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임의 규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임의 규칙》은 1939년 개봉한 장 르누아르 감독의 프랑스 영화이다.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한 비행사가 파리의 사교계에 합류하면서 벌어지는 상류층의 위선과 부조리를 다룬다. 르누아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의 불안한 시대를 배경으로, 배우들의 즉흥 연기와 심도 촬영 기법을 활용하여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했다. 개봉 당시에는 상업적으로 실패하고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 재평가를 통해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항공 영화 - 파리 대탈출
    파리 대탈출은 1942년 파리를 배경으로 독일군에 격추된 영국 공군 조종사들의 탈출을 그린 영화이며, 앙드레 부르빌, 루이 드 푸네스 등이 출연하고 프랑스 박스오피스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프랑스의 항공 영화 - 치킨 런
    치킨 런은 2000년 아드만 애니메이션에서 제작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영화로, 요크셔 농장의 닭들이 자유를 찾아 탈출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영화 《대탈주》에서 모티브를 얻어 닉 파크와 피터 로드가 감독을 맡았고, 비평적,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영화로 기록되었으며, 2023년에는 속편이 공개되었다.
  • 장 르누아르 감독 영화 - 위대한 환상
    위대한 환상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군 포로들의 이야기를 다룬 1937년 프랑스 영화로, 전쟁과 계급, 인간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반전과 인류애를 강조한다.
  • 장 르누아르 감독 영화 - 프렌치 캉캉
    장 르누아르 감독의 1955년 프랑스 영화 "프렌치 캉캉"은 1890년대 파리의 물랑 루즈를 배경으로 쇼 기획자 앙리 당글라르가 캉캉 댄서 니니를 발굴하여 새로운 쇼를 성공시키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1939년 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1939년 영화 - 모호크족의 북소리
    모호크족의 북소리는 미국 독립 전쟁 시기 뉴욕주 모호크 강 계곡을 배경으로 백인 정착민과 아메리카 원주민 간의 갈등, 사랑, 독립 투쟁을 그린 존 포드 감독의 1939년 영화이다.
게임의 규칙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임의 규칙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La règle du jeu
영어 제목The Rules of the Game
감독장 르누아르
제작자클로드 르누아르
각본장 르누아르
출연노라 그레고르
폴레트 뒤보스트
밀라 파렐리
마르셀 달리오
줄리앙 카레트
롤랑 투탱
가스통 모도
피에르 마니에
장 르누아르
음악로제 데조르미에르
조제프 코스마
촬영장 바슈레
편집마르그리트 르누아르
마르트 위게
제작사Nouvelle Édition Française
배급사고몽 영화사
프랑스 영화사
개봉일1939년 7월 7일 (프랑스)
상영 시간110분
제작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제작비5,500,500 프랑

2. 줄거리

비행사 앙드레 쥐리외는 비행기를 타고 대서양을 횡단한 후 파리 외곽의 르 부르제 공항에 착륙한다. 그는 친구 옥타브에게 자신이 사랑하는 크리스틴이 마중 나오지 않아 상심했다고 말한다. 라디오 인터뷰에서 앙드레는 크리스틴을 비난한다. 크리스틴은 파리 아파트에서 남편 로베르 드 라 체네이 후작과 함께 이 방송을 듣는다. 크리스틴과 로베르는 서로에게 헌신하는 척하지만, 각자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있다. 로베르는 정부 제네비에브에게 관계를 끝내자고 말하지만, 자신의 시골 저택 라 콜리니에르에서 열리는 주말 사냥 파티에 그녀를 초대한다.[8]

옥타브는 로베르에게 앙드레도 파티에 초대하도록 설득하며, 앙드레와 제네비에브가 관계를 시작하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농담한다. 라 콜리니에르에서 사냥 파티가 시작되고, 등장인물들 간의 복잡한 애정 관계와 갈등이 드러난다. 앙드레와 크리스틴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고 도망갈 계획을 세운다. 질투심에 사로잡힌 슈마허는 앙드레를 총으로 쏴 죽인다. 로베르는 슈마허의 살인을 불운한 사고로 처리하고, 영화는 옥타브와 마르소가 밤 속으로 걸어가는 것으로 끝난다.[8]

3. 등장인물

영국 영화 협회(British Film Institute)에서 발췌한 크레딧이다.[9]

아래는 영화에 등장하는 배역과 배우 목록이다.


