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수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수로(Open channel)는 공기와 물이 접하는 수로로, 수심, 수위, 수리심 등의 특성값을 가진다. 개수로 흐름은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유속 변화에 따라 등류, 부등류, 정류, 부정류 등으로 분류되며, 레이놀즈 수를 기준으로 층류, 난류, 천이영역으로 구분된다. 개수로 흐름은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 법칙을 따르며, 비에너지와 비력 개념을 통해 흐름의 특성을 분석한다. 한계 수심은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수심으로, 프루드 수에 따라 상류, 사류, 한계류로 구분된다. 등류의 평균 유속은 매닝 공식 또는 셰지 공식을 통해 계산하며, 도수 현상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공학 - 우물
우물은 식수와 관개용으로 사용된 지하수 취수 구조물로, 다양한 재료와 기술로 건설되었으며 깊이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오염과 고갈 문제, 사회·문화적 기능 약화라는 과제를 안고 있어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수리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 개수로 | |
|---|---|
| 개수로 | |
| 정의 | 수면이 대기에 노출된 상태로 흐르는 물길 |
| 흐름의 원동력 | 중력 |
| 수리학적 특성 | 개수로 흐름 |
| 주요 변수 | 수심, 유량, 유속, 경사 |
| 흐름 상태 | |
| 정상류 | 시간과 공간에 따라 유량과 수심이 변하지 않는 흐름 |
| 부등류 | 시간 또는 공간에 따라 유량과 수심이 변하는 흐름 |
| 등류 | 수심, 유속, 단면의 크기가 일정한 흐름 |
| 흐름의 종류 | |
| 층류 | 점성력이 지배적인 흐름 |
| 난류 | 관성력이 지배적인 흐름 |
| 사류 | 흐름의 속도가 임계 속도보다 빠른 흐름 |
| 상류 | 흐름의 속도가 임계 속도보다 느린 흐름 |
| 주요 공식 | |
| 셰지 방정식 | 흐름의 속도와 수력 반지름, 경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공식 |
| 매닝 공식 | 개수로 흐름의 평균 유속을 계산하는 경험 공식 |
| 활용 분야 | |
| 하천 | 자연적인 물길 |
| 수로 | 인공적인 물길 |
| 관개 시설 | 농업용수 공급 |
| 하수 처리 시설 | 오수 처리 |
| 배수 시설 | 침수 방지 |
2. 용어 정의
수심(水深, depth of flow)은 공기와 물이 접하는 자유수면에서 수로 바닥까지의 연직 거리이다. 중력 방향의 수심을 h, 자유수면에 수직인 수심을 d라고 하면 h cos θ = d이다. 만약 수로 경사 θ가 작다면 cos θ ≒ 1 이므로 중력 방향의 수심과 자유수면에 수직인 수심은 같다고 해도 무방하다(h ≒ d).
수위(水位, stage)는 자유수면으로부터 임의의 지점까지의 연직 거리이며, 수문학에서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천수표면까지의 높이를 수위라 한다.
수리심(hydraulic depth) 또는 수리평균심(hydraulic mean depth, D)은 수로의 평균 수심을 말하며, 유수단면적 A를 수면폭(top width, B)로 나눈 값이다. (D = A / B)
2. 1. 수심, 수위, 수리심
수심(水深, depth of flow)은 공기와 물이 접하는 자유수면에서 수로 바닥까지의 연직 거리이다. 중력 방향의 수심을 h, 자유수면에 수직인 수심을 d라고 하면 h cos θ = d이다. 만약 수로 경사 θ가 작다면 이므로 중력 방향의 수심과 자유수면에 수직인 수심은 같다고 해도 무방하다.수위(水位, stage)는 자유수면으로부터 임의의 지점까지의 연직 거리이며, 수문학에서는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천수표면까지의 높이를 수위라 한다.
수리심(hydraulic depth) 또는 수리평균심(hydraulic mean depth, D)은 수로의 평균 수심을 말하며, 유수단면적 A를 수면폭(top width, B)로 나눈 값이다.
3. 개수로 단면 유형에 따른 특성값
개수로의 1차원 해석에서는 여러 매개변수가 정의된다.[5] 그림 2는 개수로를 흐름 방향으로 잘라 수직으로 본 단면도이며, 파란색 선은 수면(자유 수면), 갈색은 개수로의 형상을 나타낸다. 하늘색 영역은 물이 흐르는 부분으로, 유수 단면적(유적)이라 하며 로 나타낸다. 하천공학에서는 하적이라고도 한다.[21] 물과 수로가 접하는 부분의 길이는 윤변()이며, 윤변으로 단면적을 나눈 값은 경심()이다.
