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곡부 공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곡부 공씨는 공자의 후손으로, 공자의 53세손 공소(孔紹)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공소는 고려 충정왕 때 고려에 귀화하여 창원 공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조선 정조 때 공자의 고향인 곡부(曲阜)로 본관을 바꾸었다. 주요 인물로는 공부, 공서린, 공진항, 공덕귀, 공로명, 공정택, 공성진, 공영민 등이 있으며, 과거 급제자를 다수 배출했다. 곡부 공씨는 어촌호, 고산호 등으로 분파되며, 항렬자를 사용한다. 2015년 기준 대한민국에 약 8만 9천 명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부 공씨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곡부 공씨 - 공지영
    1988년 등단한 소설가 공지영은 민주화 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를 조명하는 페미니스트 작가로서,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통해 사회적 논의를 활발하게 이끌어왔으나, 작품과 사회 활동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곡부 공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곡부 공씨 (曲阜 孔氏)
본관곡부 (중국 산둥성 취푸시)
중시조공소 (孔紹)
시조공자(孔子)
창시자공자
중시조공소 (孔紹)
국가한국 (현재), 중국 (기원)
지역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구성원74,135명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
관련 인물공덕귀
공성진
공형진
공지영
공유
공효진
공현주
공찬
민지(공민지)
역사
기원중국 산둥성 취푸시
고려파문하시랑 (門下侍郎)
기타
집성촌전라남도 고흥군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평택시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북도 진천군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남도 창녕군
부산광역시

2. 기원

공자(孔子)는 기원전 551년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에서 태어난 사상가이자 유교의 창시자이다.[5]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며, 그의 사상과 가르침은 제자들이 기록한 《논어》(論語)에 담겨 전해진다.

3. 역사

곡부 공씨는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로부터 시작된다. 공소는 1351년(충정왕 3) 원나라 한림학사로서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였다.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졌으며, 창원(昌原)을 사적(賜籍)받아 창원 공씨의 시조가 되었다.[8] 본명은 소(昭)였으나, 고려 광종의 이름과 같아 소(紹)로 개명하였다.

공소의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예곡동에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한다.

조선 정조 18년에 공자의 고향인 곡부(曲阜)로 본관을 바꾸었다.[9]

4. 본관

곡부(曲阜)는 중국 산둥성(山東省) 제령도(濟寧道)에 있는 지명으로, 주(周)나라 무왕(武王)의 동생 주공(周公) 단(旦)이 봉해진 지역이다.[9] 曲阜|취푸중국어

5. 분파

곡부 공씨는 크게 고려파(高麗派)와 그 하위 분파로 나뉜다.[5]

곡부 공씨 주요 계통 후손
– – – – – – - 점선은 입양을 나타냄
공환
?-1283
공소
1304-1381
공여
1329-1413
공부
1346-1416
공달
공달
공성길
공성길
공석
공석
공용
공용
공장
공장
공개손
공개손
공영민
공영민
공예동
공예동
공인백
공인백
공인남
공인남
공의
공의
공승원
공승원
공승업
공승업
공세충
공세충
공정록
공정록
공정신
공정신
공린
공린
공익
공익
공시준
공시준
공시열
공시열
공이성
공이성
공종로
공종로
공세창
공세창
공흥로
공흥로
공증로
공증로
공인로
공인로
공진
공진
공도창
공도창
공도기
공도기
공도신
1711-?
공문주
공문주
공흥주
1730-?
공경조
공경조
공사교
1778-?
공도병
공도병
공문호
1794-1855
공사의
공사의
공성기
1762-?
공윤대
1803-1864
공영동
1825-1882
공성열
1847-1895
공재봉
1870-1947
공석규
1894-1934
공순택
1928-1992
공완식
1950-
공용식
1954-
♀ 공윤아
1978-
♀ 공윤영
1980-
공병일
1979-
공문도
1981-


