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향곡 7번 (슈베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베르트의 교향곡 7번 D. 729는 슈베르트가 작곡을 시도했으나 미완성으로 남은 곡이다. 구 슈베르트 전집에서는 완성된 작품으로 간주되어 교향곡 7번으로 번호가 부여되었으나, 신 슈베르트 전집에서는 미완성으로 판단하여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 이 곡은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개의 트롬본과 4개의 호른을 포함한 대규모 관현악 편성을 요구한다. 다양한 완성본이 존재하며, 존 프란시스 바넷, 펠릭스 바인가르트너, 브라이언 뉴볼드 등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곡을 완성하려 시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란츠 슈베르트의 교향곡 - 교향곡 5번 (슈베르트)
슈베르트의 교향곡 5번은 1816년에 완성되어 모차르트의 영향을 받은 소규모 관현악 편성으로 밝은 분위기를 나타내는 4악장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 프란츠 슈베르트의 교향곡 - 교향곡 10번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가 생의 마지막 몇 주에 작곡한 미완성 교향곡 10번은 3악장의 스케치가 존재하며 여러 음악학자들이 완성하려 했고 루치아노 베리오가 이를 바탕으로 《렌더링》을 작곡했다.
교향곡 7번 (슈베르트) | |
---|---|
작품 정보 | |
제목 | 교향곡 7번 마장조 |
다른 제목 | 교향곡 7번 (미완성, 브라이언 뉴볼드 완성) 교향곡 10번 (브라이언 뉴볼드 완성) |
작곡가 | 프란츠 슈베르트 |
조성 | 마 장조 |
작곡 연도 | 1821년 |
미완성 사유 | 미상 |
도이치 목록 | D. 729 |
악기 편성 | |
목관악기 | 플루트 2개 오보에 2개 클라리넷 2개 바순 2개 |
금관악기 | 호른 2개 트럼펫 2개 |
타악기 | 팀파니 |
현악기 | 현악 5부 |
악장 구성 | |
1악장 | Allegro moderato |
2악장 | Andante |
3악장 | Scherzo. Allegro – Trio. Andante |
4악장 | Allegro giusto |
참고 사항 | |
미완성 | 1821년에 작곡되었으나 미완성으로 남음. |
브라이언 뉴볼드 | 브라이언 뉴볼드가 미완성된 악장을 완성함. |
2. 역사적 배경
슈베르트는 《미완성》으로 유명한 D 759 외에도, 교향곡 작곡에 착수했다가 포기하는 일을 빈번하게 했었는데, 구 슈베르트 전집/Franz Schubert's Works영어에서는 마장조 D 729에 관해서는 완성 작품으로 취급되었다.[11] 완성된 작품으로 간주된 이유는 제4악장까지 종지선이 그어져 있고, 마디 수까지 확정된 미완성 풀 스코어라는, 슈베르트의 미완성 작품에서는 드문 형태로 포기되었기 때문이다. 구 전집의 편찬자는 피아노 스케치는 이미 다 작성되었고, 나머지는 풀 스코어로 옮기기만 하면 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완성 작품으로 취급하여 "'''교향곡 제7번'''"의 번호를 부여했다. 그러나 신 슈베르트 전집/New Schubert Edition영어의 편찬자는 "거의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풀 스코어를 '완성'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판단했기에,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11] 이것이 "구문덴-가스타인 교향곡"일 것이라는 견해도 초기 연구 시에는 보였으나, 현재는 철회되었다. 후세 연구자들에게는, 슈베르트의 작곡 어법을 아는 데에 귀중한 존재가 되고 있다.
