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수는 상품이나 사람을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어 이동시키는 행위를 의미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어원은 불법적인 운반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관세 부과나 교역 금지 시도와 관련하여 발생해왔다. 밀수는 마약, 무기, 인신매매 등 다양한 불법 물품의 거래와 관련되며, 은닉, 운송 수단, 위조 여권, 동물 훈련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경제적으로는 정부의 세금 정책에 대한 도전으로, 밀수 단속 강화와 밀수업자 간의 경쟁 관계가 존재한다. 법적으로는 관세법 위반으로 처벌받으며, 인신매매는 밀수와는 별개로 강제 노동, 성 착취 등을 목적으로 하는 불법 행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수 - 도시바-콩스베르그 스캔들
도시바-콩스베르그 스캔들은 냉전 시대에 도시바와 콩스베르그 그룹이 공작 기계를 불법적으로 소련에 수출하여 코콤의 허점을 드러내고 소련 잠수함 기술 발전에 기여, 미국의 제재와 국제적 비판을 받으며 국제 무역 질서와 기술 안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다. - 밀수 - 장기 매매
장기 매매는 상업적 거래를 위해 신체에서 장기를 적출하는 행위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이며, 불법 장기 매매는 빈곤, 부패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합법화 논쟁과 해결책이 제시된다. - 법률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률 용어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밀수 | |
---|---|
밀수 | |
유형 | 불법적인 상품 이동 불법적인 인원 이동 |
주요 내용 | |
밀수의 정의 | 세관 당국이나 기타 기관에 의해 금지된 재화나 사람을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어 이동시키는 행위 |
관련 법률 위반 | 세관법 이민법 기타 관련 법규 |
주요 밀수 대상 | 마약 무기 담배 술 문화재 멸종위기 동식물 사람 |
밀수 관련 문제점 | 탈세 마약 밀매 테러 자금 조달 인신매매 환경 파괴 |
밀수 방지 노력 | 국경 감시 강화 법 집행 강화 국제 공조 기술 활용 밀수 예방 교육 |
밀수꾼의 동기 | 높은 이익 추구 경제적 어려움 법망 회피 |
밀수의 영향 | 사회적 불안 증가 경제적 손실 발생 국제 관계 악화 |
관련 직업 | 세관 직원 경찰 국경 경비대 정보 요원 변호사 |
참고자료 | |
관련 웹사이트 | 담배 밀수 관련 체포 기사 |
참고 도서 | The Routledge Handbook of Smuggling |
2. 역사
(내용 없음)
2. 1. 한국
에도 시대 일본의 하마다번에서는 회선 도매상이었던 会津屋八右衛門|아이즈야 하치에몬일본어의 제안으로 조선, 수마트라, 자바 등과 밀무역을 시도한 사례가 있다. 이는 다케시마 사건과 관련이 있다.[60]2. 2. 세계
동사 "smuggle"(밀수하다)은 저지 독일어의 smuggelndeu 또는 네덜란드어의 smokkelennld("(상품을) 불법으로 운반하다")에서 유래했으며, "몰래하다"라는 뜻의 단어에서 파생된 반복 동사 형태로 보인다. 이 단어는 17세기~18세기에 영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3]
밀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상품에 관세가 부과되거나 교역이 금지되면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밀수는 주로 당국이 특정 금지품이나 세금이 부과되지 않은 품목의 수입을 막으려는 시도와 관련되지만, 불법적인 상품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밀수도 존재했다. 영국에서는 1275년 에드워드 1세가 국가 관세 징수 시스템을 만들면서 13세기에 밀수가 처음으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4] 중세 시대 영국의 밀수는 주로 높은 수출세가 부과된 양모와 가죽 수출에 집중되었다.[5] 상인들은 특정 무역에 대한 금지나 금수 조치를 피하기 위해 다른 상품을 밀수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곡물 수출은 식량 가격 상승과 사회적 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가격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이를 어기고 밀수출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1453년 프랑스에 가스코뉴를 잃은 후, 전쟁 중 프랑스의 주요 수출품인 와인 수입을 금지하여 프랑스 경제에 타격을 주려 했으나, 이 역시 밀수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했다.
