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효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곽효환은 1967년 전주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성장한 시인이다. 연합뉴스 기자 출신으로, 1996년 《세계일보》에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문학나무와 우리문화 편집자,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했으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서울 국제 문학 포럼 개최, 러시아 한국 문학 축제 기획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곽효환의 작품은 북방 의식과 타자 의식을 특징으로 하며, 시집으로 《인디오 여인》, 《지도에 없는 집》, 《슬픔의 뼈대》, 《너는》 등이 있다. 2013년 애지문학상, 2015년 편운문학상, 2016년 김건일문학상, 유심문학상, 2019년 김달진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편운문학상 수상자 - 최승자
최승자는 몸의 은유를 사용한 날카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여 1980년대 주목받는 시인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유신 독재와 군사정권 시대의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와 성적 억압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여성 시인으로서의 삶과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로 보여주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번역가이다. - 편운문학상 수상자 - 송재학
송재학은 1955년 영천 출생으로, 경북대학교에서 치의학을 전공하고 치과의사로 활동하며 시 「어두운 날짜를 스쳐서」로 등단하여, 이미지와 색채를 활용한 시를 통해 김달진문학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김남조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인 김남조는 1950년 등단하여 인간성과 생명력을 강조하는 시풍을 보이다가 로마 가톨릭 신앙 이후 기독교적 사랑과 윤리 의식을 주요 주제로 삼았으며, 감각적인 언어와 이미지로 인간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 - 노환균
노환균은 1957년생으로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용, 여러 검찰청에서 근무하며 경제범죄 및 부정부패 사건을 수사하고 울산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공안부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현대미포조선 사외이사를 지냈으며 현재는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개방이사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 검찰 출신 변호사이다. - 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 - 하태경
1968년 부산 출생의 하태경은 학생운동과 북한 민주화 운동가 활동 후 2011년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3선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개혁보수를 표방하는 정치인이다.
| 곽효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인물 정보 | |
| 출생일 | 1967년 |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시인 |
| 언어 | 한국어 |
| 학력 |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
| 장르 | 시 |
| 주제 | 한국 |
| 웹사이트 | 곽효환 소개 & 대표작 |
2. 생애
곽효환은 1967년 전주에서 태어났으나 서울에서 성장했다. 대학 졸업 후 연합뉴스에서 4년간 기자로 근무했다.[1] 1996년 《세계일보》에 "벽화 속의 고양이 3"을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 2002년에는 《시평》에 "수락산"을 포함한 6편의 시를 발표했다.[2] 그는 문학나무와 우리문화의 편집자를 역임했으며,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지냈다.[2]
곽효환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주관했다.[3] 2000년, 대산문화재단은 제1회 서울 국제 문학 포럼을 개최하여 한국 작가와 세계 각국의 저명한 작가들 간의 문화 교류를 증진했다. 이 포럼에는 한국 시인 고은, 미국 시인 게리 스나이더, 영국 소설가 마거릿 드래블, 번역가 안토니 형제가 참석했다.[4] 제2회 포럼은 2005년, 제3회는 2011년, 제4회는 2017년에 개최되었다.[5]
2003년에는 러시아 최초의 한국 문학 축제가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렸다. 이 축제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 고리키 세계 문학 연구소와 대산문화재단이 공동 주최했다.[6] 곽효환은 고리키 문학 대학에서 한국 시인 정현종, 문학평론가 유종호, 문학학자 조동일, 러시아 소설가 아나톨리 김, 연구원 김료호와 함께했다.[4]
2008년, 대산문화재단과 UC 버클리 한국학 연구소의 한국 작가 공동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마지막 해에 곽효환은 시 낭송회를 열고 프로그램의 미래 계획을 논의했다. 그는 그의 첫 시집 《인디오 여인》에 수록된 몇 편의 시를 낭송했다.[1] 그는 멕시코를 방문하여 멕시코 출판사 폰도 데 쿨투라 에코노미카와 한국과 멕시코 간의 문학 번역 프로젝트를 논의했다.
