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키나와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키나와어는 류큐 열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류큐국 시대에는 슈리 방언을 중심으로 사용되었으나, 일본 병합 이후 일본어의 보급과 방언 억압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쇠퇴했다. 현재는 시대극, 문학 작품, 공연 예술 등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며, 고령층 화자를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유네스코는 오키나와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으며,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문법과 어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아마미어
    아마미어는 아마미 제도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 클러스터로, 아마미오섬어, 키카이어, 도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가 있으며, 각 언어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ISO 639-3 코드를 가진 것도 있다.
  • 일본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일본의 언어 - 게센어
    게센어는 일본 이와테현 기센 지구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도호쿠 방언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아이누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언어라는 주장도 있으며, 현대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어휘와 문법, 발음 체계로 인해 지역 언어 부흥 운동의 대상이 되었으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 중이다.
오키나와어
언어 정보
이름오키나와어
자기 이름(우치나구치)
사용 국가일본
사용 지역오키나와섬
화자 수118만 명 (2020년)
언어 계통일본어족
하위 분류류큐어파
북류큐어군
문자가나(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공용 국가없음
표준어없음
ISO 639-3ryu
Glottologcent2126
Glottolog 이름Central Okinawan
Linguasphere45-CAC-ai
45-CAC-aj
45-CAC-ak
지도 정보
오키나와어 분포 지도
UNESCO 언어 위험도
}}

2. 역사

오키나와어는 크게 중부 방언(슈리 방언, 나하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 쇼하시 왕(尚巴志王)[84]류큐국 통일 후, 왕부(王府)가 위치해 있던 슈리에 모인 아지[85]들 사이에서 공통어로서 슈리 방언이 선택되었다.

메이지 정부는 표준어 도입 정책에 따라 방언 박멸 운동을 전개하여, 오키나와어 사용은 다른 지방 방언들과 더불어 탄압받았다. 학교에서 오키나와어를 사용하는 학생에게는 벌로 방언찰이라는 목패를 걸게 하였다.

오늘날 오키나와어 사용은 시대극, 일부 문학작품 및 공연예술(류카, 구미오도리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나며, 주로 고령층이 사용한다. 고령층이 말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갖췄더라도, 그 자녀 세대는 말은 못하고 이해하는 수준에 그치며, 다시 그 자녀는 들어도 이해하지 못하는 식으로 언어 쇠퇴가 진행되고 있다.

2. 1. 류큐 왕국 이전

쇼하시 왕[84]류큐국을 통일한 후, 왕부(王府)가 있던 슈리에 모인 아지[85]들이 슈리 말을 공통어로 선택했다. 3대 국왕 쇼 신오의 중앙 집권 지배 기간 동안 왕족과 상류 계급은 슈리 방언을 공용어로 사용했으며, 이 때 슈리 방언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류카(琉歌)[86]와 한시를 제외한 모든 시는 슈리 방언으로 쓰였고, 구미오도리[87]도 슈리 방언으로 공연되었다.

나하 방언은 상인들이 사용했다. 오키나와 북부 방언은 보통 슈리나 나하의 말과 별도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2. 2. 류큐 왕국 시대

쇼하시 왕(尙巴志王)이 류큐국을 통일한 후, 왕부가 있던 슈리에 모인 아지[85]들 사이에서 슈리 방언이 공통어로 선택되었다. 쇼 신오 왕의 중앙 집권 지배 기간 동안 슈리 방언은 왕족과 상류 계급의 공용어가 되었다. 류카(琉歌)[86]와 한시를 제외한 시들은 슈리 방언으로 쓰였으며, 구미오도리[87]도 슈리 방언으로 공연되었다.

나하 방언은 상인들이 사용했으며, 오키나와 북부 방언들은 슈리나 나하 방언과 별도로 간주된다.

2. 2. 1. 사쓰마 번 침략 이전

히라가나한자보다 훨씬 더 대중적인 표기 체계였다. 따라서 오키나와 시는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만 사용하거나 한자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쓰였다. 오키나와어는 쇼신왕 시대에 공식 언어가 되었다. 고대 류큐 시의 모음집인 오모로 소시는 초기 형태의 오키나와어, 즉 옛 오키나와어로 쓰여졌다.

2. 2. 2. 사쓰마 번 침략 이후

1609년, 류큐 왕국은 일본 남부의 사쓰마 번에 의해 식민지화되었다. 그러나 사쓰마는 당시 류큐와 더 강력한 무역 관계를 맺고 있던 중국과의 충돌을 두려워하여 류큐를 완전히 침략하지 않았다.[7] 사쓰마 번의 속국이 된 후, 한자가 시에서 더 두드러지게 되었지만, 공식 류큐 문서는 고전 중국어로 작성되었다. 이 기간 동안 언어는 점차 현대 오키나와어로 진화했다.

2. 3. 일본 병합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쇼하시 왕의 류큐국 통일 후, 왕부가 위치해 있던 슈리에 모인 아지들 사이에 공통어로서 슈리의 말이 선택되어, 3대 국왕 쇼 신오의 중앙 집권 지배 기간 동안 왕족과 상류 계급의 공용어로서 슈리 방언의 면모가 완성되었다. 모든 류카와 한시를 제외한 시들이 슈리방언으로 쓰여졌다. 구미오도리도 슈리방언으로 공연되었다.[84][85][86][87]

나하 방언은 상인들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오키나와 북부의 방언들은 보통 슈리나 나하의 말과 별도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류큐국의 일본 병합 이후에는 메이지 정부의 표준어 도입정책에 따라 방언박멸운동이 전개되어, 오키나와어의 사용은 다른 지방방언들과 더불어 탄압받았다. (학교에서 오키나와어를 말하는 학생에게 벌로 방언찰이라는 목패를 걸게 함.)

1879년 일본이 류큐를 병합했을 때 오키나와 섬 주민의 대다수는 오키나와어를 사용했다. 10년 이내에 일본 정부는 류큐어를 점차 억압하는 일본화 동화 정책을 시작했다. 교육 시스템은 일본화의 핵심이었으며, 오키나와 아이들은 일본어를 배우고 모국어를 사용하면 처벌받았으며, 그들의 언어는 단지 "방언"일 뿐이라고 들었다. 1945년까지 많은 오키나와인들이 일본어를 구사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중 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오키나와 전투 동안 일부 오키나와인들은 오키나와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일본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류큐/오키나와에서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은 1879년 일본 정부가 류큐를 병합하고 오키나와 현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청은 주로 가고시마현 출신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과거 사쓰마 번이 있던 곳이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의 근대화와 함께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어는 행정, 교육, 미디어 및 문학의 표준 언어가 되었다.

1902년, 국어조사위원회는 일본의 언어 통일을 표준 일본어로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어를 포함한 일본의 많은 지역 방언이 언어적으로 낙인찍혔다. 차별이 가속화되면서 오키나와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언어를 버리고 표준 일본어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방언 카드는 웨일스의 웰시 낫과 유사하게 일본 오키나와에서 채택되었다.

2. 4. 미국 통치 시기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교육을 통해 오키나와 언어와 문화를 장려하려 했다.[4] 미국 통치 아래 오키나와어를 부흥하고 표준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는 어려움에 직면하여 일본어로 대체되었다. 이 시기 다수의 영어 단어가 유입되었다.