그림 3은 개수로를 흐름 방향에 평행하게 자른 단면도이다.[19][20] 파란색 선은 자유 수면, 갈색은 수로상(하상)이다. 하상에 평행한 축과 수직인 축을 설정하고, 하상에서 수면까지의 거리를 수심()으로 정의한다. 중력에 수직인 기준선에서 측정한 높이도 정의되며, 하상까지의 높이는 이다. 기준선에서 수면까지의 거리는 수위라고 한다. 기준선과 하상이 이루는 각을 로 했을 때, 하상 경사는 로 정의된다. 하상 경사가 작으면 로 근사하며, 자체를 하상 경사로 부르기도 한다. 주류속은 하늘색 화살표와 같은 분포를 보이며, 단면 평균 유속은 이다. 1차원 해석에서는 유속이라고도 한다.[22]
1차원 해석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공간적으로 고정된 영역은 검사 영역(컨트롤 볼륨)이라 부르며,[24] 녹색 단면은 검사 면(control surface[24], test section[23])이라고 한다.
평균 유속 공식에 따라 단면 형상이 결정되면 임의의 수심에서 유적, 경심, 유속, 유량 등을 구할 수 있다.
다음은 다양한 개수로 단면에 대한 특성값이다.
| 단면 | 단면적 A | 윤변 P | 경심 R | 수면폭 B | 수리심 D |
|---|---|---|---|---|---|
| bh | b+2h | b | h | ||
| h(a+b) | |||||
![]() | 2mh | ||||
![]() |
- - 유적
- - 윤변
- - 경심
- - 평균 단면 유속
- - 어떤 지점에서의 주류속, 압력, 높이
- - 수심
- - 하상고
- - 하상 경사()
- - 중력 (가속도)
- 녹색 - 검사 면
- 빨강 - 컨트롤 볼륨
- 파랑 - 자유 수면
- 검정&갈색 - 하상
- 회색 - 기준선
- 하늘색 - 주류속 분포
상부가 닫혀 있고 "만수" 상태인 개수로에서 수리량을 만수 시 값과 비교하여 수심과 함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수리 특성 곡선이라고 한다.[58] 이 그림은 특정 수심에서의 유량이나 유속 계산에 도움이 된다.[59] 원형 단면의 경우, 만수 시보다 약간 적은 수심에서 유량과 유속이 최대가 된다.[60]
- 유속 : 일 때,
- 유량 : 일 때,
각각 최대값이 된다.[60][21] 만수로 흐르는 것보다 개수로로 흐르는 쪽이 저항이 적게 든다.[21]
특정 유적이나 구배에서 최대 유량이 흐르는 단면은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단면이라고 한다.[61] 또는, 특정 유량에서 유적이 최소가 되는 단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21] 직사각형 단면 수로의 경우 수로 폭이 수심의 2배일 때,[61] 사다리꼴의 경우 정육각형의 절반 형태일 때이다.[62] 평균 유속 공식의 형태에서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단면은 경심이 최대 또는 윤변이 최소일 때가 된다.[21]
4. 개수로의 흐름 유형
개수로 흐름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위치에 따른 유속 변화에 따른 분류
등류(等流, uniform flow) 또는 균일 유동**: 흐름방향으로 위치에 따라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지 않는 일정한 흐름이다. 이때의 수심을 등류수심(normal depth)이라 한다.
부등류(不等流, varied flow or nonuniform flow) 또는 불균일 유동**: 흐름방향으로 위치에 따라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는 흐름이다.
- 시간에 따른 유속 변화에 따른 분류
정류**(정상류, steady flow): 시간에 따른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지 않는 흐름이다.
부정류**(비정상류, unsteady flow): 시간에 따른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는 흐름이다.
- 단면 변화 정도에 따른 분류
점변류**(gradually varied flow): 수면 변화가 완만하게 나타나는 흐름이다.
급변류**(rapidly varied flow): 비교적 짧은 구간에서 급격한 수면 변화를 나타내는 흐름이다.

