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저우만 조차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저우만 조차지는 1898년 프랑스가 청나라로부터 99년간 조차한 지역으로, 현재의 중국 광둥성 잔장시에 해당한다. 프랑스는 이 지역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로 관리하며 포트 바야르를 건설했으나, 홍콩에 비해 경제적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점령을 겪었으며,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중화민국에 반환되었다. 현재 잔장시에는 프랑스 조차지 시대의 건축물이 남아 있으며, 당시 프랑스가 주목했던 심해항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기지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프랑스 관계 - 상하이 프랑스 조계
상하이 프랑스 조계는 1849년 프랑스 영사 샤를 드 몽티니가 설치하여 황푸강 서쪽에 위치했으며, 1900년과 1914년 확장을 거쳐 상하이 최고의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반환되어 현재는 상하이의 일부 지역으로 남아있다. - 중국-프랑스 관계 - 청불 전쟁
청불 전쟁은 1880년대 프랑스가 베트남을 식민 지배하려는 과정에서 청나라와 무력 충돌한 사건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나 베트남에 대한 프랑스의 보호국 지위를 인정하고 동아시아 국제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광둥성의 역사 - 애산 전투
1279년 애산 전투는 쿠빌라이 칸의 원나라가 남송의 잔존 세력을 격파하고 마지막 황제 소제가 자결함으로써 남송을 멸망시키고 원나라의 중국 통일을 완수한 해전으로, 중국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광둥성의 역사 - 남한 (십국)
남한은 오대십국 시대에 유은의 가문이 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세운 나라로, 유엄이 황제를 칭하며 건국하여 남해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환관 정치로 혼란을 겪다 송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러일 전쟁
러일 전쟁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만주와 대한제국 지배권을 두고 벌어진 전쟁으로, 일본이 승리하여 대한제국 지배권을 확립하고 아시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청나라의 대외 관계 - 쿨리 (노동자)
쿨리는 19세기 노예제 폐지 이후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인도 대륙과 중국에서 유럽 식민지와 미국으로 이주한 일용직 노동자를 의미하며, 강제성과 착취로 얼룩진 쿨리 무역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종결되었고 현재는 모욕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광저우만 조차지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광저우만 |
일반 명칭 | 광저우만 |
한어 병음 | Guǎngzhōu wān |
광둥어 | Gwóng Zau1 Waan1 |
예일 음역 | gwóng dzàu wāan |
프랑스어 명칭 | Kouang-Tchéou-Wan |
기타 명칭 | Kwangchow Wan Kwangchow-wan Kwang-Chou-Wan Quang-Tchéou-Wan |
위치 | 잔장 |
상태 | 조차지 |
종주국 | 프랑스 |
역사 | |
프랑스 점령 | 1898년 4월 22일 |
프랑스 조차 | 1898년 5월 29일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관할 | 1900년 1월 5일 |
일본 점령 | 1943년 2월 21일 |
프랑스 반환 | 1945년 8월 18일 |
존속 기간 | 1898년 ~ 1945년 |
정치 | |
정치 체제 | 조차지 |
행정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총독 | 폴 두메르 (1898년 ~ 1902년) 장 드쿠 (1940년 ~ 1945년) |
국가 원수 | 펠릭스 포르 (1898년 ~ 1899년) 샤를 드 골 (1944년 ~ 1946년) |
경제 | |
통화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피아스트르 |
통계 | |
면적 | 501.9328 제곱마일 (1300 제곱킬로미터) |
인구 (1911년) | 189,000명 |
인구 (1935년) | 209,000명 |
기타 | |
공용어 | 프랑스어 광둥어 |
수도 | 포르-바야르 |
이전 국가 | 잔장 |
다음 국가 | 잔장 |
2. 역사적 배경
1897년 프랑스 해군 바야르급 장갑함 "바야르"가 우연히 청나라 광둥성 레이저우반도 동쪽 해역에서 깊은 수심의 좋은 항구를 발견했다. 청일 전쟁 이후 열강들이 약해진 청나라로부터 영토를 할양받을 때, 프랑스도 1898년 이 지역을 점령하고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관할 하에 두었다. 1899년 청나라와 프랑스는 중불 호정 광저우만 조차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가 99년간 광저우만을 조차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약은 1900년부터 발효되어 광저우만 조차지가 정식으로 인도차이나 연방에 추가되었다.
