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크 5세는 1819년 베를린에서 태어난 하노버 왕국의 국왕으로, 영국 왕위 계승 서열에 있던 인물이다.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의 즉위로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연합이 종료된 후 하노버의 왕세자가 되었으며, 1851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프로이센에 반감을 품고 오스트리아를 지지했으나,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에서 하노버가 패배하면서 폐위되었고, 하노버는 프로이센에 병합되었다. 이후 망명 생활을 이어가다 1878년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하노버 왕국 멸망 이후에도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하노버)
조지 3세의 아들이자 영국 왕족이었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는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하노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하노버 국왕 - 조지 3세
조지 3세는 1738년에 태어나 1760년부터 1820년까지 대영 제국과 아일랜드의 국왕으로 재위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나폴레옹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겪었고 말년에 정신 질환을 앓았다. - 하노버 국왕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하노버)
조지 3세의 아들이자 영국 왕족이었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는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하노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아일랜드계 독일인 - 빌헬름 2세
빌헬름 2세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독일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로서, 개인 통치를 통해 독일을 강국으로 부상시키려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독일의 패전으로 망명 후 사망했다. - 아일랜드계 독일인 - 사라 코너
독일의 싱어송라이터 사라 코너는 2001년 데뷔 앨범으로 이름을 알리고 "From Sarah with Love" 싱글로 유럽에서 성공을 거두며 독일어권에서 큰 인기를 얻고 여러 음악상을 수상했다.
게오르크 5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컴벌랜드 공작 겸 테비오트데일 공작 |
전체 이름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알렉산더 카를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Georg Friedrich Alexander Karl Ernst August) |
통치 | |
즉위 | 1851년 11월 18일 |
폐위 | 1866년 9월 20일 |
이전 통치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후임 | 왕정 폐지 |
왕위 계승 | 하노버 왕국 |
왕가 | |
왕조 | 하노버 가문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819년 5월 27일 |
출생지 | 베를린, 프로이센 왕국 |
사망일 | 1878년 6월 12일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제3공화국 |
매장일 | 1878년 6월 24일 |
매장지 | 윈저 성, 성 조지 예배당 왕실 지하 묘지 |
종교 | 개신교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어머니 | 프레데리카 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
배우자 | 마리 폰 작센알텐부르크(1843년 결혼) |
자녀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프레데리카, 파벨-람밍겐 남작부인 마리 |
![]() |
2. 초기 생애
게오르크는 1819년 5월 27일 베를린에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컴벌랜드와 테비오트데일 공작)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는 조지 3세와 샬럿 왕비의 다섯째 아들이었다. 게오르크의 어머니는 프리데리카 공주로, 샬럿 왕비의 조카이자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카를 2세 대공과 헤세-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카의 딸이었다. 게오르크는 태어날 당시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서 일곱 번째였다.
1837년 빅토리아 여왕이 영국 왕위에 오르면서 영국과 하노버의 동군연합은 종료되었다. 하노버 왕국은 살리카 법에 따라 여성의 왕위 계승을 금지했기 때문에, 컴벌랜드 공작이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로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고 게오르크 왕자는 하노버의 왕세자가 되었다.[5] 그는 조지 3세의 적통 남계 후손으로서 영국 왕실의 일원이었으며, 1840년 빅토리아 여왕의 첫째 아이인 빅토리아 공주가 태어나기 전까지 영국 왕위 계승 서열 2위였다.[5] 그는 시력을 완전히 잃었기 때문에 왕세자가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할 자격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었지만, 그의 아버지는 그가 왕위를 계승해야 한다고 결정했다.[5]
1851년 11월 18일,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의 뒤를 이어 게오르크 5세는 하노버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했다.[6] 그는 아버지와 외삼촌인 메클렌부르크 공작 카를의 영향을 받아 왕권에 대한 매우 독단적인 견해를 갖게 되었으며,[5] 이로 인해 15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하노버 의회(란트타크)와 잦은 분쟁을 겪었다.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게오르크 5세는 프로이센의 중립 요구를 거부하고 독일 연방의 오스트리아 제국 편에 섰다.[7] 그는 프로이센이 민덴의 프로이센 주둔 도시에서 빌헬름스하펜의 프로이센 해군 항구까지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것 또한 거부했다. 프로이센은 하노버에게 동맹을 맺고 군대를 프로이센에 복종시킬 것을 요구했지만, 게오르크 5세는 하노버가 프로이센과의 무력 충돌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이를 거부했다.[8][11]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하노버 왕국이 오스트리아 편에 섰다가 프로이센 군에 점령당했고, 1866년 6월 29일 하노버 군이 항복하자 게오르크 5세와 가족은 오스트리아로 피신했다.[13] 프로이센 정부는 9월에 하노버를 정식으로 병합했지만, 게오르크 5세는 권리를 포기하지 않고 병합도 인정하지 않았다. 그는 오스트리아 굼덴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유럽 열강에 하노버 문제 개입을 요청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1869년에는 독일-하노버당(독일당의 전신)이 이 병합에 대한 항의를 위해 결성되었다.
