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에노 도쿄 라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에노 도쿄 라인은 도쿄역과 우에노역 사이의 철도 노선으로, 2015년 3월 14일에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기존의 도호쿠 본선, 조반선, 다카사키선 열차를 도카이도선으로 직결 운행하여 수도권 남북 지역 간의 이동 편의성을 높였다. 계획 이전에는 도쿄역과 우에노역 사이에 회송선이 존재했으며, 1983년 도호쿠 신칸센 건설로 인해 직통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00년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 2015년까지 연결 구간 복원을 권고하여 건설이 시작되었다. 우에노 도쿄 라인은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열차를 시나가와역까지 직결 운행하며, 이 과정에서 소요 시간 단축, 수송 네트워크 강화, 이용객 증가 등의 효과를 얻었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대와 우려, 그리고 조반선 직통 운행 계획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바라키현의 철도 -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
    간토 철도 류가사키선은 이바라키현 류가사키시의 간토 철도가 운영하는 4.5km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사누키역과 류가사키역을 잇고, 과거 계획 구간이었던 후지시다 방면으로는 버스가 운행되며, 일본 최초로 원맨 운전을 도입하여 현재는 전 구간 무인 운전으로 운영되고 있다.
  • 이바라키현의 철도 - 간토 철도 조소선
    간토 철도 조소선은 이바라키현의 토리데역과 시모다테역을 잇는 총 연장 51.1km의 간토 철도 노선으로, 일부 복선 구간과 다양한 열차 운행, IC 카드 사용 가능, 그리고 최근 무인화 진행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후쿠시마현의 철도 - 반에쓰사이선
    반에쓰사이선은 후쿠시마현 고리야마역과 니가타현 니이쓰역을 잇는 175.6km의 단선 철도 노선으로, 아이즈 지방과 니가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이지만 이용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1897년 개통 이후 자연재해와 사고를 겪으며 시설 개량과 운영 방식 변화를 거쳐왔다.
  • 후쿠시마현의 철도 -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은 야마가타현 지역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도호쿠 신칸센 직결 운행 노선으로, 후쿠시마역에서 야마가타역을 거쳐 신조역까지 이어지며 '쓰바사'라는 이름으로 E3계 및 E8계 열차가 운행되고 있고, 현재 후쿠시마역 연결 방식 개선 및 신형 차량 도입 등의 개선 계획이 진행 중이다.
  •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우에노 도쿄 라인
노선 정보
이름우에노-도쿄 선
원어 이름上野東京ライン
원어 이름 (로마자 표기)Ueno-Tōkyō Rain
다른 이름東北縦貫線 (도호쿠 주칸센)
노선 종류통근 열차
노선 상태운영 중
노선 지역도쿄
하루 평균 승객 수320,229 명 (2015년)
개통일2015년 3월 14일
운영자[[파일:JR logo (east).svg|23px|link=동일본 여객철도]] 동일본 여객철도
궤간1067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노선 개요
노선 색상purple
로고[[파일:Ueno東京ライン ロゴ.svg|150px|link=우에노-도쿄 선]]
노선 경유도호쿠 본선
다카사키 선
조에쓰 선
료모 선
조반 선
나리타 선 (아비코 지선)
도카이도 본선
이토 선
전보 약호토호호세 (도쿄역 - 우쓰노미야역 구간)
타카세 (오미야역 - 다카사키역 구간)
시요세 (다카사키역 - 신마에바시역 구간)
리모세 (신마에바시역 - 마에바시역 구간)
토카호세 (도쿄역 - 누마즈역 구간)
이토세 (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
시하세 (닛포리역 - 이와키역 구간)
나리세 (아비코역 - 나리타역 구간)
노선 기호[[파일:JR JT line symbol.svg|23px|link=]] (도쿄역 - 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
[[파일:JR Central Tokaido Line.svg|23px|link=]] (아타미역 - 누마즈역 구간)
[[파일:JR JU line symbol.svg|23px|link=]] (도쿄역 - 오미야역 구간)
[[파일:JR JJ line symbol.svg|23px|link=]] (우에노역 - 도리데역 구간)
노선 길이3.6 km (도쿄역 - 우에노역 구간)
궤간1,067 mm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최대 경사34‰
폐색 방식(복선) 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ATS-P
운영 정보
운영 주체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차량 기지고야마 차량 센터
고즈 차량 센터
가쓰타 차량 센터
마쓰도 차량 센터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히가시오미야 센터
사용 차량차량 섹션 참고
개업일2015년 3월 14일
운행 지역
운행 지역후쿠시마 현이와키역 구내도
도치기 현
이바라키 현
사이타마 현
군마 현
지바 현
도쿄 도
가나가와 현
시즈오카 현
지도
도호쿠 종관선 노선도
노선도
우에노 역 ~ 도쿄역 간을 주행하는 E231계 전동차
우에노 역 ~ 도쿄역 간을 주행하는 E231계 전동차

2. 역사

도호쿠 신칸센 건설로 인해 우에노역도쿄역 사이 구간이 분리되면서,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등 이른바 '동북 3선' 열차는 우에노역까지만 운행되었다. 이로 인해 게이힌 도호쿠선야마노테선의 혼잡이 심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에노 도쿄 라인 건설이 추진되었다. 이 노선은 끊어진 도쿄 ~ 우에노 간 선로를 다시 연결하여 우에노 착발 동북 3선을 도쿄역까지 연장하고, 도카이도 본선과 직통 운전을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도쿄역과 우에노역 간에는 회송 열차나 화물 열차를 위한 회송선이 있었고, 종전 후 1946년 7월에는 연합군 전용 열차가 처음으로 직통 운행했다. 이후에도 일부 통근열차와 급행, 특급 열차들이 도쿄역에서 출발하여 도호쿠 본선까지 연장 운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도호쿠 신칸센 건설 부지 마련을 위해 1983년 1월 모든 직통 운전이 폐지되고, 아키하바라역과 간다 부근 선로가 분단되었다. 이로 인해 도호쿠 본선 계통 열차는 도쿄역까지 운행할 수 없게 되었고, 남은 선로는 유치선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우에노 ~ 도쿄 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은 러시아워 때 극심한 혼잡을 겪었고, 도쿄 이북 지역 지자체는 동북 3선의 도쿄역 연장을 지속적으로 요청했다.

JR 동일본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2002년 3월, 2009년 말 완성을 목표로 도쿄역 ~ 아키하바라역 간 도호쿠 종관선 건설 공사 계획을 발표했다. 총 사업비는 4000억으로, 도호쿠 신칸센 고가 선로에 복층으로 건설하여 33퍼밀에 가까운 급구배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으로 교체해야 했다. 아키하바라역 정차는 건설 비용 대비 편익비가 낮고 공간 부족으로 인해 통과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반대 의견 제기자들의 소송으로 인해 착공이 지연되었고, 2008년 5월에야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동일본대지진의 영향 등으로 완공 예정이 연기되기도 했다.

'''주요 연혁'''

날짜내용
2008년 5월 30일공사 착공.
2013년 12월 9일애칭을 "우에노 도쿄 라인"으로 결정.
2014년 6월 4일레일 체결식 실시.[47]
2014년 7월 12일일반 공개 실시.
2014년 7월 29일시운전 시작.[48]
2014년 8월 1일승무원 훈련 운전 시작.[49]
2015년 3월 14일개업.[16]


2. 1. 계획 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도쿄역우에노역 사이에는 회송 열차나 화물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회송선이 있었다. 1946년 7월에는 연합군 전용 열차가 처음으로 이 구간을 직통 운행했다.[116]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야마노테선게이힌 도호쿠선 분리 공사로 인해 우에노역에서 회차하던 조반선 열차가 아침 시간에만 유라쿠초역까지 연장 운행했다. 이후에도 우쓰노미야선, 조반선, 다카사키선 통근열차가 우에노역에서 신바시역까지 연장 운행했고, 급행 및 특급 열차들도 도쿄역에서 출발하여 도호쿠 본선까지 노선을 연장 운행했다.[116]

그러나 도호쿠 신칸센 건설을 위한 선로 부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은 JR 동일본은 1983년 1월을 기점으로 모든 직통 운전을 폐지했다. 그리고 아키하바라역과 간다 부근에서 선로를 분단시켜 그 사이에 도호쿠 신칸센 전용선을 건설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로 인해 도호쿠 본선(우쓰노미야선) 계통 열차는 도쿄역까지 연장 운행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남은 선로는 유치선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후 우에노 ~ 도쿄 간에는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 외 다른 열차가 다니지 않아 해당 노선은 러시아워 때 혼잡이 매우 심해졌다.[117] 이에 대한 대책으로 선로와 신호를 개량하고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신형 전동차를 도입했으나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도쿄 이북 지역 지자체에서는 동북 3선에 대한 도쿄역 노선 연장을 요청하게 되었다. JR 동일본은 2009년 말 완성을 목표로 도쿄역 ~ 아키하바라역 간 도호쿠 종관선 건설 공사를 계획하여 2002년 3월에 공사 계획을 발표하였다.

