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교회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교회파는 잉글랜드 성공회 내에서 교회 권위에 대한 다양한 순응을 용인하는 신자들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여, 미국 성공회에서도 다양한 신학적 견해를 수용하려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 미국 성공회에서 신학적 자유주의가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재는 잉글랜드 성공회의 중심 교회파와 유사하게 저교회파와 고교회파 사이의 중간 정도의 예식 태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비유적으로 영국 노동당과 같이 다양한 이념적 견해를 가진 정당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는 1787년 첫 함대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어 식민지 사회에 기여하며 발전, 1962년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1년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여성 사제 및 주교 서임 허용과 LGBT 관련 문제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의 성공회 교회이다.
  • 성공회 - 고교회파
    고교회파는 17세기 영국 성공회 내에서 전례와 교회 전통을 중시하는 신학적 입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전통 옹호, 앵글로 가톨릭 유사성, 토리당 연관성, 현대적 이슈에 대한 내부 다양성 및 갈등 등의 특징을 보인다.
광교회파
개요
유형교회 정치 내의 입장
특징교리적 관용, 이성적 신앙 강조
역사적 배경
기원17세기 잉글랜드 국교회
관련 인물길버트 버넷
존 틸롯슨
벤저민 후들리
신학적 특징
강조점이성
관용
비본질적인 교리 문제에 대한 유연성
특징교리적 엄격성 약화
개인의 양심 강조
사회적 문제 참여
현대적 의의
영향자유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
현대 성공회의 포용적 성격 형성에 영향
관련 용어
관련 용어관용주의
자유주의 신학
성공회

2. 잉글랜드 성공회

잉글랜드 성공회에서 광교회는 앵글로-가톨릭주의와 복음주의의 중간 노선을 추구하며, 신학적 자유주의와 포용성을 강조한다. 광교회와 관련된 교구는 고교회와 저교회 형태를 혼합하여 절충적인 전례 및 교리적 선호도를 반영하며, 개별 교구민의 선택을 중시한다.[1]

광교회는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 개신교 성향을 띠는 중간 정도의 전례 선호를 가진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광교회 신자들은 일반적으로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이며, 때로는 문화적으로 보수적이지만, 카리스마적이고 복음주의적인 저교회 성공회, 적당한 고교회의 중앙 교회 성공회, 자유주의적이거나 "진보적인" 성공회, 앵글로-가톨릭 성공회를 포함하는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성공회를 지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들 사이에 명확한 경계를 긋는 것은 항상 가능하지는 않다.

2. 1. 역사적 배경

고교회와 저교회라는 용어가 한편으로는 앵글로-가톨릭주의로, 다른 한편으로는 복음주의로 성향을 구분하게 된 후, 교회 권위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순응을 용인하는 성공회 신자들을 "광범위한(broad)"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표현은 A. H. 클러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19세기 후반에 신학적 긍정적 정의에 반대하고 성공회 정관을 광범위하고 자유주의적인 의미로 해석하려 했던 성공회 신자들에게 널리 사용되었다.[1] 이 그룹의 대표적인 구성원으로는 1860년의 ''에세이와 리뷰(Essays and Reviews)'' 기고가들과 A. P. 스탠리가 있었다.[2]

2. 2. 현대적 의미

현대에는 "광교회파"라는 용어 대신 "자유주의"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로완 윌리엄스 전 캔터베리 대주교는 성공회의 유산을 "엄격한 복음주의 개신교", "로마 가톨릭", "종교적 자유주의"로 구분하며, 이들이 교회 내에서 공존한다고 언급했다.[3]

"광교회파"는 신학적으로 자유주의적인 개신교 성향을 가지면서도, 전례적으로는 중간 정도의 선호를 가진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3. 미국 성공회

미국 성공회(TEC)에서 "광교회파"라는 용어는 성공회라는 큰 틀 안에서 다양한 보수적, 자유주의적 신학 견해를 포용하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는 "저교회"/"복음주의"와 "고교회"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는 의례주의 논쟁과는 반대되는 입장이었다.

1874년에 설립된 미국의 교회 회의와 1867년에 설립된 감독 신학교와 같은 광교회파 기관들은 "모든" 입장과 견해를 수용하려 노력했다.[9] 교회 역사가 로버트 W. 프릿차드는 교회 회의가 교파적 통일을 강조한 덕분에 TEC가 "다른 미국 교파를 특징짓는 성경 연구에 대한 분열"을 피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또한 TEC가 "신학교나 대학 교직원에 대한 전면적인 심문"을 겪지 않은 것도 대부분 회의 덕분이라고 본다.[6]

광교회파 운동은 보수적인 파벌에서 쫓겨났을 수도 있는 자유주의적이고 진보적인 신학자들을 위한 공간을 제공했다.[12][13] 예를 들어 케임브리지의 감독 신학교는 "현대 성경 연구를 환영하는 최초의 감독 신학교"였다.[13]

3. 1. 자유주의와의 역사적 연관성

19세기 후반, 광교회 운동은 미국 성공회 내에서 신학적 자유주의가 자리를 잡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표면적으로는 교회 회의와 감독 신학교와 같은 광교회 기관들은 다양한 신학적 견해를 포용하려 노력했다.[9] 윌리엄 리드 헌팅턴은 "자유주의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포괄적이라는 의미에서 광교회파"라고 묘사되기도 했다.[5]

그러나 실제로는 광교회 운동을 통해 보수적인 교단에서 신학적 자유주의가 힘을 얻게 되었다. 교회 회의 지도자들은 "기본적으로 보수적인 교회에서 진보적인 자유주의자들"이었다.[7]

필립스 브룩스, 찰스 루이스 슬래터리, 윌리엄 리드 헌팅턴, R. 헤버 뉴턴 등은 광교회와 관련된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은 성경 비평을 수용하고,[13]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9] 공동기도서 개정을 통해 성별 포괄성을 높이고 원죄 교리를 약화시키는 등[18][19][20] 자유주의적 입장을 취했다.

