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마케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계 마케팅은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교환을 목표로 하는 일련의 약정을 의미한다.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에 중점을 두며,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을 통해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관계 마케팅은 업무 재설계의 영향을 받아 조직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는 다기능적이고 프로세스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고객 만족, 고객 유지, 고객 생애 가치(CLV)를 중요하게 여긴다. 서비스 마케팅, B2B 마케팅, 내부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고객 관계 관리(CRM),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로열티 프로그램, 일대일 마케팅 등의 세부 기법이 존재한다. 레너드 베리, 에버트 검메슨, 크리스티안 그뢴루스 등이 관계 마케팅 분야의 주요 연구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객 관계 관리 -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ASP)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업 모델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직접 구매하거나 설치할 필요 없이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하며, ASP는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관리하여 최신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 고객 관계 관리 - 영업 자동화
영업 자동화는 영업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또는 기술을 활용하는 것으로, 199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2000년대 전후 정보 인프라 발달과 함께 보급이 확대되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과 연계되어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관계 마케팅 | |
---|---|
개요 | |
유형 | 마케팅 전략 |
목표 | 고객 유지, 고객 만족도 향상, 장기적인 고객 관계 구축 |
관련 개념 | 고객 관계 관리(CRM),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소셜 CRM |
특징 | |
핵심 요소 | 신뢰, 상호 약속, 장기적 관점 |
주요 활동 | 개인화된 커뮤니케이션, 고객 피드백 수렴,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장점 | 고객 충성도 증가, 긍정적인 입소문 효과, 경쟁 우위 확보 |
단점 | 초기 투자 비용 발생, 장기적인 노력 필요, 고객 관계 관리의 복잡성 |
적용 분야 | |
산업 | 금융, 보험, 통신, 유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 |
규모 | 대기업, 중소기업 모두 적용 가능 |
전략 | |
주요 전략 |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화된 마케팅 고객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개선 고객 로열티 프로그램 운영 고객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반영 |
구현 | CRM 시스템 도입 및 활용 데이터 기반 마케팅 자동화 도구 사용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고객 소통 강화 정기적인 고객 만족도 조사 실시 고객 대상 이벤트 및 프로모션 진행 |
역사 및 발전 | |
초기 단계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발전과 함께 등장 고객 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화된 마케팅 시작 |
발전 단계 | CRM 시스템의 도입 확산 고객 관계 관리의 중요성 인식 증대 |
현재 단계 |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고객과의 소통 방식 다양화 인공지능(AI) 기반의 개인화된 마케팅 강화 |
관련 연구 | |
주요 연구 분야 | 고객 충성도 및 유지 요인 분석 고객 관계의 질적 평가 관계 마케팅 성과 측정 고객 가치 창출 방안 연구 |
연구 동향 |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고객 행동 예측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고객 관계 강화 전략 연구 고객 경험 관리(CEM)의 중요성 부각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관계 마케팅" 관련 서적 다수 존재 |
관련 학술지 | Journal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기타 | |
관련 용어 | 고객 관계 관리(CRM)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고객 만족 고객 충성도 고객 경험 관리(CEM) |
2. 발전 배경
관계 마케팅은 전통적인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장 기회를 만들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전통적인 마케팅은 미국의 광대한 국토와 다수의 인구를 전제로 한 대량 생산, 대량 소비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북유럽과 같이 제한된 국토와 인구를 가진 국가에서는 신규 고객 획득보다 기존 고객과의 관계를 심화시키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이러한 인식은 인구 성장이 둔화된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4] 1983년에 L.L. Berry가 처음으로 제창한 것으로 여겨진다.[5]
정보 기술(IT)의 발전은 고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여 관계 마케팅의 실현 가능성을 높였다. 예를 들어, 자동차 제조업체는 반복 구매 고객의 구매 시기, 방법, 선택 사항, 구매 금융 등에 대한 데이터를 담은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여 일대일 마케팅 제안 및 제품 혜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특수한 상황: IMF 외환 위기
IMF 외환 위기는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고,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집중하게 되었다. 기업들은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관계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였다. 이 시기에는 특히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과 CRM(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경제 저성장 시대에는 신규 고객을 찾고 확보하는 것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기존 고객을 다시 구매하는 고객으로 유지하거나 다른 마케팅 제안을 해당 고객에게 하는 것이 마케팅 활동으로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되었다.