도호쿠 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이후 모두 도쿄역까지 운행되었다. 우에노와 도쿄를 잇는 연결 구간은 처음에는 화물 열차와 환승 용도로만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군정 당국은 도쿄역에서 도호쿠 본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를 운행했고,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여러 직통 운행이 이어졌다. 우에노와 도쿄 간 연결 구간은 1973년 4월 여객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3년 1월 화물 운행도 중단되었다. 아키하바라와 간다 주변 구간은 도호쿠 신칸센을 도쿄역까지 연장하기 위한 선로 확보를 위해 철거되었으며, 도쿄역까지 직통 운행은 1991년에 시작되었다.

2000년 정부 위원회 권고안은 2015년까지 우에노와 도쿄 간 연결 구간을 복원할 것을 제안했고, JR 동일본은 2002년 3월 27일 공식적으로 이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특히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및 도쿄 북부 지역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프로젝트 주변 지역 주민들은 일조량 감소와 지진 위험을 이유로 2007년 도쿄 지방 법원에 건설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10] 소송은 2012년 기각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2013 회계연도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완료가 지연되었다.[11]

1925년 도호쿠 본선 전철선(현재의 게이힌토호쿠선)을 통해 도쿄역-우에노역 사이에 처음으로 철도 선로가 부설되었다. 1928년 4월 1일에는 철도성이 도호쿠 본선의 객차선을 부설하여 도쿄역-우에노역 간 중거리 객차선이 시작되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쿄역-우에노역 간 객차선은 유치선, 회송열차, 화물열차 운행을 위한 회송선으로 사용되었다. 1946년 7월, 연합군 전용 열차 "'''Yankee Limited'''"가 처음으로 이 노선을 직통하는 열차로 설정되었다. 1947년 일본국유철도(국철) 발족 이후, 우에노역에서 회차하던 국전 조반선이 1954년-1956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토호쿠선 분리 운전 공사 기간 중 아침저녁으로만 유라쿠초역까지 연장 운행했다. 이후에도 도호쿠 본선·조반선·다카사키선 열차가 신바시역까지 아침저녁으로 1왕복 정도 운행했다. "'''Yankee Limited'''"의 뒤를 이은 급행 "'''토와다'''(十和田)"가 도쿄역에 진입했고, 특급 "'''히타치(ひたち)'''", "'''츠바사(つばさ)'''", "'''히바리'''(ひばり)", "'''하츠카리(はつかり)'''", "'''야마비코(やまびこ)'''", "'''토키(とき)'''", "'''아사마(あさま)'''", 준급 "'''니코(日光)'''", "'''추젠지'''(中禅寺)」]] 등에도 도쿄역 발착 열차가 설정되었다. 준급 "'''쇼난니코'''(湘南日光)"나 통근 시간대에 설정된 쾌속 "'''와타라세'''(わたらせ)" 등은 도쿄역을 넘어 도카이도 본선까지 진입했고,[24] 료모선 마에바시역에서 다카사키선을 경유하여 도카이도 본선 후지역까지 잇는 중거리 보통 전차도 1왕복 운행되었다.[25] 오봉이나 연말 귀성 러시 시기에는 우에노역 발차 오우·반에쓰사이선 방면 야간 열차를 시나가와역 발차로 하는 조치가 취해졌다. 야마테 화물선 경유와 함께, 수하물·신문 취급 관계로 도쿄역·우에노역 경유 열차도 운행되었다.[26][27] 나고야역 발차(시즈오카역 발차 열차도 있었다) 아오모리역 행(도호쿠 본선 경유, 조반선 경유) 급행 "'''아오모리'''(あおもり)" 등, 도쿄 도심을 관통하는 장거리 열차도 운행되었다.[28]

전후 시대에는 도쿄역에서 아키하바라역 야마노테선·게이힌토호쿠선 홈 부근까지 2개 선로가 부설되어 있었다. 동쪽 선로는 도쿄역 유치선·인상선으로 사용되었고, 서쪽 선로만 열차 운행에 사용되었다. 동쪽 선로는 4개 열차를 유치할 수 있었고, 경계에는 양도선이 설치되었다. 아키하바라역 부근에서 동쪽 선로가 차단기로 끊겼고, 서쪽 선로만 부설된 구간이 약간 있었다. 오테마치역(御徒町駅) 앞에서 다시 선로가 2개가 되고, 이후 양쪽 선로가 열차 운행에 사용되었다(상행선에는 선로가 1개가 되는 직전에 도쿄역 제1장내 신호기가 있었지만, 여기까지가 도쿄역 구내였다). 아키하바라역 출발 신호기 앞에서 화물역에서 온 선로와 합류하고, 우에노역 장내 신호기 앞에서 3선으로 분기했다(아키하바라역-우에노역 간에는 복선 동쪽에 양 역 인상선이 병행했지만, 도중에 끊겼다). 이 때문에 다수 열차 운행에는 부적합하여 여객 열차 진입은 제한적이었고, 국철 내부에서도 "도쿄-우에노 회송선"(東京-上野回送線)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29]

이후 도호쿠 신칸센 부설 공사 용지 문제와 도쿄역 재래선 홈 축소로 1973년 3월 말 정기 열차의 도쿄역 진입이 중지되었다. 귀성 시 시나가와역 발차 열차 운행은 1975년 연말로 종료되었고,[30][31] 우편·수하물·회송·단체 열차도 1983년 1월 31일 직통 운전이 폐지되었다. 선로 용지를 신칸센에 전용하기 위해 아키하바라역-칸다역(神田駅) 부근에서 선로가 단절되어 도호쿠 본선 계통 열차는 도쿄역에 진입할 수 없게 되었다. 남은 선로는 우에노역 측은 오테마치역 부근부터 화물역 사명을 끝낸 아키하바라역 화물 홈 부근까지 유치선에 전용했지만, 재개발에 따라 화물 홈은 철거되고 새로운 유치선이 건설되었다. 도쿄역 측은 도카이도 본선 열차 회차선에 전용되었다.

신칸센은 1991년 6월 20일 도쿄역-우에노역 간이 개업했지만, 구 회송선 선로 용지를 이용한 구간은 교각을 상공에 덧붙일 수 있는 구조로 건설되었다. 이 구간에는 도호쿠·야마가타(1992년 7월 1일-)·아키타(1997년 3월 22일-)·죠에쓰·호쿠리쿠(1997년 10월 1일-) 각 신칸센이 도쿄역에 진입하고 있다.

신칸센 개통 후에도 야마노테선, 게이힌토호쿠선과 병행하는 도쿄역-우에노역 간에는 중·장거리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기간이 잠시 계속되었지만, 이들 노선을 국철로부터 계승하여 운행하는 JR 동일본에게 진입은 숙원이었다.[32]

도호쿠 종관선(東北縦貫線) 계획 자체는 1970년대 도호쿠 신칸센 계획과 동시에 있었지만,[29][33] 국철 분할 민영화 후 구체화된 것은 1993년 2월 JR 동일본이 야마노테선·게이힌토호쿠선의 아키하바라역-우에노역 간이나 우에노역 혼잡 완화를 위해 조반·도호쿠·다카사키선 각 선 운전 구간을 도쿄역까지 연장하여 도카이도 본선과 상호 진입하는 검토였다. 이 계획에서는 우에노역 유치선으로 사용되는 아키하바라역-우에노역 간 공사를 선행하고, 먼저 조반선 전차를 아키하바라역까지 연장한다는 계획이었다. 이 계획 배경은 조반 신선(이후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개업에 의한 조반선 여객 이탈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아키하바라역에서 도쿄역까지 도호쿠 신칸센 2층 부분에 복선을 건설하여 도호쿠 본선·다카사키선·조반선 중 한 선을 도카이도선에 진입시키도록 했다. 칸다(神田) 지역 연선에서 강한 반대 운동이 일어나 계획이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는 1997년 착공하여 10년 정도에 완성한다는 예상이 아사히 신문에 게재되었다.[34][35]

이후 1999년 당시 운수성(運輸省) "도시 정비 조사"에서 도쿄-아키하바라 간 230억 엔, 우에노역 구내 70억 엔, 총 300억 엔에 아키하바라역 구내 공사비(역 설치 시 120억 엔, 미설치 시 30억 엔)로 책정되었다.[36]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 중거리 전차 도쿄역 진입을 요망하던 사이타마현도 이 조사 결과에 주목했다.[37]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00년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 "2015년까지 개업하는 것이 적당한 노선"으로 지정되었다.[38]

이 지정을 받아 JR 동일본은 본격적인 검토를 시작하고, 2002년 3월 27일 2009년도 말 완성 목표로 도쿄역-아키하바라역 간 도호쿠 열차선 건설 공사 계획을 발표했다.[39] 이는 구 도호쿠 열차선을 철거하고 건설한 도호쿠 신칸센 고가 좌우에 확보된 고고가교 지주 설치 공간을 이용하여 상층부에 신 도호쿠 열차선을 직상 고가로 건설하는 계획이었다. 비용 및 여객 유동 예측으로 우에노역-도쿄역 간 중간역을 설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비용은 조사 시와 같은 300억 엔으로 발표되었으나, 이후 400억 엔으로 정정되었다. 비용은 전액 JR 동일본이 자기 자본으로 부담하기로 했다.

