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재는 인류가 가장 오래 사용한 재료 중 하나로, 연료, 건축 자재, 도구, 가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목재는 가공 상태, 재질, 구조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 등의 화학 성분으로 구성된다. 목재는 흡습성, 이방성 등의 성질을 가지며, 비중, 밀도, 함수율, 수축 등의 특성이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목재는 건조, 제재, 가공 과정을 거쳐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며, 건축, 가구, 펄프, 연료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목재는 부패, 식해, 변색 등의 열화 현상에 취약하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우드 쇼크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분해성 재료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생분해성 재료 - 아마
    아마는 섬유와 씨앗을 얻기 위해 재배되는 1년생 식물로, 아마 섬유는 리넨의 원료로, 아마 씨앗은 아마인유를 짜는 데 사용되며, 인류는 3만 년 전부터 사용했고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 유럽과 아시아, 대한민국 일부 지역에서 재배된다.
  • 목재 - 마호가니
    마호가니는 아름다움, 내구성, 독특한 색상으로 가구, 악기, 선박 등에 사용되는 고급 목재로, 온두라스 마호가니, 서인도제도 마호가니, 애마호가니 등이 주요 종이며, 과도한 벌채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명칭의 어원은 불확실하며, 상업적으로 여러 종이 '마호가니'로 거래되어 혼란을 야기하고 불법 벌채 문제가 있다.
  • 목재 - 목초액
    목초액은 나무를 태워 얻는 액체로, 과거 식초 대용이나 상처 치료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발암성 논란으로 사용이 줄어들고 있으며 농약적 사용, 민간요법, 위생 목적으로 판매되나 안전성 논란이 있다.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광합성
    광합성은 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으로, 엽록체 내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구성되며, 환경에 따라 탄소 농축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을 높이기도 하고, 지구 대기의 산소를 생성하는 주요 원천이다.
목재
구글 지도
나무
목재 샘플
목재 샘플
목재 샘플
목재의 종류
분류침엽수재 (소프트우드)
활엽수재 (하드우드)
침엽수재소나무
가문비나무
잎갈나무
노간주나무
활엽수재사시나무
서어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느릅나무
양벚나무
서양배나무
단풍나무
피나무
물푸레나무
목재의 이용
용도건축
가구
종이
연료
조각
악기
기타
연료나무를 태워 얻는 열은 예로부터 이용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에너지를 얻기 위한 나무를 태우는 행위는 탄소 중립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건축나무는 건축물의 주요 구조재로 사용된다.
목재는 철근이나 콘크리트와 비교해 가볍고 가공이 쉬우며, 단열성이 뛰어나다.
가구목재는 다양한 가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목재 가구는 디자인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종이나무의 섬유질은 종이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펄프는 목재를 화학적,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얻는다.
목재의 구조
세포 구조목재는 주로 섬유질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포들은 나무의 종류에 따라 구조와 배열이 다르다.
리그닌목재의 세포벽을 단단하게 만드는 중요한 성분이다.
리그닌은 목재의 내구성과 강도에 영향을 준다.
목재의 성질
강도목재는 압축, 굽힘, 인장 등 다양한 힘에 대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목재의 종류와 함수율에 따라 강도가 달라진다.
밀도목재의 밀도는 나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밀도가 높은 목재는 더 무겁고 강하다.
함수율목재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나타낸다.
함수율은 목재의 강도와 수축에 영향을 준다.
내구성목재는 곰팡이, 해충, 부패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방부 처리나 적절한 관리를 통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2. 역사

인류는 도구를 사용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목재를 활용해 왔다. 목재는 가장 오래된 재료 중 하나이다. 2011년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약 3억 9500만 년 ~ 4억 년 전의 목재가 확인되었다.[114][5][6] 이는 목재가 지구 생태계에서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목재의 나이는 탄소 연대 측정법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어떤 종의 경우에는 연륜 연대학을 이용하여 목재가 만들어진 시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인류는 수천 년 동안 목재를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무기, 가구, 포장재, 예술 작품, 종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해 왔다. 신석기 시대 유럽의 움집과 같은 건물은 주로 목재로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강철과 청동을 건축에 추가하여 목재의 활용도가 높아졌다.[7] 나무의 나이테 폭과 동위원소 풍부도의 연간 변화는 나무가 잘린 당시의 기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8][115]

3. 분류

목재는 가공 상태, 재질, 용도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며, 목적에 맞는 목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공 상태에 따른 분류

분류설명
생목(生木)금방 베어 수분이 많은 나무. 세포 내에 자유수가 남아있다.
가공재(加工材)대패질로 면을 매끄럽게 처리한 목재.
반가공재(半加工材)추가적인 손질이나 기계 작업이 필요한, 절반만 가공된 목재.
각목(角木)정방형 또는 이에 가까운 단면으로 가공된 목재.
건조재(乾燥材)함수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조시킨 목재.


재질에 따른 분류

분류설명
경재(硬材)재질이 단단한 목재. 보통 활엽수를 말하지만, 경도나 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연재(軟材)재질이 연한 목재.


용도에 따른 분류


  • 구조재: 구조물의 골격이나 하중을 지지하는 부위에 사용되는 목재.

기타 분류

  • 변재: 나무의 바깥쪽 부분. 수분과 영양분을 운반한다.
  • 심재: 나무의 중심 부분. 더 단단하고 짙은 색을 띤다.
  • 완재
  • 재목
  • 집성목: 작은 나무 조각들을 접착제로 붙여 만든 목재. 주로 가구 제작에 사용된다.
  • 판재
  • 동바리
  • 통나무

4. 구조

목재는 수목의 뿌리, 줄기, 가지 또는 나무 전체가 쓰이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보통 수간이 이용된다. 목재는 세포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엽수재와 활엽수재는 구성요소가 각각 다르다.

목재 세포벽의 주성분은 셀룰로스(40~50%), 헤미셀룰로스(15~25%), 리그닌(15~30%)이며, 기타 부성분도 포함하고 있다.[17] 목재는 불균질하고 흡습성이 있으며, 이방성(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이방성) 재료이다.

침엽수재는 대부분 헛물관으로 구성되어 활엽수재보다 구조가 더 균일하다. 반면 활엽수재는 구조가 더 복잡하며,[18] 수분 전달은 주로 도관이 담당한다. 활엽수는 도관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환공극재와 산공극재로 나뉜다.[19]


  • 환공극재: 봄에 형성된 생장륜 부분에 큰 도관이 국한되어 다공성 조직 영역을 형성한다. 물푸레나무, 참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19]
  • 산공극재: 공극의 크기가 균일하여 생장륜 전체에 수분 전달 능력이 분산된다. 오리나무, 피나무, 자작나무 등이 이에 속한다.[19]


호두나무와 벚나무(Prunus pumila)와 같은 일부 종은 두 종류의 중간 형태를 보인다.[21]

일반적인 쌍자엽식물이나 침엽수 목재와 거의 비슷한 취급 특성을 가진 구조적 재료는 많은 단자엽식물에서도 생산되며, 이들도 목재라고 불린다. 대나무와 야자나무과 식물들이 대표적이다.

4. 1. 성장륜 (Growth rings)

계절의 차이가 뚜렷한 곳에서는 성장이 별개의 연간 또는 계절적 패턴으로 일어나 나이테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통나무 끝에서 가장 명확하게 볼 수 있지만 다른 표면에서도 볼 수 있다. 계절의 차이가 연간인 경우 이 나이테를 연륜이라고 한다. 계절적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 나이테는 뚜렷하지 않거나 없을 가능성이 높다. 특정 영역에서 나무의 껍질이 제거된 경우 식물이 흉터를 덮어 나이테가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9]

나이테 내에 차이가 있는 경우 나무 중심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며 생장기 초기에 성장이 빠를 때 형성된 부분은 일반적으로 더 넓은 요소로 구성된다. 이 부분은 고리의 바깥쪽 부분보다 색이 밝으며, 춘재(소재, 早材) 또는 봄나무라고 한다. 계절 후반에 형성된 바깥쪽 부분은 추재(만재, 晩材) 또는 여름나무라고 한다.[9]

온대 침엽수에서는 추재와 춘재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난다. 추재는 계절 초기에 형성된 것보다 밀도가 높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밀도가 높은 추재의 세포는 세포벽이 매우 두껍고 세포강이 매우 작은 반면, 계절 초기에 형성된 세포는 세포벽이 얇고 세포강이 크다. 강도는 세포강이 아닌 세포벽에 있기 때문에 추재의 비율이 클수록 밀도와 강도가 높아진다. 강도나 강성이 중요한 고려 사항인 소나무를 선택할 때 주요 관찰 사항은 춘재와 추재의 비율이다. 나이테의 폭은 나이테 내 추재의 비율과 성질만큼 중요하지 않다.

백송류는 나이테의 서로 다른 부분 간의 대조가 크지 않아 목재의 질감이 매우 균일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반면 경재류는 추재가 매우 치밀하고 색이 진하며, 부드럽고 짚색의 춘재와 매우 대조적이다.

