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인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1. 개요
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현역 군인, 전투경찰, 기결수를 제외한 인구를 의미하며,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함한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으로, 주부, 학생, 노인 등이 해당된다. 대한민국과 OECD 국가들의 경제활동인구 현황과 참가율에 대한 통계 자료가 제공된다.
2. 경제활동인구의 정의
경제활동인구는 조사 대상 기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또는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서 '15세 이상 인구'란 총인구 중에서 15세 이상 인구를 말하며 현역 군인, 전투경찰, 기결수는 제외된다. [1]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분된다.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는 이유는 조사 시점에서는 일시적인 이유로 직장이 없어 구직활동을 하고 있으나 보통의 상태에서는 취업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인구이기 때문이다. [1]
2. 1.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는 조사 대상 기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또는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여기서 '15세 이상 인구'란 총인구 중에서 15세 이상 인구를 말하며 현역 군인, 전투경찰, 기결수는 제외된다. [1] 경제활동인구는 다시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분되는데, 실업자가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는 이유는 조사 시점에서는 일시적인 이유로 직장이 없어 구직활동을 하고 있으나 보통의 상태에서는 취업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인구이기 때문이다. [1]
2. 2. 비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 즉 일할 능력이 있어도 일할 의사가 없거나 일할 능력이 없는 사람을 말한다. [1] 가사에 종사하는 주부, 학생 , 연로자와 장애인 , 자선 사업이나 종교 단체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이에 포함된다. [1] 2010년 2월 기준으로 비경제활동인구는 1,638만 4천 명이다. [1]
3. 대한민국 경제활동인구 현황
현재 제공된 원본 소스(`source`)가 없어 대한민국의 경제활동인구 현황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1. 연도별 추이
연도 생산가능인구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2009년 40,092[495] (1.2) 24,394[48] (0.2) 23,506[-72] (-0.3) 889[119] (15.5) 15,698[447] (2.9) 60.8 58.6 3.6 2010년 40,590[497] (1.2) 24,749[354] (1.5) 23,829[323] (1.4) 920[31] (3.5) 15,841[144] (0.9) 61.0 58.7 3.7 2011년 41,052[462] (1.1) 25,099[351] (1.4) 24,244[416] (1.7) 855[-65] (-7.1) 15,953[112] (0.7) 61.1 59.1 3.4 2012년 41,582[530] (1.3) 25,501[402] (1.6) 24,681[437] (1.8) 820[-35] (-4.1) 16,081[128] (0.8) 61.3 59.4 3.2
[2] [3]
4. OECD 국가별 경제활동인구 비교
OECD 국가들의 경제활동인구 비교는 각국의 경제 상황과 노동 시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자료는 각국의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변화 추이를 보여주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표로 확인할 수 있다. [4]
4. 1. OECD 국가별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2000년 ~ 2020년)
OECD 국가별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2000년 ~ 2020년) [4] 국가별 항목 2020 2015 2010 2005 2000 대한민국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cvt|44785|K|}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2.5 | 62.8 | 61.1 | 62.2 | 61.2 |- | rowspan="3" | 이스라엘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 | 64.1 | 63.3 | 61.8 | 61.4 |- | rowspan="3" | 일본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2.0 | 59.6 | 59.6 | 60.4 | 62.4 |- | rowspan="3" | 터키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49.3 | 51.2 | 48.1 | 46.4 | 50.0 |- | rowspan="3" | 캐나다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4.0 | 65.8 | 66.9 | 67.1 | 65.8 |- | rowspan="3" | 멕시코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5.5 | 59.8 | 59.7 | 59.3 | 61.7 |- | rowspan="3" | 미국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1.8 | 62.7 | 64.7 | 66.1 | 67.1 |- | rowspan="3" | 칠레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5.3 | 59.9 | 58.7 | 55.7 | 55.9 |- | rowspan="3" | 콜롬비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2.7 | 69.5 | 67.8 | 65.3 | 64.9 |- | rowspan="3" | 코스타리카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8.7 | 60.8 | 59.2 | 62.1 | 58.9 |- | rowspan="3" | 오스트리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0.8 | 60.7 | 60.4 | 58.6 | 58.7 |- | rowspan="3" | 벨기에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3.8 | 53.3 | 54.1 | 53.3 | 52.3 |- | rowspan="3" | 체코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9.8 | 59.4 | 58.4 | 59.4 | 60.1 |- | rowspan="3" | 덴마크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2.0 | 61.3 | 63.5 | 65.7 | 65.5 |- | rowspan="3" | 에스토니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3.6 | 62.1 | 60.5 | 58.7 | 58.9 |- | rowspan="3" | 핀란드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9.0 | 58.9 | 60.0 | 60.7 | 63.2 |- | rowspan="3" | 프랑스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4.5 | 56.0 | 56.5 | 56.2 | 55.7 |- | rowspan="3" | 독일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1.6 | 60.2 | 59.4 | 58.4 | 57.5 |- | rowspan="3" | 그리스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1.0 | 52.0 | 53.5 | 52.9 | 52.3 |- | rowspan="3" | 헝가리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6.9 | 54.8 | 50.3 | 50.2 | 49.6 |- | rowspan="3" | 아이슬란드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79.0 | 83.0 | 80.4 | 81.4 | 83.9 |- | rowspan="3" | 아일랜드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1.1 | 61.8 | 62.6 | 62.0 | 59.0 |- | rowspan="3" | 이탈리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48.5 | 49.0 | 48.2 | 49.1 | 48.2 |- | rowspan="3" | 라트비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1.7 | 60.1 | 58.9 | 57.4 | 56.2 |- | rowspan="3" | 리투아니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2.6 | 59.2 | 56.8 | 56.3 | 60.3 |- | rowspan="3" | 룩셈부르크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0.8 | 60.0 | 57.7 | 55.6 | 53.4 |- | rowspan="3" | 네덜란드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4.6 | 64.4 | 64.8 | 63.4 | 63.5 |- | rowspan="3" | 노르웨이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3.8 | 65.0 | 71.8 | 72.2 | 73.8 |- | rowspan="3" | 폴란드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6.1 | 56.2 | 55.3 | 54.9 | 56.8 |- | rowspan="3" | 포르투갈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8.0 | 58.6 | 61.2 | 61.9 | 60.8 |- | rowspan="3" | 슬로바키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9.1 | 59.6 | 59.0 | 59.5 | 59.8 |- | rowspan="3" | 슬로베니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7.8 | 57.3 | 59.2 | 59.3 | 57.4 |- | rowspan="3" | 스페인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56.7 | 58.8 | 59.6 | 57.1 | 52.8 |- | rowspan="3" | 스웨덴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73.3 | 72.0 | 70.5 | 62.9 | 60.4 |- | rowspan="3" | 스위스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67.9 | 68.2 | 67.0 | 67.0 | 67.4 |- | rowspan="3" | 영국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명) | - | | | | |- | 경제활동참가율 (%) | - | 62.8 | 62.4 | 62.3 | 61.9 |- | rowspan="3" | 오스트레일리아 | 경제활동가능인구 (1,000명) | | | | | |- | 경제활동인구 (1,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