  • 노라 그레고르 (Nora Gregor) - 크리스틴 (라 슈네 백작 부인) 역
  • 폴레트 뒤보스트 (Paulette Dubost) - 리제트 (크리스틴의 하녀) 역
  • 마르셀 달리오 (Marcel Dalio) - 로베르 (라 슈네 백작, 크리스틴의 남편이자 제네비에브의 연인) 역
  • 롤랑 투탱 (Roland Toutain) - 앙드레 쥐리에 (크리스틴을 사랑하는 비행사) 역
  • 장 르누아르 (Jean Renoir) - 옥타브 (크리스틴의 오랜 친구이자 앙드레의 친구) 역
  • 밀라 파렐리 (Mila Parély) - 제네비에브 드 마라스 (로베르의 연인) 역
  • 쥘리앙 카레트 (Julien Carette) - 마르소 (밀렵꾼이자 리제트의 연인 지망생) 역
  • 가스통 모도 (Gaston Modot) - 에두아르 슈마허 (로베르의 사냥터지기이자 리제트의 남편) 역
  • 안느 메이엔 - 재키 (크리스틴의 조카) 역
  • 피에르 마니에 (Pierre Magnier) - 장군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레옹 라리브 (Léon Larive) - 요리사 역
  •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Henri Cartier-Bresson) - 영국인 하인 역
  • 마르그리트 드 모르레 (Marguerite de Morlaye) - 손님 역
  • 피에르 네이 (Pierre Nay) - 생토뱅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리샤르 프랑쾨르 - 라 브뤼예르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오데트 탈라작 (Odette Talazac) - 라 플랑트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클레르 제라르 (Claire Gérard) - 라 브뤼예르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리즈 엘리나 - 공항 라디오 리포터 역
  • 에디 드브레이 - 코르네유 (로베르의 집사) 역
  • 제오 포르스터 - 여성스러운 손님 역
  • 토니 코르테지아니 - 베르텔랭 씨 (손님) 역
  • 니콜라 아마토 - 카바 (남아메리카에서 온 손님) 역
  • 제니 엘리아 - 제르멘 (하녀) 역
  • 앙드레 즈보보다 (André Zwoboda) - 앙드레의 공항 기술자 역
  • 카미유 프랑수아 - 라디오 리포터 (목소리) 역

3. 1. 주연

영국 영화 협회(British Film Institute)에서 발췌한 크레딧.[9]

배역배우
크리스틴, 라 슈네 백작 부인 역노라 그레고르 (Nora Gregor)
리제트, 크리스틴의 하녀 역폴레트 뒤보스트 (Paulette Dubost)
로베르, 라 슈네 백작
(크리스틴의 남편, 제네비에브의 연인) 역
마르셀 달리오 (Marcel Dalio)
앙드레 쥐리에
(크리스틴을 사랑하는 비행사) 역
롤랑 투탱 (Roland Toutain)
옥타브
(크리스틴의 오랜 친구, 앙드레의 친구) 역
장 르누아르 (Jean Renoir)
제네비에브 드 마라스, 로베르의 연인 역밀라 파렐리 (Mila Parély)
마르소
(밀렵꾼, 리제트의 연인 지망생) 역
쥘리앙 카레트 (Julien Carette)
에두아르 슈마허
(로베르의 사냥터지기, 리제트의 남편) 역
가스통 모도 (Gaston Modot)
재키, 크리스틴의 조카 역안느 메이엔
장군,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피에르 마니에 (Pierre Magnier)
요리사 역레옹 라리브 (Léon Larive)
영국인 하인 역앙리 카르티에-브레송 (Henri Cartier-Bresson)
손님 역마르그리트 드 모르레 (Marguerite de Morlaye)
생토뱅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피에르 네이 (Pierre Nay)
라 브뤼예르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리샤르 프랑쾨르
라 플랑트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오데트 탈라작 (Odette Talazac)
라 브뤼예르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클레르 제라르 (Claire Gérard)
공항 라디오 리포터 역리즈 엘리나
코르네유, 로베르의 집사 역에디 드브레이
여성스러운 손님 역제오 포르스터
베르텔랭 씨, 손님 역토니 코르테지아니
카바, 남아메리카에서 온 손님 역니콜라 아마토
제르멘, 하녀 역제니 엘리아
앙드레의 공항 기술자 역앙드레 즈보보다 (André Zwoboda)
라디오 리포터 (목소리) 역카미유 프랑수아