3. 주요 특징
관계 마케팅은 업무 재설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조직은 기능보다는 완전한 작업과 프로세스에 따라 구조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부서간 팀이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프로세스를 담당해야 한다. 반면 전통적인 마케팅은 생산 단계가 서로 다른 부서에서 처리되는 기능적 부서 방식을 사용하며, 마케팅 믹스의 4P, 즉 가격, 제품 관리, 프로모션, 유통에 초점을 맞춘다. 고든(1999)은 마케팅 믹스 접근 방식이 고객 관계를 평가하고 개발하는 데 제한적이므로, 고객, 관계, 상호 작용에 초점을 맞춘 관계 마케팅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7]
관계 마케팅은 조직의 모든 측면을 포함하는 다기능적 프로세스 중심이다.[7] 일부에서는 관계 마케팅이 일반적인 마케팅보다 더 많은 것을 포함하기 때문에 '관계 관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관계 마케팅은 영리 사업뿐만 아니라 자발적 부문[8] 및 공공 부문[9][10] 조직에도 유용할 수 있다.
크랜필드 경영대학원의 마틴 크리스토퍼, 에이드리언 페인, 데이비드 발렌타인은 관계 마케팅이 품질 관리, 고객 서비스 관리 및 마케팅 간의 합성을 이끌 잠재력이 있다고 주장한다.[11]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고객과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거래 관계 구축과 유지를 목표로 한다.
1980년대에 제창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학술 연구에서 크게 발전했다. 1983년 L.L. Berry가 처음으로 제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관계성 마케팅"으로 번역하는 학파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계 마케팅"(리레이션십 마케팅, Relationship Marketing)이 많이 사용된다.
북유럽 및 영국의 IMP(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와 북유럽 학파(Nordic School)에서는 관계와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학자로는 에베르트 굼메손, 크리스티안 그렌루스 등이 있다.
4. 접근 방식
관계 마케팅은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는 마케팅 방식이다. 여기에는 고객 만족, 고객 유지, 고객 생애 가치(CLV)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
4. 1. 고객 만족
고객 만족은 관계 마케팅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다. 기업은 고객의 기대를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고객 만족도는 고객 충성도와 재구매율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12] 회사를 통해 생산되거나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상대적인 가격과 품질은 일반적으로 고객 서비스와 함께 경쟁 회사에 비해 판매량의 정도를 결정한다.4. 2. 고객 유지
관계 마케팅은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 것보다 기존 고객을 유지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다.[16] 고객 유지율을 높이면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될 수 있다.[17]뷰캐넌과 질레스는 고객 유치 노력과 관련된 수익성 증가가 고객과의 관계가 구축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 때문에 발생한다고 설명한다.
- 고객 획득 비용은 관계 초기에만 발생하고, 관계가 길어질수록 상각 비용이 낮아진다.
- 계정 유지 비용은 총 비용 또는 수익의 비율로 감소한다.
- 장기 고객은 제품을 전환할 가능성이 낮고 가격에 덜 민감하여 안정적인 판매량과 수익 증가로 이어진다.
- 무료 입소문 홍보 및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
- 부수적인 제품과 높은 이윤의 보조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더 높다.
- 회사와의 관계에 만족하는 고객은 경쟁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낮아 경쟁사의 시장 진입이나 시장 점유율 확보가 어려워진다.
- 정기 고객은 프로세스에 익숙하고 '교육'이 덜 필요하며 주문에 일관성이 있어 서비스 비용이 절감된다.