광저우만 조차지는 레이저우반도 동쪽에 위치해 있었으며, 현재 잔장항으로 불리는 만 주변 지역을 포함했다. 이 만은 현재 잔장 수로(湛江水道|잔장 수이다오중국어)로 알려진 마셰강(Rivière Ma-The|마테강프랑스어, 麻斜河|마셰허중국어)의 하구를 형성한다.[1] 마셰강은 대형 군함도 19km 내륙까지 항해가 가능할 정도로 깊었다.
프랑스는 광저우만의 중심부에 바야르 요새(Fort Bayard)를 건설하고 영국령 홍콩에 대응하는 대중국 무역 및 투자 거점으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광저우만 조차지는 홍콩과 달리 경제적으로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프랑스인 인구는 300명을 밑돌았고, 전체 인구도 할양 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외진 위치는 경제 성장을 저해했고, 아편 밀수가 주요 산업이 되었다.[4]
3. 지리
프랑스에 임차된 지역에는 만에 위치한 탄하이섬(Île de Tan-Hai), 노슈섬(Île Nau-Chau), 난산섬(Île Nansan) 등 주변 섬들도 포함되었다. 내륙 지역의 경계는 1899년 11월에 정해졌으며, 총 면적은 1300km2였다.
4. 프랑스 통치 시대
중국인들의 반발은 식민 당국에게 큰 문제였다. 1899년에는 프랑스인 공직자들이 참수당한 채 발견되기도 했다. 프랑스 식민 당국은 청나라가 살인을 사주한 것으로 의심하고 수백 명의 중국인들을 구금, 고문했다.[4]
프랑스는 광저우만 프랑스-중국 학교(École Franco-Chinoise de Kouang-Tchéou-Wan)와 인도차이나 은행 지점을 설립했다.[3] 또한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건설된 로마 가톨릭 교회(생 빅토르 교회, St. Victor)가 현재까지 남아있다.
4. 1. 경제
광저우만은 상업적으로는 중요하지 않았지만, 전략적 위치는 중요했다. 프랑스는 주로 로마 가톨릭 선교사 보호에 관심을 가졌고, 무역 증진에는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1] 주요 산업은 해운 및 석탄 채굴이었으며,[1] 밀수업자들에게도 인기 있는 항구였다.[1] 1928년 미국 상업용 항공기 수출 금지가 해제되기 전, 광저우만은 마닐라에서 구매한 군용 항공기를 중국으로 수송하는 광둥 밀수업자들의 기착지였으며,[1] 미국 기록에는 아편과 중국 이민자를 싣고 미국으로 밀수하려는 마약 밀수업자가 최소 한 명 이상 있었다고 언급되어 있다.[1] 1931년까지 광저우만의 인구는 20만 6천 명에 달했으며, 거의 모든 주민이 중국인이었고, 그곳에 거주하는 프랑스 시민은 266명, 기타 유럽인은 4명에 불과했다.[1]
4. 2.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리가 독일 국방군에 함락되고, 프랑스가 샤를 드 골 장군이 이끄는 자유 프랑스와 필리프 페탱 원수의 비시 프랑스로 분열되면서, 중화민국은 자유 프랑스 망명 정부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기 때문에 광저우만 조차지는 자유 프랑스의 관할 하에 들어갔다.[4] 그러나 1943년 일본은 비시 정부와 ‘광저우만 공동 방위 협의’를 체결하고 이 지역을 점령하여 일본-프랑스 공동 관리 하에 두었다.
1945년 3월 10일, 일본군은 포트바야르의 프랑스 식민지 주둔군을 무장 해제하고 투옥시켰다.[4] 일본 항복 직전, 중국군은 광저우만에 대한 공격을 준비했으나, 종전으로 인해 실행되지 않았다.
홍콩 일본 점령 동안, 광저우만은 민간인들의 도피 경로의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도피 경로는 1943년 2월 일본이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폐쇄되었다.
5. 중화민국 반환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하자, 프랑스는 즉시 광저우만 조차지를 중화민국에 반환했다.[2] 영토는 프랑스와 중국 간의 회의 이후 1945년 8월 18일에 정식으로 반환되었다.[2] 중국은 이 땅을 잔장시로 개칭했다.
6. 현대
광둥성 잔장시 시내에는 현재도 프랑스 조차지 시대의 서양식 건축물이 남아 있어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 프랑스가 주목했던 심해항에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기지가 들어서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廣州灣
https://dictionary.c[...]
2024-01-21
[2]
서적
Francophonie and the Orient: French-Asian transcultural crossings (1840-1940)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18
[3]
문서
Le Papier Colonial
[4]
웹인용
France's Hong Kong: The leased territory of Guangzhouwan
https://thechinaproj[...]
2022-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