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지 미사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대지 미사일은 항공기에서 지상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도 미사일이다.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로켓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기술이 발전했다. 유도 방식에 따라 1세대부터 5세대로 구분되며, 현대에는 레이저 유도, GPS/INS 유도, 데이터링크 등을 활용하여 정밀 타격이 가능하다. 공대함, 대전차, 대레이더 등 다양한 목표에 사용되며, 무인기에도 탑재되어 사용된다. 주요 국가별로 다양한 종류의 공대지 미사일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현대전에서 항공 전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민간인 피해, 무인기 사용의 윤리적 문제,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대지 미사일 - AGM-84H/K SLAM-ER
AGM-84H/K SLAM-ER은 미국 보잉사가 개발한 공대지 미사일로, 다양한 항공기에서 발사 및 통제 가능하며, 이라크 전쟁 등에 사용되었고 대한민국 공군도 운용한다. - 공대지 미사일 - AGM-129 ACM
AGM-129 ACM은 레이시온과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스텔스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로, B-52H 폭격기에 탑재되어 운용되었으나 냉전 종식 후 생산이 축소되어 2012년에 퇴역하였다.
공대지 미사일 | |
---|---|
개요 | |
![]() | |
유형 | 공대지 미사일 |
다른 명칭 | ASM (Air-to-Surface Missile) AGM (Air-to-Ground Missile) |
개발 국가 | 여러 국가 |
사용 국가 | 여러 국가 |
설계 및 개발 | |
설계 | 특정 회사가 아님 |
개발 | 특정 회사가 아님 |
특징 | |
발사 플랫폼 | 고정익기 |
유도 방식 | 관성 항법 장치 (INS) 위성항법장치 (GPS) 레이저 유도 영상 적외선 (IIR) 전파 방해 전파원 추적 데이터 링크 |
사거리 | 매우 다양함 |
탄두 | 고폭탄 (HE) 파편탄 침투탄 집속탄 |
용도 | 지상 목표물 공격 함선 공격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 대함 미사일 순항 미사일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은 로켓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 최초의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과 최초의 공대지 미사일인 Hs293을 개발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기술은 전승국으로 이전되어 미국의 AGM-12 불펍, 프랑스의 SS.10, 스웨덴의 Rb04C 등 다양한 공대지 미사일 개발로 이어졌다.[1]
2. 1. 기원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인 독일은 항공기를 비롯한 여러 병기 개발에 제한을 받았지만, 로켓 기술은 예외였다. 당시 로켓은 비행선 공격 외에는 큰 용도가 없어 미개척 병기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독일 국방군은 이 점에 주목하여 로켓 기술 개발을 추진했다.[1]그 결과, 세계 최초의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과 세계 최초의 로켓 전투기인 Me163이 탄생했다. 독일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항공기에서 군함을 공격하기 위한 유도 무기 개발도 진행했다. 그 결과 세계 최초의 동력식 유도 폭탄인 Hs293이 탄생했다. Hs293은 미사일 꼬리 부분의 분사 화염을 육안으로 보면서 수동으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일하게 완성된 동력식 유도 폭탄이자 최초의 공대지 및 공대함 미사일이었다. 그러나 Hs293은 주로 수송선 공격에 사용되었는데, 탄두가 일반적이고 속도가 느려 장갑을 갖춘 군함에는 효과가 적었으며, 미사일을 유도하는 동안 모기가 대공포화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기 때문이다.[1]
2. 2.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의 공대지 미사일 기술은 전승국으로 이전되어 더욱 발전하였다. 1955년 미국은 최초의 성공작인 AGM-12 불펍(ASM-N-7)을 완성하였다. 이는 수동 조종 방식의 무선 유도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형태 등이 세련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독일의 Hs293과 거의 동일한 방식이었다.[1] 같은 해 프랑스 역시 독일의 미사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SS.10을 개발하여 성공을 거두었다.[1]미국은 불펍에 이어 AGM-62 월아이를 실용화하였다.[1] 월아이는 추진 장치가 없어 엄밀히 말하면 미사일은 아니지만, TV 유도 방식을 실용화하여 유도가 어렵다는 불펍의 약점을 해결하였다.[1]
한편, 1958년 스웨덴은 세계 최초로 액티브 레이더 유도 방식을 채택한 Rb04C를 개발하였다.[1] 이후 Rb04C의 후속 모델인 Rb04E가 개발되었다.[1]
3. 시대에 따른 분류
공대지 유도탄은 그 유도 방식의 변천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아래는 유도탄이 아닌 유도폭탄에 관한 설명이다.