- 고객 유지율과 충성도가 높아지면 직원의 업무가 쉬워지고 만족도가 높아져 선순환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20]
라이켈드와 새서(1990)는 고객 유지율이 5% 개선되면 산업에 따라 순현재가치 측면에서 수익성이 25~85% 증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7] 존 플레밍과 짐 아스플런드의 연구에 따르면, 몰입된 고객은 일반 고객보다 1.7배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며, 몰입된 직원과 몰입된 고객은 일반 수익의 3.4배에 달하는 수익 증가를 가져온다.[19]
고객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다.
- 고객 전환 장벽 구축
- 제품 번들링
- 상호 판매
- 상호 프로모션
- 로열티 프로그램
- 전환 비용 증가 (주택담보대출 해지 수수료와 같은 해지 비용 추가)
- 여러 조직의 컴퓨터 시스템 통합 (주로 산업 마케팅)
4. 3. 고객 생애 가치(CLV)
고객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Value)는 고객이 기업과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 창출하는 총 가치를 의미한다. 관계 마케팅은 고객 생애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객 생애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로열티 프로그램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다.5. 적용 분야
관계 마케팅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크리스토퍼, 페인, 발렌타인(Christopher, Payne and Ballantyne, 1991)은 관계 마케팅의 중심이 되는 6개의 시장을 제시하였다.[11]
시장 종류 | 내용 |
---|---|
내부 시장 | 직원과 같은 내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가치 제안을 제공하고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
공급업체 시장 | 모든 당사자가 상대방의 요구를 이해하고 기대를 초과하는 장기적인 관계를 보장하여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
채용 시장 | 추천 마케팅을 참고하여 추천을 자극하기 위한 마케팅 계획을 개발 및 실행한다. |
추천 시장 | 추천 마케팅을 참고하여 추천을 자극하기 위한 마케팅 계획을 개발 및 실행한다. |
영향력 시장 | 정부 규제 기관, 표준 기구, 로비스트, 주주, 은행가, 벤처 자본가, 재무 분석가, 증권 중개인, 소비자 단체, 환경 단체 및 노동 단체를 포함한 광범위한 하위 시장을 포함한다. |
고객 시장 |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
이들은 6개 시장 모두에 대한 마케팅이 조직 내 모든 사람의 책임이며, 각 시장은 자체적인 전략과 마케팅 믹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라이브인 마케팅(LIM)은 목표 소비자가 오랜 기간 동안 편안한 분위기에서 제품을 사용하거나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및 광고 방식이다. 영화 및 텔레비전의 제품 배치와 유사하게,[25] LIM은 전통적인 광고보다 덜 침습적이고 덜 현란한 방식으로 특정 목표 인구 통계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었다.
LIM은 마케팅 또는 광고 대행사가 기업의 타겟 고객에게 어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스폰서십, 직접적인 제품 배치 및 샘플링과 같은 방법이 활용된다. 최종 사용자가 편안하고 여유로운 분위기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여, 입소문 커뮤니케이션과 잠재적인 미래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유도한다.[26]
5. 1. 서비스 마케팅
관계 마케팅은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비스는 무형적이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며, 이질적이고, 소멸성이 강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상호 작용은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22]많은 제품에는 서비스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증가해 왔다.[21]
5. 2. B2B 마케팅 (기업 간 거래)
B2B 마케팅은 기업 간의 거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거래 규모가 크고, 의사 결정 과정이 복잡하며, 장기적인 관계가 중요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B2B 마케팅에서 관계 마케팅은 신뢰를 구축하고,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관계 마케팅은 기업과 공급업체 간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7] 제조업체는 공급업체에게 상응하는 책임을 맡기고 생산 과정에서 기술 및 자원 이점을 활용하여 마케팅 혁신을 개선하도록 한다.[7]
기업은 고객과의 관계 효과를 개선하려는 유인을 가진다. 고객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이터 및 정보에 대한 접근 비용이 낮을 때, 기업은 고객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그 비용을 지불한다. 통신 및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 비용이 실질적으로 감소했다.