2. 2. 계획 및 건설

도호쿠 신칸센 건설로 인해 우에노역도쿄역 사이가 분리되었다. 이로 인해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열차는 우에노역까지만 운행되었고, 도쿄역까지는 게이힌 도호쿠선야마노테선만 운행되었다. 끊어진 도쿄 ~ 우에노 간 선로를 다시 연결하여 우에노 착발 동북 3선을 도쿄역까지 연장하고, 도카이도 본선과 직통 운전을 하는 것이 도호쿠 종관선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이 계획이 완공되면 동북 3선에서 도카이도선으로 직통이 가능해지고,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의 혼잡 완화, 소요 시간 단축 등 편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아키하바라역 정차는 건설 비용 대비 편익비가 낮고 공간 부족으로 인해 통과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총 사업비는 4000억이며, 도호쿠 신칸센 고가 선로에 복층으로 건설되기 때문에 33퍼밀에 가까운 급구배에 대응할 수 있는 차량으로 교체해야 했다.[116]

제2차 세계 대전 이전부터 도쿄역과 우에노역 간에는 회송 열차나 화물 열차를 위한 회송선이 있었고, 1946년 7월 연합군 전용 열차가 처음으로 직통 운행했다. 1954년~1956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 분리 공사로 인해 조반선이 아침 시간에만 유라쿠초역까지 연장 운행했고, 이후에도 우쓰노미야선, 조반선, 다카사키선 통근열차가 신바시역까지 연장 운행했다. 급행 및 특급 열차들도 도쿄역에서 출발하여 도호쿠 본선까지 연장 운행했다.[116]

그러나 도호쿠 신칸센 건설 부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은 JR 동일본은 1983년 1월 모든 직통 운전을 폐지하고, 아키하바라역과 간다 부근에서 선로를 분단시켜 도호쿠 신칸센 전용선을 건설했다. 이로 인해 도호쿠 본선 계통 열차는 도쿄역까지 운행할 수 없게 되었고, 남은 선로는 유치선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우에노 ~ 도쿄 간 야마노테선과 게이힌 도호쿠선은 러시아워 때 극심한 혼잡을 겪었다.[117] 신형 전동차 도입 등 대책을 마련했으나 역부족이었고, 도쿄 이북 지역 지자체는 동북 3선의 도쿄역 연장을 요청했다. JR 동일본은 2009년 말 완성을 목표로 도쿄역 ~ 아키하바라역 간 도호쿠 종관선 건설 공사를 계획하여 2002년 3월 공사 계획을 발표했다.

우에노-도쿄 선 노선도. 점선은 도호쿠 신칸센 노선(회색) 위로 우쓰노미야 선과 조반 선을 지나게 하는 약 1.3km의 고가교(현재 완공)를 나타낸다. 이 고가교는 칸다역 근처의 기존 직통 노선을 가로지른다.


이 프로젝트는 우에노역에서 시작하여 과거 두 역을 연결했던 기존 선로 약 2.5km[5]를 재포설하는 것을 포함했다. 이 선로는 칸다역 부근에서 도호쿠 신칸센 도쿄 연장을 위해 분리되었다. 이 끊어진 구간은 칸다역 근처 기존 신칸센 고가교 위에 새로 건설된 약 1.3km[5]의 상층부 고가교와 양쪽 끝 연결 램프를 통해 다시 연결되었다.[6] 신칸센 연결 공사 중에도 도호쿠 선 직통 운행을 재개할 수 있도록 조치가 마련되었다.[7]

JR 동일본은 도카이도 선 시나가와역에 열차 회차 시설을 건설하여 우에노발 직통 열차가 시나가와역에서 종착하고 북쪽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했다.[2]

도호쿠 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이후 모두 도쿄역까지 운행되었다. 우에노와 도쿄를 잇는 연결 구간은 처음에는 화물 열차와 환승 용도로만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군정 당국은 도쿄역에서 도호쿠 본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를 운행했고,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여러 직통 운행이 이어졌다. 우에노와 도쿄 간 연결 구간은 1973년 4월 여객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3년 1월 화물 운행도 중단되었다. 아키하바라와 간다 주변 구간은 도호쿠 신칸센을 도쿄역까지 연장하기 위한 선로 확보를 위해 철거되었으며, 도쿄역까지 직통 운행은 1991년에 시작되었다.

2000년 정부 위원회 권고안은 2015년까지 우에노와 도쿄 간 연결 구간 복원을 제안했고, JR 동일본은 2002년 3월 27일 공식적으로 이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및 도쿄 북부 지역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프로젝트 주변 지역 주민들은 일조량 감소와 지진 위험을 이유로 2007년 도쿄 지방 법원에 건설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10] 소송은 2012년 기각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2013 회계연도에 완료될 예정이었지만,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완료가 지연되었다.[11]

2007년 3월 아키하바라 역 남쪽 예정 노선 전경


우에노역과 도쿄역 사이에는 도호쿠 본선 열차선이 운행하고 있었으며, 일부 특급·급행열차와 동해도본선 요코하마·시즈오카 방면과의 직통열차도 운행되었으나, 이 구간에 건설이 결정된 도호쿠 신칸센 건설 부지 확보를 위해 1973년 4월 정기 여객열차의 직통 운행이 중단되었다. 이후에도 회송열차나 단체열차 등이 사용했으나, 1983년에 단절되었다.

이를 다시 설치함으로써 우에노역을 기점으로 하는 도호쿠 본선 계통의 열차(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조반선, 이하 3선. 조반선은 쾌속전차 포함)를 도쿄역까지 운행시키고, 더 나아가 도카이도선의 시나가와역·요코하마역 방면으로 직통 운행시키는 노선이다(조반선 계통은 시나가와역까지). 이에 따라 병행하는 전철선 구간의 야마노테선이나 게이힌토호쿠선의 혼잡률이 대폭 완화되고, 직통 수송 체계의 정비에 따라 우에노역·도쿄역에서의 환승이 불필요해짐으로써, 도심을 넘어 중거리 전차를 이용할 때 소요 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로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쇼난신주쿠 라인과 함께 북관동과 가나가와현 방면을 잇는 역할을 한다. 아카바네역 - 요코하마역 간은 본 노선이 쇼난신주쿠 라인보다 직선적인 노선을 통과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짧아, 사이타마현 방면과 가나가와현을 이동하는 이용자는 쇼난신주쿠 라인에서 우에노도쿄 라인 이용으로 분산되었다고 생각된다.

노선 구조의 특징으로, 칸다역 부근에 도호쿠 신칸센 바로 위에 건설한 고가 부분이 있으며, 소음과 일조 불량에 대한 연선 주변에 대한 배려가 되어 있다.[32]

이 선로의 건설 계획은 '''도호쿠 종관선 계획'''이라고 불리며, 2008년 5월 30일에 착공했다. 2013년 12월 9일 JR 동일본은 이 노선의 애칭을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했다.[18] 이 명칭은 철도 노선의 영업명으로도 사용되고 있다.[19]

"우에노도쿄 라인"의 애칭이 사용되는 것은 도쿄역 - 우에노역 간 뿐만 아니라,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조반선·도카이도선 및 그것들이 직통하는 노선까지 미친다. 도쿄 근교 노선도에는 마에바시역(료모선우쓰노미야역(우쓰노미야선)·타카하기역(조반선)·나리타역(나리타선아타미역(도카이도선)·이토역(이토선)까지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표기되어 있다.[20] 그러나, 시나가와역 - 우에노역 간 이외의 각 역에서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안내되는 것은 상행 열차뿐이며, 하행 열차에 대해서는 각 노선 명칭으로 안내된다. 도카이도선은 도쿄 근교 노선도 외의 동일본여객철도(JR동해)의 누마즈역까지 직통하는 열차가 있지만, JR동해 관내에서는 "우에노도쿄 라인"이라고 공식적으로는 안내되지 않는다(역이나 승무원에 따라 독자적인 안내를 하는 경우는 있다).[21] 또한, 도쿄 근교 노선도에 표기되어 있지 않은 조반선의 타카하기역 이북에서도, 타카하기역 - 이와키역 간의 상행 특급 정차역이라면 역 구내도 등에서 "우에노도쿄 라인"의 표기가 보인다.[15]

우에노도쿄 라인은 2015년 3월 14일에 실시된 다이야 개정과 동시에 개업하여, 43년 만에 도호쿠 본선과 도카이도 본선의 열차선이 직결되었다. 같은 날 호쿠리쿠 신칸센나가노역 - 가나자와역 간도 개업하여, 수도권에 있어 중·장거리 운행 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다이야 개정이 되었다.[22]

반대 의견 제기자들의 소송으로 인해 본격적인 착공이 크게 지연되었고, 2004년도 중에 환경 영향 평가를 완료할 예정이었던 당초 계획이 크게 지연되어 2009년도 말 완공 예정도 연기되었다.[40] 환경 영향 평가는 2007년 9월에 “만족한다”, 일부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한다”는 평가서가 제출되었다.[41]