자필보는 왕립 음악 대학 소장이다[11]。
2. 1. 작곡 및 초연
1821년 8월, 슈베르트는 교향곡 7번의 초안을 작성하기 시작했다.[11] 그는 《미완성》으로 유명한 D 759 외에도, 교향곡 작곡에 착수했다가 포기하는 일을 빈번하게 했다.[11] 이 곡은 제4악장까지 종지선이 그어져 있고, 마디 수까지 확정된 미완성 풀 스코어라는, 슈베르트의 미완성 작품에서는 드문 형태로 남아있다. 구 전집의 편찬자는 피아노 스케치는 이미 다 작성되었고, 나머지는 풀 스코어로 옮기기만 하면 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완성 작품으로 취급하여 "'''교향곡 제7번'''"의 번호를 부여했다.[11] 그러나 신 슈베르트 전집/New Schubert Edition영어의 편찬자는 "거의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풀 스코어를 '완성'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판단했기에,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11] 이 곡은 "구문덴-가스타인 교향곡"일 것이라는 견해도 초기 연구 시에는 보였으나, 현재는 철회되었다. 자필보는 왕립 음악 대학 소장이다[11]。2. 2. 다양한 완성본
1881년, 영국의 작곡가 존 프랜시스 바넷/존 프란시스 바넷영어(John Francis Barnett)이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판을 발표했다.[14] 1934년, 펠릭스 바인가르트너가 오케스트레이션을 추가한 보필완성판을 발표했다.[12] 바인가르트너 판은 슈베르트의 악보 음표를 대담하게 변경한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바인가르트너는 "제4악장의 결말이 갑작스럽다"는 이유로 개작을 했다. 1978년, (Brian Newbould)는 악보대로 복원했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완성본을 발표했다.[13] 뉴볼드는 바인가르트너의 개작과 달리 무변경으로 처리했다.3. 악장 구성
교향곡 7번은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트롬본과 4개의 호른 등, 슈베르트의 8번(미완성)과 9번(대 교향곡) 못지않은 대규모 편성을 요구한다. 연주 시간은 약 38분이다. (완성 버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1악장: 아다지오 - 알레그로 (Adagio - Allegro)
약 11분 30초 길이의 1악장 '아다지오 - 알레그로'는 미완성 교향곡의 1악장과 유사한 진혼곡 풍의 느린 도입부로 시작한다.[7] 3개의 트롬본과 4개의 호른 등, 9번(대 교향곡) 못지 않은 대규모 편성을 요구하는 곡이다. 후반부는 로자문데를 연상시키는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전환된다.[7] 슈베르트가 직접 편곡을 거의 완료한 악장이기도 하다.[7]
;2악장: 안단테 (Andante)
2악장 안단테(Andante)는 약 8분 길이로, 애수가 느껴지는 서정적인 선율이 특징이다.[7] 전체적인 분위기는 미완성 교향곡의 2악장과 흡사하다.[7]
;3악장: 스케르초 (Scherzo: Allegro)
제5번의 3악장과 분위기가 비슷하다.[7] 약 6분 길이의 악장이다.
;4악장: 알레그로 지우스토 (Allegro giusto)
4악장 알레그로 지우스토는 약 12분 30초 길이로, 3악장과 마찬가지로 이전의 다른 교향곡들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긴다.[7]
3. 1. 1악장: 아다지오 - 알레그로 (Adagio - Allegro)
약 11분 30초 길이의 1악장 '아다지오 - 알레그로'는 미완성 교향곡의 1악장과 유사한 진혼곡 풍의 느린 도입부로 시작한다.[7] 3개의 트롬본과 4개의 호른 등, 9번(대 교향곡) 못지 않은 대규모 편성을 요구하는 곡이다. 후반부는 로자문데를 연상시키는 밝고 경쾌한 분위기로 전환된다.[7] 슈베르트가 직접 편곡을 거의 완료한 악장이기도 하다.[7]3. 2. 2악장: 안단테 (Andante)
2악장 안단테(Andante)는 약 8분 길이로, 애수가 느껴지는 서정적인 선율이 특징이다.[7] 전체적인 분위기는 미완성 교향곡의 2악장과 흡사하다.[7]3. 3. 3악장: 스케르초 (Scherzo: Allegro)
제5번의 3악장과 분위기가 비슷하다.[7] 약 6분 길이의 악장이다.3. 4. 4악장: 알레그로 지우스토 (Allegro giusto)
4악장 알레그로 지우스토는 약 12분 30초 길이로, 3악장과 마찬가지로 이전의 다른 교향곡들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긴다.[7] 펠릭스 바인가르트너와 브라이언 뉴볼드는 이 악장의 종결부 처리 방식에서 서로 다른 견해를 보인다.4. 악기 편성
2관 편성의 목관악기(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바순 2), 4개의 호른, 2개의 트럼펫, 3개의 트롬본, 팀파니, 현악 5부(제1바이올린,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3] 이 교향곡은 슈베르트의 8번과 9번 교향곡보다 더 큰 관현악 편성을 요구한다.[3]
5. 논란과 평가
5. 1. 번호 문제
슈베르트는 건망증이 심해 오페라 알폰소와 에스트렐라(Alfonso und Estrella, de)의 완성에 전념하면서 작업 중이던 이 교향곡의 존재 자체를 잊은 것으로 추정된다.[15]총 1340 마디에 이르는 이 교향곡은 작곡은 완료되었으나 총보 작업(교향곡에 필요한 편곡)이 110 마디 밖에 진행되지 않았다. 펠릭스 멘델스존과 요하네스 브람스 등이 편곡을 시도했으나 완성하지는 못했다.
