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가미네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마가미네역은 일본국유철도 조반선에 있는 지상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무인역이며, Suica 사용이 가능하다. 1952년 영업을 시작했으며,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16년 소마역 - 하마요시다역 구간 운행 재개와 함께 다시 운행을 시작했다. 역 서쪽은 주택가, 동쪽은 논지대이며, 국도 6호선, 113호선과 후쿠시마현도 394호선이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치정 - 후쿠다촌 (후쿠시마현 소마군)
후쿠다촌은 1889년 후쿠시마현 우타군에서 세 촌이 합병되어 발족한 촌으로, 소마군에 편입되었다가 1954년 다른 촌들과 합병하여 신치정이 되면서 폐지되었으며, 태평양 연안에 위치하고 국도 6호선이 주요 교통로였다. - 신치정 - 고마가미네촌
고마가미네촌은 후쿠시마현 소마군에 위치했던 촌으로, 태평양에 접하고 고마가미네 성이 있었으며, 1889년 우다군 소속으로 성립되었으나 1954년 신치정에 합병되어 폐지되었고, 조반 선과 국도 6호선이 주요 교통로였다. - 조반선 - 조반 쾌속선
조반 쾌속선은 우에노역과 도리데역을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쾌속, 중장거리 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며 E231계, E531계, E657계 전동차 등이 사용되고 주요 도시들을 연결한다. - 조반선 - 우에노 도쿄 라인
우에노 도쿄 라인은 도쿄역과 우에노역을 연결하는 3.8km의 고가철도로, 도호쿠 본선 및 조반선의 도쿄역 직결 운행을 재개하고 통근 혼잡을 완화하며 도쿄 북부와 도심 간 접근성을 향상시킨다. - 1952년 개업한 철도역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1952년 개업한 철도역 - 이왓파라스키조마에역
이와하라스키조마에역은 니가타현 유자와정에 있는 조에쓰선 역으로, 임시승강장으로 시작하여 폐쇄와 재개업을 거쳐 보통역이 되었으며, 이와하라 스키장 주변의 무인역이다.
고마가미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역 이름 | 고마가미네역 |
로마자 표기 | Komagamine-eki |
소재지 | 후쿠시마현 소마군 신치정 고마가미네 아자 후카마치 21 |
좌표 | 37° 50′ 32.7″ N, 140° 55′ 30″ E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노선 정보 | 조반선 |
영업 거리 | 닛포리 기점 311.4 km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1952년 7월 10일 |
비고 | 무인역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 있음) |
이용 현황 | |
1일 평균 승차 인원 | 151명 (2004년) |
인접 역 | |
노선 | 조반선 |
이전 역 | 소마 |
다음 역 | 신치 |
2. 역 구조
고마가미네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승강장과 역사는 과선교(육교)로 이어져 있다. 하라노마치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으로,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와 간이 Suica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다. 역 건물 내 및 승강장 위에 대합실이 있다.
2. 1. 승강장
고마가미네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역 건물과 연결되어 있다. 역무원이 없는 무인역이며, Suica를 사용할 수 있다.[14]
3. 역사
4. 이용 현황
승차 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