- 층류, 난류의 구분
개수로의 경우 레이놀즈 수가 500 이하이면 층류, 2000 이상이면 난류, 그 사이는 천이영역으로 구분한다. 이때 레이놀즈 수는 이며, D는 관 직경이 아니라 개수로이므로 동수반경 R을 사용한다.
4. 1. 위치에 따른 유속 변화
개수로 흐름은 위치에 따라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는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등류(等流, uniform flow) 또는 균일 유동: 흐름방향으로 위치에 따라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지 않는 흐름이다. 이때의 수심을 등류수심(normal depth)이라 한다.
- 부등류(不等流, varied flow or nonuniform flow) 또는 불균일 유동: 흐름방향으로 위치에 따라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는 흐름이다.
개수로가
- 하상 경사가 일정
- 단면적이 일정
- 유량이 일정
- 충분히 길다
라는 조건을 만족할 때, 이 흐름은 등류가 되며, 이때
- 수심 및 유속이 일정
- 수면 경사·에너지 경사·하상 경사가 모두 평행(동일)
이라는 특징을 가진다.[44]
4. 2. 시간에 따른 유속 변화
정류(정상류, steady flow)는 시간에 따른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지 않는 흐름이다. 부정류(비정상류, unsteady flow)는 시간에 따른 유속, 수심, 압력 등 흐름 특성 인자가 변하는 흐름이다. 하천의 대표적인 부정류에는 "홍수"에 의한 수리 도약 등이 존재한다.4. 3. 층류, 난류 구분
개수로 흐름은 레이놀즈 수()를 기준으로 층류, 난류, 천이영역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D는 동수반경 R을 사용한다. 개수로 흐름의 거동은 흐름의 점성 및 중력의 영향과 관성력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표면 장력은 작은 영향을 미치지만, 대부분의 경우 지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만큼 중요하지 않다. 자유 표면의 존재로 인해 중력은 일반적으로 개수로 흐름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며, 따라서 관성력과 중력의 비율이 가장 중요한 무차원 매개변수이다. 이 매개변수는 프루드 수로 알려져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4]:
여기서 는 평균 속도, 는 채널 깊이에 대한 특성 길이 척도이며, 는 중력 가속도이다. 레이놀즈 수로 표현되는 관성에 대한 점성의 영향에 따라, 흐름은 층류, 난류, 또는 전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레이놀즈 수가 충분히 커서 점성력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 허용된다.[4]
레이놀즈 수가 500 이하이면 층류, 2000 이상이면 난류, 그 사이는 천이영역으로 구분한다.
5. 비에너지


'''비에너지'''(specific energy, he)란 수로 바닥으로부터 측정된 단위 무게의 물이 가진 에너지이다. 수심을 h, 속도 수두를 이라고 한다면 비에너지는 다음 식과 같이 정의된다.[25]
:
비에너지-수심 그래프에서 하나의 비에너지에 대해 두 개의 수심이 존재하는데, 이를 '''대응 수심'''(alternate depths)이라 한다(h1, h2).[37] 비에너지가 최소인 경우에는 하나의 수심만이 존재하며, 이를 '''한계수심'''(限界水深, critical depth, hc)이라 한다.[34] 한계수심보다 큰 수심(h2)의 흐름은 '''상류'''(常流, subcritical flow)라 하고, 한계수심보다 작은 수심(h1)의 흐름은 '''사류'''(射流, supercritical flow)라 한다.[40] 프루드 수(Fr)가 1보다 작은 흐름을 상류(subcritical flow영어), 1보다 큰 흐름을 사류(supercritical flow영어)라고도 한다.[40]
비에너지 E가 일정하다고 할 때, 유량 Q에 관한 식은 다음과 같다.
:
이 식에서 한계수심(h=hc)일 때 유량 Q가 최대가 되며, h=0, E일 때 Q=0이다.
폭이 b인 직사각형 단면에서 한계수심 hc와 비에너지 E의 관계는 그래프 상에서 Qmax인 점, 즉 인 점에서 결정된다. 이를 통해 직사각형 단면에서 다음 관계를 얻는다.
