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보는 여러 파트보를 모아놓은 악보로, 영어로는 Full score, 이탈리아어로는 Partitura, 독일어로는 Partitur라고 한다. 총보는 각 파트의 배열이 국가나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음이 높은 악기를 위에, 낮은 악기를 아래에 배치하며, 악기 섹션별, 같은 악기 내에서는 1번 파트부터 표기한다. 관현악 총보는 목관, 금관, 타악기, 삽입 악기, 독주, 독창, 현악기 순으로 배열하며, 취주악 총보는 관현악 총보와 악기 배치가 약간 다르다. 총보를 읽는 행위를 스코어 리딩이라고 하며, 작곡가, 편곡가, 지휘자에게 필수적인 기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이론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음악 이론 - 음이름
음이름은 조나 스케일과 관계없이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서양 음악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각국별 표기법과 옥타브 구별법, 그리고 비서양 음악의 음이름 및 계명도 존재한다.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총보 | |
---|---|
불교 | |
구분 | 불교 용어 |
종류 | 업의 종류 |
상세 정보 | |
한자 | 異熟 |
산스크리트어 | vipāka |
팔리어 | vipāka |
영어 | differently matured, resultant |
참고 | 총보 |
2. 총보의 명칭
총보는 이탈리아어로 ''Partitura'', 독일어로 ''Partitur''라고 부르는데, 이는 파트보를 모은 것이라는 의미이다.[1] 영어로는 ''full score''라고 부른다.
총보는 시간을 가로축으로 하여 각 파트의 악보를 세로로 배열한다. 각 파트의 오선은 왼쪽 끝에서 세로선으로 연결되고, 마디선은 세로로 정렬되어 동시에 연주됨을 나타낸다.[1]
현재 총보에서 각 파트의 배열은 국가나 시대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관습을 따른다.
3. 총보의 구성 및 표기
각 단의 왼쪽 끝에는 연주 또는 노래해야 할 파트의 이름이 적힌다. 악기 이름은 16세기 말부터 명기되기 시작했다.[1] 페이지의 오른쪽 끝까지 연주한 후 다음 페이지나 페이지 하단으로 이동하며, 소리가 나지 않는 파트의 오선은 생략될 수 있다.
템포 관련 기호는 합주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악보 상단 등에 모아서 표기한다. 연습 번호나 마디 번호는 악보 상하에 붙는다. 강약이나 표현 관련 기호는 파트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각 파트의 오선 아래 또는 위에 표기한다.
이조 악기는 이조된 채로 표기되며, 읽을 때는 해당 악기의 음을 실음으로 이조하여 읽는다. 20세기에는 프로코피예프, 베베른, 메시앙 등 일부 작곡가들이 이조 표기를 하지 않고 실음으로 총보를 작성하기도 했다.
4. 각 파트의 배열
4. 1. 관현악 총보
오케스트라의 총보에서는 목관 악기, 금관 악기, 타악기, 삽입 악기·독주·독창, 현악기 순으로 배열한다. 관악기는 같은 악기라면 2개 이상을 한 단의 악보에 쓴다. 성악에서는 독창을 위에, 합창을 아래에 둔다.
성악이나 삽입 악기를 첼로 위에 두는 경우도 있다.
역사적인 악보에서는 바순이나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 저음 악기를 아래에 묶어 놓은 것이 있다. 프로코피예프와 쇼스타코비치는 종종 트럼펫 아래에 호른을 넣었다.
4. 2. 취주악 총보
취주악에서는 악기 배치가 관현악과 약간 다른 부분이 있다. 바스 클라리넷 등 많은 악기가 높은음자리표로 표기되며, 아마추어를 위해 트롬본과 바순은 테너 음자리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4. 3. 기타 총보
독주적인 성격이 강한 악기는 위에, 화음을 담당하는 악기는 아래에 기보한다.
5. 스코어 리딩
총보를 읽는 것을 일반적으로 '''스코어 리딩'''이라고 한다. 작곡가, 편곡가, 지휘자에게 필수적인 기술이다. 스코어 리딩은 악보를 읽고 머릿속에서 소리를 구축하는 것뿐만 아니라, 피아노 등으로 연주하여 소리를 내는 것까지를 의미한다.
학습법으로는, 다이어크로매틱 음자리표를 많이 포함하는 4단 합창보 등에서 시작하여, 서서히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베토벤의 합주곡을 거쳐 낭만파의 서곡이나 교향곡을 학습하고, 마지막에는 스트라빈스키나 드뷔시, 바르토크 등의 관현악곡에 이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