3. 2. 조연


  • 노라 그레고르 - 크리스틴 (라 슈네 백작 부인) 역
  • 폴레트 뒤보스트 - 리제트 (크리스틴의 하녀) 역
  • 마르셀 달리오 - 로베르 (라 슈네 백작, 크리스틴의 남편이자 제네비에브의 연인) 역
  • 롤랑 투탱 - 앙드레 쥐리에 (크리스틴을 사랑하는 비행사) 역
  • 장 르누아르 - 옥타브 (크리스틴의 오랜 친구이자 앙드레의 친구) 역
  • 밀라 파렐리 - 제네비에브 드 마라스 (로베르의 연인) 역
  • 쥘리앙 카레트 - 마르소 (밀렵꾼이자 리제트의 연인 지망생) 역
  • 가스통 모도 - 에두아르 슈마허 (로베르의 사냥터지기이자 리제트의 남편) 역
  • 안느 메이엔 - 재키 (크리스틴의 조카) 역
  • 피에르 마니에 - 장군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레옹 라리브 - 요리사 역
  • 앙리 카르티에-브레송 - 영국인 하인 역
  • 마르그리트 드 모르레 - 손님 역
  • 피에르 네이 - 생토뱅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리샤르 프랑쾨르 - 라 브뤼예르 씨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오데트 탈라작 - 라 플랑트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클레르 제라르 - 라 브뤼예르 부인 (로베르의 저택 손님) 역
  • 리즈 엘리나 - 공항 라디오 리포터 역
  • 에디 드브레이 - 코르네유 (로베르의 집사) 역
  • 제오 포르스터 - 여성스러운 손님 역
  • 토니 코르테지아니 - 베르텔랭 씨 (손님) 역
  • 니콜라 아마토 - 카바 (남아메리카에서 온 손님) 역
  • 제니 엘리아 - 제르멘 (하녀) 역
  • 앙드레 즈보보다 - 앙드레의 공항 기술자 역
  • 카미유 프랑수아 - 라디오 리포터 (목소리) 역


영국 영화 협회(British Film Institute)에서 발췌한 크레딧.[9]

4. 제작

1938년, 장 르누아르뮌헨 협정 이후 고조되는 전쟁의 불안감 속에서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10] 그는 알프레드 드 뮈세의 희곡 《마리안느의 변덕》을 각색하려 했으나,[10] 결국 원작에서 영감만 받은 오리지널 각본을 쓰기로 결정했다. 르누아르는 영화의 3분의 1만 각본으로 쓰고, 나머지는 배우들의 즉흥 연기에 맡기고자 했다.[10] 훗날 르누아르는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화산 위에서 춤을 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르누아르는 바로크 음악과 고전 프랑스 코미디의 특징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영화를 "오락물"이라고 불렀다. 영화 속 네 명의 주요 등장인물은 《마리안느의 변덕》의 등장인물과 관련이 있는데, 현숙한 아내, 질투심 많은 남편, 절망적인 연인, 그리고 중재하는 친구가 그들이다. 희곡과 영화 모두에서 중재하는 친구의 이름은 옥타브이며, 옥타브는 자기 의심과 자기 연민으로 가득 찬 "슬픈 광대"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초기 초고에서 앙드레 쥐리에는 비행사가 아닌 오케스트라 지휘자였다.

르누아르는 원래 영화 ''인간의 야수''(La bête humaine)에 출연했던 페르낭 르두, 시몬 시몽, 장 가뱅, 쥘리앵 카레트를 캐스팅하려 했다.[12] 캐스팅 과정에서 여러 배우들이 교체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장 가뱅은 앙드레 역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마르셀 카르네의 ''새벽(Le jour se lève)''에 출연하기로 하면서 롤랑 투탱으로 대체되었다.

노라 그레고르 (1932). 르누아르는 오스트리아 배우를 위해 크리스틴 역할을 다시 썼고, 촬영 전 그녀와 사랑에 빠졌다고 한다.


크리스틴 역으로는 노라 그레고르가 캐스팅되었다. 르누아르는 그녀의 오스트리아 억양이 "그녀와 주변 환경 사이에 작은 장벽을 만들 것"이라고 믿었고, 그녀의 외모가 "새와 같고" "진실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캐스팅했다고 밝혔다.[12]

배역배우
크리스틴 라 셰네이 후작 부인노라 그레고르
로베르 라 셰네이 후작마르셀 다리오
리제트폴레트 뒤보스트
주느비에브미라 팔레리
마르소쥘리앙 카레트
앙드레 쥘리외로랑 투탱
슈마셰르가스통 모도



1939년 2월 15일, 라 페르테-생토뱅 성 밖에서 프랑스 시골을 배경으로 야외 촬영이 시작되었다.[11] 르누아르는 소로뉴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그의 아버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가 "그곳을 한 번도 그릴 수 없었던 것을 후회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르누아르는 소로뉴의 안개가 "어린 시절의 행복했던 날들을 떠올리게 했다"고 덧붙였다.