2008년 3월 26일, JR 동일본은 같은 해 5월부터 공사에 착수하여 2013년도에 완공할 예정이라고 발표했고,[42] 3월 31일에는 “그룹 경영 비전 2020 - 도전 -”이라는 명칭의 방침에서 계획을 실행에 옮길 것을 재차 표명했다. 같은 해 5월 30일에는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사업비는 당초보다 100억 엔 증가한 4000억으로 예상된다. 주민 배려 차원에서 방음벽을 투명하게 하거나, 신칸센 바로 위에서 야마노테 선 외측선 일부와 게이힌 도호쿠 선 남행선 쪽으로 구조물이 돌출되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내진성 문제로 가벼운 교각을 새로 개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다.[32]

공사에 있어서, 간다 - 도쿄 간 신칸센과의 중첩 부분은 신칸센 바로 위에 설치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신칸센 종착 후 도쿄역 신칸센 승강장 남쪽 “남부 야드 부분”에 대기하고 있던 크레인 차량이 신칸센 선로를 이용하여 공사 현장으로 이동하여 시발까지의 시간대에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때, 가선 단선 등의 사고 발생 시 우에노 역에서 회차 운행을 위한 인원 등이 준비되어 있었다.[44]

동일본대지진의 영향 등으로 인해, JR 동일본은 2012년 4월 12일에 공사 계획을 일부 변경하여 2014년도 개업을 목표로 한다고 발표했고,[45] 2013년 12월에는 2015년 3월 개업을 발표했다.[46] 두 차례의 연기 끝에, 운수 정책 심의회 답신 제18호에서 제시된 목표 연도에 가까운 2015년 3월 14일에 개업을 달성했다.

'''주요 연혁'''

날짜내용
2008년 5월 30일공사 착공.
2013년 12월 9일애칭을 "우에노 도쿄 라인"으로 결정.
2014년6월 4일: 레일 체결식 실시[47].
7월 12일: 일반 공개 실시.
7월 29일: 시운전 시작[48].
8월 1일: 승무원 훈련 운전 시작[49].
10월 30일: 직통 운전 개요 발표.
12월 19일: 개업 시 운행 형태 발표.
2015년 3월 14일개업[16].


2. 3. 개통 이후

도호쿠 신칸센 건설로 우에노역도쿄역 사이가 분리되면서,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열차는 우에노역까지만 운행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야마노테선게이힌 도호쿠선의 혼잡이 심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에노 도쿄 라인 건설이 추진되었다.[113] 우에노 도쿄 라인은 우에노역과 도쿄역 사이를 무정차로 운행하며, 도카이도선의 시나가와역요코하마역까지 직결 운행한다.[113]

개통 초기에는 아침 첨두 시간대에 시간당 15편성이 직결 운행되었고, 2016년부터는 시간당 20편성이 직결 운행한다.[114] 조반선 특급 (히타치, 토키와) 또한 우에노 도쿄 라인을 경유하며, 대부분 시나가와역에서 종착한다.[114]

2014년 1월, JR 동일본 사장 토미타 테츠로는 우에노 도쿄 라인을 하네다 공항까지 연결하는 신선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115]

우에노 도쿄 라인은 2015년 3월 14일에 개통되어, 43년 만에 도호쿠 본선과 도카이도 본선의 열차선이 직결되었다.[16]

개통 이후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2008년 5월 30일공사 착공
2013년 12월 9일애칭을 "우에노 도쿄 라인"으로 결정
2014년6월 4일레일 체결식 실시[47]
7월 12일일반 공개 실시
7월 29일시운전 시작[48]
8월 1일승무원 훈련 운전 시작[49]
2014년10월 30일직통 운전 개요 발표
12월 19일개업 시 운행 형태 발표
2015년 3월 14일개업[16]


3. 노선 구조



우에노 도쿄 라인은 우에노역에서 시작하여 과거 도호쿠 본선 열차가 다니던 선로 약 2.5km를 재정비하는 공사를 포함했다.[5] 이 선로는 칸다역 부근에서 도호쿠 신칸센의 도쿄 연장을 위해 분리되었었다. 끊어진 구간은 칸다역 근처 기존 신칸센 고가교 위에 새로 건설된 약 1.3km[5]의 상층부 고가교와 양쪽 끝의 연결램프를 통해 다시 연결되었다.[6] 신칸센 연결 공사 중에도 도호쿠 본선의 직통 운행을 재개할 수 있도록 조치가 마련되었다.[7]

JR 동일본은 도카이도선시나가와역에 열차 회차 시설을 건설하여, 우에노에서 출발하는 직통 열차가 시나가와역에서 종착하고 북쪽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했다.[2]

우에노 도쿄 라인 전용 구간은 우에노역에서 도쿄역까지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도호쿠 신칸센 건설 당시 철거된 아키하바라역에서 칸다역 남쪽에 신설한 고가교 (신칸센 상부 중복 구간 및 접근 구간: 총 약 1.3km)
  • 공사 시작 전에 사용되던 유치선과 그 연결선인 도쿄역에서 칸다역 구간 (약 0.9km) 및 아키하바라역에서 우에노역 구간 (약 1.6km)의 기존 고가교 상 선로를 개량


총 3.8km (영업 거리 3.6km)의 고가 구조이다.

우에노 도쿄 라인을 시험 운행하는 EF65 중련(2015년 2월 21일, 아키하바라 만세바시에서 촬영)

  • '''고가교 설계 내하중:''' 신설된 고가교는 전기 기관차중련으로 화물 열차 운행을 고려하여, 전철과 기동차만을 대상으로 한 M하중이 아닌 EA-17 하중 규격으로 건설되었다. 칸다역 북쪽에서 교차하는 추오도리에 걸린 '칸다 오도리 고선 선로교'에는 설계 하중 (EA-17)이라고 기재된 명판이 있다. 2015년 2월 21일에는 전기 기관차 중련(EF65 1106과 1107)에 의한 주행 및 경사 시동 시험이 실시되었다.
  • '''접근부 경사:''' 접근부 경사는 도쿄 방면과 우에노 방면 모두 법령(철도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을 정하는 성령[73]의 해석 기준〈국토교통성 철도국장 통지 平成14년 3월 8일 국철기제157호〉[74])에 정해져 있는 기준인 35‰을 넘지 않는 34‰이다.
  • 도쿄 방면: 칸다에서 도쿄 간에서 교차하는 수도고속 도심환상선의 고가교를 경사 시작점으로, 칸다역에서 신칸센의 건축 한계를 확보하기 위해 여기를 경사 종료점으로 했다.
  • 우에노 방면: 아키하바라역에서 교차하는 소부선의 고가교를 경사 시작점으로, 칸다역에서 신칸센의 건축 한계를 확보하기 위해 여기를 경사 종료점으로 했다.


35‰ 경사는 '철도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을 정하는 성령'에 통합되기 전의 보통 철도 구조 규칙에 있는 대로 '기관차 열차 선로 이외의 모든 열차'이면서 '500톤 미만의 견인 중량을 기관차로 견인하는 열차'가 오를 수 있는 경사로 정해진 것이다. 즉, 중량이 규칙을 초과하는 화물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주행 가능하다.

그러나 JR 동일본에서는 1유닛이 고장난 경우 그것을 컷 한 편성이라도 등판 시동이 가능하고, 경사상에서 고장으로 무동력이 된 차량을 추진하여 등판할 수 있는 차량으로만 운행하는 것을 본 노선의 운용 내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의 객차 열차 및 화물 열차 주행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4. 운행 형태

우쓰노미야선, 조반선, 다카사키선 열차는 우에노역도쿄역 사이를 무정차 운행하며, 도카이도선의 시나가와역요코하마역까지 직결 운행한다.[113] 운행 초기에는 아침 첨두 시간대에 시간당 15편성이 직결 운행할 예정이며, 2016년부터는 시간당 20편성이 직결 운행한다.[11] 조반선 특급(히타치, 토키와) 또한 우에노 도쿄 라인을 경유하며, 대부분의 열차는 시나가와역에서 종착한다.[114]

우쓰노미야 선, 다카사키 선, 조반 선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우에노 역과 도쿄 역 간을 무정차로 운행하며, 도카이도 본선을 따라 시나가와 역까지 계속 운행한다(조반 선에서 출발하는 모든 열차는 시나가와 역에서 종착). 시나가와 역을 넘어 요코하마역,[8] 오후나역, 히라쓰카역, 고즈역, 오다와라역, 아타미역, 누마즈역(도카이도 본선)과 이토역(이토 선)까지 운행한다. 조반 선의 특급 열차(히타치 준급행, 토키와 준쾌속)는 우에노-도쿄 라인을 경유하여 우에노 역 남쪽으로 운행이 연장되었으며, 대부분의 열차는 시나가와 역에서 종착한다.[9]