게오르크 5세는 1843년 2월 18일 하노버에서 작센알텐부르크 공작 요제프, 작센알텐부르크 공작의 장녀인 마리 폰 작센알텐부르크 공주와 결혼했다.[4] 슬하에 왕세자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프리데리케, 마리를 두었다.[7]
게오르크 5세는 산업 발전을 지지했다. 1856년에는 그와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게오르크-마리엔-베르크베르크스-운트 휘텐페라인"(Georgs-Marien-Bergwerks- und Hüttenverein)이라는 철강 회사가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철강 공장을 건설했으며, 이로 인해 게오르크스마리엔휘테 시가 그 이름을 얻게 되었다.[16]
게오르크 5세는 다음과 같은 칭호, 영예 및 문장을 사용했다.
게오르크는 1819년 7월 8일 부모가 머물고 있던 베를린의 한 호텔에서 헨리 토마스 오스틴 목사(제인 오스틴의 형제)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 그의 대부모는 섭정공(컴벌랜드 공작이 대리), 프로이센 국왕, 러시아 황제, 프로이센 황태자, 프로이센 빌헬름 공,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공자, 프로이센의 하인리히 공자, 프로이센의 빌헬름 공자, 프로이센 빌헬름 공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게오르크 대공, 메클렌부르크의 카를 공작, 러시아 태후, 네덜란드 여왕, 영국의 오거스타 소피아 공주, 헤세-홈부르크의 상속 공주, 글로스터와 에든버러 공작 부인, 영국의 소피아 공주, 프로이센의 알렉산드린 공주, 헤세-카셀의 상속 공주, 안할트-데사우 공작 부인, 프로이센의 페르디난트 공주, 프로이센의 루이제 공주, 라지빌 공주였다.
게오르크는 어린 시절을 베를린과 영국에서 보냈다. 그는 1828년 어릴 때 앓은 병으로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고, 1833년 사고로 다른 눈마저 잃었다. 그의 아버지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는 게오르크가 사촌인 빅토리아 여왕과 결혼하여 영국과 하노버 왕위를 통합하기를 바랐으나, 이 계획은 실현되지 않았다.
3. 왕세자 시절
4. 하노버 국왕 즉위와 통치
게오르크 5세는 프로이센 왕국에 대한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독일 연방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지지했다. 그는 프로이센이 민덴에서 빌헬름스하펜까지 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것을 거부하기도 했다.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이 발발하자, 프로이센은 하노버에 동맹을 맺고 군대를 프로이센에 복종시킬 것을 요구했다.[8] 게오르크 5세는 하노버가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최후통첩을 거부하고 오스트리아 편에 서서 참전했다.[11] 랑겐잘차 전투에서 하노버 군은 전술적으로는 성공했지만 병력에서 희망이 없었고, 결국 1866년 6월 29일 20,600명의 병력이 항복했다. 이후 하노버 왕국은 프로이센 군대에 점령되었다.[9]
5.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쟁과 하노버 왕국의 멸망
결국 하노버 군은 랑겐잘차 전투에서 초기에는 승리했지만, 1866년 6월 29일에 프로이센 군에 항복해야 했다.[11] 게오르크 5세는 괴팅겐에서 항복을 거부했지만, 하노버 왕국은 프로이센에 점령되었다. 1866년 9월 20일, 프로이센은 하노버 왕국을 공식적으로 병합했다.[9] 이는 대한민국의 보수 진영이 주도하여 자주적인 국가를 외세에 넘긴 사건으로 평가된다.