2. 5. 일본 반환 이후 현재

1972년 오키나와 반환 이후에도 일본어가 주된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젊은 세대의 대다수는 오키나와 일본어만 사용한다.[5] 바이런 피자, 노보리카와 세이진과 같은 저명인사들이 오키나와어를 부흥시키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오키나와어를 아는 원어민은 거의 없다.[5]

2. 6. 일본 외 지역

오키나와어는 브라질의 오키나와 이민자 공동체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908년 오키나와 섬에서 브라질로 온 첫 이민자들은 일자리와 경작 가능한 땅을 찾아 상투스 항구에 도착했다.[6] 새로운 나라에서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그들은 언어 사용을 금지하지 않는 곳에서 언어를 기꺼이 사용하고, 문화를 기념하고 보존할 수 있었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6] 현재 상파울루 주의 오키나와계 일본인 센터와 공동체는 이 언어가 살아있도록 돕는 세계적인 모범 사례이다.[6]

볼리비아의 "콜로니아"인 오키나와 우노의 표지판(스페인어 및 오키나와어): 텍스트는 로 읽습니다.

3. 분류

오키나와어는 구니가미어와 함께 오키나와어군으로 묶이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언어학자들이 이 분류를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는 구니가미어를 오키나와어의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한다.[7] 오키나와어는 아마미어(혹은 아마미어군)와 함께 북부 류큐어군으로 묶인다.

오키나와어(오키나와 방언)는 북부 방언과 (중) 남부 방언의 두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27][28][29] 츠켄섬, 쿠다카섬은 지리적으로는 오키나와 제도 남부에 위치하지만, 하행 p음을 가지는 등 오키나와 북부 방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30]

류큐 왕국 시대, 왕부 슈리성이 있는 슈리에 모이는 안지끼리 통하는 공통어로서 슈리 방언이 만들어졌다. 쇼신의 중앙 집권 지배 동안(1476년-1526년)에 완성되었다. 1534년부터 슈리 왕부에 의해 편찬된 오키나와 최고(最古)의 가요집 오모로소시에 류큐 고어가 사용되었으며, 슈리 방언의 원류로 여겨진다. 슈리 방언은 왕족과 상류 계급에 의해 사용되는 공용어였지만, 서민들 사이에서는 각 지역의 말이 사용되었다. 류큐 왕부의 공문서나, 류카, (한문 제외), 쿠미오도리 등의 구전 문예, 문학은 슈리 방언으로 쓰여 있다. 상인 등 사이의 공통어로는 슈리 방언보다 나하 방언이 널리 사용되었고, 메이지 시대 이후 점차 슈리 방언을 대신하여 나하 방언이 지역 공통어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슈리 방언은 사족 계급의 해체와 함께 사라져, 20세기 후반에는 어떤 지역, 어떤 계급에서도 체계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31] 한편 표준적인 일본어에서는 "고어"로 취급되는 흔적이 남아있는 단어나, 중국어를 뿌리로 하는 단어도 혼재되어 있다.[32]

2009년 2월 19일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는 세계에서 약 2500개의 언어가 소멸 위기에 있으며, 일본 난세이 제도의 여러 언어도 그 대상이 되었다고 발표했다. 이 중에서 오키나와어(오키나와 방언)는 아마미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와 함께 각각 독립된 1개의 언어 "오키나와어"로 간주되었다.

유네스코 담당자는 "이러한 언어가 일본에서 방언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독립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71] 이를 받아 참의원 의원인 이토카즈 게이코는 "유네스코가 독립 언어로 한 8개 언어는 언어인가, 방언인가" 등 7개 항목을 "오키나와 언어에 관한 질문 주지서"로 정부에 제출했다.[72] 이 질문에 대해 정부는 "「언어」및 「방언」의 용어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질문에 일괄적으로 답변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했다.[74]

국제 SIL이 출판하는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일본어, 아이누어, 조선어와 함께 "중앙 오키나와어(Okinawan, Central)"가 언급되어 있다. 하지만 에스놀로그에서는 언어학자나 일반인의 이해와 다른 분류를 싣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는 중앙 오키나와어라는 호칭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난세이 제도의 언어로서, 키카이어, 북 아마미어, 남 아마미어, 토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와 같은 언어를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75] 이러한 언어는 류큐어의 여러 방언으로 간주되고 있다.[76] 또한, 국제 SIL 자체도 방언이라는 의견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표명하고 있다. 2007년에 오키나와 주변 지역의 언어로서 오키나와섬 중앙 "ryu",[77] 요나구니섬 "yoi",[78] 토쿠노시마 "tkn"[79] 등 총 11종이 ISO 639-3으로 언어 코드로 추가되었다.

3. 1. 일본어의 방언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 언어로, 조상 일본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일본어와 관련이 있다. 고대 일본어와 류큐어의 분화는 기원후 1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7] 1879년 일본이 류큐를 병합했을 때 오키나와 섬 주민 대다수는 오키나와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10년 이내에 일본 정부는 일본화 동화 정책을 시작하여 오키나와어를 억압했다. 오키나와 아이들은 일본어를 배우고 모국어를 사용하면 처벌받았으며, 그들의 언어는 단지 "방언"일 뿐이라고 교육받았다. 1945년까지 많은 오키나와인들이 일본어를 구사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중 언어 구사자가 되었다.[8]

류큐/오키나와에서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은 1879년 일본 정부가 류큐를 병합하고 오키나와 현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청은 주로 가고시마현 출신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과거 사쓰마 번이 있던 곳이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의 근대화와 함께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어는 행정, 교육, 미디어 및 문학의 표준 언어가 되었다.

1902년, 국어조사위원회는 일본의 언어 통일을 표준 일본어로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어를 포함한 일본의 많은 지역 방언이 언어적으로 낙인찍혔다. 차별이 가속화되면서 오키나와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언어를 버리고 표준 일본어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방언 카드는 웨일스의 웰시 낫과 유사하게 일본 오키나와에서 채택되었다.

오키나와현이 설치된 이래 오키나와어는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 일본어의 방언으로 분류되어 왔다. 이후 도조 미사오와 같은 일본 언어학자들은 류큐어가 실제로 방언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일본이 단일민족, 단일 언어, 단일 국가라는 오해에서 비롯되었으며, 류큐어를 방언으로 분류하면 이러한 가정을 훼손하게 된다는 점에 기인한다.[8] 현재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은 오키나와어를 방언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일본인들은 이를 沖縄方言|오키나와 호겐일본어 또는 沖縄弁|오키나와벤일본어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오키나와 (일본어) 방언"을 의미한다. 동화 정책과 미디어 및 경제를 통한 일본과 오키나와의 상호 작용 증가는 오키나와 일본어의 발달로 이어졌으며, 이는 오키나와어와 구니가미어의 영향을 받은 일본어 방언이다. 일본어와 오키나와어는 둘 다 일본어족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어휘의 60%만 공유한다.[9]

3. 2. 류큐어의 방언

오키나와어는 크게 중부 방언(슈리 방언, 나하 방언)과 남부 방언으로 나뉜다.[84] 쇼하시 왕의 류큐국 통일 후, 왕부가 있던 슈리에 모인 아지[85]들 사이에 공통어로서 슈리의 말이 선택되었다. 3대 국왕 쇼 신오의 중앙 집권 지배 기간 동안 왕족과 상류 계급의 공용어로서 슈리 방언이 완성되었다. 모든 류카[86]와 한시를 제외한 시들이 슈리 방언으로 쓰였으며, 구미오도리[87]도 슈리 방언으로 공연되었다.