역사적으로 밀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법원 기록이나 세무 관리들의 보고서 같은 공식 자료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브리스톨 대학교의 에반 존스(Evan Jones)와 같은 학자들은 이러한 기록이 단지 체포된 사람들의 활동만을 보여줄 뿐이며, 실제 밀수의 규모나 방식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6] 이에 존스와 스완지 대학교의 H. V. 보웬(H. V. Bowen) 교수 등은 상업 기록을 활용하여 밀수 활동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했다.[7] 존스의 연구는 16세기 중반 브리스톨 지역의 밀수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곡물과 가죽 같은 상품의 불법 수출이 도시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으며, 도시의 유력 인사 다수가 상품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신고하는 방식으로 밀수에 가담했다고 주장한다.[8] 부패한 세관원과 결탁한 지역 유력자들에 의한 곡물 밀수는 16세기 후반 이스트 앵글리아 지역에서도 널리 퍼져 있었다.[9]
영국에서는 17세기에 높은 소비세의 압력 하에 양모가 대륙으로 밀수되었다. 1724년 작가 다니엘 디포는 영국 남해안의 햄프셔주 라이밍턴 지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
나는 그들이 밀수와 사기라고 부르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외국 무역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템스강 어귀에서 콘월의 랜드스 엔드까지 영국 해안의 이 부분 전체를 지배하는 무역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10]
차와 와인, 주류, 그리고 당시 유럽 본토에서 들어오는 기타 사치품에 부과된 높은 관세율은 이러한 상품의 은밀한 수입과 관세 탈루를 가난한 어부와 선원들에게 매우 수익성이 높은 사업으로 만들었다. 롬니 마쉬, 이스트 켄트, 콘월 및 이스트 클리블랜드와 같은 국가의 특정 지역에서는 밀수 산업이 농업이나 어업과 같은 합법적인 활동보다 많은 지역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더 중요했다. 높은 관세의 주된 이유는 정부가 프랑스와 미국과의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 여러 전쟁을 재정적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었다.

마약 밀수와 인신 매매 시대 이전에 밀수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납치』와 같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낭만주의를 얻었다.
영국 해안의 몇 안 되는 곳이 난파선 약탈자나 달 밀수꾼의 은신처가 아니라고 주장하지 않았습니다.[11] 그 도둑질은 자랑하고 낭만적으로 만들어져서 일종의 영웅주의처럼 보였습니다. 그것은 어떤 범죄의 오점도 없었고 남해안 전체에는 서로 어떤 밀수꾼이 가장 어둡거나 가장 대담한지 경쟁하는 주머니가 있었습니다. 『밀수꾼 여관』은 해안의 술집에서 가장 흔한 이름 중 하나였습니다.[12]
북아메리카에서 식민지 시대의 밀수는 중상주의 무역 정책에 의해 부과된 무거운 세금과 규제에 대한 반발이었다. 1783년 미국의 독립 이후, 밀수는 파사마쿼디 만, 세인트 메리스(조지아주), 챔플레인 호, 그리고 루이지애나와 같은 미국 변두리에서 발전했다. 토마스 제퍼슨의 1807년-1809년 금수 조치 동안, 이러한 같은 장소들은 법에 반항하여 상품이 국가에서 밀수되는 주요 장소가 되었다. 영국과 마찬가지로, 자유 무역 운동의 일환으로 무역법의 점진적인 자유화는 밀수를 감소시켰다. 1907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멕시코 국경을 따라 루스벨트 보호구역을 설립하여 밀수를 줄이려고 시도했다.[13][14] 밀수는 1920년대 금주법 기간 동안 부활했고, 1970년 이후 마약 밀수는 주요 문제가 되었다. 1990년대에 세르비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부과되었을 때, 인구의 상당 부분이 이웃 국가로부터 석유와 소비재를 밀수하여 생계를 유지했다. 국가는 비공식적으로 이것이 계속되도록 허용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체 경제가 붕괴되었을 것이다.
청나라는 1796년 아편 밀수를 단속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편은 널리 퍼져 사회적 위기를 야기했고, 결국 대영제국과의 아편 전쟁으로 이어졌다. 청나라는 아편전쟁에서 대패하여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된다.
현대에 많은 선진국이 증가하는 이민자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고군분투함에 따라, 국경을 넘어 사람들을 밀수하는 행위는 매우 수익성이 높은 불법 활동이 되었으며, 특히 성매매를 목적으로 여성을 인신매매하는 것과 같은 매우 어두운 면도 가지고 있다. 현대에는 외국인 마약 밀수범에 대한 사형 판결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0년 중국에서 일본인 마약 밀수범에 대한 사형이 집행되었을 때, 일본 법에 규정된 마약 밀수에 대한 최고형이 무기징역이라는 점에서 마찰이 발생했다.
3. 유형
밀수는 그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크게 물품 밀수와 인신 밀수로 구분할 수 있다.
- '''물품 밀수'''는 법률이나 조약에 의해 수출이나 수입이 금지된 물품, 또는 높은 관세가 부과되는 물품을 불법적으로 거래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주로 경제적 이익을 얻거나 법적 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약, 무기, 담배, 위조품, CITES 규제 동식물 등 다양한 물품이 밀수 대상이 된다.
- '''인신 밀수'''는 불법적인 방법으로 국경을 넘으려는 사람들의 이동을 돕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강제, 기만, 착취를 동반하는 인신매매와는 구별되지만, 종종 조직 범죄와 연관되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경제적 어려움이나 정치적 억압을 피해 더 나은 삶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주된 대상이 된다.