배우와 스태프는 라모트-브브론의 호텔 라트에서 묵었다. 폭우로 인해 소로뉴에서의 촬영 시작이 몇 주 동안 지연되었고, 르누아르는 비를 감안하여 스크립트의 일부를 다시 썼다.[12] 피에르 르누아르가 파리에서 연극 공연 선약으로 영화에서 하차하면서, 르누아르는 자신이 직접 옥타브 역을 맡기로 결정했다.

제작 비용 충당을 위해 즈보보다는 고몽 영화사 감독 장 제이에게 대형 극장에서의 선개봉권을 판매했다. 촬영은 배우들의 즉흥 연기와 그레고르의 배역 소화 어려움으로 진전이 느렸다. 영화는 소로뉴에서 거의 시간 순서대로 촬영되었고, 주앙빌-르-퐁의 발 드 마른에서 배우 연기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다시 촬영했다. 르누아르는 배우들이 역할에 몰입해 지시가 많이 필요 없었다고 말했다.[16]

1939년 3월 16일, 체코슬로바키아의 독일 점령으로 프랑스군 동원령이 시작되었다. 곧 영화의 전기 기술자와 기술자 몇 명이 군에 합류하기 위해 떠났다. 유대인이자 공산주의자였던 세트 디자이너 외젠 루리에는 떠났고, 막스 두이가 세트 디자이너로 교체되었다.[18] 주앙빌 촬영은 1939년 5월에 마무리되었다. 영화는 예정보다 늦어졌고, 대여한 사운드 스테이지는 다른 영화에 필요했다.[12] 르누아르는 잠재적 전쟁으로 여름 이후 개봉이 불가능해질 것을 우려해 6월 개봉을 원했다.[12]

노라 그레고르, 장 르누아르, 피에르 네이, 피에르 마니에가 토끼 사냥 장면을 촬영하고 있다. 르누아르는 영화의 부정적인 반응 이후 옥타브 역의 대부분을 편집했다.

4. 1. 배경 및 각본

1938년, 장 르누아르뮌헨 협정 이후 고조되는 전쟁의 불안감 속에서 "행복한 꿈"을 영화로 만들고자 했다.[10] 그는 알프레드 드 뮈세의 희곡 《마리안느의 변덕》을 각색하려 했으나,[10] 결국 원작에서 영감만 받은 오리지널 각본을 쓰기로 결정했다. 르누아르는 영화의 3분의 1만 각본으로 쓰고, 나머지는 배우들의 즉흥 연기에 맡기고자 했다.[10] 훗날 르누아르는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화산 위에서 춤을 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르누아르는 바로크 음악과 고전 프랑스 코미디의 특징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영화를 "오락물"이라고 불렀다. 영화 속 네 명의 주요 등장인물은 《마리안느의 변덕》의 등장인물과 관련이 있는데, 현숙한 아내, 질투심 많은 남편, 절망적인 연인, 그리고 중재하는 친구가 그들이다. 희곡과 영화 모두에서 중재하는 친구의 이름은 옥타브이며, 옥타브는 자기 의심과 자기 연민으로 가득 찬 "슬픈 광대"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초기 초고에서 앙드레 쥐리에는 비행사가 아닌 오케스트라 지휘자였다.

4. 2. 캐스팅

르누아르는 원래 영화 ''인간의 야수''(La bête humaine)에 출연했던 페르낭 르두, 시몬 시몽, 장 가뱅, 쥘리앵 카레트를 캐스팅하려 했다.[12] 가뱅은 앙드레 역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마르셀 카르네의 ''새벽(Le jour se lève)''에 출연하기로 하면서 롤랑 투탱으로 대체되었다. 시몬은 크리스틴 역을 제안받았지만 영화 전체 예산의 3분의 1인 을 요구했고, 이는 거부되었다. 르두는 슈마허 역을 제안받았으나 시몬의 출연료 요청이 거부되자 이를 거절하고 모리스 투르뇌르의 ''볼포네''(Volpone)에 출연했고, 가스통 모도로 대체되었다.[12] 클로드 도팽은 라 셰네 후작 역을 제안받았으나 거절하고 레몽 베르나르의 ''사랑의 행렬(Cavalcade d'amour)''에서 시몬과 함께 연기했다.[12] 르누아르는 이후 마르셀 달리오를 후작으로 캐스팅했는데, 달리오는 르누아르에게 왜 그를 캐스팅했는지 묻자 르누아르는 달리오가 후작의 클리셰와 정반대이며, 캐릭터의 불안감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배우라고 답했다.[12] 르누아르의 형 피에르 르누아르가 옥타브 역으로, 카레트는 마르소 역으로 캐스팅되었다.[12]

