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 앤 포겟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이어 앤 포겟(Fire-and-Forget)은 미사일이 일단 표적을 포착하면 발사 후 조준 없이 자체적으로 표적을 추적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발사체나 관측자가 표적을 계속 주시해야 하는 위험을 줄여준다. 파이어 앤 포겟 미사일은 표적 정보를 발사 전에 입력받거나, 자이로스코프, GPS, 레이더, 적외선 시커 등의 조합으로 표적을 추적한다. 대전차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대한민국은 FIM-92 스팅어, FGM-148 재블린 등의 파이어 앤 포겟 미사일을 운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일 유도 - 적외선 유도
적외선 유도는 적외선 센서로 목표물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유도 방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사일에 적용되어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수동, 반능동, 능동 방식으로 분류되고 플레어나 재머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 미사일 유도 - 능동 레이더 유도
능동 레이더 유도는 미사일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목표물을 추적하는 레이더 호밍 유도 방식으로, 발사 후 망각 능력을 제공하며 전자전 환경에서 높은 명중률을 보이지만, 미사일 탑재 공간 및 전력 제약으로 유효 사거리가 제한될 수 있어 교전의 종말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파이어 앤 포겟 | |
---|---|
미사일 유도 방식 | |
종류 | 미사일 유도 방식 |
설명 | 발사 후 목표를 향해 스스로 유도되는 방식 |
특징 | |
장점 | 발사 플랫폼의 생존성 향상 다중 목표 교전 능력 향상 사격 후 즉시 회피 가능 |
단점 | 목표 식별 및 추적 능력 제한 복잡한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 가능성 높은 개발 비용 |
기술적 측면 | |
유도 방식 | 적외선 유도 레이더 유도 영상 유도 GPS 유도 |
데이터 링크 | 발사 후 목표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링크 사용 가능 |
활용 | |
사용 분야 | 공대공 미사일 지대공 미사일 공대지 미사일 대전차 미사일 함대공 미사일 함대함 미사일 |
예시 | |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AIM-120 암람 미티어 |
대전차 미사일 | FGM-148 재블린 스파이크 AGM-114 헬파이어 |
함대함 미사일 | 하푼 엑조세 |
추가 정보 | |
주의 사항 | 발사 후 망각 (Fire-and-Forget) 방식은 모든 상황에 적합하지 않음 목표 환경 및 미사일 성능에 따라 유도 성공률이 달라짐 |
2. 개념
지금까지의 많은 유도 미사일은 발사 모체에 의해 표적에 착탄할 때까지 조준, 유도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관측기·관측 헬기나 특수 부대에 의한 레이저 등으로 조준 조사를 필요로 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조준만 지속되면 명중할 확률이 상당히 높아진다고는 하지만, 발사 모체나 관측기·특수 부대 대원 등이 표적을 계속 포착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위험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경우, 조준을 유지함으로써 기동이 제한되어 그만큼 다른 적기에 노려질 위험성이 높아진다. 또한, 특수 부대원에게는, 아무리 귀중한 대원에게 레이저 조준기를 갖게 하여 적지에 잠입시켜, 조준에 전념하게 되므로, 그들을 위험에 노출시킨다는 인적 자원 비용 문제도 있다.
3세대 대전차 미사일은 파이어 앤 포겟, 즉 발사 후 망각형으로, 발사 버튼만 누르면 조작자가 더 이상 미사일을 유도하지 않고도 미사일이 자동으로 목표물을 찾아 명중한다. IR(적외선) 추적 미사일도 파이어 앤 포겟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파이어 앤 포겟(Fire-and-Forget) 능력을 갖춘 미사일은, 일단 표적을 포착할 수 있으면 (소위 록온), 나머지는 발사하는 것만으로 미사일 자체가 능동적으로 표적을 추적하기 때문에, 조준을 계속할 필요가 없어진다.
표적에 관한 정보는, 미사일이 발사되기 직전에 미사일 본체에 프로그래밍된다. 사격 통제 시스템 등에 따라 다르지만, 표적의 좌표뿐만 아니라 속도를 포함한 레이더 측정 정보, 나아가서는 IR(적외선) 이미지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미사일 발사 후, 미사일 자체가 자이로스코프나 GPS, 레이더, 적외선 시커·적외선 촬영 장치(광파 호밍 유도) 등(또는, 그 조합)으로 표적을 계속 추적한다. 몇몇 시스템에서는, 파이어 앤 포겟 기능뿐만 아니라, 표적에 관한 정보를 미사일에 계속 보낼 수도 있다.
3. 세대별 발전
4세대 전투기들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한 후 기수를 돌려 도망치거나 다수의 적을 상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공대공 미사일에 내장된 시커가 자동 추적을 하기 때문이다.
3. 1. 대전차 미사일
대전차 미사일의 1세대는 MCLOS(Manual Command to Line of Sight) 방식을 사용한다. 사람이 직접 가시거리에서 조준해서 쏘는 비유도 방식이다. AT-3 새거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2세대는 SACLOS 방식을 사용한다. 유선으로 유도해서 목표물에 명중할 때까지 사람이 끝까지 유도해 조종하는 방식이다. 미국의 BGM-71 토우 미사일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렸다.