각 유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물품 밀수



밀수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 법률(관세법, 수출입무역관리규정 등)이나 조약에 의해 수출이나 수입이 금지된 물품을 몰래 수출입하기 위해서.
- 부과되는 관세를 피하기 위해서.
- 수출입 절차를 생략하거나 간소화하기 위해서.
기업가적 상인들이 불법이거나 세금이 과도하게 부과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려 할 때 밀수가 성행한다. 그 결과, 불법 마약 밀매와 무기 밀수(불법 무기 거래)가 널리 퍼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밀수의 주요 대상이었던 주류(밀주) 및 담배[15] 밀수도 흔하다. 밀수업자는 적발될 경우 상당한 민형사상 처벌 위험을 감수해야 하므로, 밀수품에 높은 가격을 매긴다. 밀수품 거래에서 발생하는 이익은 상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주법의 철칙에 따르면, 단속이 강화될수록 더 강력한 알코올과 마약이 밀수되는 경향이 있다.
수입품에 대한 세금이나 부과금을 회피하여 이익을 얻기도 한다. 예를 들어, 밀수업자는 세금이 낮은 곳에서 대량의 담배를 구매하여 세금이 높은 곳으로 밀수함으로써 훨씬 높은 이윤을 남길 수 있다. 미국 내에서 담배 한 트럭 분량을 밀수하면 200만달러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16]
대부분의 경우, 폭력조직이나 마피아와 같은 범죄 조직이 밀수에 관여하며, 이는 해당 조직의 주요 자금원이 된다.
밀수 대상이 되는 주요 품목은 다음과 같다.
품목 종류 | 세부 내용 및 사례 |
---|---|
불법 약물 | 마약류, 대마초, 아편, 각성제, 코카인, 헤로인, MDMA 등. 청나라 시기 아편 밀수는 사회적 위기를 초래하고 아편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현대에도 외국인 마약 밀수범에 대한 사형 판결이 국제적 마찰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 2010년 중국의 일본인 사형 집행). |
무기 및 병기 | 권총 등. 북한 선박이 쿠바의 노후화된 MiG 전투기 부품을 파나마 운하를 통해 밀수하려다 적발된 사례(2013년)가 있다. |
위조품 | 위조지폐, 위조 신용카드, 가짜 브랜드 제품, 해적판 등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 2023년, 북한이 일본 및 미국 담배 브랜드를 위조하여 밀수출하고 영국 담배 회사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와 거래하여 막대한 이익을 얻은 사실이 드러났다. BAT는 미국 법무부와의 합의 하에 약 8400억엔의 벌금을 납부했다.[61] |
불법 콘텐츠 | 포르노 잡지, 비디오, 아동 포르노 등. |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상품 | 불법 복제 게임기(매지콘) 등. |
멸종 위기 동식물 |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규제 대상 동식물. 희귀종에 대한 수요와 높은 수익성 때문에 야생동물 밀수가 발생한다.[26] |
특정 국가 생산 물품 | 북한 생산 물품 등 특정 국가에서 생산되어 국제 제재 등의 이유로 거래가 제한되는 물품. |
도난품 | 도난 자동차. 냉전 시기 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에서 벨렌코 중위가 몰고 온 MiG-25 전투기는 정식 절차를 거치지 않은 도난품 밀수와 유사한 형태로 미국에 넘어왔다. |
군사 전용 가능 물품 | 법률에 의해 수출이 금지된 군사적 전용 가능 물품. 야마하발동기가 과거 중국 기업에 무인 헬리콥터를 불법 수출한 사례가 있다. |
금제품 | 특정 법률에 의해 소지나 거래가 금지된 물품. 금제품의 재물성 인정 여부에 대해서는 법적 견해 대립이 있다. 소극설은 금지된 물품의 소지를 형법이 보호하는 것은 법체계상 모순이라 보지만, 적극설(판례)은 금제품 소지가 범죄라 하더라도 몰수 전까지는 그 소지를 보호해야 하므로 재물성을 인정한다. 한국에서는 스키장 리프트 탑승권의 재물성을 인정한 판례(대법원 1998. 11. 24. 선고 98도2967 판결)가 있다. |
기타 | * 실뱀장어: 2007년 타이완이 수출을 금지하자 홍콩을 경유하여 일본으로 밀수되는 사례가 증가했다. 2018년~2019년 사이 홍콩에서 일본으로 수입된 약 6ton의 실뱀장어는 타이완에서 밀수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해당 기간 일본 양식장에 투입된 치어의 약 80%에 해당했다.[69][70] * 건축 자재: 건설 붐이 있는 국가에서 금속(특히 동선 등) 부족과 가격 급등을 노린 절도 및 밀수가 발생한다. |
핵물질 |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테러리스트에게 핵연료(특히 농축 우라늄)가 유출될 우려가 제기되었다. 핵확산금지조약(NPT)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국제 조약이다. NPT를 탈퇴한 북한의 체제 붕괴 시 유사한 핵물질 밀수 및 유출 우려가 존재한다. |
3. 2. 인신 밀수
인신밀매와 관련하여, 불법 이주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신 밀수(smuggling)와 강제적인 인신매매(trafficking)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밀수는 개인이 자발적으로 국경을 넘도록 돕는 행위인 반면, 인신매매는 강제, 기만, 협박 등을 통해 사람을 착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미국과 멕시코 국경을 불법으로 넘은 사람들의 약 90%는 밀입국 브로커에게 돈을 지불한 것으로 추정된다.[18]때로는 인신 밀수가 억압적인 상황에서 사람을 구출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남부에서 노예 제도가 합법이었을 때 많은 노예들이 지하철도를 통해 북쪽으로 탈출했다. 마찬가지로, 홀로코스트 기간 동안 독일의 유대인들은 알고트 니스카(Algoth Niska)와 같은 사람들의 도움으로 밀항하여 탈출하기도 했다.