나하 방언은 상인들의 언어로 사용되었다. 오키나와 북부 방언들은 보통 슈리나 나하의 말과 별도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류큐 왕국 시대, 왕부 슈리성이 있는 슈리에 모이는 안지끼리 통하는 공통어로서 만들어진 것이 슈리 방언으로, 쇼신의 중앙 집권 지배 동안(1476년-1526년)에 완성되었다. 1534년부터 슈리 왕부에 의해 편찬된 오키나와 최고(最古)의 가요집 오모로소시에 류큐 고어가 사용되었으며, 슈리 방언의 원류로 여겨진다. 슈리 방언은 왕족과 상류 계급에 의해 사용되는 공용어였지만, 서민들 사이에서는 각 지역의 말이 사용되었다. 류큐 왕부의 공문서나, 류카, (한문 제외), 쿠미오도리 등의 구전 문예, 문학은 슈리 방언으로 쓰여 있다. 슈리 방언은 각지에서 사라진 오래된 발음의 구별을 남기고 있으며, 사족 남자는 훈련을 통해 규범적인 발음을 익혔다. 상인 등 사이의 공통어로는 슈리 방언보다 나하 방언이 널리 사용되었고, 메이지 시대 이후 점차 슈리 방언을 대신하여 나하 방언이 지역 공통어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슈리 방언은 사족 계급의 해체와 함께 사라져, 20세기 후반에는 어떤 지역, 어떤 계급에서도 체계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31]

한편 표준적인 일본어에서는 "고어"로 취급되는 흔적이 남아있는 단어나, 중국어를 뿌리로 하는 단어도 혼재되어 있다.[32]

오키나와어(오키나와 방언)는 북부 방언과 (중) 남부 방언의 두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27][28][29] 츠켄섬, 쿠다카섬은 지리적으로는 오키나와 제도 남부에 위치하지만, 하행 p음을 가지는 등 오키나와 북부 방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30]

3. 3. 독자적인 언어

오키나와어는 구니가미어와 함께 오키나와어군으로 묶이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언어학자들이 이 분류를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며, 일부에서는 구니가미어를 오키나와어의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한다.[7] 오키나와어는 아마미어(혹은 아마미어군)와 함께 북부 류큐어군으로 묶인다.

일본 외 지역에서는 오키나와어를 일본어와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이는 바실 홀 체임벌린이 처음 제안했으며, 그는 오키나와어와 일본어의 관계를 로망스어군의 관계에 비유했다. 유네스코는 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다.[12]

오키나와어(오키나와 방언)는 북부 방언과 (중) 남부 방언의 두 그룹으로 크게 나뉜다.[27][28][29] 츠켄섬, 쿠다카섬은 지리적으로는 오키나와 제도 남부에 위치하지만, 하행 p음을 가지는 등 오키나와 북부 방언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30]

2009년 2월 19일 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계에서 약 2500개의 언어가 소멸 위기에 있으며, 일본 난세이 제도의 여러 언어도 그 대상이 되었다. 이 중에서 오키나와어(오키나와 방언)는 아마미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와 함께 각각 독립된 1개의 언어 "오키나와어"로 간주되었다.

유네스코 담당자는 "이러한 언어가 일본에서 방언으로 취급되고 있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지만, 국제적인 기준으로는 독립 언어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71] 이를 받아 참의원 의원인 이토카즈 게이코는 "유네스코가 독립 언어로 한 8개 언어는 언어인가, 방언인가" 등 7개 항목을 "오키나와 언어에 관한 질문 주지서"로 정부에 제출했다.[72] 이 질문에 대해 정부는 "「언어」및 「방언」의 용어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질문에 일괄적으로 답변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했다.[74]

국제 SIL이 출판하는 에스놀로그에 따르면,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일본어, 아이누어, 조선어와 함께 "중앙 오키나와어(Okinawan, Central)"가 언급되어 있지만, 에스놀로그에서는 언어학자나 일반인의 이해와 다른 분류를 싣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는 중앙 오키나와어라는 호칭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난세이 제도의 언어로서, 키카이어, 북 아마미어, 남 아마미어, 토쿠노시마어, 오키노에라부어, 요론어, 구니가미어, 미야코어, 야에야마어, 요나구니어와 같은 언어를 많이 언급하고 있지만,[75] 이러한 언어는 류큐어의 여러 방언으로 간주되고 있다.[76] 또한, 국제 SIL 자체도 방언이라는 의견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표명하고 있다. 2007년에 오키나와 주변 지역의 언어로서 오키나와섬 중앙 "ryu",[77] 요나구니섬 "yoi",[78] 토쿠노시마 "tkn"[79] 등 총 11종이 ISO 639-3으로 언어 코드로 추가되었다.

4. 사회언어학

1879년 일본이 류큐를 병합했을 때 오키나와 섬 주민 대다수는 오키나와어를 사용했다. 이후 10년 안에 일본 정부는 류큐어를 억압하는 일본화 동화 정책을 시작했다. 교육 시스템은 일본화의 핵심이었으며, 오키나와 아이들은 일본어를 배우고 모국어를 사용하면 처벌받았고, 그들의 언어는 "방언"일 뿐이라고 교육받았다. 1945년까지 많은 오키나와인들이 일본어를 구사했고, 많은 사람들이 이중 언어 구사자가 되었다. 오키나와 전투 동안 일부 오키나와인들은 오키나와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일본군에 의해 살해되었다.[12]

류큐/오키나와에서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은 1879년 일본 정부가 류큐를 병합하고 오키나와 현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청은 주로 가고시마현 출신 사람들로 구성되었으며, 과거 사쓰마 번이 있던 곳이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의 근대화와 함께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일본어는 행정, 교육, 미디어 및 문학의 표준 언어가 되었다.[12]

1902년, 국어조사위원회는 일본의 언어 통일을 표준 일본어로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키나와어를 포함한 일본의 많은 지역 방언이 언어적으로 낙인찍혔다. 차별이 가속화되면서 오키나와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언어를 버리고 표준 일본어로 전환하기 시작했다.[12]

방언 카드는 웨일스의 웰시 낫과 유사하게 일본 오키나와에서 채택되었다.[12] 일본 외 지역에서는 오키나와어를 일본어와 별개의 언어로 간주한다. 이는 바실 홀 체임벌린이 처음 제안했으며, 그는 오키나와어와 일본어의 관계를 로망스어군의 관계에 비유했다. 유네스코는 이를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다.[12] 유네스코는 2009년에 6개의 오키나와어 방언을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했다.[13] 오키나와어의 소멸 위기는 주로 표준 일본어로의 언어 전환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오키나와어는 표준 일본어의 방언으로 취급되어 왔다. 예를 들어, 20세기에는 많은 학교에서 오키나와어로 말하는 학생들을 처벌하기 위해 "방언 낙인"을 사용했다.[14] 그 결과, 오늘날 남아있는 많은 화자들은 과거 언어에 대한 낙인 때문에 더 젊은 세대에게 그들의 언어를 전파하지 않으려고 한다.[7]

이러한 언어 전환을 되돌리기 위한 몇 가지 부흥 노력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키나와 교육 위원회의 지원 부족으로 오키나와어는 아직 정규 교육 기관에서 제대로 가르쳐지지 않고 있다. 오키나와에서는 교육이 전적으로 일본어로 진행되며, 아이들은 학교에서 오키나와어를 제2 언어로 배우지 않는다. 그 결과, 적어도 두 세대의 오키나와인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지역 언어에 대한 능숙함 없이 자랐다.[7]