"우에노도쿄 라인"의 애칭은 도쿄역 - 우에노역 간 뿐만 아니라,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조반선·도카이도선 및 그것들이 직통하는 노선까지 미친다. 도쿄 근교 노선도에는 마에바시역(료모선우쓰노미야역(우쓰노미야선)·타카하기역(조반선)·나리타역(나리타선아타미역(도카이도선)·이토역(이토선)까지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표기되어 있다.[20] 그러나, 시나가와역 - 우에노역 간 이외의 각 역에서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안내되는 것은 상행 열차뿐이며, 하행 열차에 대해서는 각 노선 명칭으로 안내된다. 도카이도선은 도쿄 근교 노선도 외의 동일본여객철도(JR동해)의 누마즈역까지 직통하는 열차가 있지만, JR동해 관내에서는 "우에노도쿄 라인"이라고 공식적으로는 안내되지 않는다(역이나 승무원에 따라 독자적인 안내를 하는 경우는 있다).[21] 또한, 도쿄 근교 노선도에 표기되어 있지 않은 조반선의 타카하기역 이북에서도, 타카하기역 - 이와키역 간의 상행 특급 정차역이라면 역 구내도 등에서 "우에노도쿄 라인"의 표기가 보인다.[15]

운행계통도


운행 계통은 우쓰노미야 선·다카사키 선 - 도카이도 선 계통과 조반 선 - 시나가와 역 계통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각 계통에는 보통열차 외에 후술하는 쾌속열차 등과 특급열차(조반 선만)도 설정되어 있다. 우에노 역 - 시나가와 역 간은 도쿄 역·신바시역에 정차하지만(특급열차는 신바시 역을 통과)[50], 도쿄 발 우쓰노미야 선·다카사키 선 방면행(북행)이나 우쓰노미야 선·다카사키 선 방면 발 시나가와행(남행), 우에노 역 발착 도카이도 선 방면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우에노 역 발착의 우쓰노미야 선·다카사키 선 방면 열차는 우에노 도쿄 라인 운행 시간대에도 주로 “지평 홈” 발착으로 운행된다. 도쿄 역 발착의 도카이도 선 방면 열차는 새벽·심야에만 운행된다.[50] 또한, 게이힌 도호쿠 선과 병주하는 오미야역 - 요코하마 역 간, 야마노테 선과 병주하는 히구라시역 - 시나가와 역 간에서는 게이힌 도호쿠 선·야마노테 선에 대해 주요 역에만 정차하는 우에노 도쿄 라인의 열차가 쾌속열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조반 선은 우에노 역 발착 열차가 많고, 시나가와 역 발착 열차는 특급열차의 대부분 외에는 특급 쾌속이나 중장거리 열차만으로, 토리데역·나리타역까지의 쾌속 전차는 적다.[50]

쇼난 신주쿠 라인과는 달리, 요코스카 선으로의 직통 운전은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임시 특급이나 쾌속열차는 시나가와 역 - 오후나역 간에서 동선(시나가와 역 - 쓰루미역 간은 도카이도 본선 지선〈시나가와 쓰루미 선〉, 쓰루미 역 - 오후나 역 간은 도카이도 선과 복복선으로 병행하는 도카이도 본선의 요코스카 선 전차용 선로)을 경유하는 경우도 있다(임시 쾌속[51]「부라리 요코하마·가마쿠라 고우]」의

5. 차량

우에노 도쿄 라인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도카이도선 계열
  • E231계 근교형
  • E233계 3000번대

E231계 1000번대


E233계 3000번대


E231계+E233계 혼결

  • 조반선 계열
  • E231계
  • E531계
  • E657계

E231계 0번대


E531계


E657계


모든 열차가 사용된다. 보통열차와 쾌속열차는 시나가와 쪽의 10량 기본 편성(4호차와 5호차는 녹색차(グリーン車))과 우에노 쪽의 5량 부속 편성을 연결한 15량 편성으로 운행된다(기본 편성·부속 편성 모두 화장실 설치. 단, 조반선용 E231계 마쓰도 차량은 녹색차·화장실 없음).

E231계 근교형 및 E233계 3000번대는 통칭 「쇼난색」이라고 불리는 오렌지색과 녹색의 줄무늬를 갖추고 있다. E231계와 E233계는 대부분 공통으로 운용되며, 두 형식이 겹쳐 운행되거나 고후쓰 차량센터 소속 차량과 오야마 차량센터 소속 차량이 겹쳐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조반선 계열의 E231계 0번대는 직류 일반형 전차로, 토리데·나리타 - 우에노·시나가와 간 운행의 쾌속에 사용된다. E531계는 직류·교류 겸용 일반형 전차로, 특급쾌속 및 보통 전차에 사용된다. E657계는 직류·교류 겸용 특급형 전차로, 특급 「히타치」·「토키와」에 사용된다.

6. 역 목록

(km)

도쿄
에서
(km)
보통쾌속 래빗
쾌속 어번조반선 직통접속 노선소재지직통 운행 구간colspan="6" style="text-align:center;" |오미야역에서우쓰노미야선(도호쿠 본선) 구로이소까지, 다카사키선 다카사키역·조에쓰선 신마에바시역 경유 료모선 마에바시역까지 직결 운행
닛포리역에서조반 쾌속선 토리데역, 아비코 경유 나리타선 나리타역, 조반선 다카하기역까지(특급은 센다이까지) 직통 운행도호쿠 본선JU 07오미야大宮|오미야일본어-30.5●●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게이힌 도호쿠선 (JK 47), 쇼난 신주쿠 라인 (JS 24), 사이쿄선·가와고에선 (JA 26), 도부 철도 노다선 (TD-01), 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이나선 (NS 01)사이타마현사이타마시오미야JU 06사이타마신토신さいたま新都心|사이타마신토신일본어1.628.9●|게이힌 도호쿠선 (JK 46)JU 05우라와浦和|우라와일본어4.524.4●●게이힌 도호쿠선 (JK 43), 쇼난 신주쿠 라인 (JS 23)우라와JU 04아카바네赤羽|아카바네일본어11.013.4●●게이힌 도호쿠선 (JK 38), 쇼난 신주쿠 라인 (JS 22), 사이쿄선 (JA 15)도쿄도기타JU 03오쿠尾久|오쿠일본어5.08.4●|JJ 02닛포리日暮里|닛포리일본어2.65.8||●야마노테선 (JY 07), 게이힌 도호쿠선 (JK 32), 게이세이 전철 본선 (KS 02), 도쿄 도 교통국 닛포리·도네리 라이너 (NT 01)아라카와JJ 01
JU 02우에노上野|우에노일본어2.23.6●●●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야마노테선 (JY 05), 게이힌 도호쿠선 (JK 30), 도쿄 메트로 긴자선 (G-16),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H-17), 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우에노, KS 01)다이토JU 01도쿄東京|도쿄일본어3.60.0●●●도카이도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야마노테선 (JY 01), 게이힌 도호쿠선 (JK 26), 주오 쾌속선 (JC 01), 소부 쾌속선·요코스카선 (JO 19), 게이요선 (JE 01), 도쿄 메트로 마루노우치선 (M-17),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오테마치, T-09),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니주바시마에, C-10)지요다도카이도 본선JT 01JT 02신바시新橋|신바시일본어1.91.9●●●야마노테선 (JY 29), 게이힌 도호쿠선 (JK 24), 요코스카선 (JO 18), 유리카모메 도쿄 임해 신교통 임해선 (U-01), 도쿄 메트로 긴자선 (G-08), 아사쿠사선 (A-10)미나토JT 03시나가와品川|시나가와일본어4.96.8●●●도카이도 신칸센, 야마노테선 (JY 25), 게이힌 도호쿠선 (JK 20), 요코스카선 (JO 17),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KK 01)JT 04가와사키川崎|가와사키일본어11.418.2●●게이힌 도호쿠선 (JK 16), 난부선 (JN 01),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다이시선 (게이큐 가와사키, KK 20)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
가와사키JT 05요코하마横浜|요코하마일본어10.628.8●●게이힌 도호쿠선·네기시선 (JK 12), 요코하마선 (JH 12), 쇼난 신주쿠 라인 (JS 13), 요코스카선 (JO 13), 게이힌 급행 전철 본선 (KK 37),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선 (TY 21), 사가미 철도 본선 (SO 01), 요코하마 고속철도 미나토미라이선 (MM 01), 요코하마 시 교통국 지하철 블루 라인 (B 20)요코하마시니시JT 06도쓰카戸塚|도쓰카일본어12.140.9●●쇼난 신주쿠 라인 (JS 10), 요코스카선 (JO 10), 요코하마 시 교통국 지하철 블루 라인 (B 06)도쓰카JT 07오후나大船|오후나일본어5.646.5●●네기시선 (JK 01), 쇼난 신주쿠 라인 (JS 09), 요코스카선 (JO 09), 쇼난 모노레일 에노시마선 (SMR 1)가마쿠라시직통 운행 구간도카이도선 누마즈역까지, 도카이도선 아타미역 경유 이토선 이토역까지 직통 운행


7. 정비 효과

도호쿠 신칸센 건설로 우에노역도쿄역 사이가 분리되면서,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등 동북 3선을 이용하는 열차는 우에노역까지만 운행되었다. 이로 인해 게이힌 도호쿠선야마노테선의 혼잡이 심해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동북 3선과 도카이도 본선을 직결하여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우에노 도쿄 라인이 건설되었다.