인신매매(human trafficking), 특히 성 착취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성매매(sex trafficking)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인신 밀수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밀수업자는 돈을 받고 불법 입국을 돕지만, 목적지에 도착하면 밀입국한 사람은 자유로워진다. 그러나 인신매매 피해자는 자유를 박탈당하고 어떤 형태로든 강제적인 상황에 놓인다. 피해자들은 인신매매에 동의하지 않으며, 속거나 거짓 약속에 유인되거나 강제로 끌려간다. 인신매매범들은 기만, 사기, 협박, 고립, 신체적 위협과 폭력, 빚을 이용한 구속, 약물 강제 투여 등 다양한 강압적 수단을 사용하여 피해자를 통제한다.
피해자의 대부분은 여성[19]이며 아동인 경우도 많지만, 강제나 속임수로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남성, 여성, 아동 모두가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인신매매는 불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 어렵다. 2003년에 발표된 미국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80만에서 90만 명의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인신매매되는 것으로 추산된다.[20] 이 수치에는 한 국가 내에서 이루어지는 인신매매는 포함되지 않는다.
특히 아동 인신매매는 심각한 문제이다.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의 교육 및 지속 가능한 서비스를 통한 아동 노동 퇴치를 위한 대안(ACCESS-MENA) 연구에 따르면, 예멘 국경 마을 어린이의 30%가 사우디아라비아로 밀입국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아동 인신매매는 흔히 "이송"이라는 말로 불리며, 밀입국된 아동들은 성적 학대를 당하거나 살해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21] 빈곤은 아동 인신매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일부 아동은 부모의 동의 하에 운송업자를 통해 밀입국되기도 한다. 전체 밀입국자 중 최대 50%가 아동이라는 통계도 있다. 필리핀에서는 약 6만 명에서 10만 명의 아동이 성 산업에 동원되기 위해 인신매매되는 것으로 추정된다.[22]
매년 수십만 명의 이주민들이 조직적인 국제 밀수 및 인신매매 조직에 의해 불법적으로 이동하며, 종종 위험하고 비인간적인 환경에 처한다. 최근 몇 년간 일자리를 찾아 저소득 국가에서 선진국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인신매매범들은 주로 성산업, 강제 노동 또는 기타 노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폭력, 사기, 강압을 통해 이주민을 통제하며 착취한다. 이는 기본적인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이다. 인신매매 피해자의 대다수는 여성과 아동이며, 이들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국제적 산업에서 상품처럼 거래된다. 범죄 조직들은 다른 불법 상품과 달리 사람은 반복적으로 착취할 수 있고 초기 자본 투자가 거의 필요 없다는 이유로 인신매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밀수 또한 범죄 집단에게 막대한 금전적 이익을 안겨준다. 이들은 이주민들에게 엄청난 비용을 요구한다. 정보 보고서에 따르면, 마약 밀매업자를 포함한 여러 범죄 조직들이 더 적은 위험으로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해 인신매매로 활동 영역을 전환하고 있다고 한다.[23]
인신 밀수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24] 이는 국제범죄에 해당한다. 현재 경제적 불안정이 전 세계적인 불법 이주를 부추기는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많은 자발적 이주민들이 더 나은 삶을 찾아 위험을 감수하고 인신 밀수 전문 범죄 조직을 통해 목적지 국가로 향한다. 이러한 조직들은 이주 과정을 모두 준비해주지만, 그 대가로 높은 비용을 요구한다.