5. 1. 고려파(高麗派)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는 원나라 한림학사로 1351년(충정왕 3) 공민왕노국대장공주를 모시고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여 평장사(平章事)가 되었으며,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지고, 창원을 사적(賜籍)받음으로써 '''창원 공씨'''(昌原 孔氏)의 시조가 되었다. 중시조 공소(孔紹)의 본명은 소(昭)였는데, 고려 제4대 광종의 이름과 같아 피휘하여 소(紹)로 개명하였다.[8] 중시조의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예곡동에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1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고려와 조선 시대 창원 공씨로 세계를 이어오다가 1794년(정조 18) 공자의 고향인 곡부로 본관을 바꾸었다.[9]

공소의 후손들은 크게 어촌호(漁村戶)와 고산호(孤山戶)로 나뉜다.[10] 어촌호는 공부(俯)를 파조로 하며, 고산호는 공은(㒚)을 파조로 한다.

5. 1. 1. 어촌호(漁村戶)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원나라의 한림학사로서 1351년(충정왕 3)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를 배행하고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였다. 공부(俯)를 파조로 한다.

파명파조
생원공파(生員公派)공석
회안군파(檜安君派)공분
주부공파(主簿公派)공한수
감찰공파(監察公派)공극례
장성파(長城派)공명례


5. 1. 2. 고산호(孤山戶)

공은(㒚)을 파조로 한다. 공은의 후손으로는 공화(和)를 파조로 하는 제학공파(提學公派), 공종주(宗周)를 파조로 하는 효절공파(孝節公派), 공종주(從周)를 파조로 하는 참판공파(參判公派), 공인주(仁周)를 파조로 하는 충민공파(忠愍公派)가 있다.

6. 주요 인물


  • 공부(孔俯) : 공여의 큰아들. 자는 백공(伯恭), 호는 어촌(漁村). 본관은 창원(昌原). 1376년(고려 우왕 2) 문과에 급제, 전의 부령(典儀副令)ㆍ예조총랑(禮曹摠郞)을 거쳐 집현전 태학사(集賢殿太學士)가 되었다. 조선 개국 후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ㆍ별감제조(別監提調), 1413년(태종 13) 검교 한성 부윤(儉校漢城府尹) 등을 역임하고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갔다가 객사했다. 초서(草書)ㆍ예서(隸書)에 능했다.[1]
  • 공은(孔㒚) : 공여의 차남. 고려 말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르렀으나, 1392년(태조 1) 조선 개국 후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켰다.[1]
  • 공서린(孔瑞麟, 1483년 ~ 1541년) : 본관은 창원. 자는 희성(希聖)·응성(應聖), 호는 휴암(休巖). 1507년 생원이 되고, 그해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509년(중종 4) 좌랑으로서 정전예연(正殿禮宴)에서 여악(女樂)을 쓰지 말 것을 건의하였고, 사전체제(祀典體制)를 정비할 때 강경서(姜景敍)·김안국(金安國)과 더불어 기신재(忌晨齋) 혁파에 노력하였다. 1511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홍문관부수찬·수찬·사헌부지평을 역임하였다. 1516년 장령으로 경연(經筵)에 참석하여 노산군(魯山君)과 연산군의 입후문제(立後問題)를 제기하였고, 이듬해 시강관(侍講官)으로 경연에 참석하여 언로(言路)의 확장을 주장하였다. 1518년 『성리대전』 감독능력이 있는 인물로 선발되었고, 승지로 대간을 논박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물러났다. 1519년 좌승지로 다시 서용되었으나, 기묘사화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 인물과 함께 투옥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524년 남곤(南袞)의 주청으로 공조참의가 되었고, 1538년 경기도관찰사·대사헌(大司憲)을 역임하고 이듬해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1]
  • 공윤항(孔胤恒, 1769년 ~ ?) : 경기도 용인 출생. 1792년(정조 16) 초계문신친시(抄啓文臣親試)에서 장원 급제하였고, 17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796년 정언이 되었으며, 뒤에 병조좌랑을 지냈다.[1]
  • 공진항(孔鎭恒, 1900년 ~ 1972년) : 대한민국 제4대 농림부 장관이다.[1]
  • 공덕귀(孔德貴, 1911년 ~1997년) : 윤보선(尹潽善) 제4대 대통령의 영부인이며, 대한민국 제4대 영부인이다.[1]
  • 공로명(孔魯明, 1932년 ~ ) : 대한민국 제25대 외무부 장관이다.[1]
  • 공정택(孔貞澤, 1934년 ~ 2021년) : 대한민국 제16·17대 서울특별시 교육감이다.[1]
  • 공성진(孔星鎭, 1953년 ~ ) : 대한민국 제17·18대 국회의원이다.[1]
  • 공영민(孔永敏, 1954년 ~ ) : 대한민국 제44대 전라남도 고흥군수이다.[1]