우에노 도쿄 라인 개통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들을 통해 우에노 도쿄 라인은 수도권 교통망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8. 논란 및 쟁점

우에노 도쿄 라인 프로젝트는 지역 주민들의 반대와 여러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추진되었다.
주민 반대 및 소송:


기타 문제점 및 우려:

이러한 문제점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우에노 도쿄 라인은 개통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8. 1. 반대 의견

이 프로젝트는 특히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및 도쿄 북부 지역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프로젝트 주변 지역 주민들은 일조량 감소와 지진 위험을 이유로 2007년 도쿄 지방 법원에 건설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10] 소송은 2012년 기각되었다.

계획 발표 초기부터 일부 주민 등으로부터 건설 반대 의견이 제기되었다. JR동일본과의 대화도 이루어졌지만, 납득하지 못한 주민들이 2007년 8월 1일에 건설 중지 가처분을 구하여 도쿄지방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하였다.[107] 소송은 5년 이상 계속되었지만, 2012년 9월 24일에 판결이 선고되어 JR동일본의 주장을 거의 전면적으로 인정하는 형태로 원고의 청구가 기각되었다. 주민 측은 항소할 방침이라고 밝혔으나, 그 이후의 동향은 전해지지 않은 채 개업을 맞이하게 되었다.

해당 주민들은 연락선을 2층 고가가 아닌 지하화하는 것을 희망하는 제안을 하였다.[108]

반대 의견을 낸 주민들은 다음과 같다.

8. 2. 찬성 의견

도호쿠 본선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과 이후 모두 도쿄역까지 운행되었다. 우에노와 도쿄를 잇는 연결 구간은 처음에는 화물 열차와 환승 용도로만 사용되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군정 당국은 도쿄역에서 도호쿠 본선을 경유하는 여객 열차를 운행했고,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여러 직통 운행이 이어졌다. 우에노와 도쿄 간 연결 구간은 1973년 4월 여객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3년 1월 화물 운행도 중단되었다. 도호쿠 신칸센을 도쿄역까지 연장하기 위한 선로 확보를 위해 아키하바라와 간다 주변 구간은 철거되었으며, 도쿄역까지 직통 운행은 1991년에 시작되었다.[10]

이 프로젝트는 특히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및 도쿄 북부 지역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도호쿠 종관선의 조기 실현을 요망하는 간판. 현재는 전 열차 도쿄역 진입을 요망하는 내용의 간판으로 교체되었다 (2007년 8월 29일, 사누키역(현: 류가사키시역)에서 촬영)


사이타마현은 현내에서 우츠노미야선이나 다카사키선을 이용하여 우에노역으로 나가 야마노테선이나 게이힌도호쿠선, 지하철 긴자선, 히비야선으로 환승하여 도쿄 방면으로 통근·통학하는 사람이 많아, 현은 이 계획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계획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2006년 11월에 조기 개업을 요구하는 요망서를 제출했다. 조반선은 연선의 지바현이나 이바라키현 등의 지자체(조반선 수송력 정비·신선 건설 촉진 기성 동맹 참조)가 각각 기성 동맹회를 결성하여 조반선의 도쿄역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지자체들의 노력으로 우에노도쿄 라인은 2015년 3월 14일에 개업하여, 43년 만에 도호쿠 본선과 도카이도 본선의 열차선이 직결되었다.

지자체 및 관련 단체


8. 3. 우려 및 문제점

우에노 도쿄 라인 프로젝트는 특히 사이타마현, 이바라키현 및 도쿄 북부 지역 등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프로젝트 주변 지역 주민들은 일조량 감소와 지진 위험을 이유로 2007년 도쿄 지방 법원에 건설 금지 가처분을 신청했다.[10] 소송은 2012년에 기각되었다.

2011년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프로젝트 완료가 지연되기도 했다.[11]

칸다역 부근에는 도호쿠 신칸센 바로 위에 건설한 고가 부분이 있으며, 소음과 일조 불량에 대한 연선 주변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졌다.[32]

『東京신문』(도쿄신문) 2015년 5월 26일 조간 발언란에 실린 투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110]

또한, 이 투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다.[110]

8. 4. 조반선 관련 계획

2002년 보도 자료에서는 아침 출퇴근 시간대에는 직통 열차의 혼잡 등을 고려하여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으로부터의 진입을 기본으로 한다고 하였고[39], 그 외의 시간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2007년 8월 24일 요미우리 신문 지바판에서는 조반선의 본 노선 진입은 특급 일부만으로 한정하는 방침이 기재되었지만, 2008년 보도 자료에서는 구체적인 수송 계획에 대해서는 앞으로 검토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하였다. 2012년 경영 구상에 관한 보도 자료에는 조반선을 시작으로 우쓰노미야선이나 다카사키선의 도쿄역 및 도카이도선 방면으로의 진입이라는 표현의 변화가 있었다.

2014년 5월 18일 이바라키 신문에서는 우에노 도쿄 라인에 3개 노선(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 모든 열차가 진입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려워 앞으로의 배분 대수도 주목되며, 국토교통성 간부는 이용 실적을 기반으로 배분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북관동에서 남관동으로 빠지는 쇼난신주쿠 라인과 같은 노선이 없는 것도 있어 조반선은 상당한 대수가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고 보도했다.[94]

그러나 우에노 도쿄 라인 하행선과 조반선 하행선 사이에서는 우에노 도쿄 라인 상행선(도쿄 방면)을 가로지르는 평면 교차가 발생하여 운행상의 병목 현상이 될 가능성이 있고, 차량의 특수성(중장거리 열차가 직류·교류 전철인 것과 쾌속 전철에 그린샤와 화장실이 없는 것) 때문에 운용이 제한될 가능성도 지적되었다.[95] 이러한 병목 현상은 개업 시의 개요나 개정 다이어그램 발표에서 언급되었다.

2014년까지 시나가와역의 임시 승강장 2면을 우에노 도쿄 라인 회차용으로 전용하는 계획으로 변경하여 배선 변경 공사를 완료했다. 이에 따라 회차선에 여유가 생길 전망이 되면서, 우에노 도쿄 라인에 진입하는 조반선 열차는 당초 예정했던 도쿄역 회차에서 시나가와역 회차로 연장하고, 낮의 특급 열차와 중장거리 열차뿐만 아니라 종일 진입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또한 당초 운행 계획에는 없었던 쾌속 전철(도리데역 이남 및 나리타선 아비코 지선 경유로 나리타역 회차)의 진입을 운행 계획에 추가했다.[96][97]

2014년 10월 30일에 직통 운전의 개요가,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개업 시의 운전 형태가 발표되었다. 조반선은 아침 통근 러시아워 피크 시간대(도쿄역 기준 8시대) 이후의 일부 열차가 시나가와역까지 직통 운전을 한다.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도쿄역 8시~9시)는 쾌속 전철만 5편이 시나가와행이 된다(이는 같은 시간대에 5편씩 도카이도선에 직통하는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과 동일). 시나가와 발 회차 전철은 운전하지 않는다. 그 이후에는 낮에는 특급 열차 전편, 특별 쾌속 전편과 보통 열차 일부, 저녁·야간에는 특급 열차는 '히타치'와 일부 하행 '도키와', 쾌속 전철 일부가 시나가와역까지 직통 운행되며, 전 시간대·전 열차 시나가와역 이남으로는 직통하지 않는다. 우쓰노미야·다카사키선의 많은 열차가 쇼난 신주쿠 라인, 우에노 도쿄 라인의 2개 루트로 요코하마·쇼난 방면으로 직통하는 데 비해 조반선으로부터의 직통이 적고 시나가와행이기 때문에, 연선 주민이나 자치단체로부터 요코하마·쇼난 방면으로의 직통 열차 설정 요구가 크다(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이바라키현 등이 '조반선 도쿄역·요코하마역 진입 추진 협의회'를 결성하여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8. 5. 하네다 공항 연결 구상

2014년 1월, JR 동일본 사장 도미타 데쓰로는 우에노 도쿄 라인을 이용하여 하네다 공항까지 연결하는 신선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115] JR 동일본이 검토하고 있는 도쿄 도심에서 하네다 공항까지의 접근 노선이 실현될 경우, 우에노 도쿄 라인과 연결하여 직접 진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102]

이 노선은 다마치역 부근에서 도카이도 화물선을 활용하여 도쿄 만안 구간을 여객화한 후 신선을 건설하여 하네다 공항에 진입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우쓰노미야선, 다카사키선, 조반선에서 우에노 도쿄 라인 및 도카이도선을 경유하여 하네다 공항까지 바로 갈 수 있게 되어, 기타칸토에서의 공항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102] 본 노선은 2023년에 착공하여 2031년 완공 예정이다.[13][14]

하마마쓰초역에서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공항선이 운행되고 있지만, 하마마쓰초 역에는 우에노 도쿄 라인 및 도카이도선이 정차하지 않는다. 한편, 우에노 도쿄 라인 개통으로 신바시역에 직결되면서, 경쟁 노선인 게이힌 급행 전철(본선 - 공항선)으로의 환승 편리성이 향상되었다.[103]