크리스틴 역으로, 새롭게 유명해진 연극 배우 미셸 알파가 제안되었으나, 르누아르는 연극을 보던 중 객석의 특별석에 앉아 있는 노라 그레고르를 발견하고 그녀를 캐스팅했다.[12] 그레고르는 오스트리아 귀족인 에른스트 뤼디거 스타렘베르크 공작의 아내였으며, 르누아르는 그레고르 부부와 친구가 되어 파리에서 몇 차례 저녁 식사를 함께했다.[12] 그레고르는 빈의 ''부르크극장(Burgtheater)'' 출신 배우였으며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의 ''미하엘(Michael)''을 포함한 몇몇 영화에 출연했다.[12]

NEF 동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르누아르는 그레고르를 크리스틴 역으로 고용했다.[12] 그녀는 원래 캐릭터보다 나이가 많았고, 르누아르는 그레고르의 성격과 저녁 식사 대화를 바탕으로 캐릭터를 변경했는데, 예를 들어 크리스틴을 오스트리아 지휘자의 딸로 만들었다.[12] 르누아르는 그레고르를 캐스팅한 이유가 그녀의 오스트리아 억양 때문이라고 말했는데, 그는 그녀의 억양이 "그녀와 주변 환경 사이에 작은 장벽을 만들 것"이라고 믿었고, 그녀의 외모가 "새와 같고" "진실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12]

르누아르는 1939년 1월 말까지 나머지 배역 캐스팅을 마쳤다.[12]

배역배우
크리스틴 라 셰네이 후작 부인노라 그레고르
로베르 라 셰네이 후작마르셀 다리오
리제트폴레트 뒤보스트
주느비에브미라 팔레리
마르소쥘리앙 카레트
앙드레 쥘리외로랑 투탱
슈마셰르가스통 모도


4. 3. 촬영

1939년 2월 15일, 라 페르테-생토뱅 성 밖에서 프랑스 시골을 배경으로 야외 촬영이 시작되었다.[11] 르누아르는 소로뉴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그의 아버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가 "그곳을 한 번도 그릴 수 없었던 것을 후회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르누아르는 소로뉴의 안개가 "어린 시절의 행복했던 날들을 떠올리게 했다"고 덧붙였다.

배우와 스태프는 2월 6일부터 15일 사이에 소로뉴에 도착했다.[11] 르누아르의 아들 알랭은 보조 카메라 기사로, 디도 프레이레는 스크립트 담당으로 일했다. 르누아르의 영화 조감독은 코흐, 즈보보다, 그리고 앙리 카르티에-브레송이었다. 배우와 스태프는 라모트-브브론의 호텔 라트에서 묵었다. 폭우로 인해 소로뉴에서의 촬영 시작이 몇 주 동안 지연되었고, 르누아르는 비를 감안하여 스크립트의 일부를 다시 썼다.[12]

피에르 르누아르가 파리에서 연극 공연 선약으로 영화에서 하차하면서, 르누아르는 미셸 시몽에게 옥타브 역을 제안했지만 시몽은 다른 프로젝트로 바빴다. 결국 르누아르는 자신이 직접 출연하기로 결정했고, "가장 끈질긴 꿈은 배우가 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제작 비용 충당을 위해 즈보보다는 고몽 영화사 감독 장 제이에게 대형 극장에서의 선개봉권을 판매했다. 소로뉴 촬영이 시작되었지만, 배우들의 즉흥 연기(르누아르가 장려)와 그레고르의 배역 소화 어려움으로 진전이 느렸다. 제이는 촬영장을 방문하여 느린 진행과 르누아르의 연기에 불만을 표했지만, 배우와 스태프는 르누아르를 존경하며 촬영장의 자유로운 분위기를 즐겼다.[14][15]

크리스틴은 원래 지루하고 상류층 부르주아로 묘사되었으나, 르누아르는 그레고르의 연기를 고려해 수정했다. 또한 크리스틴의 지휘자 아버지 스틸러에 대한 언급도 대부분 삭제했다.

영화는 소로뉴에서 거의 시간 순서대로 촬영되었고, 주앙빌-르-퐁의 발 드 마른에서 배우 연기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다시 촬영했다. 르누아르는 배우들이 역할에 몰입해 지시가 많이 필요 없었다고 말했다.[16] 제이는 르누아르에게 소로뉴 촬영을 마치고 파테 스튜디오 세트가 설치된 주앙빌로 옮기도록 압박했다. 르누아르는 동의했고, 즈보보다, 코르테지아니, 카르티에-브레송은 소로뉴에 남아 토끼 사냥 장면의 B롤 영상을 촬영했다. 이 과정에서 수백 마리의 동물이 죽었고, 현지인들이 배우 대역으로 사용되었다.[17]