:
:
이는 한계 수심이 한계 비에너지의 2/3가 되며, 속도 수두(≒운동 에너지)가 피에조 수두(수심 ≒ 위치 에너지)의 절반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40]
개수로 흐름의 거동은 흐름의 점성 및 중력의 영향과 관성력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며, 프루드 수는 관성력과 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중요한 무차원 매개변수이다.[4]
비에너지는 하상으로부터 측정한 에너지로 길이 단위를 가지며,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25]
:
여기서 는 에너지 보정 계수, 는 단면 평균 유속, 는 중력 가속도, 는 수심, 는 하상 경사이다.[26]
비에너지와 유사하게, 운동량에 관해서 '''비력'''()이 정의된다.[13]
:
여기서 는 운동량 보정 계수, 는 유수 단면적(유적)이다.[27]
|: 비에너지-수심 곡선[34]
]]
|: 유량-수심 곡선[35]
]]
비에너지와 비력은 수심()에 관한 삼차 함수이며, 이들이 보존되는 경우 수심은 두 개의 양의 실근을 가진다.[36] 즉, 같은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흐름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수심이 두 개 존재하며, 작은 쪽의 수심을 사류 수심(supercritical depth영어), 큰 쪽의 수심을 상류 수심(subcritical depth영어)이라고 하고, 이 둘의 관계를 교대 수심 관계(alternative depth영어)라고 한다.[37]
롤의 정리에 의해 같은 비에너지에 대해 두 개의 수심이 존재하면 그 사이에 극값을 취하는 점, 즉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점이 존재한다. 이 점에 해당하는 수심을 한계 수심(critical depth영어)이라 하고, 이때의 흐름을 한계류(critical flow영어)라고 한다.[40] 에너지를 최소로 하여 물을 흐르게 하려면 수심을 한계 수심과 일치시켜야 하며, 이를 베스의 정리라고 한다.[40]
한계 수심은 비에너지를 수심으로 미분하여 그 미분 계수가 0이 되는 점에서 구할 수 있으며 (최소 비에너지의 원리), 유량 가 흐르는 폭 의 직사각형 단면 개수로의 경우 다음과 같다.[39]
:
즉, 한계 수심은 유량의 2/3승에 비례한다.
한계류일 때의 유속은 한계 유속(critical velocity영어)이라고 하며, 그 크기는 장파의 전파 속도와 같고 프루드 수가 1이 된다.[39] 유속이 장파의 전파 속도보다 큰 사류의 경우에는 수면파가 상류로 전달되지 않고 하류로만 전달된다.[35]
사류는 유속이 매우 빨라 교각 등에 작용하는 유체력이 커지거나 하상 전단력이 강해져 세굴되기 쉬우므로 위험하다.[41] 따라서 일반적인 하천에서는 상류 수심이 되도록 수심을 조정하여 물을 흐르게 한다.[41]
비에너지를 일정하게 하고 유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유량 는 다음과 같다.
:
이 경우에도 유량은 어떤 수심에서 최대가 되며, 이때의 수심은 위에서 설명한 "유량 일정"의 경우의 한계 수심과 일치한다.[42] 즉,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 수심에서 유량이 최대가 되며, 이를 최대 유량의 원리 (또는 벨랑제의 정리)라고 한다.[42]
| 특성 | 상류 | 한계류 | 사류 |
|---|---|---|---|
| 프루드 수 | <1 | 1 | 1< |
| 수심 (피에조 수두) | |||
| 평균 유속 | 장파의 전파 속도 | ||
| 비에너지 | 최소 (베스의 정리) | ||
| 유량 | 최대 (벨랑제의 정리) | ||
| 비력 | (최소) | ||
| 수면 경사 | 유한 | 무한대 (브레스의 정의) | 유한 |
| 미소 교란파의 상류 측 파동 | 상류로 전파 | 그 자리에 머무름 | 하류로 전파 |
| 미소 교란파의 하류 측 파동 | 하류로 전파 | ||
6. 한계흐름의 조건
한계흐름은 비에너지가 최소일 때() 발생한다.[40] 한계흐름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4]
:
위 식은 수면폭 bt를 이용해 로 표현할 수 있으며, 수리평균심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4]
:
또는,
:
프루드 수(Fr)를 통해 사류, 상류, 한계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므로, 이면 한계흐름 조건식과 일치한다. 즉 프루드 수가 1이면 흐름은 한계류이다.[4] 한계류일 때의 수리평균심 D를 Dc으로 표현한다. 프루드 수를 통한 흐름 구분은 다음과 같다.[4]
