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승 (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모든 정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되며, n!으로 표기한다. 0의 계승은 1로 정의된다. 계승은 감마 함수를 통해 복소수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다중 계승, 지수 계승, 소수 계승과 같은 관련 개념이 존재한다. 계승의 개념은 12세기 인도 수학에 이미 알려져 있었으며, 느낌표 표기법은 1808년 크리스티앙 크람프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마 함수 및 관련 함수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 감마 함수 및 관련 함수 - 불완전 감마 함수
불완전 감마 함수는 감마 함수의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정의되며 상부 불완전 감마 함수와 하부 불완전 감마 함수로 나뉘고, 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함수이다. - 단항 연산 - 1의 보수
1의 보수는 이진수에서 양수는 일반적인 이진수로, 음수는 양수의 각 비트를 반전시켜 표현하며, 덧셈 시 자리올림수가 발생하면 결과값에 더해야 하고, 0을 중복 표현하는 단점으로 현대에는 2의 보수가 주로 사용된다. - 단항 연산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이항 정리
이항 정리는 이변수 다항식 (x + y)ⁿ을 전개하는 공식으로, 이항 계수를 사용하며, 조합론적 증명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이항 급수, 다항 정리 등 일반화된 형태가 존재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계승 (수학) | |
---|---|
기본 정보 | |
종류 | 연산 |
기호 | n! |
정의 |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의 곱 |
공식 | n! = 1 × 2 × 3 × ... × n |
예시 | 5! = 1 × 2 × 3 × 4 × 5 = 120 |
관련 항목 | 감마 함수 이항 계수 스털링 근사 |
수학적 성질 | |
점화식 | n! = n × (n-1)! |
특수한 값 | 0! = 1 |
응용 | 조합론 확률론 미적분학 |
계산 예시 | |
0! | 1 |
1! | 1 |
2! | 2 |
3! | 6 |
4! | 24 |
5! | 120 |
6! | 720 |
7! | 5,040 |
8! | 40,320 |
9! | 362,880 |
10! | 3,628,800 |
11! | 39,916,800 |
12! | 479,001,600 |
13! | 6,227,020,800 |
14! | 87,178,291,200 |
15! | 1,307,674,368,000 |
16! | 20,922,789,888,000 |
17! | 355,687,428,096,000 |
18! | 6,402,373,705,728,000 |
19! | 121,645,100,408,832,000 |
20! | 2,432,902,008,176,640,000 |
25! | 1.551121004 × 10^25 |
64! | 3.041409320 × 10^64 |
70! | 1.197857167 × 10^100 |
100! | 9.332621544 × 10^157 |
170! | 7.257415615307999 × 10^306 |
200! | 7.88657867364790503552363213932185062295135977687173263294742533244359449963528901428562891337289488672700550815972118784207310829671756356779517754425578923606802026950034734353754274626270313004197578827331436363550141595131350 |
1,000! | 1.733368733 × 10^2567 |
3,249! | 4.023872601 × 10^2567 |
10,000! | 6.412337688 × 10^10000 |
25,206! | 2.846259681 × 10^35659 |
50,000! | 1.205703438 × 10^100000 |
100,000! | 2.824229408 × 10^456573 |
205,023! | 2.503898932 × 10^1000004 |
1,000,000! | 8.263931688 × 10^5565708 |
2. 정의
음이 아닌 정수 n의 계승 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2×3×...×(n-2)×(n-1)×n
특히, 0의 계승은 1이다.
:0!=1
처음 몇 계승은 다음과 같다.
:1, 1, 2, 6, 24, 120, 720, 5040, 40320, 362880, 3628800, 39916800, 479001600, 6227020800, 87178291200, 1307674368000, 20922789888000, 355687428096000, 6402373705728000, 121645100408832000, 2432902008176640000, ...
쉽게 정리하면 5! = 1×2×3×4×5이다.
2. 1. 정수의 계승
음이 아닌 정수 n의 계승 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2×3×...×(n-2)×(n-1)×n
특히, 0의 계승은 1이다.
:0!=1
처음 몇 계승은 다음과 같다.
:1, 1, 2, 6, 24, 120, 720, 5040, 40320, 362880, 3628800, 39916800, 479001600, 6227020800, 87178291200, 1307674368000, 20922789888000, 355687428096000, 6402373705728000, 121645100408832000, 2432902008176640000, ...
쉽게 정리하면 5! = 1×2×3×4×5이다.
2. 2. 복소수의 계승
감마 함수를 통해 계승의 정의역을 음의 정수를 제외한 복소수까지 확장할 수 있다. 감마 함수 의 정의역은 이며, 양의 실수부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다.:
감마 함수와 계승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음의 정수가 아닌 복소수 의 계승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특히, 반정수의 계승은 다음과 같다.