이동 과정의 환경은 매우 열악한 경우가 많다. 이주민들은 트럭이나 배에 과도하게 밀집되어 수용되며, 이로 인해 치명적인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목적지 국가에 도착한 후에도 이들의 불법 체류 신분은 약점이 되어 밀수업자에게 계속 통제당하게 된다. 밀수업자들은 종종 이주민들에게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빚을 갚도록 강요하며, 이를 위해 불법 노동 시장에서 수년간 일하도록 만든다.[25]
4. 방법
밀수품을 숨기는 방법에는 사람의 옷이나 수하물, 또는 신체 내부에 은닉하는 방식이 있다. 마약 운반책의 경우 마약 캡슐을 삼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며, 이는 X선 사진 등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부 밀수업자들은 물품 운반에 사용된 운송 차량이나 선박 자체를 숨기기도 한다.
국경 통제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운송 수단과 경로가 이용된다. 소형 선박, 개인 비행기, 잘 알려지지 않은 육로 밀수 경로, 밀수 터널, 심지어 소형 잠수정까지 동원된다.[32][33] 이는 불법 이민이나 망명처럼 사람이 직접 국경을 넘는 경우에도 해당된다. 특히 멕시코만과 같은 지역에서는 고속정이 선호되는 밀수 선박이다.
국경 검문소를 통과해야 할 때는 차량이나 다른 합법적인 상품 사이에 사람이나 물품을 숨기거나, 수하물, 옷 속, 신체 내부(신체 내부 수색 참조) 등에 숨기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기적으로 운항하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밀수업자들도 많으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다수의 밀수 시도가 세관에 의해 적발된다. 또한, 컨테이너에 숨겨 바다를 건너거나, 자동차, 트럭, 기차 등에 숨겨 육로로 밀수하는 경우도 흔하다. 이는 밀항자가 스스로를 숨겨 국경을 넘는 것과 유사하다. 영국에서는 주류와 담배에 부과되는 높은 관세 때문에 프랑스에서 해저터널을 통해 대규모 밀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과거에는 국경의 부패와 높은 수입 관세를 악용하여, 밀수업자들이 스테레오나 텔레비전 같은 전자 장비를 화물 비행기로 실어 다른 나라의 비밀 착륙장으로 운반하며 국경에서의 접촉 자체를 피하기도 했다.[34]
국경을 불법으로 넘는 또 다른 방법은 위조 여권을 사용하는 것이다. 완전히 새로 위조하거나, 기존 여권을 불법적으로 변경하거나, 혹은 자신과 닮은 사람의 여권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국경 검문소, 특히 화물 운송 지점에서는 국경 관리원이 밀수품이나 불법 상품을 찾아내기 위해 화물을 검사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전 세계 화물의 최대 5%만이 제대로 검사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화물칸 하나를 완전히 검사하는 데 4시간에서 6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싱가포르와 같은 주요 글로벌 무역로에서는 모든 화물을 검사하기 어렵다. 만약 항구가 모든 선박을 멈추고 검사한다면, 이는 물류의 교착 상태를 넘어 무역과 경제 전체의 교착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36] 신고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신고하는 것은 매우 흔한 밀수 수법이다. 대중 문화에서는 주로 마약 밀매나 무기 밀매를 위험한 밀수로 다루지만, 실제로는 일상용품의 밀수가 더 흔하며 이로 인한 세수 손실이 더 크다. 일부 해운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합법적인 사업체들이 오히려 가격 경쟁력을 위해 완제품을 허위 신고하는 등 밀수가 일상화된 경우도 있다.[37]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범죄 조직의 문제가 아니라, 해운업 자체의 문화와 전 세계적으로 제도화된 관세 및 세금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38]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종류의 밀수품(예: 마약과 불법 이민자, 또는 마약과 총기)을 함께 운반하는 다중 위탁 밀수품(Multi-Commodity Contraband, MCC) 방식도 존재한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은 주로 2단계 또는 3단계 밀수 조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9]
사람뿐만 아니라 훈련된 동물을 이용해 불법 상품을 운반하는 경우도 있다.[40] 동물을 이용하는 장점은, 동물이 체포되더라도 사람과 달리 밀수 경로 등에 대한 정보를 자백/제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 개: 개의 등에 마약을 묶어 짐승처럼 이용해 먼 거리나 국경 너머로 운반한다.[41]
- 고양이: 주로 교도소 안에 마약이나 휴대전화, 도구, 배터리 등을 몰래 들여보내는 데 사용된다. 외부 밀수업자가 고양이에게 물품을 부착하면, 수감자가 먹이로 유인하거나 훈련된 고양이가 스스로 교도소 안으로 들어간다.[42][43] 고양이는 은밀하게 움직이고 의심을 덜 받는다는 점 때문에 이용된다.
- 비둘기: 전서구처럼 훈련시켜 공중으로 마약, 휴대전화 SIM 카드 등을 교도소 안이나 국경 너머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44][45] 장거리 비행이 가능하고 흔한 새라서 의심을 피하기 쉽다.