- Fr = 1 : 한계류
- Fr < 1 : 상류
- Fr > 1 : 사류
개수로 흐름은 프루드 수로 표현되는 관성력과 중력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4]
비에너지와 비력은 수심에 관한 삼차 함수이며, 같은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흐름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수심이 2개 존재한다. 작은 쪽의 수심을 '''사류 수심'''(supercritical depth영어), 큰 쪽의 수심을 '''상류 수심'''(subcritical depth영어)라고 하며, 양자의 관계를 '''교대 수심 관계'''(alternative depth영어)라고 한다.[37][36]
롤의 정리에 의해 그 사이에 극값을 취할 수 있는 점이 존재하며,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수심을 '''한계 수심'''(critical depth영어), 이때의 흐름을 '''한계류'''(critical flow영어)라고 한다.[34][40] 에너지를 최소로 물을 흐르게 하려면 수심을 한계 수심과 일치시키면 되며, 이를 '''베스의 정리'''라고 한다.[40]
한계류일 때의 유속은 '''한계 유속'''(critical velocity}})이라고 하며, 그 크기는 장파의 전파 속도와 같아 프루드 수가 1이 된다.[39] 유속이 장파의 전파 속도보다 큰 사류의 경우에는 수면파가 상류로 전달되지 않고 하류로만 전달된다.[35]
일반적인 하천에서는 상류 수심이 되도록 수심을 조정하여 물을 흐르게 하므로, 그 때가 "일반적인 흐름"이며, 이것이 상류라는 용어의 유래이다.[41]
비에너지를 일정하게 하고 유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유량은 어떤 수심에서 최대가 되며, 이때의 수심은 "유량 일정"의 경우의 한계 수심과 일치한다.[39][42] 즉,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 수심에서 유량이 최대''가 되며, 이를 '''최대 유량의 원리''' (또는 '''벨랑제의 정리''')라고 한다.[42]
| 특성 | 상류 | 한계류 | 사류 |
|---|---|---|---|
| 프루드 수 | <1 | 1 | 1< |
| 수심 (피에조 수두) | |||
| 평균 유속 | 장파의 전파 속도 | ||
| 비에너지 | 최소 (베스의 정리) | ||
| 유량 | 최대 (벨랑제의 정리) | ||
| 비력 | (최소) | ||
| 수면 경사 | 유한 | 무한대 (브레스의 정의) | 유한 |
| 미소 교란파의 상류 측 파동 | 상류로 전파 | 그 자리에 머무름 | 하류로 전파 |
| 미소 교란파의 하류 측 파동 | 하류로 전파 | ||
7. 한계수심 계산
한계수심이 되는 조건은 이다. 여기서 이고, 이것을 수심 h에 대해 미분하면 다음과 같다.
:
한계수심 조건식에서 이고, A를 대입하면 가 된다. (1)과 (2)를 결합하고, 수심 h에 대해 정리하면, 이때의 수심 h가 한계수심 hc이다.
:
직사각형 단면에서 폭이 b라 할 때 a=b, n=1이다.(A=ab이므로) 따라서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한계수심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q는 단위폭당 유량이다.
:
삼각형 단면에서 사면 경사가 1:z일 때, a=z, n=2이며, 한계수심은 다음과 같다.
:
비에너지와 비력은 수심 에 관하여 삼차 함수이며, 이것들이 보존되는 경우 수심이 2개의 양의 실근을 가지게 된다[36] . 즉, ''같은 크기의 에너지를 갖는 흐름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수심이 2개 존재''하게 되며, 작은 쪽의 수심을 '''사류 수심'''(supercritical depth영어), 큰 쪽의 수심을 '''상류 수심'''(subcritical depth영어)라고 하며, 양자의 관계를 '''교대 수심 관계'''(alternative depth영어)라고 한다[37] .
같은 비에너지에 대해 수심이 2개 존재한다는 것은 롤의 정리에 의해 그 사이에 극값을 취할 수 있는 점이 존재한다. 어떤 수심에서 비에너지가 최소가 되어, 상류 수심과 사류 수심이 일치한다. 이 수심을 '''한계 수심'''(critical depth영어)이라고 하며[34], 이때의 흐름을 '''한계류'''(critical flow영어)라고 부른다[40] . 즉, 에너지를 최소로 물을 흐르게 하려면 수심을 한계 수심과 일치시키면 되며, 이를 '''베스의 정리'''라고 한다[40] .