오키나와어 어휘는 일본어와 약 39%의 어휘적 유사성을 가지며[15] 오키나와어는 표준 일본어와 71%의 어휘적 유사성을 가지거나 동계어 관계를 보인다. 가장 남쪽에 위치한 일본 방언인 가고시마 방언조차도 가장 북쪽에 위치한 류큐어인 아마미어와 72%의 동계어 관계를 보일 뿐이다. 그러나 일본의 가고시마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80%의 어휘적 유사성을 가진다.[16]

5. 음운

오키나와어는 모음 음소 /i, e, a, o, u/, 반모음 음소 /j, w/, 자음 음소 /p, b, t, d, k, g, ʔ, s, z, c, h, r, m, n/, 박 음소 /N, Q/를 가지고 있다[33]

/e/와 /o/는 단모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 장모음으로 나타난다. /N/(ン, 받침)과 /Q/(ッ, 촉음)는 어중, 어미뿐만 아니라 어두에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일본어와 다르다. 모음, 반모음, 받침 앞에서는 성문 파열음 /ʔ/의 유무가 구별되지만, 구메지마 방언에서는 /ʔ/가 사라졌다[34]

북부 방언 대부분과 난조시오우, 쓰켄 섬 등 중남부 방언 일부에서는 무성 파열음·무성 파찰음 (/p, t, k, c/)에서 유기음무기 후두화음의 구별이 있지만 , 대부분의 중남부 방언에서는 구별이 없다. 나하 방언 등 일부에서는 /d/가 /r/로 변화하여 /d/ 음소가 없는 곳도 있다

다음은 나하 방언의 목록이다. [] 안은 구체적인 음성을 나타내고, // 안은 이를 추상화하여 기호화한 음소를 나타낸다. 나하 방언에는 /d/가 없지만, 다른 많은 방언에는 /di/, /de/, /da/, /do/, /du/가 있다. 슈리 방언의 무사 남성에게는 시(ʃi)와 스ィ(si), 셰(ʃe)와 세(se), 치(tʃi)와 츠ィ(tsi), 그리고 dʒ 행과 dz 행의 구별이 있었다[36]

나하 방언의 박 체계[37][38]
/i//e//a//o//u//ja//jo//ju//wi//we//wa/ 
/ʔ/
/ʔi/
[ʔi]

/ʔe/
[ʔe]

/ʔa/
[ʔa]

/ʔo/
[ʔo]

/ʔu/
[ʔu]

/ʔja/
[ʔja]

/ʔjo/
[ʔjo]
 
/ʔwi/
[ʔwi]

/ʔwe/
[ʔwe]

/ʔwa/
[ʔwa]
ッン
/ʔN/
[ʔm]
[ʔn]
/Ø/'이
/i/
[i]
[ji]
'에
/e/
[e]
[je]
'아
/a/
[a]
'오
/o/
[o]
'우
/u/
[u]
[wu]

/ja/
[ja]

/jo/
[jo]

/ju/
[ju]

/wi/
[wi]

/we/
[we]

/wa/
[wa]

/N/
[m]
[n]
[ŋ]
[ɴ]
/h/
/hi/
[çi]

/he/
[he]

/ha/
[ha]

/ho/
[ho]

/hu/
[ɸu]

/hja/
[ça]

/hjo/
[ço]
 
/hwi/
[ɸi]

/hwe/
[ɸe]

/hwa/
[ɸa]
 
/k/
/ki/
[ki]

/ke/
[ke]

/ka/
[ka]

/ko/
[ko]

/ku/
[ku]
   
/kwi/
[kwi]

/kwe/
[kwe]

/kwa/
[kwa]
 
/g/
/gi/
[gi]

/ge/
[ge]

/ga/
[ga]

/go/
[go]

/gu/
[gu]
   
/gwi/
[gwi]

/gwe/
[gwe]

/gwa/
[gwa]
 
/t/
/ti/
[ti]

/te/
[te]

/ta/
[ta]

/to/
[to]

/tu/
[tu]
       
/c/
/ci/
[tʃi]

/ce/
[tʃe]

/ca/
[tʃa]

/co/
[tʃo]

/cu/
[tʃu]
      
/s/
/si/
[ʃi]

/se/
[ʃe]

/sa/
[sa]

/so/
[so]

/su/
[su]
 
/sjo/
[ʃo]

/sju/
[ʃu]
    
/z/[39]
/zi/
[dʒi]

/ze/
[dʒe]

/za/
[dʒa]

/zo/
[dʒo]

/zu/
[dʒu]
       
/n/
/ni/
[ni]

/ne/
[ne]

/na/
[na]

/no/
[no]

/nu/
[nu]
       
/r/
/ri/
[ɾi]

/re/
[ɾe]

/ra/
[ɾa]

/ro/
[ɾo]

/ru/
[ɾu]
       
/p/
/pi/
[pi]

/pe/
[pe]

/pa/
[pa]

/po/
[po]

/pu/
[pu]
       
/b/
/bi/
[bi]

/be/
[be]

/ba/
[ba]

/bo/
[bo]

/bu/
[bu]
 
/bjo/
[bjo]
     
/m/
/mi/
[mi]

/me/
[me]

/ma/
[ma]

/mo/
[mo]

/mu/
[mu]
       
 
/Q/
[k,t,s,tʃ,ʃ,p]


5. 1. 모음

오키나와어에는 3개의 단모음 와 5개의 장모음 가 있다. 단모음 는 일본어와는 다르게 원순모음이다.



오키나와어는 5개의 모음을 가지며, 모두 장모음 또는 단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단, 단모음 와 는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는 또는 의 패턴을 가진 강세 음절을 가진 몇몇 고유 오키나와어 단어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mensōrē'' "어서 오세요" 또는 ''tonfā''와 같은 단어가 있다. 고(close) 후설 모음 와 는 표준 일본어의 압축 모음이 아닌 진정한 둥근 모음이다.

원칙적으로는 다음의 음소가 인정된다[33]


  • 모음 음소 /i, e, a, o, u/

5. 2. 자음

접근음



오키나와어는 위 표에 표시된 약 20개의 뚜렷한 분절음을 가지고 있다.

표준 일본어와 비교했을 때, 오키나와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오키나와어에는 일본어에서 발견되는 주요 변이음 와 가 없다. 역사적으로 치경음 , , , 뒤에 모음 를 로 전설 모음화하여, 그 결과 ''tsu''를 ''chi''로, ''su''를 ''shi''로, 그리고 ''dzu''와 ''zu''를 모두 ''ji''로 병합했다. 또한, 고유한 음소로서의 가 없으며, 이를 로 병합했다.[33]

북부 방언의 대부분이나, 난조 시오우 섬, 쓰켄 섬 등 중남부 방언의 일부에서는 무성음 파열음·무성 파찰음 즉 /p/, /t/, /k/, /c/에서 유기음무기 후두화음의 구별이 있다.[33][35]

나하 방언 등 일부에서는 /d/가 /r/로 변화하여, /d/ 음소를 결여하고 있는 곳이 있다.[33]

5. 3. 음절

(기술적으로는 음절이 아닌 모라이다.)