도이치 목록 초판 발행 시에는 미완성 교향곡과 대 교향곡의 번호와 작곡 순서가 일치하지 않았고, 후대에 보필, 편곡된 총보가 존재했기 때문에 이 곡은 7번으로 분류되었다. 보필, 편곡된 총보로는 영국의 작곡가 존 프랜시스 버넷(en) 판(1881년), 오스트리아의 지휘자 겸 작곡가 펠릭스 바인가르트너(de) 판(1934년), 영국의 음악학자 겸 작곡가 브라이언 뉴불드(en) 판(1978년)이 있다.
그러나 1978년 도이치 목록 개정판에서는 슈베르트가 직접 총보를 완성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번호가 삭제되었다. 미완성 교향곡과 대 교향곡은 각각 7번과 8번으로 변경되었지만, 이 새로운 부번 방식은 독일어권 국가와 일본을 제외하고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여전히 미완성 교향곡을 8번, 대 교향곡을 9번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자필보는 왕립 음악 대학 소장이다[11]。
5. 2. 음악적 평가
참조
[1]
논문
Review: Schubert, Franz, Symphony No. 7 in E (D729): full score, ed. Brian Newbould
1992-08
[2]
웹사이트
Franz Schubert Symphony No. 10 in D Major/ Sinfonie Nr. 10 in D-Dur (Faber Edition), Realisation: Brian Newbould
http://www.fabermusi[...]
Faber Music
2013-04-30
[3]
서적
[4]
웹사이트
Mario Venzago: Schubert - Symphony in E Major
https://prospero-cla[...]
[5]
웹사이트
Schubert: Symphony no 7 (D729) in E major, Duration: 34:31
http://www.bbc.co.uk[...]
Ulster Orchestra on BBC
2012-03-30
[6]
웹사이트
D-Verz.: 759, Titel: Sinfonie Nr.7 in h
http://www.schubert-[...]
Neue Schubert-Ausgabe, Schubert-database
2013-03-24
[7]
웹사이트
Schubert, F.: Symphony No. 7 (arr. F. Weingartner from 1821 sketches)
http://www.naxos.com[...]
Vienna State Opera Orchestra, Naxos Records
2013-03-27
[8]
간행물
Music and Letters, Volume 74, Issue 3, August 1993, Pages 482–483
[9]
웹사이트
Schubert Franz, Symphony No. 7 in E (D729): full score, ed. Brian Newbould
https://web.archive.[...]
academic.oup.com
2021-04-23
[10]
웹사이트
But there is another Schubert unfinished symphony - No. 7 in E・・・
https://www.nytimes.[...]
www.nytimes.com
2021-04-23
[11]
웹사이트
MS 586 Schubert Unfinished Symphony
https://archive.org/[...]
archive.org
2021-04-22
[12]
웹사이트
SCHUBERT, F.: Symphony No. 7 (arr. F. Weingartner from 1821 sketches) (Vienna State Opera Orchestra, Litschauer) (1952)
http://www.naxos.com[...]
www.naxos.com
2021-04-21
[13]
웹사이트
Schubert: Symphony no 7 (D729) in E major
https://www.bbc.co.u[...]
www.bbc.co.uk
2021-04-21
[14]
웹사이트
Symphony_No.7,_D.729
https://imslp.org/wi[...]
imslp.org
2021-04-22
[1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