주앙빌 세트 촬영은 느리게 계속되었다. 르누아르는 종종 개별 샷을 15~20번 촬영하고 현장에서 대사를 변경해 이전 촬영본을 쓸모없게 만들었다. 카르티에-브레송은 촬영 중 즉흥 연기가 잼 세션과 같았다고 했다. 배우와 스태프 모두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대사는 종종 촬영 당일 아침에 변경되었다.[17]

1939년 3월 16일, 체코슬로바키아의 독일 점령으로 프랑스군 동원령이 시작되었다. 곧 영화의 전기 기술자와 기술자 몇 명이 군에 합류하기 위해 떠났다. 유대인이자 공산주의자였던 세트 디자이너 외젠 루리에는 떠났고, 막스 두이가 세트 디자이너로 교체되었다.[18]

촬영 중 르누아르는 그레고르의 연기에 실망하여 그녀의 장면을 삭제하고 폴레트 뒤보스트와 밀라 파렐리의 새 장면을 추가했다. 제이는 르누아르에게 옥타브 연기가 끔찍하다고 말했고, 르누아르는 미셸 시몽으로 교체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영화의 3분의 2가 이미 촬영되어 거절당했다. 제이는 촬영되지 않은 옥타브 장면 삭제를 요청했지만, 르누아르는 거절하고 촬영 내내 옥타브의 새 장면을 추가했다.

주앙빌 촬영은 1939년 5월에 마무리되었다. 영화는 예정보다 늦어졌고, 대여한 사운드 스테이지는 다른 영화에 필요했다.[12] 르누아르는 잠재적 전쟁으로 여름 이후 개봉이 불가능해질 것을 우려해 6월 개봉을 원했다.[12]

5. 주제

《게임의 규칙》은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유럽 상류층의 위선과 도덕적 냉담함을 풍자하는 작품으로 기억된다.[8] 르누아르는 영화를 제작하면서 새로운 세계 대전이 다가오고 있음을 인지했고, "이것은 전쟁 영화이지만, 전쟁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고 언급했다.[14] 이러한 종말론적 분위기는 바르셀로나가 프랑코에게 함락되고, 프랑스 총리 에두아르 달라디에가 프랑코주의 스페인을 인정하고, 이탈리아가 알바니아를 병합하고, 아돌프 히틀러폴란드 침공을 준비하면서 더욱 고조되었다.[8]

르누아르는 이 영화의 주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아마도 이 영화에서 흥미로운 점은 그것이 만들어진 시점일 것입니다. 뮌헨 협정과 전쟁 사이에 촬영되었고, 저는 프랑스 사회, 영국 사회, 세계 사회의 일부의 정신 상태에 절대적으로 깊은 인상을 받고, 절대적으로 불안해하며 촬영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 정신 상태를 세상에, 희망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은 그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경박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보마르셰, 마리보, 그리고 고전 희극 작가들에게서 영감을 찾았습니다."[8]

르누아르의 아버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가 그린 ''사냥꾼으로서의 장 르누아르의 초상''(1910). 장은 사냥을 잔혹하다고 생각했고, ''게임의 규칙''에서는 사냥 장면을 직접 촬영하지 않았다.


르누아르는 당시 역사 속의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싶어했으며, 《게임의 규칙》은 "재구성된 다큐멘터리, 특정 순간의 사회 상태에 대한 다큐멘터리"라고 말했다.[8] 그는 이러한 묘사가 영화 초연의 실패 이유라고 믿었고, "관객의 반응은 저의 솔직함 때문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8] 이 영화의 영감의 원천인 《피가로의 결혼》 또한 계급 제도를 공격한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었었다.[8] 《게임의 규칙》은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프랑스 대중들에게 다시 한번 금지되면서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르누아르의 전기 작가 로널드 버건은 이 영화가 "세상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지만, 파시즘의 진전을 막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고, 실제로 그것을 환영하기도 했던 사람들"을 묘사하면서 대중들의 민감한 부분을 건드렸다고 말했다.[8]

토끼 사냥 장면은 전쟁 중 일어나는 무의미한 죽음과 비교된다. 르누아르는 어떤 계층의 사람들이 아무 이유 없이 죽이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르누아르 자신은 동물을 죽인 적이 없으며 사냥을 "잔혹한 짓의 혐오스러운 행위"라고 불렀다.[14]

영화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대사, 옥타브가 말하는 대사는 "보세요, 이 세상에는 끔찍한 일이 하나 있는데, 그건 모든 사람이 자기만의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이다.[8] 영화 등장인물들에 대한 르누아르의 세속적 인본주의적 감정은 옥타브의 말에 표현되며, 그는 비판하면서도 그 사람들에 대한 공감을 보여준다. 르누아르는 앙드레에 대해 "속하지 않는 세상에 적응하려다가 게임의 규칙을 존중하지 못하는 희생자"라고 말했다.[14]