춘재와 추재 형성을 결정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에 대한 만족스러운 설명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침엽수의 경우, 성장 속도만으로는 나이테의 두 부분 비율을 결정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느린 성장의 목재가 매우 단단하고 무거운 반면, 다른 경우에는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나무가 자라는 토양의 질은 형성되는 목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를 지배하는 규칙을 공식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강도 또는 가공 용이성이 필수적인 경우 중간 정도에서 느린 성장의 목재를 선택해야 한다.

나무의 성장은 계절에 따라 변한다. 나무는 부터 초가을까지 세포 분열을 일으켜 줄기를 굵게 하지만, 이 기간의 전반과 후반에서는 세포의 형태와 크기, 수종에 따라서는 세포의 종류가 달라진다. 전기에 형성되는 부분을 “소재”(早材) 또는 “춘재”라고 하며, 침엽수의 경우 세포벽이 얇고 세포의 직경은 커지며, 재의 색깔은 옅어진다. 후기의 형성 부위는 “만재”(晩材) 또는 “추재”라고 하며, 특징은 반대가 된다.[68] 활엽수에서는 느티나무나 신갈나무 등에서는 소재 부분에 큰 도관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별이 되지만, 목련이나 일본목련 등에서는 계절에 따른 도관의 차이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이 소재/만재의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56]

4. 2. 옹이 (Knots)

나무가 자라면서 아래쪽 가지는 종종 죽고, 그 밑둥은 그 후 줄기 목재의 층에 덮여 마디로 알려진 일종의 결함을 형성한다.[11] 죽은 가지는 밑둥을 제외하고는 줄기 목재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무가 판자로 톱질된 후에 빠질 수 있다. 마디는 목재의 기술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일반적으로 인장 강도를 감소시키지만, 시각적 효과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11] 세로로 톱질된 판자에서 마디는 목재의 나머지 부분의 나무결이 "흐르는"(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대략 원형의 "단단한"(일반적으로 더 어두운) 목재 조각으로 나타난다. 마디 내에서 목재의 방향(나무결 방향)은 일반 목재의 나무결 방향과 최대 90도까지 다릅니다.

나무에서 마디는 측면 가지의 기부이거나 휴면아이다. 마디(측면 가지의 기부인 경우)는 원뿔 모양(따라서 대략 원형의 단면)이며, 내부 끝은 식물의 형성층이 가지가 눈으로 형성되었을 때 줄기 직경의 지점에 있다.

제재목 및 구조용 재목의 등급을 매길 때 마디는 형태, 크기, 건전성 및 고정 강도에 따라 분류된다.[11] 이 강도는 다른 요인들 중에서도 가지가 죽은 동안 부착된 줄기가 계속 자라는 기간의 길이에 영향을 받는다.

마디는 반드시 구조용 목재의 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강성과 탄성 강도는 국소적 결함보다 건전한 목재에 더 많이 의존한다. 파괴 강도는 결함에 매우 민감하다. 건전한 마디는 나무결에 평행하게 압축될 때 목재를 약화시키지 않는다.[11]

일부 장식용 응용 분야에서는 마디가 있는 목재가 시각적 관심을 더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 몰딩, 처마판, 문틀 및 가구와 같이 목재가 페인트칠되는 응용 분야에서 목재에 존재하는 수지는 제조 후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마디 표면으로 계속 '스며 나와' 노란색 또는 갈색 얼룩으로 나타날 수 있다. 준비 중에 올바르게 적용된 마디 프라이머 페인트 또는 용액(노팅)은 이 문제를 줄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특히 대량 생산된 건조 목재 재고를 사용하는 경우 완전히 제어하기는 어렵다.[11]

4. 3. 변재와 심재 (Sapwood and heartwood)

심재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학적 변형의 결과로 부패에 대한 저항력이 더 강해진 목재이다. 변재는 더 어리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목재로, 살아있는 목재이며, 뿌리에서 잎으로 물을 전달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심재는 종종 살아있는 변재와 시각적으로 구별되며, 횡단면에서 구별할 수 있다. 변재는 나무 줄기의 상단 부분에서 기저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다.[9]

일반적으로 목재는 산에서 벌채한 나무를 사용하기 쉽도록 특정 크기로 만든다. 목재로 사용되는 부분인 목부는 "재"라고 불린다. "재"는 안쪽의 "심재"(心材)와 바깥쪽의 "변재"(邊材)로 나뉜다.[56] 심재는 "적심"(赤身), 변재는 "백태"(白太)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중앙부가 붉고, 외변부가 희기 때문이다.[57] 그러나 젓나무, 전나무, 미송 등 나무 종류에 따라서는 중앙부와 외변부에서 색깔 차이가 보이지 않아 심재와 변재의 구별이 거의 되지 않는 것도 있다.[56]

변재에는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을 수목 전체로 보내는 가도관(침엽수) 또는 도관(활엽수), 전분 등 동화 물질을 저장·분배하기 위해 원형질을 유지한 유세포가 있으며, 나무의 생명 활동을 담당한다.

심재와 변재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수종의 경우, 심재의 천연색은 일반적으로 변재보다 어둡고, 매우 자주 대조가 두드러진다. 이는 심재에 화학 물질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심재와 변재의 기계적 특성에 큰 차이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둘 사이에 현저한 생화학적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유세포는 분열 후 수년에서 수십 년이 지나면 주위 세포를 심재화시키고, 자신도 원형질을 잃고 팽창하여, 티로스가[64] 되어 수지도와 도관을 채운다. 이렇게 형성된 심재는 나무의 구조를 지탱하고, 페놀류 등의 추출 성분을 포함하여 부식과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5. 성질

목재는 비중, 함수율, 열적 성질, 화학적 성분, 내구성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며, 이러한 성질은 용도와 가공 방법에 영향을 미친다. 목재는 침엽수재와 활엽수재로 나뉘며, 구성 요소가 다르다. 주성분은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이며, 부성분도 포함한다.

목재는 일반적으로 침엽수와 활엽수로 분류된다. 침엽수(예: 소나무)의 목재는 침엽수로, 쌍떡잎식물(보통 활엽수, 예: 참나무)의 목재는 활엽수로 불린다. 활엽수가 반드시 단단한 것은 아니며, 침엽수가 반드시 무른 것도 아니다. 발사(활엽수)는 어떤 상업용 침엽수보다도 더 무르며, 반대로 일부 침엽수(예: 주목)는 많은 활엽수보다 더 단단하다.[30]

목재의 특성과 특정 수종의 특성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해안소나무의 경우, 바람 노출과 줄기 위치는 목재의 경도와 압축재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30] 목재의 밀도는 수종에 따라 다르며, 강도(기계적 특성)와 상관관계가 있다. 마호가니는 중밀도 활엽수로 고급 가구 제작에 적합하며, 발사는 가벼워서 모형 제작에 유용하다. 가장 밀도가 높은 목재 중 하나는 검은 철목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는 산에서 벌채한 나무를 사용하기 쉽도록 특정 크기로 만든 것이다. 목재로 사용되는 부분인 목부는 "재"라고 불린다. 수목은 이나 생장점을 기원으로 하는 중앙부에 있는 매우 가늘고 부드러운 "수"(髓) 또는 "수심"(樹心),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재", 외피에 해당하는 수피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재" 부분에서는 수피 바로 아래 부분(유관속형성층)에만 생장이 국한되며, 줄기 쪽 세포는 분열 기능을 잃고 수 주 만에 원형질을 잃고 세포벽만 남게 된다. 이것이 쌓여 나무의 "재"가 된다.

"재"는 안쪽의 "심재"(心材)와 바깥쪽의 "변재"(邊材)로 나뉜다.[56] 심재는 "적심"(赤身), 변재는 "백태"(白太)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중앙부가 붉고, 외변부가 희기 때문이다.[57] 젓나무나 전나무 또는 미송 등 나무 종류에 따라서는 심재와 변재의 구별이 거의 되지 않는 것도 있다.[56]

변재에는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을 수목 전체로 보내는 가도관(침엽수) 또는 도관(활엽수), 또 전분 등 동화 물질을 저장·분배하기 위해 원형질을 유지한 유세포가 있으며, 나무의 생명 활동을 담당한다. 도관·가도관은 세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목재에 강도와 단열성을 부여하고, 방향에 따른 이방성을 나타나게 한다.[58][59]

목재는 이방성이 높아 섬유 방향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달라진다. 세로 방향 인장강도는 매우 높지만, 가로 방향은 1/20~1/30으로 극단적으로 낮아진다.[70]

5. 1.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목재는 흡습성이 있어 주변 환경에 따라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며, 이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한다. 비중은 수종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침엽수재는 0.3~0.9, 활엽수재는 0.2~1.3의 범위이다. 통상적인 대기 조건에서 목재는 15% 내외의 수분을 포함하며, 흡습 및 방습에 따라 팽윤 및 수축한다.[11]

함수율은 목재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완전히 건조한 목재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목재 내 수분은 다음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11]

