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한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한용은 1903년 출생하여 1983년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송도고보, 양정고보를 거쳐 일본 니혼 대학에서 유학했으며,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다. 귀국 후에는 경성부청에서 근무하고, 다다이즘 관련 활동과 언론계에 투신했다. 1930년대에는 결혼과 가족의 비극을 겪었으며, 이후 사업가로 변신하여 인삼 판매, 섬유 공장 운영, 사이다 공장 경영 등 다양한 사업을 했다. 1954년에는 공보부 대한영화제작소 소장을 역임했으나, 광산 투자 실패로 재산을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다이즘 - 호안 미로
    호안 미로는 야수파와 입체파 영향을 받은 초기 활동 후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하고 회화, 조각 등 다양한 장르에서 혁신적인 작품을 남긴 스페인 카탈루냐 출신의 화가, 조각가, 판화가이다.
  • 다다이즘 - 만 레이
    만 레이는 미국의 다다이즘 및 초현실주의 미술가로,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레이요그래프와 솔라리제이션 기법을 활용한 사진 작품으로 유명하다.
  • 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 동문 - 윤석중
    윤석중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아동문학 운동을 이끌고 수많은 동요와 동시집을 발표하며 한국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경성양정고등보통학교 동문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예술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예술가 - 문준용
    문준용은 미디어 아티스트이자 문재인 전 대통령의 아들로, 국제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한국고용정보원 채용 특혜 의혹으로 정치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고한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고한용
한자 표기高漢容
출생일1903년 7월 23일
출생지대한제국 경기도 개성부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사망일1983년 10월 23일
직업다다이스트
사업가
분야다다이즘
학력일본 니혼 대학 미학과 선과 러시아 문학 학사
배우자문태희(재혼)
부모고석후(부)

2. 약력

연도내용
1903년 7월 23일출생
1910년대 후반개성 송도고보 입학. 이후 서울 양정고보 전학.
1921년일본 도쿄로 유학. 니혼 대학 법문학부 미학과 선과 진학 추정.
1922년러시아 문학 전공.
1923년조선 귀국 추정.
1924년 여름개성에서 서울로 이사, 경성부청에서 근무.
1924년 9월서울에서 다카하시 신키치를 만남.
1924년 12월서울에서 쓰지 준을 만남.
1925년일본 시모노세키에서 도쿄까지 무전 여행.
1926년일본 미야자키 니치니치 신문사 취직.
1927년조선 귀국 추정.
1936년 12월 7일경성부 무교동 91번지로 이사.
1936년 12월 22일조차방녀(趙次芳女)와 결혼.
1927년 3월 16일장남 현명(賢明) 출생.
1938년 2월 1일조차방녀 사망.
1939년 2월 4일장남 현명 사망.
1939년 6월 5일문태희(文泰姬)와 재혼.
1939년 7월 20일아세아무역공사 설립. 주 업무는 인삼 판매.
1939년 9월 20일형 한철 사망.
1939년 9월 28일차남 준명(俊明) 출생.
1940년다카야마 다카히사(高山嵩久)로 창씨개명.
1943년 가을경성부 동대문구 돈암정 176-24로 이사.
1944년 2월 23일삼남 원명(源明) 출생.
1945년 8월경섬유 공장 삼흥직조 경영 (약 3년 간).
1946년 6월 18일장녀 명진(明珍) 출생.
1948년충청북도 초정에서 사이다 공장 경영.
1948년 4월 5일차녀 창진(昌珍) 출생.
1952년 8월 30일사남 건명(健明) 출생.
1953년사이다 공장 처분.
1954년공보부 대한영화제작소 소장.
1957년광산 투자 실패로 전 재산 상실.
1968년 10월 25일차남 준명 사망.
1974년 2월 19일다카하시 신키치에게 편지를 보냄.
1974년 3월 11일다카하시 신키치에게 받은 편지에 답신.
1983년 10월 23일사망.