이 한계 수심은 비에너지를 수심으로 미분하여, 그 미분 계수가 0이 되는 점에서 구할 수 있으며 ('''최소 비에너지의 원리'''), 유량 가 흐르는 폭 의 직사각형 단면 개수로의 경우
{{Indent|
}}
가 되어, 한계 수심은 유량의 2/3승에 비례한다[39] . 또한, 그 비에너지(한계 비에너지)는
{{Indent|
}}
가 되어, ''한계 수심은 한계 비에너지의 2/3''가 되며, 속도 수두(≒운동 에너지)가 피에조 수두(수심 ≒ 위치 에너지)의 절반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40] .
한계류일 때의 유속은 '''한계 유속'''(critical velocity영어)이라고 하며, 그 크기는 장파의 전파 속도와 같아 프루드 수가 딱 1이 된다[39] . 그리고, 프루드 수가 1보다 작은 흐름을 '''상류'''(subcritical flow영어)라고 하며, 프루드 수가 1보다 큰 경우를 '''사류'''(supercritical flow영어)라고 한다[40] . 이로부터, 유속이 장파의 전파 속도보다 큰 사류의 경우에는 수면파가 상류로 전달되지 않고 하류로만 전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35] .
비에너지를 일정하게 하고 유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유량 는
{{Indent|
}}
가 된다. 그래프는 그림 5와 같이 되어 유량은 어떤 수심에서 최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39] . 이때의 수심을 계산하면, 위 "유량 일정"의 경우의 한계 수심과 일치한다[42] . 즉, ''비에너지가 일정할 때, 한계 수심에서 유량이 최대''가 되며, 이를 '''최대 유량의 원리''' (또는 '''벨랑제의 정리''')라고 한다[42] .
8. 등류의 평균 유속
등류(균일 흐름)에서 평균 유속을 계산하는 공식으로는 매닝(Manning) 공식과 셰지(Chezy) 공식이 있다.[51]
- 매닝(Manning) 공식:
(n: 매닝의 조도 계수, R: 경심, I: 에너지 경사)[51]
여기서 n과 C는 각각 매닝의 조도 계수와 셰지 계수라고 불리는 계수로, 흐름의 용이함 또는 어려움을 나타낸다. 이 두 계수와 마찰 손실 계수 f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52]
| 관계 | 관계 | 관계 |
|---|---|---|
체지 공식과 매닝 공식은 모두 평균 유속이 경사(I)의 1/2승에 비례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다르시-바이스바흐 식과 형태가 유사하여 조면 난류(마찰 손실 계수가 레이놀즈 수에 의존하지 않는 영역)에서 타당하다고 여겨진다.[51] 두 공식의 차이는 경심의 1/6승 부분뿐이지만, 수리학적 의미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53]
셰지 공식은 컨트롤 볼륨에 작용하는 압력, 중력, 하상 마찰력의 평형 조건과 다르시-바이스바흐 식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54] 매닝 공식은 이론적인 대수 법칙에 의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단위는 미터와 초)와 관련되며, 조도 입경 가 일정하면 흐름에 관계없이 매닝 계수가 일정하므로 수리학적 합리성을 가진다.[55]
매닝 공식은 자연 하천에서의 등류 상태를 셰지 공식보다 잘 표현하기 때문에 하천 공학상 우수하며,[56]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하천 행정에서는 거의 매닝 공식만 사용된다.[56] 이러한 이유로 매닝의 조도 계수는 하천 데이터베이스에 필수적이며, 콘크리트 개수로(0.015), 토제 직선형 개수로(0.02), 암반 직선형 개수로(0.03), 직선형 자연 하천(0.03), 사행 하천(0.04) 순으로 커진다(물이 흐르기 어렵다).[57]
9. 개수로 흐름의 추가 특징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수로에서의 1차원 해석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17].
- 2차류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유속은 주류의 단면 평균 유속 ''v''로 대표된다.
- 레이놀즈 수가 크고 충분히 발달한 난류[18]이지만, 난류에 의한 손실은 손실 수두에 포함하여 고려한다.
- 압력은 정수압 근사할 수 있다.
==== 보존 법칙 ====
개수로 흐름에는 질량, 운동량, 에너지의 세 가지 보존 법칙이 적용된다.[17]
- '''연속 방정식(질량 보존 법칙)''': 유량 Q (유수 단면적 A와 단면 평균 유속 v의 곱)는 보존된다.[28] 이는 물(비압축성 유체)의 질량 보존의 법칙에 해당하는 연속 방정식에 발산 정리를 적용하여 유도된다.[29]
:''Q'' = ''A''1 ''v''1 = ''A''2 ''v''2 = const.