7. 과거 급제자

시대구분성명
고려문과공부
조선문과공기, 공상린, 공서린, 공유동, 공윤항, 공재범, 공종주, 공헌동
무과공경록, 공대홍, 공도혁, 공사검, 공상렴, 공순달, 공시준, 공언충, 공열, 공영남, 공예길, 공인택, 공일관, 공제동, 공종길, 공주성, 공충로, 공학수, 공학주, 공현덕, 공후인, 공후찬, 공희도, 공희일
생원시공대붕, 공서린, 공인박
진사시공민표, 공상린, 공서린, 공원우, 공희성
율과공두식, 공두표, 공수원, 공승탁, 공재덕, 공재명, 공재욱, 공희로, 공희문, 공희성, 공희택
음관공언주, 공윤항, 공지문, 공철, 공필한, 공헌동


8. 항렬자

곡부 공씨는 시조로부터 74세부터 88세까지 다음과 같은 항렬자를 사용한다.[7]

74세75세76세77세78세79세80세81세82세83세84세85세86세87세88세
동(東)열(烈)재(在)석(錫)영(泳)식(植)희(熙)·병(炳)배(培)종(鍾)호(浩)권(權)섭(燮)규(圭)용(鎔)락(洛)


9. 집성촌

곡부 공씨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10. 인구

201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89,607명이 있다. 이 중 곡부 공씨는 89,331명, 창원 공씨는 276명이다.[1]

연도곡부 공씨 (가구)곡부 공씨 (명)창원 공씨 (가구)창원 공씨 (명)합계 (명)
1985년16,51168,95613458869,544
2000년22,75873,0933531,04274,135
2015년89,33127689,607


11. 가계도



곡부 공씨 주요 계통 후손[5]
– – – – – – - 점선은 입양을 나타냄
공환
?-1283
공소
1304-1381
공여
1329-1413
공부
1346-1416
공달
공성길
공석
공용공장
공개손공영민공예동
공인백공인남공의
공승원공승업공세충
공정록공정신공린공익
공시준공시열공이성공종로
공세창공흥로공증로공인로공진
공도창공도기공도신
1711-?
공문주
공흥주
1730-?
공경조
공사교
1778-?
공도병
공문호
1794-1855
공사의
공성기
1762-?
공윤대
1803-1864
공영동
1825-1882
공성열
1847-1895
공재봉
1870-1947
공석규
1894-1934
공순택
1928-1992
공완식
1950-
공용식
1954-
♀ 공윤아
1978-
♀ 공윤영
1980-
공병일
1979-
공문도
1981-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공 孔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간행물 곡부공씨어촌공파보 曲阜孔氏漁村公派譜 https://familysearch[...] 1936
[3] 뉴스 For Confucius and His Descendants, a cultural Comeback https://www.nytimes.[...] 2016-09-19
[4] 서적 《孔子世家譜》 文化艺术出版社 2009
[5] 간행물 곡부공씨세보 曲阜孔氏世譜 https://www.familyse[...]
[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7] 웹사이트 공씨(孔氏) 본관(本貫) 곡부(曲阜)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문서 《화천집》 권13, 元翰林學士高麗昌原伯孔公墓表
[9] 문서 《일성록》 제455책, 정조 18년(1794년) 3월 3일(경인) 4번째 기사 1794-03-03
[10] 서적 孔子世家譜 文化艺术出版社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