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완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완군 이석린은 소현세자의 차남으로, 1640년 청나라 선양에서 태어나 1648년 제주도에서 사망한 조선의 왕족이다. 그는 생부 소현세자의 급작스러운 죽음과 유배 생활을 겪었으며, 사촌 현종의 배려로 인평대군의 양자가 되었다. 사후 고종 때 증 경완군으로 추증되었으며, 그의 후손 문제는 정치적 상황과 얽혀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2013년 JTBC 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40년 출생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 1640년 출생 -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1세는 1658년부터 1705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서 프랑스와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제국을 수호하고 학문과 예술을 장려했으며 제국 헌법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 1648년 사망 - 티르소 데 몰리나
티르소 데 몰리나는 스페인의 극작가이자 수도사로, 1579년 마드리드에서 태어나 알칼라 데 에나레스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메르세다리오 수도회에서 사제로 서품받은 후 희곡을 비롯한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대표작으로는 《세비야의 속임수꾼과 돌 손님》이 있다. - 1648년 사망 - 크리스티안 4세
크리스티안 4세는 1588년부터 1648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방 및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해외 진출을 시도했으나 30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에서 패배하여 발트 해에서의 세력을 상실했으며, 르네상스 군주로서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다가 1648년 사망했다. - 선양시 출신 - 오자와 세이지
오자와 세이지는 만주국에서 태어나 사이토 히데오에게 지휘를 사사받고 여러 거장들을 거치며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을 29년간 역임, 사이토 키넨 오케스트라를 설립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힘쓴 세계적인 일본인 지휘자였으나 2024년 심부전으로 별세했다. - 선양시 출신 - 친란
친란은 1999년 데뷔 후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활동한 중국 배우이자 프로듀서로, 《환주격격 3》의 진지화 역과 《연희공략》의 부찰황귀비 역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프로듀서로서 영화 제작에도 참여하고 있다.
경완군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완군 |
원래 이름 | 慶完君 |
작위 | 군(君) |
본명 | 이석린 李石麟 |
왕가 | 조선 왕조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 왕조 |
출생일 | 1640년 |
출생지 | 청나라 둥베이 지방 헤이룽장 성 선양 |
사망일 | 1648년 음력 12월 23일 (9세) |
사망지 | 조선 전라도 제주군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인평군 이요(양부) 소현세자 이왕(생부) |
어머니 | 부부인 동복 오씨(양모) 민회빈 강씨(생모) |
친인척 | 능창군 이전(양조부) 인조 능양군 이종(친조부) 효종 봉림대군 이호(친숙부) 경선군 이석철(친형) 경안군 이석견(친아우) 서평군 이요(양아우) 안흥군 이숙(양손자) |
자녀 | 양원군 이환(양장자) 임녕군 이의저(양차자) |
종교 | |
종교 | 유교(성리학) |
2. 생애
경완군 이석린은 1640년 청나라 헤이룽장성 선양에서 소현세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소현세자는 인조의 명으로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있었다. 1644년 소현세자와 함께 조선으로 돌아왔으나, 이듬해인 1645년 아버지 소현세자가 34세의 나이로 의문사하는 비극을 겪었다.
1646년 조선 전라도 제주군으로 유배되었으며, 1648년 음력 12월 23일 제주의 유배지에서 사망하였다. 인조는 경완군과 그의 형 이석철이 연이어 사망하자, 이들을 돌보던 나인들을 의금부로 압송하여 조사하게 하였다. 경완군의 사망 시점은 기록에 따라 음력 11월 16일 사망설, 음력 12월 23일 사망설, 음력 11월 26일 사망설 등으로 불분명하다.
2. 1. 이력
1640년 청나라 둥베이 지방 헤이룽장 성 선양에서 당시 청나라에 볼모로 억류되어 있던 소현세자(인조의 장자)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생부는 소현세자 이왕이다. 1644년 생부모와 함께 본국 조선에 귀국하였으나, 이듬해 1645년 생부 소현세자가 향년 34세로 의문사하는 것을 목도하였다. 1646년 조선 전라도 제주군에 유배되었으며, 1648년 음력 12월 23일 조선 전라도 제주 배소에서 사망하였다. 1648년 12월 24일 인조는 경완군과 그의 형 이석철이 연이어 죽었다며 돌보던 나인들을 의금부로 압송해 추국하였다. 경완군의 사망 시점을 놓고도 기록이 불분명하여, 음력 11월 16일 사망설, 음력 12월 23일 사망설, 음력 11월 26일 사망설 등이 있다.2. 2. 사후
1656년 복권되었지만 1659년 효종은 그의 형 석철에게 경선군을 추증하고, 동생 석견에게는 경안군을 봉작했지만 그에게는 작위가 내려지지 않았다. 묘소는 경기도 고양군 원당면 원당리 37-1(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서삼릉길 233-126) 산 서삼릉역내 소현세자묘 근처, 형 경선군 묘소 왼쪽 옆에 안장되었다.1671년 2월 사촌 아우 현종의 배려로 숙부 인평대군 이요의 양자로 출계되었다.
1872년(고종 9년) 12월 4일 증 경완군 겸 영종정경에 추증되었다.
사후 양자였던 양원군 이환의 후계 종사로는 고종 때 성종의 13째 서자 영산군 이전의 11대손 이석중(李木+奭重)을 봉사손으로 지정했다가 다시 성종의 13째 서자 영산군 이전의 다른 후손으로, 이전의 7대손 이의저가 경완군 이석린의 사후 양손자로 지정되고, 1872년(고종 9년) 12월 4일 임영군에 추증되었다. 이때는 경완군과 이의저 모두 이미 사망한 상태였고, 이의저의 아들들, 손자들도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
양장자 | 양원군 이환 | 1658년 4월 | 1724년 3월 |
양차자 | 증 임영군 이의저 | 1705년 2월 12일 | 1779년 9월 9일 |
양차자부 | 청주 한씨 | 1708년 5월 5일 | 1785년 2월 6일 |
한명보(韓命輔)의 딸 | |||
양손자 | 증 밀인군 이효검 | 1726년 4월 25일 | 1811년 5월 26일 |
군작위는 고종 때 추증되었다. | |||
양손자 | 증 밀신군 이형검 | 1731년 | 1812년 11월 5일 |
양손자 | 증 밀직군 이행검 | 1740년 윤6월 23일 | 1790년 10월 11일 |
4. 경완군 이석린이 등장한 작품
경완군 이석린은 2013년 JTBC 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에서 장민교가 연기한 배역으로 등장하였다.
4. 1. 텔레비전 드라마
2013년 JTBC 드라마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배우: 장민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