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교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교천은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차령 북쪽에서 발원하여 아산만을 거쳐 삽교천으로 합류하는 하천이다. 천안시와 아산시를 지나며, 풍세천, 용천, 천안천, 온양천 등의 지류를 둔다. 과거 굽은 다리가 있던 곳에서 유래하여 곡교천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한천, 한내, 봉강천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되며, 이순신 장군 관련 유적과 온양민속박물관 등 문화 유산이 위치한다. 삽교천, 무한천과 함께 예당평야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의 지리 - 공주 단층
공주 단층은 옥천 습곡대의 북서부 경계를 이루는 좌수향 주향이동 단층으로, 백악기 말에 단층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의당 단층과 계룡산 단층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는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단층대이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지리 - 개미고개
개미고개는 한국 사회의 특정 주제에 대한 역사, 현황, 쟁점 및 사회적 영향을 다루는 항목으로, 기원과 발전 과정을 설명하고 현재 현황과 쟁점을 분석하며 사회적 영향을 제시한다. - 아산시의 지리 - 삽교천
삽교천은 현재 문서가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아산시의 지리 - 삽교호
죄송합니다. 페이지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삽교호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충청남도의 하천 - 삽교천
삽교천은 현재 문서가 제공되지 않아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 충청남도의 하천 - 금강
금강은 전북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충남과 전북 경계를 따라 서해로 흐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송로이자 백제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현대에는 댐과 하굿둑이 건설되어 농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에 활용된다.
곡교천 | |
---|---|
개요 | |
명칭 | 곡교천 |
로마자 표기 | Gokgyo-cheon |
한글 표기 | 곡교천(곡꾜천) |
한자 표기 | 曲橋川 |
지리 | |
수계 등급 | 삽교천 수계 제1지류 |
수계 | 삽교천 수계 |
종별 | 국가하천 |
길이 | 84.6km |
유역 면적 | 1,007.03km² |
발원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 차령 |
하구 | 삽교천 |
유로 |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
유역 |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
2. 하천 경로 및 명칭
곡교천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차령 북쪽에서 발원하여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하천이다.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행정리를 지나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와 소정면 운당리·소정리·대곡리를 거쳐 다시 천안시로 들어와 동남구 풍세면 가송리·두남리·용정리·삼대리, 아산시 배방읍·염치읍·온양동·신창면·선장면·탕정면 등을 경유하여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서 삽교천으로 흘러든다.
2. 1. 발원 및 유역
충청남도 천안시 광덕면 차령 북쪽에서 흐르기 시작하며 광덕면 원덕리에서 지방하천으로 바뀌고, 아산시 온양동에서 온양천과 만나 국가하천으로 다시 바뀐다.[3][1]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하구 부근인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서 삽교천과 합류한다.[3]곡교천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에 있는 차령(190m) 일대에서 발원하여,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행정리를 지나 세종특별자치시의 전의면 유천리와 소정면 운당리·소정리·대곡리를 거쳐 다시 천안시로 들어와 동남구 풍세면 가송리·두남리·용정리·삼대리, 아산시의 배방읍·염치읍·온양동·신창면·선장면·탕정면 등을 경유하여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서 삽교천으로 흘러든다.
풍세천, 용천, 천안천, 매곡천, 용두천, 온양천 등의 지류가 곳곳에서 흘러든다.
2. 2. 지류
곡교천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에 있는 차령(190m) 일대에서 발원하여,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행정리를 지나 세종특별자치시의 전의면 유천리와 소정면 운당리·소정리·대곡리를 거쳐 다시 천안시로 들어와 동남구 풍세면 가송리·두남리·용정리·삼대리, 아산시의 배방읍·염치읍·온양동·신창면·선장면·탕정면 등을 경유하여 아산시 인주면 대음리에서 삽교천으로 흘러든다.풍세천, 용천, 천안천, 매곡천, 용두천, 온양천 등의 지류가 곳곳에서 합류한다.
2. 3. 명칭 유래 및 별칭
과거 아산시 염치읍 일대에 나무로 만든 굽은 다리가 있었고, 하천 앞의 마을을 굽은 다리(고분 다리)라고 불렀으며, 한자로는 곡교리(曲橋里)라고 불렀다. 동시에 마을 앞의 하천을 굽은 다리천(고분 다리천), 또는 곡교천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1872년 지방지도에 곡교와 곡교점(曲橋店)이 나타나고, 대동여지도에도 곡교가 나타나지만, 하천의 명칭은 미륵천(彌勒川)으로 표시되어 있다.[3]곡교천은 일부 구간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풍세면에서는 한천(한천|한천한국어), 한내(한내|한내한국어), 봉강천(봉강천|봉강천한국어)이라고 불리며, 아산시 배방읍에서부터는 *쑥개* (쑥개|쑥개한국어), 봉호(봉호|봉호한국어), 봉강(봉강|봉강한국어), 봉강천이라고 불린다.[3]
상류에서는 지금도 굽은 다리내라고 불리며, 아산시 염치읍 곡교리에 이르러 곡교천이라고 불린다. 곡교천 또는 굽은 다리내라는 명칭은 강의 굴곡이 심하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섶나무(섭나무|섶나무한국어)로 다리를 만들 때 다리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아치형으로 위로 구부리듯이 만든 다리라는 의미이기도 하다.[6]
3. 하천 등급
곡교천은 삽교천으로 유입되는 삽교천 수계의 제1 지류로, 대략적인 구간은 국가하천이지만, 일부 구간은 지방 1급 하천과 지방 2급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1] 천안 지역에 해당하는 구간은 지방 1급 하천과 지방 2급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다.[3] 곡교천의 지방 1급 하천 구간은 대통령령 제16535호에 의거하여 광덕면 행정리부터 아산시의 국가 하천 종점까지 지정되었고, 지방 2급 하천 구간은 충청남도 고시(1964년 1월 20일)에 의거하여 광덕면 원덕리부터 행정리의 종점까지 지정되었다.[3]
4. 역사 및 문화
유역 일대에는 충무공 이순신 유적지인 이충무공 유허(사적 제155호)와 이충무공 묘소(사적 제112호), 온양민속박물관, 풍세마애불, 온양아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6] 또한 아산시내 곡교천의 하천 부지는 개발이 활발하여 곡교천 시민 체육공원과 곡교천 은행 가로수길 등이 있다. 특히 곡교천 은행나무 가로수길은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5. 주변 환경
충무공 이순신 유적지인 이충무공 유허(사적 제155호)와 이충무공 묘소(사적 제112호), 온양민속박물관, 풍세마애불, 온양아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6] 아산시내 곡교천의 하천 부지는 개발이 활발하여 곡교천 시민 체육공원과 곡교천 은행가로수 길 등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곡교천 은행나무 가로수길은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
6. 활용
참조
[1]
웹사이트
삽교호수계의 수질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하천현황자료 구축
https://www.cni.re.k[...]
忠南発展研究院
2007-10-31
[2]
문서
デジタル天安文化大典は、国家河川区間・地方1級河川区間・地方2級河川区間でそれぞれ区切って、流域面積は545.08km2・396.84km2・65.11km2、河川延長は18.39km・20.5km・6.59km、流路延長は49.18km・25.33km・10.09kmと記載している。ここではそれらを合計して記載した。
[3]
문서
デジタル天安文化大典
[4]
문서
挿橋湖水系の水質総量管理制施行による河川現況資料構築, 2007, p.6
[5]
문서
挿橋湖水系の水質総量管理制施行による河川現況資料構築, 2007, p.8
[6]
문서
「曲橋川」『ダウム百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