  • 세포벽 내
  • 세포의 세포질 내용물 내
  • 특히 물관의 세포 공극 및 공간의 자유수


심재에서는 첫 번째와 마지막 형태로만 존재한다. 완전히 공기 건조된 목재(공기 중 수분 함량과 평형 상태)는 세포벽에 8~16%의 수분을 유지하지만, 다른 형태로는 전혀 또는 거의 유지하지 않는다. 오븐 건조된 목재조차도 소량의 수분을 유지하지만, 화학적 목적을 제외하고는 절대적으로 건조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1]

수분 함량은 목재를 더 부드럽고 유연하게 만들며, 생가죽, 종이, 천에 대한 물의 연화 작용과 유사하다. 특정 한계 내에서 수분 함량이 클수록 연화 효과가 커진다. 목재의 수분은 여러 수분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11]

건조는 특히 작은 시편에서 목재 강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5cm 단면의 완전히 건조된 가문비나무 블록은 같은 크기의 건조되지 않은 블록보다 네 배나 큰 영구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건조로 인한 강도 증가는 궁극적인 파쇄 강도와 축방향 압축에서의 탄성 한계에서의 강도가 가장 크며, 굽힘 파괴 시험에서의 굽힘 강도와 탄성 한계에서의 응력이 그 다음이고, 탄성 계수는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다.[11]

함수율은 목재 가공·보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JIS 규정 목재 측정법에서는 목재를 절건 상태(전건재)로 만들어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나, 더 간편한 방법도 있다. 섬유포화점 이하라면 전기를 흘려 저항값을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전기 저항법). 하지만 온도나 목재 내부 이온의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 유전율이나 유전 손실률로부터 유도하는 경우(전기 용량법)에는 목재 비중으로 보정해야 한다. X선이나 감마선을 조사하여 물에 흡수된 방사선량으로 측정하는 방법(흡수 계수법)도 있다. 평형 함수율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므로, 방습·흡습 중 어느 방향에서 측정 상태가 되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70]

섬유포화점은 목재 내부 자유수가 없어지고 결합수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는 벌채한 생목을 천천히 자연 건조하거나, 건조된 목재를 습도 100% 환경에서 흡습시켜 함수율이 일정하게 된 상태를 체적 팽창이나 종압축 강도 그래프의 기울기가 변화한 지점에서 얻는다.[70]

목재는 이방성이 높아 섬유와 평행(세로)인지 직각(가로)인지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달라진다. 세로 방향 인장강도는 일본 국내 침엽수의 경우 800~1400kgf/cm², 활엽수는 600~2000 kgf/cm²이며, 모든 목재 중 강한 것은 3000 kgf/cm²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를 강도를 밀도로 나눈 '비강도'로 나타내면 침엽수는 1700~2800kgf/cm², 활엽수는 1600~2600kgf/cm²로 철의 400~1300 kgf/cm²보다 높다. 그러나 가로 방향은 1/20~1/30으로 극단적으로 낮아진다. 제재 시 목재 장축과 섬유축이 평행하지 않으면(목결) 이 어긋난 부분을 따라 전단 파괴가 발생한다.[70]

세로 방향 압축 강도는 일본 국내 침엽수 300~400kgf/cm², 활엽수 200~650 kgf/cm²로 인장강도의 1/3 정도이다. '인장강도 > 압축강도'는 목재의 특징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인장강도' 특성과 반대이다. 목재가 압축되면 중공 구조 섬유가 부서지고 국부적 굽힘(좌굴)이 발생한다. 좌굴은 압축강도의 몇 분의 일에서 발생하며, 좌굴선이라는 연속적 파괴의 시발점이 된다. 가로 압축강도는 세로의 1/10~1/30 정도이며, 세포 파괴에서 시작된다.[70]

마루판이나 보처럼 섬유 위에서 목재를 구부리는 하중(굽힘 강도)은, 움푹 들어가는 상부에는 세로 압축력, 늘어나는 하부에는 세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중앙부에는 압축 변형도 인장 변형도 작용하지 않는 중립부가 있지만, 굽힘이 강해지면 중립부가 아래쪽(인장 변형 쪽)으로 이동해 가장자리까지 와서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파단된다. 하중을 지탱하는 유효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좁아 굽힘 강도 값은 인장강도보다 약하다.[70]

5. 1. 1. 비중 (Specific gravity)

목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비중이며, 펄프 수율과 목재 강도 모두 비중에 의해 결정된다.[23] 비중은 어떤 물질의 질량과 같은 부피의 물의 질량 비율이며, 밀도는 어떤 물질의 일정량의 질량과 그 양의 부피 비율로, 단위 부피당 질량(예: g/cm3 또는 g/ml)으로 표현된다. 미터법을 사용하는 한 이 두 용어는 본질적으로 동등하다. 건조될 때 목재는 수축하고 밀도는 증가한다. 최소값은 녹색(물로 포화된) 목재와 관련이 있으며, 기본 비중이라고 한다.[23]

미국 임산물 연구소(U.S. Forest Products Laboratory)는 목재의 비중(G)과 밀도(ρ)를 정의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24]

기호질량 기준부피 기준
G0절대건조절대건조
Gb (기본)절대건조녹색
G12절대건조함수율 12%
Gx절대건조함수율 x%
ρ0절대건조절대건조
ρ12함수율 12%함수율 12%
ρx함수율 x%함수율 x%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밀도는 온도가 일정하다면 각각 고정값을 가지며, 목재도 세포벽만을 측정한 밀도는 '실밀도'라고 불리며, 이것은 수종에 관계없이 약 1.5라는 값이 된다. 그러나 실제 목재 밀도에는 수분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함수율 상태마다 밀도가 정의된다. 질량을 \mathrm{M}, 부피를 \mathrm{V}, 첨자로 각각 \mathrm{a}: 기건(air-dry), \mathrm{g}: 생재(green), \mathrm{o}:전건(over-dry)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기건밀도: {\mathrm{r}_a} = \frac{\mathrm{M}_a}{\mathrm{V}_a}
  • 생재밀도: {\mathrm{r}_g} = \frac{\mathrm{M}_g}{\mathrm{V}_g}
  • 전건밀도: {\mathrm{r}_o} = \frac{\mathrm{M}_o}{\mathrm{V}_o}


체적밀도 \mathrm{R}는 다음과 같다.

  • {\mathrm{R}} = \frac{\mathrm{M}_o}{\mathrm{V}_g} (g/cm3)


함수율 \mathrm{u}(%) 상태의 목재 밀도 {\mathrm{r}_u}는 다음과 같다.

  • {\mathrm{r}_u} = \frac{{\mathrm{r}_o}(100+\mathrm{u})}{(100+0.84{\mathrm{r}_o}\mathrm{u})}[70]


수종에 따라 밀도는 다르며, 가장 가벼운 발사는 기건밀도 0.17g/cm3, 무거운 리그넘 바이타는 1.23g/cm3 정도로 물에 가라앉는다. 같은 나무라도 부위에 따라 다르며, 침엽수에서는 변재와 후재에서 1.5~3배 차이가 있다. 활엽수 중 환공재에 해당하는 느티나무와 물참나무 등은 나이테 폭이 넓은 부분은 전건밀도가 무거워진다.[70]

5. 1. 2. 밀도 (Density)

목재의 밀도는 목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으로, 펄프 수율과 목재 강도 모두 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밀도는 물질의 질량과 부피의 비율로, 단위 부피당 질량(g/cm3 또는 g/ml)으로 표현된다. 목재는 건조되면서 수축하고 밀도가 증가한다. 물로 포화된 녹색 목재의 밀도는 '기본 비중'이라고 한다.[23]

미국 임산물 연구소(U.S. Forest Products Laboratory)는 목재의 비중(G)과 밀도(ρ)를 정의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24]

기호질량 기준부피 기준
G0절대건조절대건조
Gb (기본)절대건조녹색
G12절대건조함수율 12%
Gx절대건조함수율 x%
ρ0절대건조절대건조
ρ12함수율 12%함수율 12%
ρx함수율 x%함수율 x%



목재 밀도는 여러 성장 및 생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26] 나이, 지름, 높이, 방사 방향(수간) 성장, 지리적 위치, 지역 및 생장 조건, 임업적 처리 및 종자 출처는 모두 어느 정도 목재 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개별 나무 내에서 목재 밀도의 변이는 종종 다른 나무들 사이의 변이만큼 크거나 심지어 더 클 수도 있다.[23] 나무의 수간 내에서 비중의 변이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목공인들은 12% 수분 함량에서의 질량과 동일한 부피를 기준으로 하는 밀도인 "평균 건조 무게"(ρ12)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조건은 목재가 약 65% 상대 습도 및 30°C의 온도에서 공기와 평형 수분 함량에 있을 때 발생한다.

실제 목재 밀도는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함수율의 상태마다 밀도가 정의된다.