- 가축: 말, 당나귀, 노새, 조랑말 등을 짐승으로 이용하여 짐받이 안장에 밀수품을 싣거나 마차를 끈다.[46][47] 이를 통해 사람이 운반하기 힘든 많은 양의 물품을 험한 지형을 통해 옮길 수 있다. 때로는 살아있는 가축 자체를 운반책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동물에게 마약을 삼키게 하거나 몸 안에 수술로 이식한 뒤, 목적지에서 몰아가 도축한 후 고기에서 마약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소[48], 염소[49], 양[50](양털 속에 숨기기도 함) 등이 이용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남미의 라마[51], 아시아의 코끼리[52], 중동의 낙타[53] 등 다양한 동물이 이용된다.
5. 경제적 영향
밀수를 경제 현상으로 연구한 초기 이론가로는 자그디시 바그와티와 벤트 한센이 있다. 이들은 밀수를 본질적으로 수입 대체적인 경제 활동으로 보았으나, 밀수가 정부로부터 민간 부문으로 자원을 옮기더라도 반드시 사회 전체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아님을 지적했다.[27] 즉, 공공 부문보다 민간 부문이 효율적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밀수의 경제적 효과는 복합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1999년 파이줄 라티프 초우드리는 밀수가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공급 비용으로 인한 가격 차이를 제시했다.[28] 이러한 가격 차이는 주로 국내 소비세와 수입 관세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방글라데시의 담배 밀수 사례 연구에서 초우드리는 밀수가 국내 담배 생산량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담배에는 부가가치세(VAT)와 기타 소비세가 부과되는데, 밀수 담배는 이러한 세금을 회피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된다. 그는 국내 세금을 줄이면 지역 생산자의 비용 부담이 낮아져 밀수를 유발하는 가격 차이를 줄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국내세 감면만으로는 밀수 담배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정부가 밀수 단속을 강화하여 압수 등의 위험 비용을 높여야 밀수를 비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 초우드리는 밀수업자와 지역 생산자 간의 관계를 서로 경쟁하는 이중 독점 형태로 분석하기도 했다.
반면, 2016년 츠이 탓 치의 연구는 담배 관세를 인상하면 밀수가 늘어날 수 있지만, 세금이 부과된 담배의 대체재인 불법 상품의 가격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전체 담배 소비는 여전히 감소할 수 있다는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29]
경제적으로 밀수를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은 이를 독점을 깨뜨리는 행위로 보는 것이다. 즉, 국가가 주도하는 무역 제한이나 세금 부과에 대한 일종의 도전으로 해석될 수 있다.[30][31]
밀수가 이루어지는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법률(관세법, 수출입 관련 규정 등)이나 조약에 의해 수출 또는 수입이 금지된 물품을 몰래 들여오거나 내보내기 위해.
- 부과되는 관세를 내지 않기 위해 (세금 회피).
- 복잡한 수출입 절차를 생략하기 위해.
이러한 밀수 과정에는 폭력조직이나 마피아와 같은 범죄 조직이 연루되는 경우가 많으며, 밀수는 이들 조직의 중요한 자금원이 된다. 예를 들어, 2023년에는 북한이 유명 담배 브랜드를 위조하여 밀수출함으로써 거액의 불법 자금을 벌어들인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61]
6. 법적 정의
흔히 밀수는 불법 거래와 같은 의미로 여겨지며, 심지어 사회 과학자들조차 밀수를 불법 거래로 오해하기도 한다.[54] 밀수와 불법 거래 모두 세금을 피하거나 금지된 물품을 들여오려는 목적은 같지만, 수요와 비용 구조가 달라 다른 분석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세관을 통한 불법 거래와 달리, 밀수는 '무단 경로'를 통한 국제 무역으로 정의된다.[55] 여기서 '무단 경로'란 정부가 수출입을 위해 공식적으로 승인하지 않은 항구나 공항, 육상 경로 등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각국의 관세법에 명시되어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신고하지 않은 통화나 귀금속 거래 역시 밀수로 간주하기도 한다. 밀수는 인지 범죄에 해당하며, 밀수된 물품뿐만 아니라 관련된 상품까지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한편, 밀수된 금제품이 법적으로 재물로 인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견해가 나뉜다.
- 소극설: 금제품의 소유 자체를 다른 법에서 금지하고 있는데, 이를 재물로 인정하여 절도죄 등으로 보호하는 것은 법체계상 모순이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금제품의 재물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본다.
- 적극설: 금제품 소지를 범죄로 보는 것과 그 소유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별개의 문제이며, 금제품 역시 법적 절차에 따라 몰수되기 전까지는 소유 상태를 보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금제품의 재물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대한민국의 판례는 이 적극설의 입장을 따르고 있다.