6. 스타일

《게임의 규칙》은 심도 촬영 기법과 유동적인 카메라 움직임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르누아르는 촬영 감독 장 바슐레와 함께 특수 렌즈를 사용하여 배경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상당한 피사계 심도를 확보했다.[12] 이를 통해 샤토 시퀀스에서 넓은 방과 긴 복도를 촬영하고, 등장인물들이 배경과 전경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영화의 샷 중 약 절반은 카메라 움직임을 포함한다. 많은 샷에서 카메라는 움직이고, 멈추고, 방향을 바꾸고, 피사체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영화 평론가 데이비드 톰슨은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커버하기 위해 항상 움직이는 카메라"라고 묘사하며, 이러한 움직임이 혼돈 직전의 느낌과 연속성을 만들어낸다고 평가했다.[12]

르누아르는 클로즈업이나 대사 컷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의 장면을 롱 테이크와 투 샷으로 구성하여 현실감을 높였다.[12] 예외적으로 사냥 장면에서는 빠른 편집을 사용하여 영화의 다른 부분과 차이를 두었다.[12]

영화의 사운드트랙은 대화와 주변 소음, 그리고 다양한 클래식 음악을 결합하여 복잡하고 풍부한 음향 효과를 만들어냈다. 등장인물들은 종종 동시에 말하거나 서로의 대사를 가로막으며, 파티 장면에서는 비명, 총격전, 음악이 함께 어우러진다. 영화에 사용된 음악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세 개의 독일 춤곡'', 카미유 생상스의 ''죽음의 무도'' 등 다양하며, 조제프 코슈마와 로제 데조르미에르가 편곡했다.[12]

7. 평가 및 영향

《게임의 규칙》은 개봉 당시 프랑스에서 상업적으로 실패하고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평가되어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히게 되었다.[32][33] 1942년 연합군의 불로뉴쉬르센 폭격으로 오리지널 네거티브 필름이 소실되었으나, 1946년 발견된 85분 버전 프린트를 바탕으로 새로운 프린트가 제작되어 상영되면서 점차 명성을 얻었다.[1]

1956년, 영화 애호가 장 가보릿과 자크 마레샬은 카미유 프랑수아의 도움을 받아 폭격 현장에서 발견된 224개의 상자 안에서 네거티브 프린트, 복제 프린트, 사운드 믹스 등을 찾아냈다. 장 르누아르 감독과 조감독 자크 뒤랑의 도움으로 가보릿과 마레샬은 대부분의 장면을 복원하여 106분 버전의 영화를 완성했다. 1959년 재구성된 버전을 본 르누아르는 눈물을 흘리며 극장을 나왔다고 한다.[12]

복원된 버전은 1959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어 걸작으로 불렸으며,[11] 클로드 샤브롤, 알랭 레네, 루이 말 등 프랑스 누벨바그 감독들은 르누아르를 스승으로 칭송하며 재구성된 영화 버전을 극찬했다. 1965년 프랑스에서 재개봉되었고, 1966년 덴마크에서 보딜상 최우수 비미국 영화/최우수 유럽 영화(Bedste europæiske film)를 수상했다.[28]

이후 《게임의 규칙》은 많은 영화 평론가와 감독들에게 역대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32][33] 로튼 토마토에서는 59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7%의 평점을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9.50/10이다.[34] 《Sight & Sound》 잡지의 10년마다 실시되는 국제 평론가 투표에서는 1952년부터 2012년까지 꾸준히 상위권에 올랐으며,[1][2][3][4][5][6][7] 2012년에는 4위를 차지했다.[7] 엠파이어》 잡지는 2010년 "세계 영화 100선" 목록에서 13위를 차지했다.[35]

앙드레 바쟁은 이 영화의 유동적인 영화 촬영 기법과 깊이와 심도 있는 초점의 미장센을 칭찬했다.[40] 폴린 케일은 이 영화를 "위대한 풍자 코미디, 죽음의 춤"이라고 평가했다.