3. 2. 현대적 사용

토머스 J. 브라운 주교에 따르면, "광교회파"라는 용어는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흔히 사용되었지만, 오늘날에는 흔히 사용되지 않는다.[4]

"광교회파"라는 용어가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오늘날 일부 성공회 교회에서는 예식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잉글랜드 성공회의 중심 교회파와 다소 유사하며, 저교회와 고교회 사이의 중간 정도에 해당한다.[26][27][28] 광교회파 교구는 공동 기도문 (1979)의 성찬례 2식을 선호할 수 있는데, 이는 1식보다 현대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반면 고교회파 교구는 1식을 선호할 수 있으며, 저교회파 교구는 성찬례 2식과 더 비공식적인 아침 기도를 번갈아 사용할 수 있다.[29]

오늘날, 역사적으로 광교회파(교회 회의의 의미에서)와 연관된 기관들은 스스로를 저교회파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앤 본니먼(2006-2011 재임)의 지도 하에 저교회파로 여겨졌지만 여전히 "광교회파 교구로 남은" 보스턴의 트리니티 교회가 있으며,[30] 그로턴 스쿨에서도 아침 기도를 여전히 드리고 있다.[31][32][33]

4. 정치에서의 사용

"광교회파"라는 용어는 정당, 특히 영국 노동당과 관련하여 비유적으로 사용되어 왔다.[34] 이는 하나의 조직 내에서 다양한 이념적 견해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광범위한 유권자 기반을 확보하려는 정당을 묘사할 수 있다.[35][36] 빅 텐트는 종교적 기원을 가진 유사한 용어로, 미국 정치에서 사용된다.[37]

5. 한국 성공회와 광교회

한국 성공회는 대한성공회라는 이름으로 1890년에 선교가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민족의 아픔에 동참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펼쳐왔다. 한국 성공회는 광교회의 전통을 이어받아, 다양한 신학적 스펙트럼을 존중하고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 특히, 민주화 운동과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노력은 한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서적 1957
[2] 서적 1957
[3] 웹사이트 The Challenge and Hope of Being an Anglican Today: A Reflection for the Bishops, Clergy and Faithful of the Anglican Communion http://rowanwilliams[...] 2006-06-27
[4] 웹사이트 Reflection: On being a broad church https://www.diomass.[...] 2024-06-05
[5] 웹사이트 The Broad Churchmanship of William Reed Huntington https://anglicancomp[...] 2014-06-23
[6] 서적 History of the Episcopal Church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7] 문서
[8] 간행물 A Neglected Source: The Episcopal Church Congress, 1874–1934 https://www.jstor.or[...] 1989
[9] 문서
[10] 웹사이트 Broad Church Movement https://www.episcopa[...]
[11] 간행물 Henry Bradford Washburn https://www.american[...] 1962-10
[12] 서적 The Catholic Movement in the American Episcopal Church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13] 웹사이트 Episcopal Theological School (ETS) –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https://www.episcopa[...]
[14] 뉴스 CHARGED WITH HERESY; A PRESENTMENT AGAINST THE REV. R. HEBER NEWTON. https://www.nytimes.[...] 1883-04-26
[15] 뉴스 MR. NEWTON'S ORTHODOXY.; AN ANSWER TO THE CHARGES AGAINST HIM TO BE ASKED FOR. https://www.nytimes.[...] 1884-01-09
[16] 웹사이트 Newton, Richard Heber https://www.episcopa[...]
[17] 웹사이트 Newton, William Wilberforce https://www.episcopa[...]
[18] 뉴스 BISHOP SLATTERY DIES SUDDENLY https://timesmachine[...] 1930-03-13
[19] 웹사이트 The New American Prayer Book, by E. Clowes Chorley (1929) http://anglicanhisto[...]
[20] 웹사이트 Charles Lewis Slattery https://www.standrew[...] 2024-02-23
[21] 문서
[22] 간행물 The Strange Death of Evangelical Episcopalianism https://www.jstor.or[...] 2005
[23] 간행물 Ritual, Romanism, and Rebellion: The Disappearance of the Evangelical Episcopalians, 1853–1873 https://www.jstor.or[...] 1993
[24] 웹사이트 Brooks, Phillips https://www.episcopa[...]
[25] 웹사이트 Liberal Evangelicalism https://www.episcopa[...]
[26] 웹사이트 How We Worship https://www.stjohnse[...]
[27] 웹사이트 Part II. Ok, so what are we Anglo-Catholic or what? https://stannanola.o[...] 2014-01-24
[28] 웹사이트 Worship https://stpaulsrockc[...]
[29] 웹사이트 Anglican Terminology http://www.redeemero[...]
[30] 웹사이트 Trinity Church http://wfrjr.com/dat[...]
[31] 서적 Religion, Art, and Money: Episcopalians and American Culture from the Civil War to the Great Depression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32] 서적 St. John's Chapel: 1900–2000 Groton School
[33] 웹사이트 Parents Weekend https://www.groton.o[...]
[34] 서적 The Foundations of the British Labour Party: Identities, Cultures and Perspectives, 1900–39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35] 웹사이트 broad church https://dictionary.c[...]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2018-05-02
[36] 서적 The Green Challenge: The Development of Green Parties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
[37] 서적 Defining Digital Humanities: A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38] 웹인용 성공회의 다양한 신앙 전통 http://oicepiscopal.[...] 2021-08-12
[39] 웹인용 성공회의 주요분파들 https://www.face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