7. 대응
밀수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국제 사회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일본은 2005년부터 시험적으로 사전여객정보시스템(Advance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APIS)을 도입하여 2007년부터 의무화하였다. 이 시스템은 항공기 승객 정보를 출발 공항에서 도착 공항으로 미리 전송하여, 특히 조직적인 밀수 단속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한편, 핵물질과 같은 위험 물질의 밀수는 국제적인 안보 문제와 직결된다.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테러리스트에게 핵연료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실제로 2002년에는 미국이 옛 소련식 원자로에 사용된 농축 우라늄의 행방을 추적하기도 했다(핵 테러리즘 참조).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핵확산금지조약 (NPT)이 존재한다. NPT에서 탈퇴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 향후 체제 불안정 시 유사한 핵물질 유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
8. 관련 작품
- 블러드 다이아몬드 - 2006년 미국 영화
- 배리 실: 아메리칸 메이드 - 2017년 미국 영화
참조
[1]
웹사이트
Man arrested in tobacco smuggling raids
http://www.mynewsdes[...]
2018-04-28
[2]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Smuggling
https://doi.org/10.4[...]
Routledge
[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5-03-01
[4]
서적
The Early English Customs System
OUP
[5]
서적
Contraband Cargoes: Seven Centuries of Smuggling
[6]
웹사이트
Bristol Unhgfgvf - News - 2012: Illicit Economy
http://www.bris.ac.u[...]
2015-03-01
[7]
간행물
Privilege and Profit: Commanders of East Indiamen as Private Traders, Entrepreneurs and Smugglers, 1760–1813
http://www.swansea.a[...]
[8]
간행물
Illicit business: accounting for smuggling in mid-sixteenth century Bristol
https://web.archive.[...]
[9]
간행물
Francis Shaxton and the Elizabethan port books
[10]
웹사이트
A Tour Thro' the Whole Island of Great Britain: Letter III
http://www.visionofb[...]
2013-05-13
[11]
기타
[12]
서적
The Kingdom by the Sea
[13]
웹사이트
Biological Opinion for the Proposed Installation of 5.2 Miles of Primary Fence near Lukeville, Arizona
http://www.fws.gov/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2-11
[14]
웹사이트
Border Security: Barriers Along the U.S. International Border
https://fas.org/sg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8-05-14
[15]
뉴스
Tobacco Underground
http://www.icij.org/[...]
2012-11-26
[16]
뉴스
Cigarette Smuggling Linked to Terrorism
https://www.washingt[...]
2004-06-08
[17]
뉴스
Spain Arrests 11 People Involved in Migrant Smuggling
https://www.schengen[...]
2023-10-17
[18]
웹사이트
Mexico Human Smuggling
http://www.havocscop[...]
[19]
웹사이트
More than half of slaves worldwide are women
http://www.havocscop[...]
[20]
웹사이트
I. Introduction
https://2001-2009.st[...]
state.gov
[21]
웹사이트
Thomson Reuters Foundation
http://www.alertnet.[...]
2015-03-01
[22]
웹사이트
Children working in the sex industry in the Philippines
http://www.havocscop[...]
[23]
웹사이트
Human Trafficking and Migrant Smuggling
http://www.dfait-mae[...]
2015-03-01
[24]
논문
Human Trafficking: Women's Stories of Agency
https://hydra.hull.a[...]
University of Hull
2012-01
[25]
웹사이트
Internet / Home - INTERPOL
http://www.interpol.[...]
2015-03-01
[26]
뉴스
Snakes on plane averted as Argentina nabs trafficker
http://www.deccanchr[...]
Deccan Chronicle
2011-12-26
[27]
간행물
A Theoretical Analysis of Smuggling
[28]
간행물
Smuggling, Tax Structure and The Need for Anti-Smuggling Drive
[29]
간행물
Does Smuggling Negate the Impact of a Tobacco Tax Increase?
[30]
서적
Silver, Trade, and War: Spain and America in the Making of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0-04-21
[31]
서적
Macroeconomic Dimensions of Public Finance: Essays in Honour of Vito Tanzi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2]
뉴스
Coast Guard hunts drug-running semi-subs - CNN.com
http://www.cnn.com/2[...]
2008-03-20
[33]
간행물
A Maritime Threat Assessment of Sea Based Criminal Organizations and Terrorist Operations
http://www.hsaj.org/[...]
[34]
서적
On the Border: Portraits of America's Southwestern Frontier
[35]
서적
Global Outlaw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6]
서적
Nordstrom
[37]
서적
Nordstrom
[38]
서적
Nordstrom
[39]
간행물
Smuggling Multi-Consignment Contraband: Isolated Incidents or a New Trend?
2009-06-01
[40]
웹사이트
5 Animals Used to Smuggle Drugs in Latin America
https://insightcrime[...]
2021-05-07
[41]
웹사이트
Dogs used as smugglers
https://www.loc.gov/[...]
[42]
웹사이트
Cat caught smuggling drugs into Panama prison
https://www.newsweek[...]
2021-04-23
[43]
웹사이트
These Cats Are Mules: Kitties Smuggle Goods into Prisons
https://www.npr.org/[...]