프랑스 누벨바그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알랭 레네는 이 영화를 보고 "내가 영화관에서 경험한 가장 압도적인 경험"이라고 말했다. 프랑수아 트뤼포는 "《게임의 규칙》이 소설가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처음 생각했던 많은 젊은이들이 영화 제작자의 길을 걷도록 영감을 준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로버트 알트만의 《고스포드 파크[52], 장 그레미용의 《여름 빛》, 잉마르 베르히만의 《한여름 밤의 미소》, 카를로스 사우라의 《사냥》,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사냥꾼》[53] 등 여러 영화에 영감을 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195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2]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196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3]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197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4]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198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5]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199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6] 웹사이트 Sight & Sound Top Ten Poll: 2002 http://old.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4-06-08
[7] 웹사이트 Critics Top Ten https://www.bfi.org.[...] British Film Institute 2020-08-16
[8] 웹사이트 The Rules of the Games http://thefifiorgani[...] The Fifi Organization 2014-05-11
[9] 웹사이트 La Règle du jeu (1939) BFI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6-11-28
[10] 서적 The Encyclopedia of Movie Awards https://archive.org/[...] St. Martin's Paperbacks 1996
[11] 문서 DVD, Production history
[12] 문서 DVD, Oliver Curchod
[13] 문서 DVD, Jean Renoir, David Thomson Omnibus
[14] 문서 DVD, Alan Renoir
[15] 문서 "The Rules of the Game DVD, Disc 2. Special Features: Mila Parély. The Criterion Collection. 2004. Spine Number 216."
[16] 문서 DVD, Jean Renoir, Le Patron
[17] 문서 DVD notes, p.20
[18] 문서 DVD, Max Douy
[19] 서적 Histoire du cinéma Editions Robert Denoel 1943
[20] 웹사이트 Review:'The Rules of the Game' https://variety.com/[...] 2014-06-11
[21] 웹사이트 A Film and Its Era: The Rules of the Game, by Jean Renoir http://eurochannel.c[...] Euro Channel 2015-05-08
[22] 문서 "The Rules of the Game DVD, Disc 2. Special Features: Gaborit and Durand. The Criterion Collection. 2004. Spine Number 216."
[23] 문서 "The Rules of the Game DVD, Disc 1. Special Features: Differences between endings: Playing By Different Rules. The Criterion Collection. 2004. Spine Number 216."
[24] 서적 Film Pelican Books 1950
[25] 문서 "The Rules of the Game DVD, Disc 1. Special Features: Jean Renoir Introduction. The Criterion Collection. 2004. Spine Number 216."
[26] 문서 "Renoir on Renoir: interviews, essays, and remarks'; translated by Carol Vol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p. 238. [From a filmed interview in 1961.]"
[27] 웹사이트 Rules of the Game https://www.nytimes.[...] 2014-06-11
[28] 웹사이트 Ikke-amerikanske film http://www.bodilpris[...] Filmmedarbejderforeningen 2014-05-24
[29] 문서 DVD notes, p. 11
[30] 문서 DVD notes, p.10
[31] 웹사이트 The Rules of the Game http://www.tcm.com/t[...] Turner Classic Movies 2016-09-25
[32] 서적 John Kobal Presents the Top 100 Films New American Library 1988
[33] 뉴스 What Makes a French Comedy One of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1-07
[34] 웹사이트 The Rules of the Game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03-09
[35]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https://www.empireon[...] Empire Magazine 2010-06-06
[36] 뉴스 Les cent plus beaux films du monde http://www.lefigaro.[...] Le Figaro 2008-11-17
[37]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oreign Language Films https://www.bbc.com/[...]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1-10
[38] 문서 DVD notes, p.28
[39] 웹사이트 Martin Scorsese Creates a List of 39 Essential Foreign Films for a Young Filmmaker http://www.opencultu[...] Open Culture 2015-02-01
[40] 서적 Jean Renoir Simon and Schuster 1973
[41] 문서 DVD notes, p.31
[42] 서적 Filme im Fernsehen, Erweiterte Neuausgabe Rasch und Röhring 1990
[43] 문서 DVD notes, pp. 5–6
[44] 문서 DVD notes, p.32
[45] 문서 DVD notes, p.34
[46] 웹사이트 The Rules of the Game https://www.rogerebe[...] rogerebert.com 2014-06-11
[47] 문서 DVD notes, p.30
[48] 문서 DVD notes, p.29
[49] 문서 DVD notes, p.33
[50] 서적 French Cinema: From Beginnings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Inc 2002
[51] 서적 Les Maîtres du cinéma français Bordas 1990
[52] 간행물 Robert Altman's Gosford Park. Not Renoir, but Not Bad http://brightlightsf[...] 2014-05-24
[53] 서적 La règle du jeu, film de Jean Renoir Lindau 1989
[54] 웹사이트 Grand Illusion (1937) http://www.tcm.com/t[...] Turner Classic Movies 2014-05-31
[55] 웹사이트 10 Things I Learned: The Big Chill https://www.criterio[...] The Criterion Collection 2014-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