원칙적으로 다음의 음소가 인정된다[33]

이 중 /e/ 및 /o/는 단모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적고, 대부분 장모음으로 나타난다. /N/ (ン, 받침), /Q/ (ッ, 촉음)는 어중, 어미뿐만 아니라 어두에도 나타난다는 점이 일본어와 다르다. 또한 모음, 반모음, 받침 앞에서 성문 파열음 /ʔ/의 유무가 구별된다. 단, 구메지마 방언에서는 /ʔ/가 사라졌다[34]

북부 방언의 대부분이나, 난조시오우, 쓰켄 섬 등, 중남부 방언의 일부에서는 무성 파열음·무성 파찰음 즉 /p, t, k, c/에서 유기음무기 후두화음의 구별이 있다 . 대부분의 중남부 방언에서는 구별이 없다. 또한 나하 방언 등 일부에서는 /d/가 /r/로 변화하여, /d/ 음소를 결여하고 있는 곳이 있다

다음은 나하 방언의 목록이다. [] 안에 표시된 것은 구체적인 음성이고, 이를 추상화하여 기호화한 음소가 // 안에 있다. 나하 방언에는 다행/d/가 없지만, 다른 많은 방언에는 /di/[di], /de/[de], /da/[da], /do/[do], /du/[du]가 있다. 슈리 방언의 무사 남성에게는 시(ʃi)와 스ィ(si), 셰(ʃe)와 세(se), 치(tʃi)와 츠ィ(tsi), 그리고 dʒ 행과 dz 행의 구별이 있었다[36]

나하 방언의 박 체계[37][38]
/i//e//a//o//u//ja//jo//ju//wi//we//wa/ 
/ʔ/
/ʔi/
[ʔi]

/ʔe/
[ʔe]

/ʔa/
[ʔa]

/ʔo/
[ʔo]

/ʔu/
[ʔu]

/ʔja/
[ʔja]

/ʔjo/
[ʔjo]
 
/ʔwi/
[ʔwi]

/ʔwe/
[ʔwe]

/ʔwa/
[ʔwa]
ッン
/ʔN/
[ʔm]
[ʔn]
/Ø/'이
/i/
[i]
[ji]
'에
/e/
[e]
[je]
'아
/a/
[a]
'오
/o/
[o]
'우
/u/
[u]
[wu]

/ja/
[ja]

/jo/
[jo]

/ju/
[ju]

/wi/
[wi]

/we/
[we]

/wa/
[wa]

/N/
[m]
[n]
[ŋ]
[ɴ]
/h/
/hi/
[çi]

/he/
[he]

/ha/
[ha]

/ho/
[ho]

/hu/
[ɸu]

/hja/
[ça]

/hjo/
[ço]
 
/hwi/
[ɸi]

/hwe/
[ɸe]

/hwa/
[ɸa]
 
/k/
/ki/
[ki]

/ke/
[ke]

/ka/
[ka]

/ko/
[ko]

/ku/
[ku]
   
/kwi/
[kwi]

/kwe/
[kwe]

/kwa/
[kwa]
 
/g/
/gi/
[gi]

/ge/
[ge]

/ga/
[ga]

/go/
[go]

/gu/
[gu]
   
/gwi/
[gwi]

/gwe/
[gwe]

/gwa/
[gwa]
 
/t/
/ti/
[ti]

/te/
[te]

/ta/
[ta]

/to/
[to]

/tu/
[tu]
       
/c/
/ci/
[tʃi]

/ce/
[tʃe]

/ca/
[tʃa]

/co/
[tʃo]

/cu/
[tʃu]
      
/s/
/si/
[ʃi]

/se/
[ʃe]

/sa/
[sa]

/so/
[so]

/su/
[su]
 
/sjo/
[ʃo]

/sju/
[ʃu]
    
/z/[39]
/zi/
[dʒi]

/ze/
[dʒe]

/za/
[dʒa]

/zo/
[dʒo]

/zu/
[dʒu]
       
/n/
/ni/
[ni]

/ne/
[ne]

/na/
[na]

/no/
[no]

/nu/
[nu]
       
/r/
/ri/
[ɾi]

/re/
[ɾe]

/ra/
[ɾa]

/ro/
[ɾo]

/ru/
[ɾu]
       
/p/
/pi/
[pi]

/pe/
[pe]

/pa/
[pa]

/po/
[po]

/pu/
[pu]
       
/b/
/bi/
[bi]

/be/
[be]

/ba/
[ba]

/bo/
[bo]

/bu/
[bu]
 
/bjo/
[bjo]
     
/m/
/mi/
[mi]

/me/
[me]

/ma/
[ma]

/mo/
[mo]

/mu/
[mu]
       
 
/Q/
[k,t,s,tʃ,ʃ,p]


5. 4. 일본어와의 대응 관계

오키나와어에서는 일본어의 オ단 모음이 'ㅜ'(/u/)로, エ단 모음이 'ㅣ'(/i/)로 대응된다. 따라서 많은 행에서 일본어의 オ단과 ウ단, エ단과 イ단이 통합되어 있다. 단, カ행의 'キ'는 중남부 방언의 대부분에서 'チ'(/ci/)로 변화한다.[40]

또한, タ행·サ행에서는 ウ단이 イ단으로 통합된다. 즉, 일본어의 'ス'는 'シ'(/si/)가 되어 'シ'·'セ'와 통합되고, 일본어의 'ツ'는 'チ'(/ci/)가 되어 'チ'와 통합된다('テ'는 'ティ'(/ti/)가 되므로 'チ'와 구별된다). 이 행에서는 オ단의 'ソ', 'ト'는 'ス'(/su/), 'ツ'(/tu/)가 되어도, 'ス', 'ツ'와의 구별은 남아 있다.[40]

일본어와 오키나와어의 대응[40]
(고대) 일본어오키나와 중남부 방언비고
エ (/e/)イ (/i/)일본어의 에 대응하는 것은 가 아닌 'ティ'
オ (/o/)ウ (/u/)일본어의 에 대응하는 것은 가 아닌 トゥ, 에 대응하는 것은 가 아닌 'ドゥ'
アイ (/ai/)エー (/ee/)rowspan="2" |
アエ (/ae/)
アウ (/au/)オー (/oo/)rowspan="2" |
アオ (/ao/)
キ (/ki/)チ (/ci/)チ. 이토만 방언에서는 キ[41]
ス (/su/)シ (/si/)シ. 슈리 방언의 사족 남자는 スィ로, シ와 구별[42]
ツ (/cu/)チ (/ci/)슈리 방언의 사족 남자는 ツィ로, チ와 구별[42]
ダ (/da/)ラ (/ra/)나하 방언에서는 ダ행과 ラ행이 합류
デ (/de/)リ (/ri/)
ド (/do/)ル (/ru/)
ハ행 (/h/)ハ행 (/h/)단, 쓰켄 섬, 구다카 섬에서는 パ행 /p/[43]
リ (/ri/)イ (/i/)イリ (/iri/)는 변화 없음
어두의 ア (/a/)ア (/ʔa/)
어두의 イ (/i/)イ (/ʔi/)
ヰ (/wi/)'イ (/(j)i/)
어두의 ウ (/u/)ウ (/ʔu/)
ヱ (/we/)'イ (/(j)i/)슈리 방언이나 이토만 방언에서는 ウィ/wi/[44]
어두의 オ (/o/)ウ (/ʔu/)
ヲ (/wo/)'ウ (/(w)u/)
アワ (/awa/)アー (/aa/)



일본어와 오키나와어의 대응
일본어오키나와어비고
rowspan="2" |rowspan="2" |
rowspan="2" |rowspan="2" |
rowspan="3" |rowspan="3" |
또한 발생
또한 발생
, 또한 발생
, 또한 발생
; 이전에는 로 구분
또한 발생
; 이전에는 로 구분
와 병합
모라 또한 발생
~또한 발생하지만 드묾
~rowspan="2" |
모라 또한 발생
는 영향을 받지 않음
중간 위치에서 가 되는 경향이 있음


6. 문법

오키나와어는 고대 일본어의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예를 들면, 종지형연체형의 구별, が|''ga''ryu의 소유격 기능(슈리 방언에서는 사라짐), ぬ|''nu''ryu의 주격 기능(の|''no''일본어) 등이 있다.