8. 6. 사가미 철도 직통 방안

2015년 3월 14일에 실시된 다이야 개정으로 우에노도쿄 라인이 개업하면서, 도호쿠 본선도카이도 본선의 열차선이 43년 만에 직결되었다.[22] 남쪽에서는 가나가와 동부 방면선을 경유하여 사가미 철도의 열차를 직통 운행하는 방안도 있었다.[104] 2016년 9월에는 요코하마 시장 하야시 후미코(당시) 등이 가나가와 동부 방면선·사가미 철도에서 직통하는 열차에 대한 해당 노선 진입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를 사철과 JR 동일본에 요청할 생각을 밝혔다.[105]

그러나 이 경우, 현재 배선으로는 쓰루미역 북쪽 또는 시나가와역 남쪽에서 평면 교차가 되므로, 빈번하게 운행하는 경우 쓰루미역 또는 시나가와역 구내 및 양역 구내 부근에 도카이도 본선과 신품쓰루 선과의 입체 교차 연락선이 필요하다. 또한 쓰루미역에서 전선을 설치할 경우, 우에노 도쿄 라인 방면으로 직통하는 열차는 가와사키역 경유로 운행하게 된다.

2018년 12월 11일에 개최된 요코하마 시의회에서, 접속하는 요코스카선 등의 운행이 고빈도인 것과 노선의 설비상, 다방면으로 향하는 운행 편수 확보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JR 동일본은, 운행 개시 시점에서는, 시부야·신주쿠 방면의 열차 및 차량 운용상의 이유로 신주쿠에서 사이쿄선·가와고에선으로의 직통 열차(일부, 원칙 JR 동일본측 E233계 7000번대만)만을 설정하고, 시나가와·도쿄 및 우에노 도쿄 라인 방면으로의 열차 설정은 하지 않기로 했다.[106]

참고로, 사철의 JR 직통 대응 차량(12000계)은 10량 편성 직류 전용 사양이며, 그린샤와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쿄 방면으로 진입하는 경우,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이나 조반선 도리데역 이북으로의 장거리 직통 운행은 편리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참조