  • 기건밀도: ${\mathrm{r}_a} = \frac{\mathrm{M}_a}{\mathrm{V}_a}$
  • 생재밀도: ${\mathrm{r}_g} = \frac{\mathrm{M}_g}{\mathrm{V}_g}$
  • 전건밀도: ${\mathrm{r}_o} = \frac{\mathrm{M}_o}{\mathrm{V}_o}$
  • 체적밀도: ${\mathrm{R}} = \frac{\mathrm{M}_o}{\mathrm{V}_g}$ (g/cm3)


함수율 \mathrm{u}(%) 상태의 목재 밀도 {\mathrm{r}_u}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70]

: ${\mathrm{r}_u} = \frac{{\mathrm{r}_o}(100+\mathrm{u})}{(100+0.84{\mathrm{r}_o}\mathrm{u})}$

수종에 따라 밀도는 다르며, 가장 가벼운 발사는 기건밀도 0.17g/cm3이고, 무거운 리그넘 바이타는 1.23g/cm3 정도로 물에 가라앉는다. 같은 나무라도 부위에 따라 다르며, 침엽수에서는 변재와 후재에서 1.5~3배의 차이가 있다. 활엽수 중 환공재에 해당하는 느티나무와 물참나무 등은, 나이테의 폭이 넓은 부분은 전건밀도가 무거워진다.[70]

5. 2. 화학적 성질 (Chemistry)

목재의 주성분은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셀룰로스는 목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약 60%를 차지하는 유기 성분으로 종이를 만드는 주원료로 사용된다.[9] 물을 제외한 목재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셀룰로스: 포도당으로부터 유래된 결정성 중합체로 약 41~43%를 차지한다.
  • 헤미셀룰로스: 활엽수에서는 약 20%, 침엽수에서는 약 30%를 차지한다. 셀룰로스와 달리, 헤미셀룰로스는 불규칙적인 방식으로 연결된 주로 5탄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 리그닌: 침엽수 목재에서는 약 27%, 활엽수 목재에서는 약 23%를 차지한다. 방향족 고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소수성 특성을 부여한다.


이 세 가지 구성 요소는 서로 얽혀 있으며, 리그닌과 헤미셀룰로오스 사이에는 직접적인 공유 결합이 존재한다. 제지 산업의 주요 관심사는 종이 제조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로부터 리그닌을 분리하는 것이다.[31]

화학적 관점에서, 경재와 연재의 차이는 구성 리그닌의 조성에 반영된다. 경재 리그닌은 주로 시나필 알코올과 코니페릴 알코올로부터 유래한다. 연재 리그닌은 주로 코니페릴 알코올로부터 유래한다.[32]

목재 건조 중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목재의 많은 특성을 결정하는 리그닌의 화학 구조


구조적 폴리머(예: 셀룰로스, 헤미셀룰로스, 리그닌(리그노셀룰로스) 외에도, 목재는 다양한 비구조적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저분자량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출물(extractives)"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화합물은 세포외 공간에 존재하며, 아세톤과 같은 여러 중성 용매를 사용하여 목재에서 추출할 수 있다.[33] 추출물의 양과 구성은 수종, 같은 나무의 다양한 부분, 기후와 지리, 유전적 요인, 성장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33] 일반적으로 침엽수는 활엽수보다 추출물이 풍부하며, 형성층에서 로 갈수록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한다. 수피가지에도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다. 추출물은 목재 함량의 작은 부분(일반적으로 10% 미만)을 차지하지만,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목재 수종의 화학적 특징을 나타낸다.[36] 대부분의 추출물은 이차 대사산물이며, 그중 일부는 다른 화학 물질의 전구체 역할을 한다. 목재 추출물은 다양한 활성을 나타내며, 일부는 상처에 대한 반응으로 생성되고, 일부는 곤충과 균류에 대한 자연 방어에 참여한다.[37]

이러한 화합물은 목재의 색상, 향기, 내구성, 음향 특성, 흡습성, 접착력, 건조 등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기여한다.[36]

5. 3. 열적 성질

목재의 열전도율은 거의 0.08~0.15kcal/m・h・℃ 범위에 있으며, 콘크리트의 1/10 정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92] 목재는 세포벽, 물, 공기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 요소의 비율, 즉 밀도와 함수율의 영향을 받는다. 밀도가 작을수록(공기가 많을수록) 열전도율은 낮아지고, 함수율이 1% 증가할 때마다 열전도율은 약 1.3% 증가한다.[70]

비열은 목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수율의 영향을 받는다. 비열 \mathrm{C}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rm{C} = \frac{26.6+0.116\mathrm{t}+\mathrm{u}}{100+\mathrm{u}}

여기서,

:\mathrm{t}는 온도,

:\mathrm{u}는 함수율이다.

기건 상태의 목재의 비열은 20℃에서 0.38kcal/kg・°C이며, 이것은 상온의 유리나 콘크리트보다 크다. 그러나 물체의 가열 속도는 비열에 질량을 곱한 열용량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밀도가 작은 목재의 열용량은 작아진다.[70]

열팽창률은 목재의 방향에 따라 다르며, 나이테의 접선 방향이 가장 크고, 반경 방향은 약간 작으며, 섬유 방향은 접선 방향의 1/10 정도이다.[93] 그러나 목재 중에서 비교적 수치가 큰 더글러스 퍼(Douglas Fir)의 선팽창 계수 접선 방향 값조차도, -50℃~+50℃의 온도 범위에서도 0.43%에 불과하며, 더욱이 일반적으로 이러한 온도 변화가 있으면 함수율이 감소하고 목재는 수축하기 때문에 팽창은 상쇄된다. 즉, 목재의 열팽창은 실용상 무시해도 된다.[70]

온도 환경 특성에서, 목재는 저온이 되면 강도가 증가한다. 반면 고온 쪽에서도 100℃ 정도까지는 눈에 띄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더욱 고온 영역에서는 분해가 시작되고, 200℃ 전후부터 가스를 발생하면서 분해가 가속된다. 인화점은 240~270℃ 부근이며, 연소가 시작된다. 그러나 목재는 일단 연소해도 표면이 탄화하여 열전도율이 저하되고 연소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단면이 큰 목재에서는 내부가 남는 경향이 있다.[70]

5. 4. 내구성

목재는 부패, 충우, 충해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26] 따라서 목재를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부 처리가 필요하다.

6. 건조

목재 건조는 목재의 수축, 변형, 갈라짐 등을 방지하고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목재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되는 환경에 놓아두면, 특정 함수율에 도달했을 때 목재의 흡습과 방습 속도가 같아져 외관상 목재가 흡방습을 하지 않게 된다. 이 평형 상태에 도달하는 함수율을 평형함수율이라고 하며, 온도와 습도에 따라 유일하게 결정된다.

목재 건조 방법은 크게 천연 건조와 인공 건조 두 가지로 나뉜다.[72]


  • 천연 건조: 지붕을 설치하여 비를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널어 쌓아 자연의 힘(태양광, 바람, )만으로 건조하는 방법이다.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 제어가 불가능하여 수분 함량 15% 정도까지 건조하는 데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고 경제적 효율이 떨어진다.[72]
  • 인공 건조: 건조실에 목재를 넣고 다양한 조건을 제어하며 건조하는 방법이다. 주로 증기를 열원으로 열풍을 보내는 증기식 내부 송풍기형(IF형) 건조실이 사용된다. 그 외에도 50℃ 이하에서 제습하는 '제습 건조', 100℃ 이상의 열풍을 사용하는 '고온 건조', 50~70토르의 감압솥을 사용하는 '감압 건조', 고주파를 이용하는 '고주파 건조', 유기용매 등을 가열한 약제에 접촉시키는 '약품 건조' 등이 있다.[72] 인공 건조는 단기간에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산화탄소 배출과 에너지 소비가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도 파라핀 액상 건조, 원적외선 건조, 가압 건조,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등도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74]


일반적으로 목재의 종류, 형태, 치수, 손상 허용 정도 등을 고려하여 천연 건조로 수분 함량을 30% 정도까지 낮춘 후 인공 건조를 병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각국의 지역 및 제조업체가 축적한 노하우에 기반한다. 악기와 같이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목재는 수년 이상 천연 건조를 하여 장기간 평형 수분 함량 상태에서 목재의 흡습과 방습을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높은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고 진동 특성을 향상시킨다.[72]

오동나무의 경우 제재 후 검은 줄무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빗물에 씻어 건조하는 '비맞춤'이라는 기법도 사용된다.[75]

함수율은 목재를 가공하고 보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JIS에서는 목재를 절건 상태(전건재)로 만들어 수분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방법이 가장 정확하다. 하지만 더 간편한 방법으로, 섬유포화점 이하에서 전기를 흘려 저항값을 측정하여 추정하는 방법(전기 저항법)도 있다. 다만, 온도나 목재 내부 이온의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 유전율이나 유전 손실률을 이용하는 방법(전기 용량법)에서는 목재의 비중으로 보정해야 한다. 이 외에도 X선이나 감마선을 조사하여 물에 흡수된 방사선량으로 측정하는 방법(흡수 계수법)도 있다. 평형 함수율은 히스테리시스를 나타내므로, 방습과 흡습 중 어느 방향에서 측정되었는지도 고려해야 한다.[70]

섬유포화점은 목재 내부의 자유수가 없고 결합수만 남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벌채한 생목을 천천히 자연 건조하거나, 건조된 목재를 습도 100% 환경에서 흡습시켜 함수율이 일정하게 된 상태를 체적 팽창이나 종압축 강도의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변화한 지점에서 구할 수 있다.[70]