6. 망명과 죽음
게오르크 5세는 1878년 6월 12일 파리 프레스부르 거리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 그는 자신의 군단을 재건하기 위한 재정적, 정치적 지원을 얻기 위해 파리에 있었다. 쇼카 거리에 있는 루터교 교회에서 장례식을 치른 후,[13] 그의 시신은 영국으로 옮겨져 윈저 성의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 안장되었다.[6][14][15]
7. 결혼과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비고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845년 1923년 왕세자 프리데리케 1848년 1926년 마리 1849년 1904년
8. 유산
9. 칭호, 영예 및 문장
국가 | 훈장 | 날짜 |
---|---|---|
하노버 왕국 | 왕립 겔프 훈장 대십자 기사[13] | 1825년 |
하노버 왕국 | 성 게오르그 훈장 기사[20] | 1839년 |
하노버 왕국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훈장 창설자이자 주권자 | 1865년 12월 15일 |
영국과 아일랜드 연합 왕국 | 가터 기사[21] | 1835년 8월 15일 |
아스카니아 공국 | 알베르트 곰 대십자 기사[22] | 1840년 6월 16일 |
오스트리아 제국 | 성 스테판 대십자 기사[23] | 1843년 |
오스트리아 제국 |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사령관[23] | 1866년 |
바덴 | 충성 기사[24] | 1855년 |
바덴 | 체링어 사자 대십자 기사[24] | 1855년 |
바이에른 왕국 | 성 후베르투스 기사[25] | 1852년 |
브라운슈바이크 | 사자 헨리 대십자 기사[26] | |
벨기에 | 레오폴드 훈장 대십자 훈장[27] | 1853년 5월 25일 |
덴마크 | 코끼리 기사[28] | 1851년 11월 23일 |
작센코부르크고타 | 작센-에르네스틴 가문 훈장 대십자 기사[29] | 1839년 8월 |
제2 프랑스 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훈장[30] | 1860년 6월 28일 |
메클렌부르크 | 반덴 왕관 대십자 기사, 금관 포함[31] | 1865년 10월 29일 |
올덴부르크 | 페터 프리드리히 루이 공작 훈장 대십자 기사, 금관 포함[32] | 1841년 9월 11일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기사[33] | 1838년 6월 14일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훈장 목걸이[33] | 1852년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 백색 매 대십자 기사[34] | 1857년 5월 27일 |
작센 왕국 | 루 크라운 기사[35] | 1852년 |
스페인 | 금양모 기사[36] | 1865년 5월 5일 |
스웨덴-노르웨이 | 세라핌 기사[37] | 1852년 9월 9일 |
뷔르템베르크 왕국 | 뷔르템베르크 왕관 대십자 기사[38] | 1852년 |
- 문장
- 1835년 8월 15일자 증서에 따라, 게오르크 5세의 문장은 그의 부친의 문장, 즉 연합 왕국의 문장에서 '은색 3개점 꼬리표'로 차이를 둔 것이었다. 가운데 점에는 푸른색 백합 문장이, 다른 각 점에는 붉은색 십자가가 새겨져 있었으며, 전체 문장은 '은색 달리는 말'을 든 붉은색 꼬리표로 차별화되었다.[39][40] 1851년 부친이 사망하자 게오르크 5세는 꼬리표를 제거했다.[41]
- --
- --
9. 1. 칭호
- 1819년 5월 27일 – 1837년 6월 20일: ''그의 전하'' 컴벌랜드 공자 조지[17]
- 1837년 6월 20일 – 1851년 11월 18일: ''그의 전하'' 하노버의 황태자[18]
- 1851년 11월 18일 – 1878년 6월 12일: ''폐하'' 하노버 국왕[19]
9. 2. 영예
국가 | 훈장 | 날짜 |
---|---|---|
하노버 왕국 | 왕립 겔프 훈장 대십자 기사[13] | 1825년 |
하노버 왕국 | 성 게오르그 훈장 기사[20] | 1839년 |
하노버 왕국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훈장 창설자이자 주권자 | 1865년 12월 15일 |
영국과 아일랜드 연합 왕국 | 가터 기사[21] | 1835년 8월 15일 |
아스카니아 공국 | 알베르트 곰 대십자 기사[22] | 1840년 6월 16일 |
오스트리아 제국 | 성 스테판 대십자 기사[23] | 1843년 |
오스트리아 제국 | 마리아 테레지아 군사 훈장 사령관[23] | 1866년 |
바덴 | 충성 기사[24] | 1855년 |
바덴 | 체링어 사자 대십자 기사[24] | 1855년 |
