 이 매체에서는 더 약한 산도 프로톤 해리를 일으킨다.

5. 1. 종류

강염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무기 고체 초염기, 알콕사이드 및 유기 금속류, 유기 초염기로 분류할 수 있다.


5. 1. 1. 무기 고체 초염기

생석회(산화칼슘) CaO는 ''H'' > 26.5이고 산화물 이온 O2−이 염기점으로 작용한다. 산화마그네슘 MgO에 금속 나트륨을 첨가한 고체는 더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어 ''H'' > 35에 이른다.[5]

5. 1. 2. 알콕사이드 및 유기 금속류

알콕사이드는 알코올 용액 및 유기 용매에 알킬리튬 등을 용해한 것으로, 프로톤을 빼앗는 작용이 강하여 유기합성에 강염기로 사용된다.[5] 그리냐르 시약도 알킬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초강염기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같은 염기 용액이라도 양이온과 음이온 모두 용매화하기 쉽고 이온을 안정화시키는 프로톤성 용매보다, 주로 양이온에만 용매화하여 염기인 음이온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염기성을 충분히 발휘하는 비프로톤성 용매의 용액이 더 강한 염기성이 된다.[5] 예를 들어 0.01 mol⋅dm⁻³ 나트륨 에톡사이드(C₂H₅ONa)의 에탄올 용액은 H⁻ = 13.99이지만, 같은 농도의 나트륨 에톡사이드의 에탄올(5 mol%) + 디메틸 설폭사이드(95 mol%) 혼합 용매 용액에서는 H⁻ = 20.68이다.[6]

5. 1. 3. 유기 초염기

다이아자비시클로운데센 및 다이아자비시클로노넨은 프로톤화된 양이온이 공명 안정화되고, 친핵성이 낮아 유기 합성에서 초염기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85% 에틸렌디아민 수용액은 H = 19.0이며, 90% 히드라진 수용액은 H = 19이고, 순수 에탄올아민은 H = 15.35이다.[4]

원자를 프로톤 수용체로 하는 포스파젠 염기는 구아니딘보다 더 강력한 유기 염기이다. 포스파젠 유닛 N3P=N의 수가 2~5개로 많아질수록 염기성이 급격히 증가하며, 아세토니트릴 중에서의 공액산 HB+의 pKa는 유닛이 1개인 것은 약 27 정도이고, 5개인 것은 pKa > 50에 달하는 것도 있다.

마찬가지로 인 원자를 프로톤 수용체로 하는 강력한 염기로서 풋볼 형 프로아자포스파트란 염기 P(RNCH2CH2)3N이 있다.

참조

[1] 서적 Cotton and Wilkinson 1980
[2] 서적 田中 1971
[3] 서적 Schwarzenbach
[4] 서적 Charlot 1975
[5] 서적 田部、野依 1980
[6] 서적 化学便覧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