2013-10-21
[44]
웹사이트
Cocaine carrier pigeons are the latest drug smuggling technique
https://www.gq-magaz[...]
2015-09-01
[45]
웹사이트
Here's How Much a Carrier Pigeon's Drug Stash is Worth
https://www.inverse.[...]
2017-05-24
[46]
웹사이트
Plight of drug trade horses
https://tuesdayshors[...]
2010-07-09
[47]
웹사이트
Interstate carriages used to smuggle drugs to Kerala
https://www.newindia[...]
[48]
웹사이트
Cattle used in drug smuggling
https://www.daily-su[...]
[49]
웹사이트
Uncovered: How goats can turn into 'mules'
https://www.iol.co.z[...]
2023-03-11
[50]
웹사이트
'Suspected smugglers hide 500,000 narcotic pills on sheep'
https://jordantimes.[...]
2023-03-11
[51]
웹사이트
First Airplanes, Now Llamas: Cocaine Smuggling in the Andes
https://news.co.cr/f[...]
2015-06-23
[52]
웹사이트
Heroin Addicted Elephants Treated and Released Sober
https://thehillsreha[...]
2014-08-11
[53]
뉴스
Camel carrying 114,000 drugs intercepted at Saudi border
https://www.arabianb[...]
Arabian Business
2015-06-18
[54]
논문
Smuggling, Camouflaging, and Market Structure
[55]
웹사이트
The term 'Smuggling' in German-language legal systems
https://steuerstrafr[...]
2023-05-20
[56]
뉴스
トカラが「外国」だったころ◇戦後の米軍政下を懸命に生きる島民の姿、聞き書きでたど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10-28
[57]
서적
図説・邪馬台国物産帳
河出書房新社
[58]
서적
日本の中世
放送大学教育振興会
[59]
서적
日本の中世
[60]
서적
江戸の大誤解
彩図社
[61]
뉴스
朝日新聞
2023-04-27
[62]
웹사이트
ロシアの「影の船団」関与、バルト海でまた海底ケーブル損傷…クック諸島船籍のタンカーを捜査
https://www.yomiuri.[...]
2024-12-28
[63]
웹사이트
ロシア、原油輸出で頼る「影の船団」タンカー群
https://jp.wsj.com/a[...]
2024-12-28
[64]
웹사이트
Pigeon 'caught with backpack of drugs'
https://www.bbc.com/[...]
2024-09-23
[65]
Kotobank
マンドラン
[66]
서적
Violence in Early Modern Europe 1500–18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1-27
[67]
서적
France in the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01-27
[68]
웹사이트
中国人の「象牙の女王」逮捕、706本密輸か タンザニア
https://www.cnn.co.j[...]
2024-09-23
[69]
뉴스
出所不明の香港ウナギ6トン 日本輸入、養殖稚魚の8割 ワシントン条約で批判も
https://www.nikkei.c[...]
2019-03-26
[70]
뉴스
ウナギ稚魚「香港産」8割 漁実態なく 不法ルートで日本へ?
https://www.tokyo-np[...]
2019-03-26
[71]
웹사이트
Man arrested in tobacco smuggling raids
http://www.mynewsdes[...]
2018-04-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좀비딸', 올해 최초 500만 관객 돌파…600만 향해 직진
상자 치우니 '와르르'…올해만 '2조 원' 넘게 적발
유해물질 못 거르는 중국산 짝퉁 '정수기 필터' 시중 유통
관세청, '불법 식품·마약 등 5대 민생 범죄' 집중 단속 나선다
[자막뉴스] 교수·대표·의사 몽땅 털렸다…있으신 분들의 '은밀한 취미'
2천만 원 위스키를 4만 원으로 신고…의사·교수들 적발
'의사·교수' 고소득자들이…시가 52억 '위스키 밀수' 적발
대학교수·의사들, 58억원어치 초고가 위스키 밀수하다 딱 걸려
초고가 위스키 5천병 밀수한 의사·교수 철퇴
초고가 위스키 밀수한 의사·교수·CEO 덜미...관세청, 41억원 추징
고가 위스키 5천여병 밀수입한 교수·의사들…41억원 추징
“교수님 사장님 병원원장님 딱 걸렸네”…초고가 위스키 밀수 적발, 관세 41억원 추징
고가 위스키 5천여 병 밀수입한 교수·의사들…41억 원 추징
마시고는 싶고 세금은 싫고···‘초고가 위스키’ 밀수입한 교수·기업 대표·의사들
3억 원대 담배 밀수 가담한 프로 낚시 선수 징역형 집행유예
동시에 80만명 투약 ‘클럽마약’ 밀수 중국인 구속
'총·칼' 등 위해물품 밀반입 작년 3만 점 육박…두 배 껑충
‘파인: 촌뜨기들’ 주보비, 걸쭉한 사투리 연기 눈길
'우리만 믿으세요, 멍멍!'…마약 탐지견들의 맹활약 현장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