3. 1. 1세대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폭격기에서 대규모로 투하하는 폭탄은 무유도 자유낙하 방식이었기 때문에 명중률이 낮고 효율이 떨어졌다.[1]현대에도 MK84 등 유도 능력이 전혀 없는 폭탄을 대규모로 투하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2] 공대지 무기에 포함되지만, 유도 능력이 없으므로 공대지 유도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2]
3. 2. 2세대
2세대 공대지 미사일은 베트남 전쟁 당시 최초로 등장한 레이저 유도 폭탄을 포함한다. 레이저 반사파를 쫓아가는 방식으로 유도되며, GBU-10, GBU-12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때부터 전폭기를 이용한 정밀 폭격이 가능해졌다.3. 3. 3세대
관성 유도 장치(INS)와 위성 항법 장치(GPS)를 이용한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합동직격탄(JDAM)이 여기에 해당된다.레이저 유도폭탄처럼 표적 지시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단, 표적을 인식하고 따라가는 게 아닌 좌표점을 향하는 것이므로 고정 표적에는 효과적인 명중률을 자랑하지만, 이동 표적은 타격이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MK84와 같은 무유도 폭탄에 항법 장치와 유도핀을 달아 사용한다.
3. 4. 4세대
3세대의 GPS/INS 추적 시스템에 레이저 유도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일정 거리까지는 GPS/INS 유도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하다가 표적에 근접하면 레이저 유도 추적방식을 이용하여 목표물을 명중시킨다.[1]고정/이동 표적을 모두 타격할 수 있으며, Fire & Forget이 가능하여 사수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F-16, F-15 등 전폭기나 B-2, B-52와 같은 폭격기에서 주로 투하하며, MQ-9 등 무인정찰기에 탑재하기도 한다.[1]
주로 LJDAM이라고 불리며, 대표적으로 GBU-54가 LJDAM이다.[1]
3. 5. 5세대
5세대 공대지 유도탄은 전술 데이터링크에서 내려받은 자료를 따라 범지구 위치결정 시스템/INS, 반능동 레이저 유도를 모두 사용하면서 고정/이동 목표물 모두 정밀 타격이 가능하다.무인기에 적용이 가능하며, 전술 데이터링크가 무인기와 연동될 시 6세대로 구분된다.
4. 현대의 공대지 미사일
현대의 공대지 미사일은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과거에는 주로 비유도 로켓이나 자유 낙하 폭탄이 사용되었지만, 현대에는 정밀 유도 기술이 적용된 미사일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미사일은 레이저, 적외선, GPS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통해 목표물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다.
또한, 미사일은 목표물의 종류에 따라 공대함 미사일, 대전차 미사일, 대레이더 미사일,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 등으로 세분화된다. 하지만, 하나의 미사일이 여러 종류의 목표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소형 무인기(드론)의 발달로 인해, 드론을 이용한 원격 조작 대지 공격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격은 정밀 유도 기술을 통해 특정 인물을 암살하는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된다.[8]
4. 1. 목표에 따른 분류
현재는 미사일이 대상으로 하는 목표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로 세분화되어 취급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다만 이 카테고리는 반드시 엄격한 것은 아니며, 같은 미사일이라도 파생형으로 대함용과 대지상용, 또는 대전차용 등 여러 종류의 목표에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또한 소형 무인기(드론)의 발달로 원격 조작에 의한 대지 목표 공격에도 사용되고 있다. 정밀 유도를 통해 표적 암살 등도 이루어지고 있다.
4. 2. 주요 국가별 공대지 미사일 목록
국가 | 미사일 |
---|---|
대한민국 | |
아르헨티나 | |
브라질 | |
중국 | |
프랑스 | |
독일 | |
인도 | |
이스라엘 | |
이란 | |
노르웨이 | |
파키스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스웨덴 | |
중화민국(대만) | |
튀르키예 | |
영국 | |
미국 | |
러시아 |
4. 3. 현대의 대표적인 공대지 미사일
AGM-86 ALCM은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이다.[8] AGM-65 매버릭은 대전차, 대함 등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공대지 미사일이다. AGM-88 HARM은 대레이더 미사일이다. SLAM은 하푼 미사일을 개량한 공대지 미사일이다. 브림스톤은 대전차 미사일이다. SCALP-EG/스톰 섀도는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이다. KEPD-350 타우러스는 공중 발사 순항 미사일이다. Kh-47M2 킨잘은 공중 발사 탄도 미사일이다.5. 논란 및 비판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Kuzgun Modular Joint Ammunition Developed by TÜBİTAK SAGE Displayed
https://www.raillyne[...]
2021-08-17
[2]
웹사이트
KUZGUN Modular Munition Family at IDEF 2021.
https://www.savunmat[...]
2021-08-17
[3]
웹사이트
USAF reveals slimmed-down SACM air-to-air missile concept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6-02-25
[4]
웹사이트
Raytheon selected to deliver next-generation tactical air-to-air missile solutions | IHS Jane's 360
http://www.janes.com[...]
2017-03-26
[5]
웹사이트
Raytheon to research tactical missile capabilities
http://www.upi.com/B[...]
[6]
웹사이트
Textron explores capabilities for next-generation GBU-X munition
https://insidedefens[...]
2015-11-19
[7]
웹사이트
Small Advanced Capabilities Missile - Cord Master Engineering
http://cordmaster.co[...]
2016-02-29
[8]
웹사이트
Next Gen Kh-32 ant-ship cruise missile tests drawing to a close in Russia
http://www.navyrecog[...]
[9]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10]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https://archive.org/[...]
Ospr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