3세대는 파이어 앤 포겟으로서, 발사 버튼만 누르고 나면 사람이 더는 미사일을 유도하지 않는다. 자동으로 목표물을 찾아가서 명중한다. 미국의 FGM-148 재블린 미사일, 소련의 비키르 미사일, 독일의 PARS 3 LR, 이스라엘의 LAHAT,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 인도의 Nag가 3세대 대전차 미사일이다. 이들 중 다수는 적외선 호밍 미사일이며, 나머지는 (예: AIM-120)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이다.3. 2. 공대공 미사일
공대공 미사일의 경우, AIM-7과 R-27과 같은 반능동 형식에서 AIM-120과 R-77과 같은 능동 레이더 유도 방식으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AIM-120 AMRAAM과 같이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미사일이나, 적외선 호밍 미사일 역시 파이어 앤 포겟 기능을 제공한다.[1]
4세대 전투기들은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한 후 기수를 돌려 도망치거나 다수의 적을 상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미사일에 내장된 시커가 자동 추적을 하기 때문이다.
일본과 영국은 JNAAM 미사일이라는 차세대 공대공 미사일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양국이 보유한 최신형 공대공 미사일 기술을 협력하여 차세대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은 파이어 앤 포겟 기능이 있는 공대공 미사일 목록이다.
미사일 |
---|
AAM-4 (99식 공대공 미사일) |
AIM-9 사이드와인더 |
AIM-54 피닉스 |
AIM-120 AMRAAM |
IRIS-T |
MICA |
PL-12 |
빔펠 R-27 |
빔펠 R-73 |
빔펠 R-77 |
파이어스트릭 |
레드 딘 |
레드 탑 |
3. 2. 1. JNAAM 개발 현황
MBDA 미티어 미사일은 이전 세대 미사일인 R.530이나 미카에 비해 사용국 및 플랫폼이 적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영국과 일본은 공동 개발을 통해 좀 더 다양한 기종에 통합(인티) 가능한 차세대 공대공유도탄을 개발하고자 한다.참여국 | ||
---|---|---|
기반 | 미티어 미사일 | AAM-4B |
주요 기술 | 소형 시커 |
- 제조: MBDA/BAE, 미쓰비시 전기
- 실전 배치: 2024년 개발 완료 예정
- 탄두: HE 파편 효과 폭발형
- 유도 방식: 중간 INS + COLOS (관성 · 지령 유도), 종말: 액티브 레이더 호밍 (Active Rader Homing, ARH)
- 사거리: 공식 100km 이상
- 속도: 마하 4~5
3. 2. 2. JNAAM 예상 성능
JNAAM 미사일은 일본과 영국이 공동 개발하는 차세대 공대공 미사일 프로젝트이다. 양국이 보유한 최신형 공대공 미사일 기술을 협력하여 차세대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1]현재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유럽의 MBDA 미티어 미사일은 이전 세대 미사일인 R.530이나 미카에 비해 사용국/플랫폼이 적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영국과 일본이 공동 개발하여 좀 더 다양한 기종에 통합(인티)된 차세대 공대공유도탄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1]
참여국 | ||
---|---|---|
기반 | 미티어 미사일 | AAM-4B |
주요 기술 | 소형 시커 | |
제조 | MBDA/BAE, 미쓰비시 전기 | |
실전 배치 | 2024년 개발 완료 예정 | |
탄두 | HE 파편 효과 폭발형 | |
유도 방식 | 중간: INS + COLOS (관성 · 지령 유도), 종말: 액티브 레이더 호밍 (Active Rader Homing, ARH) | |
사거리 | 공식 100km 이상 | |
속도 | 마하 4~5 |
4. 적용 사례
이들 중 다수는 적외선 호밍 미사일이며, 나머지는 (예: AIM-120)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이다.
5. 대한민국의 파이어 앤 포겟 미사일
미사일 |
---|
AGM-84H/K SLAM-ER |
AAM-4 (99식 공대공 미사일) |
Akeron MP |
AT-1K Raybolt |
AGM-65 매버릭 |
AGM-84 하푼 |
AGM-114L 롱보우 헬파이어 |
AIM-9 사이드와인더 |
AIM-54 피닉스 |
AIM-120 AMRAAM |
아카쉬 미사일 |
아스트라 미사일 |
브림스톤 |
브라모스 |
AM39 엑조세 |
FGM-148 재블린 |
FIM-92 스팅어 |
헤르메스 (미사일) |
HJ-9A |
IRIS-T |
Kh-25 (소련) |
Kh-29D |
Kh-35 |
Kh-59 |
LFK NG |
MICA |
MPATGM |
나그 |
PARS 3 LR |
PL-12 |
RBS 15 |
RIM-66 스탠다드 SM2 (블록 IIIB 및 IVA만 해당) |
RIM-174 스탠다드 ERAM |
스파이크 (미사일) |
SRAW 프레데터 대전차 미사일 |
01식 LMAT |
튀비탁-세이지 SOM (미사일) (터키) |
빔펠 R-27 |
빔펠 R-73 |
빔펠 R-77 |
FN-6 |
코르네트-EM |
9M123 크리산테마 |
9K333 베르바 |
P-800 오닉스 |
3M-54 칼리브르 |
스키프 (ATGM) |
셰르셴 |
HJ-12 |
나그/프로스피나 |
6. 관련 항목
- 락온
- 미사일
참조
[1]
웹사이트
Operational limitations of Fire-and-forget Missiles
https://web.archive.[...]
2018-03-29
[2]
웹사이트
Fire and Forget : The Proliferation of Man-portable Air Defence Systems in Syria
https://web.archive.[...]
2019-08-12
[3]
웹인용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8-03-29
[4]
웹인용
Fire and Forget : The Proliferation of Man-portable Air Defence Systems in Syria
https://web.archive.[...]
2019-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