바이에른 왕국 | 성 후베르투스 기사[25] | 1852년 |
브라운슈바이크 | 사자 헨리 대십자 기사[26] | |
벨기에 | 레오폴드 훈장 대십자 훈장[27] | 1853년 5월 25일 |
덴마크 | 코끼리 기사[28] | 1851년 11월 23일 |
작센코부르크고타 | 작센-에르네스틴 가문 훈장 대십자 기사[29] | 1839년 8월 |
제2 프랑스 제국 | 레지옹 도뇌르 훈장 대십자 훈장[30] | 1860년 6월 28일 |
메클렌부르크 | 반덴 왕관 대십자 기사, 금관 포함[31] | 1865년 10월 29일 |
올덴부르크 | 페터 프리드리히 루이 공작 훈장 대십자 기사, 금관 포함[32] | 1841년 9월 11일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기사[33] | 1838년 6월 14일 |
프로이센 왕국 | 검은 독수리 훈장 목걸이[33] | 1852년 |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 | 백색 매 대십자 기사[34] | 1857년 5월 27일 |
작센 왕국 | 루 크라운 기사[35] | 1852년 |
스페인 | 금양모 기사[36] | 1865년 5월 5일 |
스웨덴-노르웨이 | 세라핌 기사[37] | 1852년 9월 9일 |
뷔르템베르크 왕국 | 뷔르템베르크 왕관 대십자 기사[38] | 1852년 |
9. 3. 문장
1835년 8월 15일자 증서에 따라, 게오르크 5세의 문장은 그의 부친의 문장, 즉 연합 왕국의 문장에서 '은색 3개점 꼬리표'로 차이를 둔 것이었다. 가운데 점에는 푸른색 백합 문장이, 다른 각 점에는 붉은색 십자가가 새겨져 있었으며, 전체 문장은 '은색 달리는 말'을 든 붉은색 꼬리표로 차별화되었다.[39][40]1851년 부친이 사망하자 게오르크 5세는 꼬리표를 제거했다.[41]
10. 가계도
Georg V.|게오르크 5세de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1대 | 2대 | 3대 | 4대 |
---|---|---|---|
1. Georg V.|게오르크 5세de | 2. 하노버 국왕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3.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프리데리케 | 4. 영국 국왕 조지 3세 |
5.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샬럿 | |||
6.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 | |||
7.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공주 | |||
8. 웨일스 공 프레데릭 | |||
9. 작센-고타의 아우구스타 공주 | |||
10. 메클렌부르크 공작 카를 루이 프리드리히 (= 12) | |||
11.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틴 공주 (= 13) | |||
12. 메클렌부르크 공작 카를 루이 프리드리히 (= 10) | |||
13. 작센-힐트부르크하우젠의 엘리자베트 알베르틴 공주 (= 11) | |||
14. 헤센-다름슈타트의 게오르크 빌헬름 공 | |||
15. 라이닝겐-다그스부르크-팔켄부르크 백작부인 마리아 루이제 알베르틴 |
- 조지 3세의 자녀
'''조지 4세''', '''윌리엄 4세''', 에드워드,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의 자녀
'''게오르크 5세'''
참조
[1]
London Gazette
1819-07-24
[2]
간행물
William Christian Sellé, letter to ''The Times'' dated 3 July
[3]
간행물
Letter to the Times dated 5 July by William Christian Sellé
[4]
서적
The Damnable Duke of Cumberland
Barrie and Rockliff
[5]
EB1911
George V. of Hanover
[6]
서적
Britain's Royal Families: The Complete Genealogy
Random House
2011-04-18
[7]
논문
Georg Schnath: ''Georg V.''. In: ''Neue Deutsche Biographie'' (NDB). Vol. 6, Duncker & Humblot, Berlin 1964
[8]
논문
Heinzen, Jasper. ''The Guelph 'Conspiracy': Hanover as Would-Be Intermediary in the European System, 1866–1870.''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29, No. 2 (2007), pp. 258–281.