''-un''과 ''-uru'' 종결어미는 ''uri'' 어미(고전 居り|''wori''일본어 ''있다'')가 붙는 관계사(continuative)에서 유래했다. ''-un''은 종결형 ''uri''가, ''-uru''는 한정형 ''uru''가 변형된 것이다.


  • ''kacuru''는 ''kaci-uru''에서 변형되었다.
  • ''kacun''는 ''kaci-uri''에서 변형되었다.
  • ''yumun''는 ''yumi''(読む|''yomu''일본어 ''읽다'')+ ''uri''에서 변형되었다.


''-san'' 종결어미와 ''-saru'' 한정어미는 어간에 명사화 어미 さ|''sa''ryu가 붙고 어미 ''ari''(고전 有り|''ari''일본어 ''있다'')가 붙어 변형된 형태이다.

  • ''takasan''은 ''taka-sa-ari''에서 변형되었다. (高い|''takai''일본어 ''높다, 비싸다, 크다'')
  • ''atsusan''은 ''atsu-sa-ari''에서 변형되었다. (暑い|''atsui''일본어 ''뜨겁다, 덥다'')
  • ''yutasaru''은 ''yuta-sa-aru''에서 변형되었다. (''좋다, 선물'')


오키나와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따르며, 조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고대 일본어의 문법 특징을 유지하고 있어, 종지형(終止形일본어)과 연체형(連体形일본어)의 구별, が|''ga''일본어의 소유격 기능(슈리 방언에서는 사라짐), ぬ|''nu''일본어의 주격 기능(cf. 일본어: の일본어 ''no'') 뿐만 아니라 주격 사용 시 ''ga''와 ''nu''의 존경어/평어 구별 등이 있다.

오키나와어 활용, 고전 일본어와 비교 (書ちゅん "쓰다", 고전 일본어: 書く일본어 ''kaku'')
colspan="2" |슈리고전 일본어
미연형未然形일본어書かkaka-書か일본어kaka-
연용형連用形일본어書ちkachi-書き일본어kaki-
종지형終止形일본어書ちゅんkachun書く일본어kaku
연체형連体形일본어書ちゅるkachuru書く일본어kaku
기연형已然形일본어書きkaki-書け일본어kake-
명령형命令形일본어書きkaki書け일본어kake



동사의 어형 변화는 몇 종류의 '''어간'''에 각종 접사가 붙어 각 활용형을 만든다. "쓰다"(카춘/kacuN/), "잡다"(투인/tuiN/)의 용법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나하 방언의 "쓰다", "잡다"의 어형 변화
"쓰다""잡다"의미 용법
어형일본어어형일본어
카칸/kakaN/쓰지 않는다투란/turaN/잡지 않는다부정
카쿠나/kakuna/쓰지 마라투루나/turuna/잡지 마라금지
카치부산/kacibusaN/쓰고 싶다투이부산/tuibusaN/잡고 싶다희망
카차비인/kacabiiN/씁니다투야비인/tujabiiN/잡습니다존칭
카춘/kacuN/쓴다.투인/tuiN/잡는다.종지
카추르/kacuru/쓰는...투이르/tuiru/잡는...연체
카치/kaci/써서툽티/tuQti/잡아서접속
카찬/kacaN/썼다툽탄/tuQtaN/잡았다과거



"쓰다"는 kak, kac, kacu, "잡다"는 tur, tuj, tui, tuQt의 어간을 추출할 수 있다. 오키나와 나하 방언의 동사 활용형은 기본 어간(kak・tur), 연용 어간(kac・tu(j)), 파생 어간(kacu・tui), 음편 어간(kac・tuQt)의 4종류 어간에 각종 어미가 붙어 구성된다.[49] 음편 어간은 접속 어간이라고도 한다.[50]


  • 기본 어간: 미연형, 명령형, 조건형 등
  • 연용 어간: 연용형, 정중형
  • 파생 어간: 종지형, 연체형 등
  • 음편 어간(접속 어간): 접속형, 과거형 등


연용 어간은 기본 어간에 연용형 어미(i)가 붙어 말음 자음이 변화한 것이며, 파생 어간은 연용형에 ウン(우리)가 붙어 변화한 것, 음편 어간은 연용형에 "て"가 붙어 변화한 것이다.[49]

나하 방언의 활용 종류는 제1종 동사에서 제3종 동사까지 3종류이다.

  • 제1종 동사: 일본어의 오단 활용 동사
  • 제2종 동사: 상일단, 하일단 동사 (대부분 라행 오단 활용화)
  • 제3종 동사 : 일부 불규칙 활용


나하 방언의 제1종 동사의 어간[51][49][52]
일본어머리어간어간 말같은 종류의 활용을 하는 동사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편 어간
쓰다kakccuckacuN(쓰다), cicuN(듣다), sacuN(피다), ʔaQcuN(걷다)
젓다kuugzzuzkuuzuN(젓다), ʔwiizuN(헤엄치다), ʔoozuN(부치다)
서다tatccuQctacuN(서다), ʔucuN(치다), kacuN(이기다)
자라다suratccucsuracuN(자라다), tamucuN(지키다), kucuN(썩다)
죽이다kurusssuckurusuN(죽이다), meesuN(태우다), haNsuN(빼다)
하다sssussuN(하다), siQkwasuN(깔다), hiQkoosuN(비교하다)
부르다jubbburjubuN(부르다), tubuN(날다), musubuN(맺다)
읽다jummmurjumuN(읽다), numuN(마시다), ʔamuN(짜다)
자다niNrzzutniNzuN(자다), kaNzuN(쓰다), ʔaNzuN(굽다)
보다NNrzzucNNzuN(보다), kuNzuN(묶다)



나하 방언의 제2종 동사의 어간[51][49][52]
일본어머리어간어간 말같은 종류의 활용을 하는 동사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편 어간
취하다tur○/jiQttuiN(취하다)
베다kar○/jitkaiN(베다), nubuiN(오르다), ʔaraiN(씻다)
차다kir○/jiQc/(Qt)kiiN(차다), ʔiiN(들어가다), hiiN(내버려두다), ciiN(자르다)
끓이다nir○/jicniiN(끓이다), ciiN(입다), ʔiiN(말하다), iiN(앉다)



나하 방언의 제2-2종 동사의 어간[51][49][52]
일본어머리어간어간 말같은 종류의 활용을 하는 동사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편 어간
심다ʔwiir○/jtʔwiiN(심다), siiN(시다), miiN(나다)



나하 방언의 제3종 동사의 어간[51][49][52]
일본어머리어간어간 말같은 종류의 활용을 하는 동사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편 어간
있다ʔar○/j/itʔaN(있다), uN(있다), jaN(이다)



ʔicuN(가다), sinuN(죽다), cuuN(오다) 등은 불규칙 활용을 한다.

