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孔)씨, 공(公)씨, 공(貢)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구멍 공(孔)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1,869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순위 55위이다.[1]
'''공'''(公)씨는 전국시대 노나라 노소공의 아들 5명의 이름이었던 공(公)을 성씨로 삼은 것에서 유래하며, 공양(公羊), 공석(公石) 등 노나라 복성이었던 많은 가문이 공씨로 줄였다고 한다.
공(孔)씨는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91,869명으로 55위를 차지했으며, 시조는 공자의 53세손인 공소이다. 고려 시대에 창원 공씨로 불리다가 정조의 명으로 곡부 공씨로 개관되었다.
공(公)씨는 전국시대 노나라 노소공의 아들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2000년 인구조사에서 2,442명으로 150위를 기록했다. 김포 공씨가 대표적이다.
공(貢)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존재했으며, 수원 공씨와 인천 공씨가 있다. 수원 공씨의 시조는 공천원이며, 인천 공씨는 조선 시대에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2. 구멍 공 孔
2. 1. 연원
본관은 창원(昌原), 파평(坡平), 수원(水原), 부평(富平), 남양(南陽) 등 45본까지 있는 것으로 전해지나, 1794년(정조 18년) 국왕 정조의 명으로 곡부 공씨(曲阜 孔氏) 단본으로 되었다.[1]
공자의 53세손인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가 원(元)나라 순제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는데, 1351년(공민왕 즉위) 노국대장공주를 배종(陪從)하여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였다고 한다. 공소는 문하시랑평장사로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지고 관향을 창원(昌原)으로 사적(賜籍) 받음으로써 창원 공씨(昌原 孔氏)의 시조가 되었다. 시조 공소(孔紹)의 초명은 소(昭)였는데, 고려 광종의 이름과 같아 피휘(避諱)하여 소(紹)로 고쳤다고 한다.[1]
2. 2. 고려, 조선의 창원 공씨
공소의 아들 공여(孔帤)는 고려 말에 집현전태학사, 평장사와 지응양군천우위대장 등을 지냈다. 공여의 큰아들 공부(孔俯)는 고려 때 집현전태학사, 평장사 등을 지내고, 조선이 개국한 뒤 한성판윤, 보문각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공여의 둘째 아들 공은(孔㒚)은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1]
후손들은 고려와 조선시대 '''창원 공씨'''로 세계를 이어오다가, 1794년(정조 18년) 국왕 정조의 명으로 공자의 고향인 곡부로 개관(改貫)하게 되었다. 창원 공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 무과 급제자 25명을 배출하였다.[1]
3. 공평할 공 公
3. 1. 한국의 공(公)씨
공(公)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741가구, 2,44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50위이다.
김포 공씨(金浦 公氏)의 시조 공윤보(公尹輔)는 당 현종 때 안녹산의 난을 피해 755년(신라 경덕왕 14년)에 신라에 들어와 김포에 터를 마련하였다고 한다. 1478년(조선 성종 9년) 계공랑(啓功郞)으로 김포 천능사건으로 인하여 왕에게 직간을 하다가 미움을 받아 평안도 벽동(碧潼)으로 강제 이거 당한 공명례(公明禮)가 벽동파(碧潼派)의 파조가 되고, 세조 때 불복신(不服臣)으로 몰려 함경도 문천(文川)으로 유배된 공보언(公普彦)이 문천파(文川派)의 파조가 되었다.[2]
4. 바칠 공 貢
바칠 공(貢)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있었던 성씨이다. 본관은 수원(水原), 인천(仁川) 등이 전해진다.
4. 1. 수원 공씨
수원 공씨(水原貢氏)의 시조 공천원(貢天源)은 1227년(고려 고종 14년) 지문하성사 이부상서에 올랐다.[3]4. 2. 인천 공씨
인천 공씨(仁川貢氏)는 조선 연산군 2년(1496년) 공계우(貢繼禹)가 식년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중종 29년(1534년)에는 안성훈도(安城訓導) 공호중(貢好中)의 아들 공세영(貢世瑛)이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광해군 2년(1610년)에는 돈용교위(敦勇校尉) 공은남(貢殷男)의 아들 공신국(貢藎國)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4]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창원 공씨
[2]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김포 공씨
[3]
역사서
《고려사》 세가 권제22 고종(高宗) 14년 12월
http://db.history.go[...]
[4]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인천 공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