곽효환은 2013년 세계 작가 축제에 다른 한국 및 국제 시인들과 함께 참여했다.[7]
2. 1. 유년 시절과 성장
2. 2. 기자 생활과 등단
3. 문학 활동
3. 1. 초기 활동
3. 2. 대산문화재단 활동과 국제 교류
곽효환은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주관했다.[13][14][15] 2000년 제1회 서울 국제 문학 포럼을 개최하여 고은, 게리 스나이더, 마거릿 드래블 등 세계적인 작가들과의 교류를 증진했다. 이후 2005년, 2011년, 2017년에 후속 포럼이 개최되었다.[13][14][15]2003년에는 러시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러시아 최초의 한국 문학 축제를 개최했다.[13][14][15] 2008년에는 UC 버클리 한국학 연구소와 한국 작가 공동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 낭송회를 개최하고, 멕시코 출판사 폰도 데 쿨투라 에코노미카와 한-멕시코 문학 번역 프로젝트를 논의했다.[13][14][15] 2013년에는 세계 작가 축제에 참여했다.[13][14][15]
4. 작품 세계
4. 1. 북방 의식
곽효환의 문학은 한반도 북부 지역에 대한 관심, 즉 '북방 의식'을 특징으로 한다.[8] 그는 20세기 초 북부 지역 출신의 한국 시인들 (김동환, 백석, 이용악, 오장환, 유치환, 이육사 등)의 작품에 나타난 북방 의식을 연구하여 『한국 근대시의 북방 의식』(2008)을 출간했다.그는 중국의 단둥, 티베트, 신장 위구르 자치구, 시베리아, 바이칼호 등지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시집 『지도에 없는 집』(2010), 『슬픔의 뼈대』(2014)를 창작했다.[3]
곽효환에게 북방은 단순한 지리적 공간을 넘어, "바이칼 사람들"에서처럼 현대 문명에 의해 단절되고 황폐해지기 이전, 인간 본연의 삶이 보존된 따뜻하고 친절한 곳이었다.
동시에 북방은 "시베리아 횡단열차 2"에서 묘사된 것처럼 독립운동, 일제 강점기의 강제노역, 그리고 한국 반도의 분단 등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상기시키는 공간이다.[9] 곽효환은 북방을 “시작이자 끝”이라 하며, “비록 고립되고 강자에게 억압받더라도, 서로 마주하고 조화롭게 살 수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방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 “우리의 삶은 불협화음 속에 있으며, 우리는 그 평화로운 곳으로 돌아가고 싶어하지만 할 수 없다. 나는 그것을 표현하고 싶었다”라고 답했다.[10]
4. 2. 타자 의식
곽효환의 2018년 시집 『너는』은 자아와 타자 간 관계 형성에 대한 기존의 탐구에 사회역사적 상상력을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11] '너'는 '타자이면서 동시에 우리'이고, '시작이자 끝'이며, '나의 내부에 도달할 수 없는 타자'로 정의된다.[11]'너'는 일자리를 찾아 항구 도시로 떠난 뒤 곽효환이 끝없이 기다렸던 아버지이거나("마당을 건너다"), 생계를 위해 함경도, 프리모르스키 지방, 모스크바, 서울을 떠돌아다니는 고려인 청년("나는 고려 사람이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된다.[11] "2014년 여름, 광화문광장에서"에서 곽효환은 시위와 집회가 열리는 광화문광장을 배경으로, 모두가 자신을 내세우는 이 시대에 '너', 즉 '나'가 아닌 모든 존재들의 기반을 찾는 자신의 모습을 그렸다.[12]
곽효환은 '너', 즉 '나'가 아닌 다른 모든 사람들과 소통하려 하며, 그의 시는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로서의 '우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12]
5. 저서
5. 1. 시집
- Indio yeoin영어, 민음사, 2006
- Jidoe eomneun jip/지도에 없는 집한국어, 문학과지성사, 2010
- Seulpeumui ppyeodae/슬픔의 뼈대한국어, 문학과지성사, 2014
- Neoneun/너는한국어, 문학과지성사, 2018
5. 2. 연구서
- 《한국 근대시의 북방 의식》, 서정시학, 2008 / The Northern Consciousness in Modern Korean Poetry영어, Lyric Poetry (서정시학), 2008
5. 3. 편저 및 공저
- 《아버지, 그리운 당신》(공편), 서정시학, 2009
- 《구보 박태원의 시와 시론》(편), 푸른사상, 2011
- 《초판본 이용악 시선》(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편), 교보문고, 2012
- 《너는 내게 너무 깊이 들어왔다》(편), 교보문고, 2014
- 《이용악 전집》(공편), 소명출판, 2015
- 《청록집》(편), 교보문고, 2016
- 《별 헤는 밤》(편), 교보문고, 2017
6. 번역 작품
7. 수상
- 2013년 애지문학상을 수상했다.[22][16] 수상작은 「숲의 정거장」(Supui jeonggeojang)이다.