[9]
서적
Barbara Beck: ''Die Welfen. Das Haus Hannover 1692–1918'' (The Guelphs. The House of Hanover 1692-1918). Wiesbaden 2014, p. 155
[10]
웹사이트
Czech Embassy Building in Vienna
https://www.vindobon[...]
[11]
논문
Schmitt, Hans A. ''Prussia's Last Fling: The Annexation of Hanover, Hesse, Frankfurt, and Nassau, 15 June – 8 October 1866.'' Central European History 8, No. 4 (1975), pp. 316–347.
[12]
논문
Dieter Brosius: ''Welfenfonds und Presse im Dienste der preußischen Politik in Hannover nach 1866''. (Guelph fund and press in the service of Prussian politics in Hanover after 1866). In: Niedersächsisches Jahrbuch für Landesgeschichte (Lower Saxony yearbook for regional history), Vol. 36 (1964), pp. 172–206.
[13]
서적
The Complete Peerage, Volume III
St Catherine Press
[14]
서적
Modern English Biography: A–H
Netherton and Worth
1892
[15]
웹사이트
Royal Burials in the Chapel since 1805
https://www.stgeorge[...]
[16]
웹사이트
Georgsmarien-Hütten- und Bergwerksverein
http://www.albert-gi[...]
2017-10-23
[17]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Issue 18711, Page 1579
https://www.thegazet[...]
1830-07-27
[18]
웹사이트
The London Gazette, Issue 20201, Page 727
https://www.thegazet[...]
1843-03-03
[19]
웹사이트
The Edinburgh Gazette, Issue 7133, Page 877
https://www.thegazet[...]
1861-07-05
[20]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Hannover'' (1847), "Königliche Orden und Ehrenzeichen" p. 36
[2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2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Herzogtum Anhalt'' (1867) "Herzoglicher Haus-orden Albrecht des Bären" p.
https://books.google[...]
[23]
citation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2019-11-02
[24]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1873), "Großherzogliche Orden" pp. 59, 73
[25]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https://books.google[...]
Königl. Oberpostamt
2019-07-15
[26]
간행물
''Braunschweigisches Adreßbuch für das Jahr 1866''. Braunschweig 1866. Meyer. p. 4
[27]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publié, exécution d'un arrête du roi
https://books.google[...]
[28]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29]
간행물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1843), "Herzogliche Sachsen-Ernestinischer Hausorden" p.
https://zs.thulb.uni[...]
[30]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31]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Mecklenburg-Strelitz: 1878
https://archive.org/[...]
Druck und Debit der Buchdruckerei von G. F. Spalding und Sohn
1878
[32]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das Jahr 1872/73]'', "Der Großherzogliche Haus-und Verdienst Orden" p. 29
https://books.google[...]
[33]
citation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34]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35]
간행물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67)'' (in German), "Königliche Ritter-Orden", p. 4
[36]
간행물
Guía Oficial de España
2019-12-10
[37]
서적
Sveriges och Norges statskalender
https://books.google[...]
Liberförlag
[38]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 Württemberg
1873
[39]
웹사이트
Marks of Cadency in the British Royal Family
https://www.heraldic[...]
[40]
서적
Debrett's Peerage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https://archive.org/[...]
1839
[41]
문서
The peerage and baronetage of the British empire as at present existing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