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개수 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개수 비음은 혀의 뒤쪽을 구개수(목젖)에 대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조음 위치는 구개수이며, 폐에서 기류가 발생하고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다.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며, 아랍어, 네덜란드어, 일본어, 조지아어, 투르크멘어, 우즈베크어, 바이어어, 영어(노섬브리아 방언), 이누피아크어, 이누비알루크툰어, 칼랄리수트어, 카자흐어, 클라잼어, 라모어, 마포스 부앙어, 몽골어, 오키나와어, 케추아어, 스페인어, 얀유아어, 미야오어 등에서 변이음 또는 음소로 사용된다.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구개수 비음
음성학적 정보
IPA 기호ɴ
IPA 번호120
10진수628
X-SAMPAN"
키르셴바움n"
브라유 점자35
브라유 점자 21345
IPA 유니코드 0x0274
IPA 유니코드 0x0274
발음 변형
전설 구개수 비음ɴ̟
중설 구개수 비음ɴ
후설 연구개 비음ŋ̠
중설 연구개 비음ŋ˗
연구개 비음ŋ

2. 조음 방법

구개수 비음


구개수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조음된다.

  • 기류의 발생 - 폐장기류기구에 의해 생기는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한 유성음.
  • 조음 위치 - 구개수.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와 그 개방에 의한 파열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내려 비강으로도 호기를 보낸 비음.[1]

3. 언어별 사용 예시

구개수 비음은 드문 자음으로, 이 음소를 독립적으로 가진 언어는 많지 않다. 주로 특정 환경에서 /n/ 또는 /ŋ/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언어단어IPA의미비고
아프리칸스어많은 화자aangenaam|아엥헤남af[ˈɑːɴχənɑːm]'유쾌한'앞에서 의 변이음; 격식적인 발음에서는 으로 실현. 아프리칸스어 음운론 참조
아르메니아어անխելք|아엥헬크hy[ɑɴˈχɛlkʰ]'지각없는'비격식적인 발음에서 연구개 자음 앞의 의 변이음.
바이어Enqi 방언[6][ɴa˨˩]'걷다'음소적이며, /ŋ/과 대조.
Luobenzhuo 방언[5]我/nò[ɴɔ˦˨]'나'음소적이며, /ŋ/과 대조.
바슈키르어нaң|나엥ba/[nɑɴ]'황무지'후설 모음 환경에서 의 변이음.
영어노섬브리아 방언colspan="3" style="text-align:center"|[9]
이누피아크어노스 슬로프iḷisaġniaqtuq|일륵사륵니아크툮ik[iʎsaʁɴiaqtuq]'그는 공부할 것이다'다른 방언에서는 [ʁn]에 해당함.
이누비알루크툰어namunganmun|나무응아엥무엥ikt[namuŋaɴmuɴ]'어디로?'변이음; 이누이트 음운론 참조
칼랄리수트어paarngorpoq|파아엥오르폮kl[pɑːɴːɔpːɔq]'기어가다'발생 및 음소적 지위는 방언에 따라 다름.
카자흐어жаңа|쟘아kk/[ʒɑɴɑ]'새로운'후설 모음 환경에서 /ŋ/의 변이음.
클라잼어sqəyáyŋəxʷ|스커야이엥앟clm[sqəˈjajɴəxʷ]'큰 나무'성문 폐쇄음화된 형태와는 대조되지만, /ŋ/과는 대조되지 않음.
라모어[ɴʷɚ̰˥]'다섯'/ŋ/, /ŋ̊/, /ɴ̥/과 대조.
마포스 부앙어[10]alu|알루엥bzh[aˈl̪uɴ]'과부'음소적이며, /ŋ/과 대조.
몽골어/ [ˈmɔɴ.ɢəɮ]'몽골'/ŋ/의 변이음
오키나와어[11][ʔɴ̩ːmeː]'할머니'/n/의 후두화 변이음.
케추아어페루sunqu|숭쿠qu[ˈs̠oɴqo]'심장'의 변이음.
스페인어enjuto|엥후토es[ẽ̞ɴˈχuto̞]'쪼그라든'의 변이음.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얀유아어wangulu|왕울루jao[waŋ̠ulu]'청소년 소년'전구개수; 후구개수 와 대조.


3. 1. 아랍어

아랍어에서는 ق(q) 앞에 ن(n)이 올 때 변이음으로 난다. 예시로 انقلب (쿠데타)가 있다.[1]

3. 2.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에서 ch([χ]) 앞의 /n, ŋ(ng)/에서 변이음으로 난다. 예시로 'aangenaam (유쾌한)'이 있다.[1]

3. 3. 일본어

일본어에서 어말 받침(/ん/)은 구개수 비음으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실증적인 연구에서는 이견이 제기되고 있다.[12][13] 예를 들어 '本(책)'은 일본어로 本|hon일본어으로 발음된다.

3. 4. 기타 언어


  • 조지아어ka: 구개수음 앞의 ნ(n)에서 변이음으로 난다.
  • 투르크멘어tk: 후설모음 옆의 ň에서 변이음으로 난다.
  • 우즈베크어uz: q, x, gʻ 앞의 ng에서 변이음으로 난다.
  • 바이어bvx: 뤄번줘(洛本卓) 방언의 병음 n에서 이 소리가 난다.
  • 미야오어miao: 비둘기 ɴqo|miao와 같은 단어에서 발견된다.

참조

[1] 논문 A note on the Inuit uvular nasal 1978
[2] 논문 Assimilation in the Inuit Languages and the Place of the Uvular Nasa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10
[3] 서적 Lexique touareg-français Museum Tusculanum Press
[4] 간행물 Kamuchibetto-go yasusada shintobashi [Rangakha] hōgen no onsei bunseki http://repository.tu[...] 2007
[5] 보고서 Bai Dialect Survey https://www.sil.org/[...] 2007-08
[6] 서적 Comparison of Languages in Contact: The Distillation Method and the Case of Bai http://www.ling.sini[...] 2006
[7] 서적 Proceedings of the 5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no-Tibetan Languages and Linguistics (2018) Kyoto University
[8] 문서
[9] 서적 The Northumbrian Burr: A Sociolinguistic Study Gleerup
[10] 서적 Ḳapiya Tateḳin Buang Vuheng-atov Ayej https://www.sil.org/[...]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Papua New Guinea Branch
[11] 서적 Handbook of Ryukyuan Languagesj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12] 논문 日本語語尾撥音の調音実態 : X線マイクロビーム日本語発話データベースを用いて
[13] 논문 Production of the utterance-final moraic nasal in Japanese: A real-time MRI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