7. 제재품 및 목질 재료

목재는 생물이며, 수종뿐만 아니라 성장 환경, 벌채 계절, 나무 부위에 따라 성질이 달라 취급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수종은 크게 침엽수와 활엽수로 나뉜다. 냉온대에서 온대에 걸쳐 자라는 침엽수는 일반적으로 직선적인 줄기와 작은 수간을 가지며, 기후 영향으로 나이테가 명확하다.[66] 열대 활엽수에는 나이테가 없는 경우도 있다.[66] 섬유상 세포인 연세포 비율은 침엽수가 약 5%인 반면 활엽수는 10~30%로 많다.[56]

나무는 부터 초가을까지 세포 분열로 줄기가 굵어지지만, 시기별로 세포 형태, 크기, 종류가 달라진다. 전기 형성 부분은 조재(早材) 또는 춘재(여름눈)[67]라 하며, 침엽수는 세포벽이 얇고 세포 직경이 크며 재 색깔이 옅다. 후기 형성 부위는 만재(晩材) 또는 추재(겨울눈)라 하며, 반대 특징을 가진다.[68] 느티나무, 신갈나무 등 활엽수는 소재 부분에 큰 도관이 형성되어 구별되지만, 목련, 일본목련 등은 계절에 따른 도관 차이가 없어 소재/만재 구분이 없다.[56]

목재의 절(節). 사진은 재와 나무결이 연결되지 않은 사절(死節)이다.


여름 장마성 온대 기후인 일본에서는 나무 신진대사가 저하되는 가을~겨울이 벌채 적기로, 특히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는 이 시기 벌채 시 부패, 해충에 강하다. 광택 원목처럼 목적에 따라 줄기 형성기인 봄이 벌채 적기일 수도 있다.[69]

수목을 세로로 쪼개면 가지 부분에 절(節)이 남는다. 재 나뭇결과 연결된 생절(生節)과, 말라 죽은 가지가 줄기에 둘러싸인 사절(死節)이 있다. 가지치기로 마디 없는 재는 가지 아래 재로 불리며 가치가 높지만, 마디가 강도 부족을 초래하지 않고 미적 요소로 평가되기도 한다.[56]

일반적으로 목재는 벌채한 원목을 특정 크기로 만든다. 각재나 판재를 직접 필요한 치수로 잘라낸 것을 제재(제재품) 또는 무구재(無垢材)라 한다. 제재품은 가장 일반적인 목재 제품이며, 목재는 보통 제재 가공된 제품을 가리킨다.[78]

원목 조각이나 얇은 판재를 접착제로 붙여 큰 부재로 만든 것은 목질재료, 목질제품, 목질건재, 목질소재 등으로 불린다. 집성재, LVL(단판적층재), 합판, 파티클보드(PB), 섬유판, OSB 등이 있다.

목재는 이방성이 있어 섬유 평행(세로), 직각(가로)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다르다. 세로 방향 인장강도는 일본 침엽수 800~1400kgf/cm², 활엽수 600~2000kgf/cm²이며, 강한 목재는 3000kgf/cm²에 달한다. 비강도는 침엽수 1700~2800kgf/cm², 활엽수 1600~2600kgf/cm²로 철(400~1300kgf/cm²)보다 높다. 가로 방향은 1/20~1/30로 극단적으로 낮아져 제재 시 목재 장축과 섬유축이 평행하지 않으면 전단 파괴가 발생한다.[70]

세로 방향 압축강도는 일본 침엽수 300~400kgf/cm², 활엽수 200~650kgf/cm²로 인장강도의 1/3 정도이다. '인장강도 > 압축강도'는 목재 특징 중 하나로, 콘크리트와 반대이다. 목재 압축 시 중공 구조 섬유가 부서져 국부적 굽힘(좌굴)이 발생하며, 좌굴선이라는 연속 파괴 시발점이 된다. 가로 압축강도는 세로의 1/10~1/30 정도이며, 세포 파괴에서 시작된다.[70]

보처럼 굽힘 하중 시 상부에는 세로 압축력, 하부에는 세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중앙부는 중립적이나, 굽힘이 강해지면 중립부가 아래로 이동해 가장자리에서 인장강도를 초과하면 파단된다. 유효 단면적이 좁아 굽힘 강도는 인장강도보다 약하다.[70]

7. 1. 제재 및 제재품

일반적으로 목재는 산에서 벌채한 원목을 사용하기 쉽도록 특정 크기로 만든다. 목부는 "재"라고 불리며, 수목은 이나 생장점을 기원으로 하는 중앙부의 "수"(髓) 또는 "수심"(樹心),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재", 외피인 수피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큰 원목에서 각재나 판재를 직접 필요한 치수로 잘라낸 것을 제재(製材, 더 정확하게는 제재품) 또는 무구재(無垢材)라고 한다. 제재품은 목재 제품 중 가장 일반적이며, 단순히 목재라고 하면 제재 가공된 제품을 가리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78] 제재 도구로는 고대에는 석기, 의 사용이 시작된 이후에는 철제 도끼쐐기가 사용되었고, 목재가 가진 섬유 방향으로 쪼개지기 쉬운 성질을 이용해 치수 가공을 했다. 이어 이 발명되고, 목수(こびき) 장인이 각 원목의 성질을 판단하면서 제재를 했다. 1950년대부터는 전동 공구 등을 사용한 기계적인 대량 생산 방식이 도입되었다.[78]

원목에서 작은 조각이나 얇은 판재를 모아 접착제로 붙여 큰 치수의 부재로 만든 것은 용도 등에 따라 목질재료, 목질제품, 목질건재, 목질소재 등으로 불린다. 목질재료에는 집성재, LVL(단판적층재), 합판, 파티클보드(PB), 섬유판, OSB 등이 있다.

7. 1. 1. 판재 (板材)

원목에서 판을 잘라낼 때, 나이테의 방향에 대해 어떤 각도로 잘라내느냐에 따라 판 표면의 나무결이 달라진다. 또한, 잘라내는 각도는 나무결뿐만 아니라 판의 강도 등에도 영향을 준다.

; 정목(柾目)

: '정목(正目)'이라고도 표기한다. 나이테의 눈을 가로지르도록 나이테에 대해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잘라낸 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나무결을 정목이라고 한다. 겨울눈과 여름눈이 번갈아 거의 평행으로 나타나, 보기 좋게 늘어선 줄무늬가 된다.[79] 수축이나 변형이 적지만, 수분을 쉽게 투과시킨다. 정목 판은 원목에서 20~30% 정도밖에 얻을 수 없어 수확률이 나쁘므로 고가이다. 단, 예외적으로 떡갈나무만은 관습적으로 정목재를 판목, 판목재를 정목과 반대로 부른다. 독특한 방사상 조직(소위 떡갈나무 무늬)을 나이테로 여기기 때문이다.[80]

; 판목(板目)

: 나이테의 눈을 따라 접선 방향으로 잘라낸 판의 표면에 나타나는 나무결을 판목이라고 한다. 나무결은 정목처럼 가지런한 줄무늬가 되지 않고, 불규칙한 곡선 무늬가 된다. 판목 판에는 앞면과 뒷면이 있으며, 잘라낼 때 바깥쪽에 면해 있던 쪽이 표면(목표(木表)), 중심부에 면해 있던 쪽이 뒷면(

; 무늬(杢)

: 원목의 옹이 부분 등 비정상적인 성장으로 생긴 국부적인 비틀림이나 곡률이 생긴 부분을 잘라낼 때, 드물게 나타나는 정목과 판목과는 다른 복잡한 무늬의 나무결. 희소가치가 있어 귀하게 여겨진다.

7. 2. 목질 재료 (Engineered wood)

목질 재료는 접착 건축 제품으로, 용도별 성능 요구 사항에 맞춰 "설계"되며 건축 및 산업 분야에서 자주 사용된다.[47] 접착식 합판목재 제품은 목재 스트랜드, 베니어, 목재 또는 기타 형태의 목재 섬유를 접착제로 결합하여 더 크고 효율적인 복합 구조 단위를 형성하여 제조된다.[47]

이러한 제품에는 접합재 목재(glulam), 목재 구조 패널(합판, 배향성 스트랜드 보드 및 복합 패널 포함), 적층 베니어 목재(LVL) 및 기타 구조용 복합 목재(SCL) 제품, 병렬 스트랜드 목재 및 I-조이스트가 포함된다.[47] 1991년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약 1억m3의 목재가 소비되었다.[4] 추세는 파티클보드섬유판합판을 추월할 것임을 시사한다.

원래 형태로는 건축에 부적합한 목재는 기계적으로(섬유 또는 칩으로) 또는 화학적으로(셀룰로오스로) 분해되어 합판목재와 같은 다른 건축 자재뿐만 아니라 칩보드, 하드보드, 중밀도 섬유판(MDF)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재 유도체는 널리 사용된다. 목재 섬유는 대부분의 종이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셀룰로오스는 일부 합성 재료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목재 유도체는 라미네이트 바닥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바닥재에 사용될 수 있다.