고객 지향적 마케팅의 구현은 마케팅 혁신을 크게 촉진하고 기업이 기업과 고객 간의 전통적인 관계 모델을 돌파하여 새로운 제품을 제안하도록 장려할 수 있다.[7] 벤치마킹 고객 연구를 통해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혁신과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기업과 고객 간의 좋은 관계는 더 효율적인 벤치마킹으로 이어져 새로운 잠재적 제품을 식별하고, 신제품 개발 비용을 줄이며, 제품에 대한 시장 수용도를 높인다.[7]
기네스(Guinness, 1994)는 관계 마케팅을 마케팅 프로세스를 기업과 다양한 측면의 관계 및 네트워크 간의 상호 작용으로 간주하는 인식으로 주장한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기업은 거시 환경과의 관계, 미시 환경과의 관계, 시장 관계 및 특수 시장과의 관계, 이렇게 네 가지 관계에 직면한다. 또한, 기업은 관계 마케팅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관계 조정 및 진행의 모든 측면을 촉진할 수 있다.
5. 3. 내부 마케팅
관계 마케팅은 내부 마케팅을 강조하는데, 이는 조직 내에서 마케팅 지향성을 활용하는 것이다.[23] 협력, 충성도, 신뢰와 같은 많은 관계 마케팅 속성은 내부 고객(직원)의 말과 행동을 결정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회사의 모든 직원, 팀 및 부서는 서비스와 제품의 공급자이자 고객이다. 직원은 가치 사슬의 한 지점에서 서비스를 받고, 가치 사슬을 따라 더 나아가는 다른 직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내부 마케팅이 효과적이라면 모든 직원은 다른 직원에게서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제공한다. 또한 직원들이 자신의 역할의 중요성과 역할이 다른 사람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이해하도록 돕는다. 잘 구현되면 모든 직원이 고객의 가치 인식과 조직의 전략적 사명 측면에서 프로세스를 볼 수 있도록 장려할 수 있다. 효과적인 내부 마케팅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외부 마케팅 노력을 위한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23]
크리스토퍼, 페인, 발렌타인(Christopher, Payne and Ballantyne, 1991)은 관계 마케팅의 중심이 되는 6개의 시장(내부 시장, 공급업체 시장, 채용 시장, 추천 시장, 영향력 시장, 고객 시장)을 식별했다.[11] 그들은 직원과 같은 내부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여 그들이 제공되는 가치 제안을 제공할 수 있고 기꺼이 제공하도록 하는 필요성에 주목한 베리(Berry, 1983)의 연구를 언급했다.[24]
5. 4. 기타 분야
크리스토퍼, 페인, 발렌타인(Christopher, Payne and Ballantyne, 1991)은 관계 마케팅의 중심이 되는 6개의 시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11]시장 종류 | 내용 |
---|---|
내부 시장 | 직원과 같은 내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가치 제안을 제공하고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
공급업체 시장 | 모든 당사자가 상대방의 요구를 이해하고 기대를 초과하는 장기적인 관계를 보장하여 비용 절감 및 품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
채용 시장 | 추천 마케팅을 참고하여 추천을 자극하기 위한 마케팅 계획을 개발 및 실행한다. |
추천 시장 | 추천 마케팅을 참고하여 추천을 자극하기 위한 마케팅 계획을 개발 및 실행한다. |
영향력 시장 | 정부 규제 기관, 표준 기구, 로비스트, 주주, 은행가, 벤처 자본가, 재무 분석가, 증권 중개인, 소비자 단체, 환경 단체 및 노동 단체를 포함한 광범위한 하위 시장을 포함한다. |
고객 시장 | 고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
이들은 6개 시장 모두에 대한 마케팅이 조직 내 모든 사람의 책임이라고 보았으며, 각 시장은 자체적인 명확한 전략과 마케팅 믹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라이브인 마케팅(LIM)은 목표 소비자가 오랜 기간 동안 편안한 분위기에서 제품을 사용하거나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및 광고 방식으로, 영화 및 텔레비전의 제품 배치와 유사하다.[25] LIM은 전통적인 광고보다 덜 침습적이고 덜 현란한 방식으로 특정 목표 인구 통계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되었다.