:
2. 2. 1. 감마 함수와의 관계
감마 함수를 통해 계승의 정의역을 음의 정수를 제외한 복소수까지 확장할 수 있다. 감마 함수 의 정의역은 이며, 양의 실수부에서의 값은 다음과 같다.:
감마 함수와 계승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따라, 음의 정수가 아닌 복소수 의 계승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특히, 반정수의 계승은 다음과 같다.
:
2. 2. 2. 반정수의 계승
(내용 없음)2. 3. 기수의 계승
대칭군의 크기가 계승과 같다는 사실을 통해, 계승을 임의의 기수까지 확장할 수 있다. 기수 의 계승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3. 성질
3. 1. 항등식
계승·중 계승·지수 계승의 점화식은 각각 다음과 같다.:
:
:
3. 2. 점근 공식
임의의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한다.:
4. 관련 개념
4. 1. 다중 계승
계승의 정의에서 연속된 자연수들을 곱하는 대신 법에 대하여 합동인 자연수들만 곱하면, '''다중 계승'''(多重階乘, multifactorial영어)의 정의를 얻는다. 즉, 양의 정수:
특히,
:
예를 들어, 일중 계승은 계승이다. 또한, '''이중 계승'''(二重階乘, double factorial영어)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
:
특히,
처음 몇 이중·삼중·사중 계승은 각각 다음과 같다.
:1, 1, 2, 3, 8, 15, 48, 105, 384, 945, 3840, 10395, ...
:1, 1, 2, 3, 4, 10, 18, 28, 80, 162, 280, 880, ...
:1, 1, 2, 3, 4, 5, 12, 21, 32, 45, 120, 231, ...
4. 1. 1. 이중 계승
계승의 정의에서 연속된 자연수들을 곱하는 대신 법에 대하여 합동인 자연수들만 곱하면, '''다중 계승'''(多重階乘, multifactorial영어)의 정의를 얻는다. 즉, 양의 정수 k와 정수 n > -k가 주어졌을 때, n의 k중 계승은 다음과 같다. (이는 k번의 계승과 다른 개념이다.):n!k = n(n-k)(n-2k)⋯
특히, -k < n ≤ 0일 경우 다음과 같다.
:1 = 0!k = (-1)!k = (-2)!k = ⋯ = (-(k-1))!k
예를 들어, 일중 계승은 계승이다. 또한, '''이중 계승'''(二重階乘, double factorial영어)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n에 대하여,
:(2n)!! = 2nn! = (2n)(2n-2)(2n-4)⋯6·4·2
:(2n-1)!! = (2n)!/(2nn!) = (2n-1)(2n-3)(2n-5)⋯5·3·1
특히, 1 = 0!! = (-1)!!이다.
처음 몇 이중·삼중·사중 계승은 각각 다음과 같다.
:1, 1, 2, 3, 8, 15, 48, 105, 384, 945, 3840, 10395, ...
:1, 1, 2, 3, 4, 10, 18, 28, 80, 162, 280, 880, ...
:1, 1, 2, 3, 4, 5, 12, 21, 32, 45, 120, 231, ...
4. 2. 지수 계승
계승의 정의에서 곱셈 대신 거듭제곱을 사용하면, '''지수 계승'''(指數階乘, exponential factorial}})의 정의를 얻는다. 즉, 음이 아닌 정수:
처음 몇 지수 계승은 다음과 같다.
: 1, 1, 2, 9, 262144, ...
4. 3. 소수 계승
음이 아닌 정수 ''n''의 소수 계승은 ''n'' 이하의 모든 소수의 곱이다.4. 4. 상승 계승과 하강 계승
계승의 일반화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조합론에서 자주 쓰이는 일반화는 상승 계승(rising factorial)과 하강 계승(falling factorial)이다.5. 역사
계승의 기본적인 개념은 ''n''개의 원소의 순열의 개수로서 이미 12세기 인도 수학에 알려져 있었다.[2]
팍토리엘/factorielle프랑스어이라는 이름은 프랑스의 루이 프랑수아 앙투안 아르보가(Louis François Antoine Arbogast)가 사용하였다. 느낌표 표기법은 1808년 수학자 크리스티앙 크랑(Christian Kramp)이 저서 《보편 산술 원론》(Éléments d’arithmétique universelle)[3]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크랑은 원래 계승을 파퀼테/faculté프랑스어)라고 불렀으나, 이후 아르보가를 따라 "팩토리얼"을 대신 사용하였다.
참조
[1]
서적
公理集合论导引
科学出版社
2011
[2]
논문
The roots of combinatorics
1979
[3]
서적
Éléments d’arithmétique universelle
De l’imprimerie de Th. F. Thiriart, et se vend chez Hansen
1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