목질 재료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집성재

: 집성재의 세로 방향 접합 방법에는 스카프 조인트, 핑거 조인트, 패트 조인트의 3가지가 있으며, 접착 강도의 높이에서 핑거 조인트에 의한 접합이 많다. 구조용 집성재의 종류로는 미국산 소나무(더글러스퍼), 유럽산 적송(레드우드), SPF(가문비나무, 소나무, 전나무), 미국산 편백, 미국산 노송나무, 삼나무, 낙엽송 등이 있다.

; 단판적층재(LVL)

: LVL(Laminated Veneer Lumber)은 합판과 비슷하지만, 주로 기둥 등 막대 모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길이 방향으로 강도를 갖도록 만든 것이다. 합판과 달리 각 층의 섬유 방향을 직교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맞춰 만들어진다. 강하고 긴 목재 막대를 만들 수 있으므로 비교적 큰 건물을 목조로 지을 때 자주 사용된다.

; PSL (Parallel strand lumber|패러렐 스트랜드 럼버영어)

: OSB와 유사한 방법으로 만들어지지만, OSB보다 요소가 길고, 배향 방향은 층마다 직교시키는 것이 아니라 축재로서의 강도를 얻기 위해 세로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맞추고 있다.

목재는 이방성이 높아 섬유와 평행(세로)인지 직각(가로)인지에 따라 기계적 강도가 크게 달라진다. 세로 방향의 인장강도는 일본 국내 침엽수의 경우 800kgf/cm²~1400kgf/cm²이고, 활엽수는 600kgf/cm²~2000kgf/cm²이며, 모든 목재 중 강한 것은 3000kgf/cm²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를 강도를 밀도로 나눈 '비강도'로 나타내면 침엽수는 1700kgf/cm²~2800kgf/cm²이고, 활엽수는 1600kgf/cm²~2600kgf/cm²가 되어 철의 400kgf/cm²~1300kgf/cm²를 웃도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가로 방향이 되면 1/20~1/30으로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제재 시 목재의 장축과 섬유축이 평행하지 않으면(목재의 결이 어긋나는 '목결'이라고 함) 이 어긋난 부분을 따라 파단, 즉 전단 파괴가 발생한다.[70]

세로 방향 압축에 대한 강도는 일본 국내 침엽수의 경우 300kgf/cm²~400kgf/cm²이고, 활엽수는 200kgf/cm²~650kgf/cm²로 인장강도의 1/3 정도이다. 이처럼 '인장강도 > 압축강도'라는 특성은 목재의 특징 중 하나이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 인장강도' 특성과 반대이다. 목재가 압축되면 중공 구조의 섬유가 부서지고 국부적인 굽힘이 발생한다. '좌굴'이라고 하는 이 파괴는 압축강도의 몇 분의 일에서 발생하며, 좌굴선이라는 연속적인 파괴의 시발점이 된다. 가로 압축강도는 세로의 1/10~1/30 정도이며, 이것도 세포의 파괴에서 시작된다.[70]

보처럼 섬유 위에서 목재를 구부리려는 하중에 대한 강도(굽힘 강도)는, 움푹 들어가는 목재의 상부에는 세로 압축력이, 늘어나는 하부에는 세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도식으로 생각한다. 중앙부에는 압축 변형도 인장 변형도 작용하지 않는 중립적인 부분이 있지만, 굽힘이 강해지면 이 중립부가 아래쪽(인장 변형 쪽)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목재의 가장자리까지 와서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하중이 작용하면 파단된다. 게다가 하중을 지탱하는 유효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좁기 때문에 굽힘 강도의 값은 인장강도보다 약하다.[70]

7. 2. 1. 합판 (Plywood)

합판 제조 방법 개념도


합판은 얇게 썬 나무판(단판)을 섬유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여러 장 겹쳐 접착제로 붙여 하나의 판으로 가공한 것이다.[82] 베니어판이라고도 한다. 주로 보급되는 것은 코어재에 대해 정대조가 되도록 섬유 방향에 스트레이트와 크로스를 조합한 홀수 장의 베니어로 구성된다.

제재품으로 대면적의 판재를 얻으려면 거목이 필요하지만, 합판은 제재품에 비해 저렴하게 대면적을 얻을 수 있고, 공장 가공이므로 품질이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과거 합판의 대부분은 포름알데히드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화된 성분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1980-1990년대경부터 새집증후군의 원인으로 문제시되기 시작했다. 또한, 습기에 약하므로 실외나 물이 닿는 곳에 사용할 때는 내수성이 높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등의 고안이 필요하다.

7. 2. 2. 목질 보드 (Wood-based panels)

목질 보드는 부순 목재의 조각이나 섬유를 결합 재료로 굳힌 판상의 제품이다.[87][88]

; 파티클보드

: 목재 파편에 접착제를 섞어 가열 압축 성형한 보드이다.[89] 단열성과 차음성이 뛰어나지만, 내수성이 부족하여 주로 가구, 내장 마감재로 사용된다. 학습 책상이나 홈센터 등에서 판매되는 컬러 합판의 심재로 많이 사용된다. 국내 제조업체 중에는 건축 폐재 등으로 재료를 100% 충당하는 업체도 있다. 표면은 거칠지만, 내부에는 길고 넓은 요소를 사용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표면에는 고운 것을 사용하여 매끄럽게 하는 제품도 있다.

; 섬유판(Fiberboard)

: 목재 섬유를 모아 그대로 건조하거나 가열 압축 성형한 목질 보드이다. 섬유판이라고도 불린다. 비중에 따라 하드보드(HB), 중밀도섬유판(MDF), 단열보드(IFB)의 3종류가 있다.[90] 용도는 파티클보드와 거의 같지만, 표면이 매끄러워 마감판을 붙여도 요철이 없이 깨끗한 마무리가 된다. 파티클보드보다 내수성이 없어 MDF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문이나 가구의 코어재, 스피커나 기타 앰프 등의 인클로저, 특이한 예로는 트럭 문의 심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7. 3. 목질 재료의 축재

집성재는 작은 목재 조각들을 접착제로 붙여 만든 목재 제품으로, 큰 단면과 강도를 얻을 수 있다.[47] 집성재의 세로 방향 접합 방법에는 스카프 조인트, 핑거 조인트, 패트 조인트의 3가지가 있으며, 접착 강도가 높은 핑거 조인트로 접합하는 경우가 많다. 구조용 집성재로는 미국산 소나무(더글러스퍼), 유럽산 적송(레드우드), SPF(가문비나무, 소나무, 전나무), 미국산 편백, 미국산 노송나무, 삼나무, 낙엽송 등이 있다.

단판적층재(LVL, Laminated Veneer Lumber|래미네이티드 베니어 럼버영어)는 합판과 비슷하지만, 주로 기둥 등 막대 모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길이 방향으로 강도를 갖도록 만든 것이다.[47] 합판과 달리 각 층의 섬유 방향을 직교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맞춰 만들어진다. 강하고 긴 목재 막대를 만들 수 있으므로 비교적 큰 건물을 목조로 지을 때 자주 사용된다.

PSL(Parallel strand lumber|패러렐 스트랜드 럼버영어)은 배향성 스트랜드 보드(OSB)와 유사한 방법으로 만들어지지만, OSB보다 요소가 길고, 배향 방향은 층마다 직교시키는 것이 아니라 축재로서의 강도를 얻기 위해 세로 방향으로 한 방향으로 맞추고 있다.

8. 용도

목재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온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 연료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목재를 땔나무와 목탄 등의 에너지 자원으로 이용해 왔다.[98] 50만 년 전 베이징 원인 유적에서도 숯이 발견되었다.[98] 청동 등 금속 제련, 난방·조리에도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서 현재까지도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44] 경재는 연기가 덜 나고 더 오래 타기 때문에 연재보다 선호된다. 주택에 목재 난로 또는 벽난로를 설치하는 것은 따뜻함과 분위기를 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지구 환경 문제의 관점에서 목재의 에너지 이용이 재평가되고 있다.[52]

; 펄프재(Pulpwood)

펄프재는 종이 제조를 위해 특별히 재배되는 목재이다.

; 건축

upright


2021년 목재를 포함한 임산물 수출입 국가 지도


목재는 인류가 숙소, 주택, 배를 짓기 시작한 이래로 중요한 건축 자재였다. 19세기 후반까지 거의 모든 배는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오늘날에도 목재는 배 건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느릅나무(Elm)는 젖은 상태로 유지되는 한 부패에 강했기 때문에 이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건축용 목재는 북미에서는 일반적으로 ''제재목(lumber)''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지역에서는 ''제재목(lumber)''이 일반적으로 벌채된 나무를 가리키며, 사용할 준비가 된 톱질한 판자를 가리키는 단어는 ''재목(timber)''이다.[46] 오늘날 세계 여러 지역의 새로운 주택은 일반적으로 목조골조 건축으로 만들어진다. 공학 목재(Engineered wood) 제품은 건축 산업에서 점점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키지의 교회들은 금속 조인트 없이 전적으로 목재로 지어진 소수의 세계유산(World Heritage Site) 중 하나이다. 자세한 내용은 키지 포고스트(Kizhi Pogost)를 참조.