- 2015년 편운문학상을 수상했다.[23][18] 수상작은 「슬픔의 표대」(Seulpeumui ppyeodae)이다.
- 2016년 김건일문학상을 수상했다.[24][17] 수상작은 「슬픔의 표대」(Seulpeumui ppyeodae)이다.
- 2016년 유심문학상을 수상했다.[25][19] 수상작은 「마당을 건너다」(Madangeul geonneoda)이다.
- 2019년 김달진문학상을 수상했다.[26][20] 수상작은 「너는」(Neoneun)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aesan Foundation's Dr. Kwak Hyo Hwan Recites Poems at UC Berkeley
http://news.koreatim[...]
2008-02-15
[2]
웹사이트
곽효환 소개 & 대표작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19-11-27
[3]
논문
Kwak Hyo Hwan, Living as Many People with One Body
Writer’s World
2014
[4]
간행물
Today's Poet: Kwak Hyo Hwan
Poem Sijak (천년의시작)
2008
[5]
웹사이트
20 Years on the Path, 20 Years Down the Path
http://www.daesan.or[...]
[6]
웹사이트
Russia and South Korea Take a Big Step Toward a New Literary Landscape
http://www.daesan.or[...]
[7]
웹사이트
An Encounter with the World’s Literary Giants, 2013 World Writers’ Festival
http://www.dankook.a[...]
Dankook University website
[8]
뉴스
Summoning the North: Kwak Ho Hwan’s Poetry Collection ''Seulpeumui ppyeodae,''
https://www.yna.co.k[...]
Yonhap News
2014-01-15
[9]
웹사이트
Poet Kwak Hyo Hwan 'The North, the Stage of Severed History, is the Source of My Inspiration'
http://www.donga.com[...]
2014-01-22
[10]
뉴스
Kwak Hyo Hwan Publishes Poetry Collection ''Neoneun'', ‘People and Longing are Synonyms’
https://www.mk.co.kr[...]
Maeil Business News
2018-11-07
[11]
뉴스
''Neoneun'' (You Are) Not Different from Me or Us: Kwak Hyo Hwan’s Poetry Collection
https://www.mk.co.kr[...]
Maeil Business News
2018-10-28
[12]
웹사이트
너는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9-11-27
[13]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4]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5]
웹사이트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16]
웹사이트
Poet Kwak Hyo Hwan Receives Aeji Literary Award
https://www.seoul.co[...]
2013-10-21
[17]
웹사이트
Konkuk University Literary Society Selects Poet Kwak Hyo Hwan as Recipient of the '1st Kim Geon-il Literary Award
http://www.asiatoday[...]
2016-02-28
[18]
웹사이트
The 25th Pyeon-un Literary Prize Recipients and Award Ceremony
http://www.poetcho.c[...]
[19]
웹사이트
Kwak Hyo Hwan, Kim Ho-gil, Lee Do-heum, and Lee Yeong-chun Receive the Yushim Literature Prize
http://www.buddhismj[...]
2016-05-25
[20]
웹사이트
Poet Kwak Hyo Hwan and Literary Critic Kim Mun-ju Receive the Kim Daljin Literature Prize
https://www.edaily.c[...]
2019-05-29
[21]
웹인용
곽효환 소개 & 대표작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19-11-27
[22]
웹인용
Poet Kwak Hyo Hwan Receives Aeji Literary Award
https://www.seoul.co[...]
2013-10-21
[23]
웹인용
Konkuk University Literary Society Selects Poet Kwak Hyo Hwan as Recipient of the '1st Kim Geon-il Literary Award
http://www.asiatoday[...]
2016-02-28
[24]
웹인용
The 25th Pyeon-un Literary Prize Recipients and Award Ceremony
http://www.poetcho.c[...]
[25]
웹인용
Kwak Hyo Hwan, Kim Ho-gil, Lee Do-heum, and Lee Yeong-chun Receive the Yushim Literature Prize
http://www.buddhismj[...]
2016-05-25
[26]
웹인용
Poet Kwak Hyo Hwan and Literary Critic Kim Mun-ju Receive the Kim Daljin Literature Prize
https://www.edaily.c[...]
2019-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