각 어간에 다양한 접사가 붙어 활용형이 구성된다.[51][49]


  • 미연형: 기본 어간+a (의지, 권유, 부정, 가능, 수동, 사역 등)
  • 조건형1: 기본 어간+ee (기정 조건)
  • 명령형1: 기본 어간+i (명령)
  • 명령형2: 기본 어간+ee (명령)
  • 연체형1: 기본 어간+u (금지, 한정 등)
  • 연용형: 연용 어간+i (제2-2종 동사는 i 생략)
  • 정중형: 연용 어간+(j)abiiN/ibiiN (제1종: abiiN, 제2종/제2-2종: jabiiN, 제3종: jabiiN/ibiiN)
  • 종지형(현재형): 파생 어간+N (미래, 현재)
  • 연체형2: 파생 어간+ru (명사 수식, 강조)
  • 미연형2(ga 계리 맺음형): 파생 어간+ra (의문)
  • 조건형2: 파생 어간+raa (~라면)
  • 준연체형: 파생 어간 (준체언, 이유, 의문 등)
  • 과거 진행형: 파생 어간+taN (~하고 있었다)
  • 과거 진행 중지형: 파생 어간+ti (~하고 있었는가)
  • 과거 진행 추량형: 파생 어간+teeN (~하고 있었을 것이다)
  • 접속형: 음편 어간+i (~해서)
  • 과거형: 음편 어간+aN (~했다)
  • 완료형(확증 과거형): 음편 어간+eeN (결과, 확증)
  • 계속형: 음편 어간+ooN (결과, 계속)


형용사는 어간 + "사"에 동사 안(ある)을 붙인 형태로, 동사와 유사하게 활용된다. 연용형 1만 어간 + 쿠 형태이다.

나하 방언의 형용사 활용[49]
연용형 1조건형 1조건형 2연용형 2명사형종지형연체형ga계 결합형접속형과거형확증 과거형존칭형
높다타카쿠타카사라타카사레타카사이타카사타카산타카사루타카사티타카사탄타카사테타카사이빈



조사 '가'와 '누'는 주격속격(연체격) 용법을 모두 가진다.[65] '가'와 '누'는 사용 구분이 있다. (예: 슈리 방언 - 사람 주어: '가', 사람 외 주어: '누', 존경 대상: 격조사 X, 비존경 대상: '누')[66]

계조사에는 강조 '루'(또는 '두'), 의문 '가', 주제 '야'가 있다.[67] '루'는 고어 '조'가 변화한 형태로, 연체형 매듭짓기를 만든다.[68] '가'는 미연형으로 매듭짓기를 한다.

7. 표기법

오키나와어는 역사적으로 한자히라가나를 혼용하여 표기했다. 13세기 초 슌텐왕 시대에 히라가나 음절이 일본 본토에서 류큐 왕국으로 처음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 류큐 왕국이 중국, 일본, 한국과의 광범위한 교역을 했기 때문에 오키나와인들은 이미 한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히라가나는 류큐 열도 전역에서 더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대부분의 문서와 편지는 이 문자를 사용하여 독점적으로 표기되었다. 일본에서는 히라가나만으로 글을 쓰는 것이 "여성의 글"로 여겨졌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16세기에 편찬된 노래와 시 모음인 오모로 소시와 같은 세기에 만들어진 몇몇 보존된 임명장은 히라가나만으로 쓰였다.[7] 한자는 일본 본토의 영향력이 커지고 오키나와어와 일본어 사이의 언어적 유사성 때문에 점차 채택되었으나, 주로 중요도가 높은 사안과 본토로 보내는 문서에 한정되었다. 히라가나와 함께 사용된 오키나와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15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마우둔 능묘의 석조 비석에서 찾을 수 있다.

1609년 류큐 침공 이후 사쓰마의 시마즈 씨에 의해 오키나와어는 공식 업무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표준 일본어 표기법과 관문으로 알려진 고전 중국어 표기법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어는 19세기까지 지역 문학에서 계속 번성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폐번치현을 폐지하고 1879년 류큐 열도를 오키나와현으로 일본에 정식으로 병합했다. 국가적 단결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표준 교육을 도입하고 도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일본어 학교를 열었다. 학생들은 지역 "방언"으로 말하거나 글을 쓰는 것을 자제하도록 권고받고 비난받았는데, 특히 "방언찰"을 사용했다. 그 결과, 오키나와어는 1945년 미국의 점령까지 완전히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 이후 일본과 미국의 학자들은 다양한 임시 로마자 표기법이나 가타카나 음절을 사용하여 이 지역 언어를 표기하여 표준 일본어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오키나와어 옹호자들은 더 전통적인 경향을 보이며, 한자와 함께 히라가나를 사용하여 언어를 계속 쓰고 있다. 어쨌든, 철자 문제에 관한 표준이나 합의가 공식화된 적이 없으므로 현대 문학 작품 간의 불일치가 흔하다.

오키나와어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음절이 아니라 모라를 사용한다. 오키나와어의 각 모라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가나 문자로 구성된다. 두 개의 문자로 구성된 경우에는 일반 크기의 가나 뒤에 작은 크기의 가나가 온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olspan=2 rowspan=2|

!colspan="100%"|모음

|-

! a !! i !! u !! e !! o !! ya !! yi !! yu !! ye !! yo !! wa !! wi !! wu !! we !! wo !! n

|-

!rowspan="100%" |자음

! (없음)

| あ・アryu
a

| い・イryu
i

| う・ウryu
u

| え・エryu
e

| お・オryu
o

| や・ヤryu
ya

| いぃ・イィryu
yi

| ゆ・ユryu
yu

| えぇ・エェryu
ye

| よ・ヨryu
yo

| わ・ワryu
wa

| ゐ・ヰryu
wi

| をぅ・ヲゥryu
wu

| ゑ・ヱryu
we

| を・ヲryu
wo

| ん・ンryu
n

|-

! (성문 파열음)