; 마루(Flooring)

목재는 곧은 판자로 잘라 원목 마루를 만들 수 있다.


원목 마루는 일반적으로 단단한 나무로 만든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만든 판자나 각재로 깐 마루이다.

; 가구

목재는 오랫동안 가구, 예를 들어 의자와 침대를 만드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오동나무재가 箪笥 등에 자주 사용되었다. 이것은 오동나무가 잘 타지 않고 흡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101]

; 기타

추가적인 개발에는 새로운 리그닌 접착제 응용, 재활용 가능한 식품 포장재, 고무 타이어 대체재 응용, 항균 의료용품, 고강도 직물 또는 복합재가 포함된다.[48]

; 예술

''기도구슬과 동방박사의 경배 및 십자가형'' (''Prayer Bead with the Adoration of the Magi and the Crucifixion''), 고딕 양식의 박달나무 소형 조각품


목재는 오랫동안 예술 매체로 사용되어 왔다. 수천 년 동안 조각과 목각 제작에 사용되었다.

;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용품

많은 종류의 스포츠 용품이 나무로 만들어지거나 과거에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크리켓 배트는 일반적으로 흰 버드나무(Salix alba)로 만들어진다.

9. 열화 (Degradation)

목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열화될 수 있다. 셀룰로스를 분해하는 박테리아 중에는 키솔파가속의 공생 박테리아가 침몰한 나무의 분해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년 이상 물에 잠긴 나무에서는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플라보박테리아'', ''악티노마이세토타'', ''클로스트리디아'', ''박테로이도타''가 검출되기도 했다.[50]

목재 부패를 막기 위해 구리, 아연, 불소, 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가 사용된다. 석유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타르류나 침목에 자주 사용되는 크레오소트유도 사용된다.[94]

산림연구·개발기구 산림종합연구소는 목재를 250℃ 정도로 가열해 반탄화 처리하여 부패를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야외 목재 포장 등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야기현 이와누마시의 유산책로에서 현장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95]

벌채 직후 함수율이 50%를 초과하는 목재에는 나무좀과나 긴나무좀과의 곤충이 구멍을 뚫고 알을 낳는다. 부화한 애벌레는 목재를 갉아먹는다. 하늘소바구미도 통나무에 붙지만, 애벌레가 나무껍질 바로 밑에서 서식하므로 목재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적다.[94]

일본흰개미는 토양 속에서 건조한 목재까지 터널(개미길)을 연결하여 물을 운반해 습하게 만든 후 갉아먹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소 화합물 약제가 사용된다.[94]

해수 속 목재를 갉아먹는 생물로는 이매패류인 배좀이나 갑각류인 나무좀 등이 있다. 이들은 염분 농도가 1% 이하가 되면 죽기 때문에, 해안 목재 야적장에서는 담수를 넣어 염분 농도를 낮추거나, 하구를 거슬러 올라간 곳에 항구를 설치하기도 한다.[96][94]

카제노 하루카(NHK 연속 TV 소설)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목재 에이징 효과 설명 패널 (2005년 11월 NHK 오사카 시설견학회 촬영)

9. 1. 미생물의 작용

목재는 균류에 의한 부패로 인해 열화되고 생분해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수백 종류에 달한다고 알려진 목재부후균이 목재의 주성분을 영양소로 하여 번식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균의 종류,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건, 그리고 수목의 종류에 따라 부후의 진행 과정은 다양하다. 그러나 목재부후균은 생명 활동에 자유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섬유포화점 이하의 함수율을 가진 목재에서는 생육할 수 없다. 한편 호기성균이기 때문에 과도한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도 번식하지 않는다.[94]

목재에 작용하는 균류에는, 더 많은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영향을 미치는 연부후균이 있으며, 이들은 예를 들어 의 목재 표면을 분해하여 부드럽게 하지만, 호기성균이기도 하기 때문에 재의 내부까지 침식하지 않는다. 번식의 영향이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을 오염시키는 것도 있으며, 소나무류의 변재를 청색으로 만드는 청변균이나 블루스테인 등을 대표로 다양한 변색을 일으키는 균이 알려져 있다.[94]

9. 2. 식해 (Pest damage)

균류의 생육 환경은 어느 정도 제한되는 데 반해, 목재를 가해하는 곤충 등 생물은 다양한 환경에서 각기 다른 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예방이 어렵다. 약간 습한 목재에 붙는 곤충의 대표적인 예로 흰개미가 있다. 건조한 목재에 붙는 벌레에는 납작나무좀이나 작은나무좀 등 많은 종류가 있다.[94]

9. 3. 변색 (Discoloration)

미생물 작용 외에도 목재의 변색을 일으키는 요인은 많다. 하지만 이러한 변색은 앤티크풍의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어, 반드시 일률적으로 방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목재 변색은 목재에 포함된 페놀성 물질이 작용하여 발생한다. 에 의한 변색은 페놀류가 유색 물질로 변화하기 때문에 일어나며, 자외선 흡수 도료를 도포하면 방지할 수 있다.[94]

금속과 접촉하면 이나 구리에 의해 페놀류가 검은색으로 변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수산 등의 강산을 도포하고 물로 씻어내면 된다. 예방책으로는 목재 표면을 약산성으로 만드는 무기물을 바르거나, 컬러 네일 등을 사용하여 금속과 목재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94]

콘크리트의 알칼리나 일부 을 포함하는 접착제, 산화효소도 페놀류와 반응하여 변색을 유발한다.[94]