:dH0/dx = ''I''b - ''I''e
:(''M''0)2 - (''M''0)1 = ''V'' sin θ - ''F'' / (ρ''g'')
여기서,
- ''Q'': 유량
- ''A'': 유수 단면적
- ''v'': 단면 평균 유속
- ''H''0: 비에너지
- ''I''b: 하상 경사
- ''I''e: 에너지 경사
- (M0)1, (''M''0)2: 검사 면 1, 2에서의 비력
- ''V'': 컨트롤 볼륨의 체적
- θ: 하상 경사
- ''F'': 외력(마찰력)
- ρ: 물의 밀도
- ''g'': 중력 가속도
개수로의 1차원 해석에서는 2차류는 무시하고, 유속은 주류의 단면 평균 유속으로 대표되며, 레이놀즈 수가 크고 충분히 발달한 난류이지만, 난류에 의한 손실은 손실 수두에 포함하여 고려하고, 압력은 정수압 근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17][18]
==== 도수(跳水, hydraulic jump) ====
도수(跳水, hydraulic jump)는 사류에서 상류로 변화할 때 생기는 현상이다. 급격한 에너지 손실을 동반한다.
9. 1. 보존 법칙
개수로 흐름에는 질량, 운동량, 에너지의 세 가지 보존 법칙이 적용된다.[17]- '''연속 방정식(질량 보존 법칙)''': 유량 Q (유수 단면적 A와 단면 평균 유속 v의 곱)는 보존된다.[28] 이는 물(비압축성 유체)의 질량 보존의 법칙에 해당하는 연속 방정식에 발산 정리를 적용하여 유도된다.[29]
::
::
::
여기서,
- : 유량
- : 유수 단면적
- : 단면 평균 유속
- : 비에너지
- : 하상 경사
- : 에너지 경사
- : 검사 면 1, 2에서의 비력
- : 컨트롤 볼륨의 체적
- : 하상 경사
- : 외력(마찰력)
- : 물의 밀도
- : 중력 가속도
개수로의 1차원 해석에서는 2차류는 무시하고, 유속은 주류의 단면 평균 유속으로 대표되며, 레이놀즈 수가 크고 충분히 발달한 난류이지만, 난류에 의한 손실은 손실 수두에 포함하여 고려하고, 압력은 정수압 근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17][18]
9. 2. 도수(跳水, hydraulic jump)
도수(跳水, hydraulic jump)는 사류에서 상류로 변화할 때 생기는 현상이다. 급격한 에너지 손실을 동반한다.
10. 부등류 계산
부등류(점변류)의 수면형을 분류하고, 수면곡선을 계산한다.
11. 비정상류
하천의 대표적인 비정상류에는 "홍수"에 의한 수리 도약 등이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Open-Channel Hydraulics
https://heidarpour.i[...]
The Blackburn Press
[2]
서적
Unsteady Flow in Open Channel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Basic Hydraulic Principles of Open-Channel Flow
https://pubs.usgs.go[...]
U.S. Geological Survey
[4]
서적
Open Channel Hydraulics
http://docshare03.do[...]
McGraw-Hill
[5]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6]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7]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8]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9]
서적
ブレビア・フェラント『コンピュータ水理学』
[10]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11]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12]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13]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14]
서적
川合・和田・神田・鈴木『河川工学』
[15]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16]
서적
川合・和田・神田・鈴木『河川工学』
[17]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18]
문서
流れの性質が、空間的にある程度均質であるとみなせる状態。
[19]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20]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1]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2]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3]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4]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25]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26]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7]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28]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29]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30]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31]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32]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33]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34]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35]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36]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37]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38]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39]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40]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41]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42]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43]
문서
[44]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45]
문서
[46]
서적
ブレビア・フェラント『コンピュータ水理学』
[47]
서적
ブレビア・フェラント『コンピュータ水理学』
[48]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49]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50]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51]
서적
禰津『水理学・流体力学』
[52]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53]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54]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55]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56]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57]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58]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59]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60]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61]
서적
日下部・檀・湯城『水理学』
[62]
서적
禰津・冨永『水理学』
[63]
서적
토목기사 상하수도공학
한솔아카데미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