2. 1. 출생 및 학창 시절 (1903년 ~ 1923년)

고한용은 1903년 7월 23일에 태어났다. 1910년대 후반 개성 송도고보에 입학했다가 서울 양정고보로 전학했다. 1921년 일본 도쿄로 유학하여 니혼 대학 법문학부 미학과 선과에 진학한 것으로 추정된다. 1922년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고, 1923년 조선으로 귀국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다다이즘 활동 및 언론계 투신 (1924년 ~ 1927년)

1924년 여름, 고한용은 개성에서 서울로 이사 와 경성부청에서 근무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서울에 온 다카하시 신키치를 만났고, 12월에는 쓰지 준을 만났다. 1925년에는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도쿄까지 무전 여행을 했다. 1926년에는 일본 미야자키 미야자키 니치니치 신문사에 취직했으며, 1927년에는 조선으로 귀국한 것으로 추정된다.

2. 3. 결혼과 가족의 비극 (1936년 ~ 1939년)

1936년 12월 22일, 고한용은 조차방녀(趙次芳女)와 결혼하였다. 1937년 3월 16일에는 장남 현명(賢明)이 태어났다. 그러나 1938년 2월 1일, 아내 조차방녀가 사망하고, 1년 뒤인 1939년 2월 4일에는 장남 현명마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1939년 6월 5일, 고한용은 문태희(文泰姬)와 재혼하였다.

2. 4. 사업가로서의 변신 (1939년 ~ 1953년)

1939년, 고한용은 문태희(文泰姬)와 재혼하고 아세아무역공사를 설립하여 인삼 판매를 주 업무로 하였다. 같은 해 형 한철이 사망하고 차남 준명(俊明)이 출생하였다. 1940년에는 다카야마 다카히사(高山嵩久)로 창씨개명하였다.

1943년 가을, 경성부 동대문구 돈암정 176-24로 이사하였다. 1944년에는 삼남 원명(源明)이 출생하였다. 1945년 8월경부터 약 3년 간 섬유 공장 삼흥직조를 경영하였다. 1946년에는 장녀 명진(明珍)이 출생하였다.

1948년에는 충청북도 초정에서 사이다 공장을 경영하였고, 같은 해 차녀 창진(昌珍)이 출생하였다. 1952년에는 사남 건명(健明)이 출생하였고, 1953년 사이다 공장을 처분하였다.

2. 5. 대한영화제작소 소장 역임 및 말년 (1954년 ~ 1983년)

高漢容|고한용일본어은 1954년 공보부 대한영화제작소 소장이 되었다. 1957년 광산 투자에 실패하여 거의 전 재산을 잃었다. 1968년 10월 25일 차남 준명이 사망했다. 1974년 2월 19일 일본의 다카하시 신키치에게 편지를 보냈고, 3월 11일에는 다카하시 신키치에게 받은 편지에 답신을 보냈다. 1983년 10월 23일 사망했다.

3. 저작


  • 개벽 1924년 9월호(통권 51호)에 〈ᄯᅡᄯᅡ이슴〉 게재.
  • 개벽 1924년 10월호(통권 52호)에 〈[http://archive.adanmungo.org/ebook/1454475986.85/1503957676.5591/mobile/index.html#p=160 서울왓든ᄯᅡᄯᅡ이스트의이약이]〉 게재.
  • 동아일보 1924년 11월 17일자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4111700209206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4-11-17&officeId=00020&pageNo=6&printNo=1542&publishType=00020 DA·DA]〉 게재.
  • 동아일보 1924년 12월 1일자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41201002092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4-12-01&officeId=00020&pageNo=4&printNo=1556&publishType=00020 잘못안『ᄯᅡᄯᅡ』 김기진군에게―]〉 게재.
  • 동아일보 1924년 12월 22일자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4122200209204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4-12-22&officeId=00020&pageNo=4&printNo=1577&publishType=00020 우옴피쿠리아]〉 게재.

4.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고석후
어머니김희경
고한철
누나고영옥
누나고영희
첫째 부인조차방녀
장남고현명
둘째 부인문태희
차남고준명
삼남고원명
장녀고명진
차녀고창진
사남고건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