10. 우드 쇼크 (Wood shock)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으로 미국의 신축 단독주택 건설이 늘어나고, 제재소 휴업과 미국 서부 해안의 대규모 산불 등이 겹치면서 건축용 목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이 2020년 5월부터 발생하였다. 이는 전 세계로 확산되어 목재 선물 시장에서 투기적인 요인으로 인해 목재 가격이 최대 4배까지 급등하기도 하였으나, 2022년 말에는 진정되었다.[110][111][112] 우드 쇼크를 계기로 출하 체계를 강화한 효고현(兵庫県) 기타하리마 삼림조합(北はりま森林組合)에서는 산에서 베어낸 목재가 쌓이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113]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Glossary of Botanical Te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간행물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Main report https://www.fao.org/[...] FAO 2020
[3] 웹사이트 The EPA Declared That Burning Wood is Carbon Neutral. It's Actually a Lot More Complicated https://www.smithson[...] 2022-06-03
[4] 백과사전 Wood Wiley-VCH 2005
[5] 뉴스 N.B. fossils show origins of wood https://www.cbc.ca/n[...] CBC.ca 2011-08-12
[6] 학술지 A Simple Type of Wood in Two Early Devonian Plants http://orbi.ulg.ac.b[...] 2011-08-12
[7] 웹사이트 A History of Wood from the Stone Age to the 21st Century http://www.ecobuildi[...]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2017-03-28
[8] 학술지 Trends in recent temperature and radial tree growth spanning 2000 years across northwest Eurasia 2008
[9] 웹사이트 Wood growth and structure http://www.farmfores[...]
[10] 서적 Materi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3-20
[11] 서적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https://www.gutenber[...] J. Wiley & Sons 2020-08-28
[12] 백과사전 Duramen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13] 서적 A New Tree Biology Dictionary Shigo and Trees, Associates 1986
[14] 서적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Including a Discu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s of Timber Testing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Incorporated 1914
[15] 백과사전 Alburnum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16] 서적 Botany for Gardeners Timber Publishing 2005
[17] 웹사이트 Wood Properties Growth and Structure 2015 http://treetesting.c[...]
[18] 웹사이트 Timber Plus Toolbox, Selecting timber, Characteristics of timber, Structure of hardwoods https://web.archive.[...]
[19] 학술지 Xylem Embolism in ring-porous, diffuse-porous, and coniferous trees of Northern Utah and Interior Alaska https://web.archive.[...] 2018-11-30
[20] 서적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Including a Discu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s of Timber Testing https://books.google[...] J. Wiley & sons, Incorporated 2023-03-20
[21] 서적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including a discuss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s of timber testing https://archive.org/[...] J. Wiley & sons, inc.
[22] 간행물 The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http://www.fpl.fs.f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Products Laboratory
[23] 서적 Compression wood in gymnosperms Springer-Verlag 1986
[24] 웹사이트 Wood Handbook: Chapter 4: Moisture Rela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ood https://www.fpl.fs.u[...] U.S. Forest Products Laboratory 2023-09-10
[25] 웹사이트 Standard Practice for Establishing Clear Wood Strength Values https://www.astm.org[...] 2023-09-09
[26] 서적 Wood density in conifers Commonwealth For. Bureau 1970
[27] 기술보고서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https://www.f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Forest Products Laboratory
[28] 웹사이트 What ar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 https://doorstain.co[...] 2023-08-22
[29] 웹사이트 PFAF https://pfaf.org/use[...] 2019-11-03
[30] 서적 Agriculture Handbook https://books.googl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03-20
[31] 서적 Mémotech Bois et Matériaux Associés Éditions Casteilla 1996
[32] 학술지 Lignin biosynthesis 2003-06
[33] 서적 Pulp and Paper Chemistry and Technology. Volume 1, Wood Chemistry and Wood Biotechnology Walter de Gruyter 2009
[34] 서적 Wood 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Elsevier Science 2013-10-22
[35] 서적 Woodhead Publishing Series in Composites Science and Engineering: Number 54. Wood Composites Woodhead Publishing 2015
[36] 서적 Wood and Cellulosic Chemistry Marcel Dekker 2001
[37] 서적 Handbook of Wood Chemistry and Wood Composites Taylor & Francis 2013
[38] 서적 Kraft Pulping. A Compilation of Notes TAPPI Press 1993
[39]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0
[40] 서적 Cell physiology sourcebook: essentials of membrane biophysics 2012-01-11
[41] 학술지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roponoids and Their Use in Agriculture A Review 2014-09-10
[42] 학술지 A fresh look at natural tropolonoids 2008
[43]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3 http://www.fao.org/d[...] FAO 2023-11-29
[44] 서적 Alternative Fuels and the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4-10-12
[45] 웹사이트 Saitta House – Report Part 1 http://www.dykerheig[...]
[46] 서적 Materials for Interior Environme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7] 웹사이트 APA – The Engineered Wood Association http://www.apawood.o[...]
[48] 웹사이트 FPInnovations http://www.forintek.[...]
[49] 특허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moisture content on wooden elements
[50] 학술지 How Deep-Sea Wood Falls Sustain Chemosynthetic Life 2013-01-02
[51]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52] 웹사이트 木のすべてを愛そう -木材の有効利用- http://www.crc.kitam[...] 北見工業大学地域共同研究センター
[53] 책 岡野 p.147-169 6.エピローグ-その将来を展望する-
[5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55] 서적 日本の木と伝統木工芸 海青社
[56] 책 岡野 p.73-102 3.構造の秘密
[57] 웹사이트 木林学ことはじめ (34) 木を語る情報源 http://www.kyoto-np.[...] 京都新聞
[58] 웹사이트 授業科目名:木材物理学、担当教官:澤辺攻(応用生物学科) http://news7a1.atm.i[...] 岩手大学農学部
[59] 웹사이트 木のはてな? Q:木材の特徴を教えてください http://wwwsoc.nii.ac[...] 財団法人日本木材加工技術協会関西支部
[60] 웹사이트 第14回公開講演「魅力あるキノコの世界」生命環境学部:森永力 http://home.hiroshim[...] 県立広島大学
[61] 웹사이트 森林化学 前期 教授:志水一允 http://www.brs.nihon[...] 日本大学生物資源科学部
[62] 웹사이트 農学部第7類:生物材料住科学専修・生物材料開発化学専修 生物材料科学専攻長 空閑重則 http://park.itc.u-to[...] 東京大学教養学部 進学情報センター
[63] 웹사이트 木のはてな? Q:セルロース、リグニン、ヘミセルロースってなんですか? http://wwwsoc.nii.ac[...] 財団法人日本木材加工技術協会関西支部
[64] 웹사이트 チロース http://www.kentikuli[...] 建築情報.net
[65] 웹사이트 木のはてな? Q:ヒノキなどの木材は、伐採後200-300年後も強度を増が増す…といわれています。どんな要因が働いてそうなるのですか? http://wwwsoc.nii.ac[...] 財団法人日本木材加工技術協会関西支部
[66] 책 岡野 p.1-10 1.プロローグ
[67] 기타
[68] 웹사이트 Wood growth and structure http://www.farmfores[...] www.farmforestline.com.au
[69] 웹사이트 森林の管理と経営 Q1 http://www.ffpri.aff[...] 独立行政法人森林総合研究所
[70] 책 岡野 p.11-72 2.性質を探る
[71] book 岡野 1950-00-00,1956-00-00
[72] book 岡野
[73] book 岡野
[74] 웹사이트 木のはてな? Q:最近新しい乾燥法が開発されていると聞きますが、どんな方法なのでしょうか? http://wwwsoc.nii.ac[...] 財団法人日本木材加工技術協会関西支部 2010-04-03
[75] 웹사이트 木林学ことはじめ (11) 雨が必要な木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0-04-03
[76] 웹사이트 木質材料の種類と特徴 建材試験情報 2016年6月号 http://www.jtccm.or.[...] 一般財団法人建材試験センター (http://www.jtccm.or.jp/) 2016-11-08
[77] 웹사이트 製材の日本農林規格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13-10-03
[78] 웹사이트 5.木工技術史と木地師 http://kiyou.kobe-du[...] 神戸芸術工科大学 2010-04-03
[79] 웹사이트 柾目板 http://et.mine.utsun[...] 宇都宮大学 2010-04-03
[80] book 木材ノ工藝的利用 1912-00-00
[81] 웹사이트 板目板 http://et.mine.utsun[...] 宇都宮大学 2010-04-03
[82] 웹사이트 合板の需要分野 http://www.jpma.jp/u[...] 日本合板工業組合連合会 2010-04-03
[83] 웹사이트 合板の規格と表示 http://www.jpma.jp/u[...] 日本合板工業組合連合会 2010-04-03
[84] 웹사이트 樹種別分類 http://www.jpma.jp/u[...] 日本合板工業組合連合会 2010-04-03
[85] 웹사이트 シナ合板 http://www.stu.sojo-[...] 崇城大学 2010-04-03
[86] 웹사이트 針葉樹合板を理解するために http://www.jpma.jp/d[...] 日本合板工業組合連合会 2010-04-03
[87] 웹사이트 木質ボード誕生の背景 http://jfpma.jp/gaiy[...] 任意団体日本繊維板工業会 (http://jfpma.jp/) 2017-12-10
[88] 웹사이트 木質ボードの種類とその性能 http://www.iwt.akita[...] 秋田県立大学木材高度加工研究所 2010-04-03
[89] 웹사이트 パーティクルボード http://www.iwt.akita[...] 秋田県立大学木材高度加工研究所 2010-04-03
[90] 웹사이트 ファイバーボード http://www.iwt.akita[...] 秋田県立大学木材高度加工研究所 2010-04-03
[91] standard
[92] book 理科年表 岡野
[93] book 岡野 1951-00-00
[94] book 岡野
[95] 뉴스 <森林総研>「腐りにくい」「膝負担軽い」木質舗装材 ヒツジ牧場に試験敷設、復興の一助に http://www.kahoku.co[...] 河北新報 2017-10-26
[96] 웹사이트 News Letter No.15 http://www.tamarokut[...] 多摩六都科学館 2010-04-03
[97] 웹사이트 古代文明と環境 http://digarc.pd.sag[...] 佐賀大学地域貢献事業 新教材作成プロジェクト 2010-04-03
[98] 웹사이트 akio/2008/樹芸/木炭について http://lecture-wiki.[...] 東京大学ECCS 2010-04-03
[99] 웹사이트 歴史から学ぶ地球環境問題 http://www.tokuyama.[...] 徳山大学 2010-04-03
[100] 웹사이트 西洋建築史第1回 中島智章 http://www.ns.kogaku[...] 工学院大学 2010-04-03
[101] 웹사이트 Part15:桐の箪笥と桐の下駄 http://www.mokujukyo[...] 日本木造住宅産業協会 2011-10-07
[102] 웹사이트 桐箪笥はなぜ良いか http://www.chuokai-n[...] 加茂箪笥協同組合 2011-10-07
[103] book なぜ、コメダ珈琲店はいつも行列なのか? プレジデント社 2017-07-00
[104] 논문 楽器用木材の音響と物性の秘密の関係 (非線形波動現象のメカニズムと数理) https://hdl.handle.n[...] 京都大学数理解析研究所 2001-05-00
[105] 웹사이트 ファゴットのできるまで http://www.yamaha.co[...] YAMAHA 2011-10-07
[106] 웹사이트 フルートのできるまで http://www.yamaha.co[...] YAMAHA 2011-10-07
[107] 웹사이트 米国オレゴン州教育旅行ガイド http://www.travelpor[...] 2011-10-27
[108] 서적 紙のおはなし 日本規格協会 1996-01-01 # 날짜 정보가 애매하여 1996년으로 설정.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109] 뉴스 満員ホームでデモ 妊婦も群衆に踏まれる 朝日新聞 1969-11-17
[110] 웹사이트 ウッドショック収まらず…「住宅高騰×工期遅れ」のWパンチは“これから”が本番かもしれない https://gendai.media[...] 講談社現代メディア 2021-11-02
[111] 웹사이트 ウッドショック収まらず…「住宅高騰×工期遅れ」のWパンチは“これから”が本番かもしれない https://gendai.media[...] 2021-11-02
[112] 웹사이트 材木先物 取引 https://jp.investing[...] investing.com
[113] 웹사이트 「ウッドショック」から一転、価格急落 40年ぶりの好機に体制強化も在庫が…苦悩する北はりま森林組合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2022-11-26
[114] 뉴스 N.B. fossils show origins of wood http://www.cbc.ca/ne[...] CBC.ca 2011-08-12
[115] 저널 Trends in recent temperature and radial tree growth spanning 2000 years across northwest Eurasi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