LIM은 마케팅 또는 광고 대행사가 기업의 타겟 고객에게 어필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스폰서십, 직접적인 제품 배치 및 샘플링과 같은 방법이 활용된다. 최종 사용자가 편안하고 여유로운 분위기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샘플링할 수 있도록 하여, 입소문 커뮤니케이션과 잠재적인 미래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긍정적인 상호 작용을 유도한다.[26]
6. 세부 기법
관계 마케팅은 다양한 세부 기법을 통해 구현된다. 주요 기법으로는 고객 관계 관리 (CRM),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로열티 프로그램, 일대일 마케팅 등이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기적인 충성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1. 고객 관계 관리 (CRM)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는 고객 데이터를 수집, 분석, 활용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시스템이다. CRM 시스템은 고객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고객 맞춤형 마케팅을 지원한다.[22] CRM은 고객 만족도 향상, 고객 충성도 증진, 매출 증대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관계 마케팅의 실천은 여러 세대의 고객 관계 관리 소프트웨어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이는 각 고객의 선호도와 활동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반복 구매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는 시기와 방법, 선택 사항 및 구매 금융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는 일대일 마케팅 제안 및 제품 혜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광범위한 사용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견된다.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소비자 쇼핑 프로필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예상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큐레이션되고 예측된 제안은 교차 판매, 이메일 추천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제시될 수 있다.
6. 2.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은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고객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마케팅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법이다.[22] 고객의 구매 이력, 인구 통계학적 정보, 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타겟 마케팅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반복 구매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는 시기와 방법, 선택 사항 및 구매 금융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는 일대일 마케팅 제안 및 제품 혜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소비자 쇼핑 프로필을 구축하여 소비자의 예상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은 교차 판매, 이메일 추천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제시될 수 있다.
마케터는 가변 데이터 인쇄를 통해 각 수신자를 위한 고유하고 개인화된 자료를 제작할 수 있다. 이름, 주소, 인구 통계, 구매 내역 및 수백 가지의 다른 변수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문서를 개인화할 수 있다. 그 결과는 각 수신자의 개별 요구와 선호도를 반영하는 인쇄물로, 자료의 관련성을 높이고 응답률을 증가시킨다.
6. 3. 로열티 프로그램
로열티 프로그램은 고객의 반복 구매를 유도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마케팅 프로그램이다. 포인트 적립, 할인 혜택, 특별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로열티 프로그램은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경쟁사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6. 4. 일대일 마케팅
일대일 마케팅은 고객 개개인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마케팅을 의미한다. 고객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개인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대일 마케팅은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22]예를 들어, 반복 구매 고객이 제품을 구매하는 시기와 방법, 선택 사항 및 구매 금융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는 일대일 마케팅 제안 및 제품 혜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을 할 때 소비자 쇼핑 프로필을 구축하여, 소비자의 예상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은 교차 판매, 이메일 추천 및 기타 채널을 통해 고객에게 제시될 수 있다.
7. 주요 연구자 및 학파
관계 마케팅의 주요 연구자 및 학파는 다음과 같다.