[1] 간행물 平成27年 大都市交通センサス 首都圏報告書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 웹사이트 JR East Annual Report 2010 http://www.jreast.co[...] 2013-12-09
[3] 웹사이트 Details of Tōhoku Through Line opening schedule and nickname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3-12-09
[4] 웹사이트 Ueno-Tokyo Line to open on 14 March 2015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4-10-30
[5]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Ueno-Tokyo Line http://www.ejrcf.or.[...] JR East Construction Department 2015-10-00
[6] 웹사이트 Details of start of construction for Utsunomiya Line, Takasaki Line, and Joban Line through services to Tokyo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3-12-09
[7] 뉴스 We must create our own core competences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1999-10-01
[8] 웹사이트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No. 49 (pp.18–24) http://www.jrtr.net/[...] 2009-05-15
[9] 웹사이트 North–south artery comes into operation with opening of Ueno–Tokyo Line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10-30
[10] 뉴스 JR東北縦貫線計画- 神田駅の周辺住民、建設中止求め提訴 https://global.facti[...] 毎日新聞-地域版 2007-08-02
[11] 웹사이트 JR East names new line between Tokyo and Ueno "Ueno-Tokyo Line" http://mainichi.jp/f[...] The Mainichi Newspapers 2013-12-09
[12] 웹사이트 JR East considering connecting new Haneda line to Ueno-Tokyo Line to provide link to northern Kanto http://www.sankeibiz[...] Sankei Digital Inc. 2014-01-10
[13] 웹사이트 "Haneda Airport Access Line" Groundbreaking Ceremony: Tokyo to Haneda Airport in 18 minutes with a 2031 completion https://www.asahi.co[...] 2023-06-02
[14] 웹사이트 JR East groundbreaking ceremony for Haneda Airport access line, services to begin in 2031 https://www.nikkei.c[...] 2023-06-02
[15] 웹사이트 いわき駅構内図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1-02-11
[16] 뉴스 上野東京ラインが開業…常磐線が品川へ https://response.jp/[...] イード 2015-03-14
[17] 웹사이트 「上野東京ライン」開通でなんと「痛勤」ラッシュ 東海道線ユーザーからは悲鳴「足が地面に着いてない」... https://www.j-cast.c[...] J-CAST ニュース 2015-03-16
[18] 웹사이트 東北縦貫線の開業時期、愛称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3-12-09
[19] 웹사이트 「上野東京ライン」開業により、南北の大動脈が動き出します~開業時期、直通運転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4-10-30
[20] 웹사이트 東京近郊路線図 https://www.jreast.c[...]
[21] 문서 東海道新幹線の自動放送においては「東北・高崎・常磐線」と案内される。
[22] 웹사이트 JR東日本、上野東京ライン・北陸新幹線延伸で大変化…春のダイヤ改正 http://response.jp/a[...] レスポンス 2014-12-20
[23] 논문 東京駅をめぐる線路配線の今昔 電気車研究会 2012-03
[24] 간행물 東北縦貫線ストーリー 交友社 2008-10
[25] 논문 【特集】東海道本線今昔 - 東海道線懐かしの情景 電気車研究会 2004-09
[26] 논문 山手貨物線の歴史 電気車研究会 2014-09
[27] 문서 東京駅・上野駅経由の列車は、両駅で旅客扱いは行わなかった。
[28] 문서 清水駅発青森駅行きの「あおもり1号」(常磐線経由)は品川駅から土浦駅まで、名古屋駅(日により静岡駅)発青森駅行きの「あおもり2号」(東北本線経由)は横浜駅から大宮駅まで旅客扱いを行わなかった。市販の時刻表の東京駅や在来線の上野駅に'''レ'''(通過マーク)が付いた、数少ない事例である。ただし、JTB時刻表においては2000年代以降も初詣臨時列車の「成田山初詣伊東号・横須賀号」で東京駅通過が記載されている。
[29] 논문 昨日・今日・明日 東京 - 上野回送線 交友社 1973-05
[30] 논문 昭和50年代山手貨物線の思い出 電気車研究会 2014-09
[31] 문서 1975年2月1日の秋葉原貨物駅の廃止と前後して、御徒町駅付近で東側の線路が留置線に転用されたため、回送線は名実ともに単線となった。
[32] 웹사이트 August 2010:特集「新幹線直上に架けるJR東北縦貫線」| KAJIMAダイジェスト | 鹿島建設株式会社 http://www.kajima.co[...] 鹿島建設株式会社
[33] 문서 1973年当時の計画では、東北縦貫線の開業予定を東北新幹線の開業と合わせた1976年としていた。1970年代は、東北新幹線は東海道新幹線と直通運転する計画であったので、必然的に東海道新幹線ホームの隣に東北新幹線ホームを建設することになり、例えば東北新幹線ホームを地下に建設する選択肢はなかった。
[34] 뉴스 東北・高崎・常磐線 東京駅乗り入れへ 朝日新聞 1993-02-06
[35] 논문 上野東京ラインの経緯と効果 電気車研究会 2015-05
[36] 학술지 上野東京ラインの経緯と効果 電気車研究会 2015-05
[37] 웹사이트 JR高崎・東北線の東京駅乗り入れ https://web.archive.[...] 1999
[38] 웹사이트 運輸政策審議会答申第18号 http://wwwtb.mlit.go[...] 2013-01-20
[39] 웹사이트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宇都宮・高崎・常磐線の東京駅乗り入れについて(東海道線との相互直通運転)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2-03-27
[40] 뉴스 JR宇都宮・高崎線 東京乗り入れ 2013年度 5月着工 読売新聞埼玉版 2008-03-28
[41] 웹사이트 手続の進捗状況-東北縦貫線(東京駅〜上野駅間)整備事業 https://web.archive.[...] 2011-05-09
[42] 웹사이트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宇都宮・高崎・常磐線の東京駅乗り入れ工事の着手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08-03-26
[43] 뉴스 JR東日本:東京 - 上野駅結ぶ「東北縦貫線」が起工 毎日jp(毎日新聞) 2008-05-30
[44] 웹사이트 August 2010:特集「新幹線直上に架けるJR東北縦貫線」| KAJIMAダイジェスト | 鹿島建設株式会社 http://www.kajima.co[...] 鹿島建設
[45] 웹사이트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2012年度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2-04-12
[46] 뉴스 JR東日本:東京-上野の新線 愛称を「上野東京ライン」 http://mainichi.jp/f[...] 毎日新聞 2013-12-09
[47] 뉴스 上野東京ラインでレール締結式-来春開業予定 http://ueno.keizai.b[...] 上野経済新聞
[48] 뉴스 「上野東京ライン」未明の試運転 営業用車両で初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7-29
[49] 뉴스 上野東京ラインで日中の試運転が始まる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交友社 2014-08-02
[50] 간행물 JTB時刻表 JTBパブリッシング
[51] 문서 설정 당초는 급행열차였으나, 2018년 4월부터 쾌속열차가 되었다.
[52] 문서 엄밀히는 도쓰카역 - 후지사와역 간에서 우에노 도쿄 라인 열차 사이에 쇼난 신주쿠 라인이 운행되기 때문에, 약간의 전후는 있다.
[53] 문서 특히, 동역 토휴일 9시대 발의 도카이도 선 열차는, 동역 종착이 그대로 되돌아가는 수 적은 운용이 되고 있다 (보통은 오쿠 차량 센터 등의 유치선에 일단 회송되어, 재차 보내져 운용된다).
[54] 문서 우에노 도쿄 라인 개통부터 2021년 3월 12일까지는 「액티」도 우에노 도쿄 라인을 경유하여 우에노역 및 우쓰노미야 선까지 직통하여, 우쓰노미야 선내 보통으로 운전되고 있었다.
[55] 문서 아침 북행 2편만.
[56] 문서 도카이도 선내를 쾌속 「액티」로 운전하는 열차도 이에 해당하고 있었다.
[57] 문서 토휴일만. 평일은 우에노 발.
[58] 문서 토리데 행. 평일의 18시대는 나리타 행.
[59] 문서 나리타 행. 토휴일 19시대는 토리데 행.
[60] 보도자료 2017年10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7-07-07
[61] 보도자료 2021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0-12-18
[62] 문서 なお、朝の宇都宮方面行快速ラビット、高崎方面行快速アーバンは存続する。
[63] 웹사이트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横浜支社)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64] 웹사이트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水戸支社)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水戸支社
[65] 웹사이트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高崎支社)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高崎支社
[66] 웹사이트 群馬と静岡を直結!上野東京ラインに「最長距離列車」が出現 3月ダイヤ改正で https://trafficnews.[...] メディア・ヴァーグ 2024-03-05
[67] 웹사이트 群馬から静岡まで240キロを直結! 東日本で最長の普通列車「前橋発沼津行き」 全国にも長い普通列車が…《ランキング》 https://www.jomo-new[...] 上毛新聞社 2024-03-24
[68] 웹사이트 202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水戸支社 2024-12-31
[69] 문서 우에노 - 아카바네 간은 오쿠 경유로 표기. [ ]내는, 운임 계산에 이용하는 최단 루트의 타바타 경유에서의 영업 킬로.
[70] 문서 쇼난 신주쿠 라인은 영업상 시나가와역을 경유한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통상의 승차권으로 아카바네역에서 갈아타서 시나가와역 이서로 향할 수 있는 것은 신바시역 이북 발착의 경우에 한정된다.
[71] 문서
[72] 문서
[73] 웹사이트 鉄道に関する技術上の基準を定める省令(平成13年国土交通省令第151号)第18条 https://laws.e-gov.g[...] 2001-12-25
[74] 웹사이트 鉄道に関する技術上の基準を定める省令の解釈基準 https://www.mlit.go.[...] 2021-02-01
[75] 뉴스 JRが「東北縦貫線」で近く都アセス手続き 建設業界ニュース東京版
[76] 뉴스 JR山手線上野-御徒町間が混雑率ワースト2位に-ワースト1位は総武線 http://ueno.keizai.b[...] 上野経済新聞 2011-01-12
[77] 간행물 三大都市圏における主要区間の混雑率(平成23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統計情報
[78] 뉴스 「上野東京ライン」開業1カ月-首都圏「人の流れ」変わる、上野―御徒町間の混雑緩和 http://www.nikkan.co[...] 日刊工業新聞 2015-04-16
[79] 뉴스 上野東京ライン:新設で混雑率が低下…山手線と京浜東北線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5-06-09
[80] 간행물 2013年3月期 期末決算説明会 http://www.jreast.co[...] JR東日本
[81] 간행물 2015年3月期 決算説明会資料 http://www.jreast.co[...] JR東日本
[82] 간행물 2016年3月期 第2四半期決算説明会資料 http://www.jreast.co[...] JR東日本
[83] 간행물 2016年3月期 決算説明会解説付資料 http://www.jreast.co[...] JR東日本
[84] 뉴스 JR3社が過去最高益 「金沢効果」で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4-27
[85] 웹사이트 第12回 大都市交通センサス調査の分析結果をまとめました~三大都市圏における鉄道利用状況の変化等を分析しました~ https://www.mlit.go.[...] 2018-03-30
[86] 뉴스 常磐線 松戸・柏方面 1割強シフト http://www.kotsu.co.[...] 2018-04-28
[87] 뉴스 JR東が北関東と羽田空港を直結 冨田社長、新線乗り入れ構想表明 http://sankei.jp.msn[...] MSN産経新聞 2014-01-10
[88] 간행물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2010年度設備投資計画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東日本
[89] 뉴스 JR東日本:東京-上野の新線 愛称を「上野東京ライン」 http://mainichi.jp/f[...] 毎日新聞 2013-12-09
[90] 뉴스 利用実績で割り振り 朝日新聞 2014-02-26
[91] 방송 東日本旅客鉄道代表取締役社長・冨田哲郎に訊く http://jcc.jp/news/8[...] BS11 2014-08-01
[92] 간행물 JR東日本:プレスリリース:「上野東京ライン」開業により、南北の大動脈が動き出します〜開業時期、直通運転の概要について〜 http://www.jreast.co[...] JR東日本
[93] 트위터 JR東日本【東北・高崎方面】運行情報(公式) https://twitter.com/[...] 2022-01-07
[94] 뉴스 JR上野東京ライン整備大詰め 常磐線乗り入れ何本? http://ibarakinews.j[...] 茨城新聞 2014-05-18
[95] 뉴스 開業迫る上野東京ライン 常磐線に憶測渦巻く http://trafficnews.j[...] 乗りものニュース 2014-10-28
[96] 뉴스 常磐線、東京乗り入れ 日中の特急、品川発着 http://ibarakinews.j[...] 茨城新聞 2014-10-31
[97] 뉴스 常磐線、品川発着121本 上野以南乗り入れ http://ibarakinews.j[...] 茨城新聞 2014-12-20
[98] 뉴스 JR東日本/首都圏で駅開発を加速/主要ターミナル9カ所、20年までに事業化 http://www.decn.co.j[...] 日刊建設工業新聞 2008-07-31
[99] 뉴스 山手線に新駅計画 品川-田町間、20年ごろ完成予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2-01-04
[100] 서적 山手線に新駅ができる本当の理由 メディアファクトリー
[101] 웹사이트 品川開発プロジェクトにおける品川新駅(仮称)の概要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16-09-06
[102] 뉴스 JR東が北関東と羽田空港を直結 冨田社長、新線乗り入れ構想表明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4-01-10
[103] 뉴스 上野東京ライン、「漁夫の利」を得るのは? 3月14日開業! 北関東と羽田が近くな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5-03-07
[104] 뉴스 相鉄とJR東の直通運転、品川・東京方面も検討 http://mw.nikkei.com[...] 日本経済新聞 2013-12-27
[105] 뉴스 品川・東京方面への乗り入れ検討申し入れへ 神奈川東部方面線で横浜市長 http://www.kanaloco.[...] 神奈川新聞 2016-09-10
[106] 뉴스 <相鉄・JR直通>品川・東京駅へ乗り入れ「困難」、2020年春までの開業は「確実」 https://shin-yoko.ne[...] 新横浜新聞 2018-12-12
[107] 뉴스 JR東北縦貫線計画:神田駅の周辺住民、建設中止求め提訴 毎日新聞 2007-08-02
[108] 웹사이트 もぐれ! 東北縦貫線 神田の環境を守る会 東北縦貫線(じゅうかんせん)二重高架反対! http://www.kanda-kan[...]
[109] 문서 湘南新宿ラインと上野東京ラインにおける籠原・高萩駅停車状況に関する記述
[110] 뉴스 上野東京ライン 弱点も 東京新聞 2015-05-26
[111] 웹사이트 도호쿠 종관선의 개통 시기, 애칭에 관해 http://www.jreast.co[...] 동일본여객철도 2013-12-09
[112] 웹사이트 우에노 도쿄 라인의 개통에 따라, 남북의 대동맥이 움직입니다 https://www.jreast.c[...] 동일본여객철도 2014-10-30
[113] 간행물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No. 49 (pp.18–24) http://www.jrtr.net/[...] 2009-05-15
[114] 웹사이트 「上野東京ライン」開業により、南北の大動脈が動き出します / North-south artery comes into operation with opening of Ueno-Tokyo Line http://www.jreast.co[...] East Japan Railway Company 2014-10-30
[115] 웹사이트 JR東、羽田新路線を北関東と直結 東北縦貫線との接続検討 / JR East considering connecting new Haneda line to Ueno-Tokyo Line to provide link to northern Kanto http://www.sankeibiz[...] Sankei Digital Inc. 2014-01-10
[116] 간행물 東北縦貫線ストーリー 交友社『鉄道ファン』 2008-10
[117] 웹사이트 JR高崎・東北線の東京駅乗り入れ http://www.pref.sait[...] 199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