- 레너드 베리 (Leonard L. Berry): 1983년 서비스 마케팅 학회에서 '관계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4]
- 에베르트 굼메손(Evert Gummesson): 북유럽 학파(Nordic School)를 이끈 관계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이다.[7]
- 크리스티안 그뢴루스(Christian Grönroos): 1980년대에 제창되어 1990년대 이후 학술 연구에서 크게 발전한 관계 마케팅의 대표적인 학자이다.[7]
- IMP 그룹 (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 1980년대에 제창되어 1990년대 이후 학술 연구에서 크게 발전한 북유럽 및 영국의 비즈니스 마케팅 연구자 그룹이다.[7]
7. 1. 레너드 베리 (Leonard L. Berry)
1983년 서비스 마케팅 학회에서 '관계 마케팅'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이 개념을 제시했다.[4] 레너드 베리는 기업이 고객과의 효과적인 관계를 획득, 유지, 증진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7. 2. 에버트 검메손 (Evert Gummesson)
에베르트 굼메손(Evert Gummesson)은 관계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 중 한 명으로, 북유럽 학파(Nordic School)를 이끌었다.[7] 그는 관계와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IMP(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에서도 활동했다.7. 3. 크리스티안 그뢴루스 (Christian Grönroos)
1980년대에 제창되어 1990년대 이후 학술 연구에서 크게 발전한 관계 마케팅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에베르트 굼메손과 크리스티안 그뢴루스 등이 있다. 이들은 북유럽 및 영국의 비즈니스 마케팅 연구자 그룹인 IMP(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와 북유럽 학파(Nordic School)에서 관계와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7]7. 4. IMP 그룹 (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
IMP(Industrial Marketing and Purchasing Group)는 1980년대에 제창되어 1990년대 이후 학술 연구에서 크게 발전한 북유럽 및 영국의 비즈니스 마케팅 연구자 그룹이다. IMP 그룹은 관계와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오고 있으며, 대표적인 학자로는 에베르트 굼메손(Evert Gummesson)과 크리스티안 그렌루스(Christian Grönroos) 등이 있다.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relationship marketing? definition and meaning
http://www.businessd[...]
2018-02-21
[2]
논문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s Perspectives from 1983 and 2000
2002
[3]
서적
Relationship Marketing
https://books.googl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2008-01-01
[4]
문서
"'Gift vs. commoditiy' debate revisited"
http://www.drustvo-a[...]
2008
[5]
서적
Relationship Market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6]
서적
Marketing The Core
McGraw-Hill Ryerson
[7]
논문
Cross-functional working relationships in marketing
http://link.springer[...]
1995
[8]
논문
Developing relationship marketing in the voluntary sector
https://www.tandfonl[...]
2006
[9]
논문
REMARKOR: Relationship Marketing Orientation on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https://pure.york.ac[...]
2015
[10]
논문
Multiple relationships with multiple stakeholders: the scope of relationship marketing for public services
2016
[11]
서적
Relationship Marketing
Butterworth-Heinemann, Oxford
[12]
서적
Managing Customer Value: Creating Quality and Service That Customers Can See
New York: Free Press
[13]
서적
Relationship Marketing: New Strategies, Techniques and Technologies to Win the Customers You Want and Keep Them Forever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Publishers
[14]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 Hall Europe
[15]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16]
서적
Principles of Marketing
[17]
간행물
"Zero defects: quality comes to services"
1990
[18]
간행물
"The fallacy of customer retention"
1992
[19]
웹사이트
Stage 4: How to Retain Your Profitable Customers
https://www.greenboo[...]
2019-08-20
[20]
간행물
"Value managed relationship: The key to customer retention and profitability"
1990
[21]
웹사이트
Transactional Vs. Relational Marketing
https://smallbusines[...]
2019-08-20
[22]
논문
Relationship Marketing: Positioning for the Future
1990-01-01
[23]
논문
Internal marketing and organisational behaviour:a partnership in developing customer- conscious employees at every level
1990
[24]
문서
Relationship Market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IL
1983
[25]
뉴스
Ad, Marketing Spending to rise 3.9% in 2008
Media Post
2008-07-16
[26]
간행물
The Viral Impact of Events
Event Marketing Institute
2007
[27]
웹인용
What is relationship marketing? definition and meaning
http://www.businessd[...]
2018-02-21
[28]
저널
Relationship Marketing of Services Perspectives from 1983 and 2000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