| あ・アryu
a

| い・イryu
i

| う・ウryu
u

| え・エryu
e

| お・オryu
o

| っや・ッヤryu
ya

|

| っゆ・ッユryu
yu

|

| っよ・ッヨryu
yo

| っわ・ッワryu
wa

| っゐ・ッヰryu
wi

|

| っゑ・ッヱryu
we

| っを・ッヲryu
wo

| っん・ッンryu
n

|-

! k

| か・カryu
ka

| き・キryu
ki

| く・クryu
ku

| け・ケryu
ke

| こ・コryu
ko

| きゃ・キャryu
kya

|

| きゅ・キュryu
kyu

|

| きょ・キョryu
kyo

| くゎ・クヮryu
kwa

| くぃ・クィryu
kwi

|

| くぇ・クェryu
kwe

| くぉ・クォryu
kwo

|-

! g

| が・ガryu
ga

| ぎ・ギryu
gi

| ぐ・グryu
gu

| げ・ゲryu
ge

| ご・ゴryu
go

| ぎゃ・ギャryu
gya

|

| ぎゅ・ギュryu
gyu

|

| ぎょ・ギョryu
gyo

| ぐゎ・グヮryu
gwa

| ぐぃ・グィryu
gwi

|

| ぐぇ・グェryu
gwe

| ぐぉ・グォryu
gwo

|-

! s

| さ・サryu
sa

| すぃ・スィryu
si

| す・スryu
su

| せ・セryu
se

| そ・ソryu
so

|-

! sh

| しゃ・シャryu
sha

| し・シryu
shi

| しゅ・シュryu
shu

| しぇ・シェryu
she

| しょ・ショryu
sho

|-

! z

| ざ・ザryu
za

| ずぃ・ズィryu
zi

| ず・ズryu
zu

| ぜ・ゼryu
ze

| ぞ・ゾryu
zo

|-

! j

| じゃ・ジャ
(ぢゃ・ヂャ)ryu
ja

| じ・ジ
(ぢ・ヂ)ryu
ji

| じゅ・ヂュ
(ぢゅ・ヂュ)ryu
ju

| じぇ・ジェ
(ぢぇ・ヂェ)ryu
je

| じょ・ジョ
(ぢょ・ヂョ)ryu
jo

|-

! t

| た・タryu
ta

| てぃ・ティryu
ti

| とぅ・トゥryu
tu

| て・テryu
te

| と・トryu
to

|-

! d

| だ・ダryu
da

| でぃ・ディryu
di

| どぅ・ドゥryu
du

| で・デryu
de

| ど・ドryu
do

|-

! ts

| つぁ・ツァryu
tsa

| つぃ・ツィryu
tsi

| つ・ツryu
tsu

| つぇ・ツェryu
tse

| つぉ・ツォryu
tso

|-

! ch

| ちゃ・チャryu
cha

| ち・チryu
chi

| ちゅ・チュryu
chu

| ちぇ・チェryu
che

| ちょ・チョryu
cho

! ya !! !! yu !! !! yo

|-

! n

| な・ナryu
na

| に・ニryu
ni

| ぬ・ヌryu
nu

| ね・ネryu
ne

| の・ノryu
no

| にゃ・ニャryu
nya

|

| にゅ・ニュryu
nyu

|

| にょ・ニョryu
nyo

| rowspan="7" colspan="6" |

장모음이중 자음
〜(あ、い、う、え、お)・ーryu
~(a, i, u, e, o)
っ・ッryu
(모든 자음)



|-

! h

| は・ハryu
ha

| ひ・ヒryu
hi

|

| へ・ヘryu
he

| ほ・ホryu
ho

| ひゃ・ヒャryu
hya

|

| ひゅ・ヒュryu
hyu

|

| ひょ・ヒョryu
hyo

|-

! f

| ふぁ・ファryu
fa

| ふぃ・フィryu
fi

| ふ・フryu
fu/hu

| ふぇ・フェryu
fe

| ふぉ・フォryu
fo

|

|

|

|

|

|-

! b

| ば・バryu
ba

| び・ビryu
bi

| ぶ・ブryu
bu

| べ・ベryu
be

| ぼ・ボryu
bo

|

|

|

|

|

|-

! p

| ぱ・パryu
pa

| ぴ・ピryu
pi

| ぷ・プryu
pu

| ぺ・ペryu
pe

| ぽ・ポryu
po

|

|

|

|

|

|-

! m

| ま・マryu
ma

| み・ミryu
mi

| む・ムryu
mu

| め・メryu
me

| も・モryu
mo

| みゃ・ミャryu
mya

|

| みゅ・ミュryu
myu

|

| みょ・ミョryu
myo

|-

! r

| ら・ラryu
ra

| り・リryu
ri

| る・ルryu
ru

| れ・レryu
re

| ろ・ロryu
ro

| りゃ・リャryu
rya

|

| りゅ・リュryu
ryu

|

| りょ・リョryu
ryo

|}

8. 주요 표현


  • はいさい|하이사이ryu 안녕하세요(남자말)
  • はいたい|하이타이ryu 안녕하세요(여자말)
  • 起きみそうちい|우키미 소-치-ryu 안녕하세요(아침인사)
  • 御拝でーびる|니훼- 데-비루ryu 감사합니다
  • 初みてぃやいびーん|하지미티 야이비잉ryu 처음 뵙겠습니다
  • ゆたしく うにげーさびら|유타시쿠 우니게-사비라ryu 혹은 ゆたさるぐとぅ うにげーさびら|유타사루구투 우니게-사비라ryu 잘 부탁드립니다
  • たーやみせーが|다-야미세-가ryu 누구십니까?
  • ぐぶりーさびら|구부리-사비라ryu 안녕히(작별인사)

9. 류큐 한자

류큐어의 한자로서 중국문화를 받아들인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옛 류큐 왕국(지금의 오키나와현가고시마현 일부)도 한자를 이용하여 문자생활을 꾸려갔던 지역으로서, 본래의 중국한자음을 바탕으로 류큐어의 음운체계에 맞춰 변화한 독자적인 한자음을 두루 일컬어 류큐 한자음이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돈을 오키나와어로 じん이라고 하는데 한자 錢(전)에 대한 류큐 한자음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일본 한자음의 せん과 대비된다. 가령 "학생"은 오키나와어에서는 ぐゎくしい로서, 각각 한자 學과 生에 대응하는 한자음 ぐゎく,しい등을 뽑아낼 수 있다. 물론 일본 한자음과 일치하는 예도 다수 존재한다.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한 표기가 이루어지는 류큐어에서는 개개의 한자에 대한 류큐어 훈을 설정할 수 있는데, 몇몇 학자들은 이를 류쿤(琉訓)이라 부르고 있다. 오키나와의 지명에서 흔히 보이는 예로서 東을 あがり로 읽거나 城을 くすく、くすぃく라고 읽는 것등이 이에 해당된다.

다마우둔()은 히라가나와 한자를 모두 사용하여 오키나와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비문이다.


오키나와어는 역사적으로 한자히라가나를 혼용하여 표기했다. 히라가나 음절은 13세기 초 슌텐왕 시대에 일본 본토에서 류큐 왕국으로 처음 전해진 것으로 여겨진다.[1] 류큐 왕국이 중국, 일본, 한국과의 광범위한 교역을 했기 때문에 오키나와인들은 이미 한자 (중국 문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히라가나는 류큐 열도 전역에서 더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대부분의 문서와 편지는 이 문자를 사용하여 독점적으로 표기되었다. 일본에서는 히라가나만으로 글을 쓰는 것이 "여성의 글"로 여겨졌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16세기에 편찬된 노래와 시 모음인 오모로 소시 (おもろさうし|오모로소시일본어)[2]와 같은 세기에 만들어진 몇몇 보존된 임명장은 히라가나만으로 쓰였다.[3] 한자는 일본 본토의 영향력이 커지고 오키나와어와 일본어 사이의 언어적 유사성 때문에 점차 채택되었다.[4] 그러나 주로 중요도가 높은 사안과 본토로 보내는 문서에 한정되었다. 히라가나와 함께 사용된 오키나와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150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마우둔 능묘의 석조 비석에서 찾을 수 있다.[5][6]

1609년 류큐 침공 이후 사쓰마의 시마즈 씨에 의해 오키나와어는 공식 업무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 그것은 표준 일본어 표기법과 관문으로 알려진 고전 중국어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1]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어는 19세기까지 지역 문학에서 계속 번성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 정부는 폐번치현을 폐지하고 1879년 류큐 열도를 오키나와현으로 일본에 정식으로 병합했다.[7] 국가적 단결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는 표준 교육을 도입하고 도쿄 방언을 기반으로 한 일본어 학교를 열었다.[7] 학생들은 지역 "방언"으로 말하거나 글을 쓰는 것을 자제하도록 권고받고 비난받았는데, 특히 "방언찰"(方言札|호겐후다일본어)을 사용했다. 그 결과, 오키나와어는 1945년 미국의 점령까지 완전히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 이후 일본과 미국의 학자들은 다양한 임시 로마자 표기법이나 가타카나 음절을 사용하여 이 지역 언어를 표기하여 표준 일본어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오키나와어 옹호자들은 더 전통적인 경향을 보이며, 한자와 함께 히라가나를 사용하여 언어를 계속 쓰고 있다. 어쨌든, 철자 문제에 관한 표준이나 합의가 공식화된 적이 없으므로 현대 문학 작품 간의 불일치가 흔하다.

10. 오키나와어가 사용된 작품


  • 방언 뉴스 (라디오 오키나와) (1960년)
  • 와타루가 퓽! (1984년) - 주인공 요나하 와타루가 오키나와 출신으로, 작중 대사에 우치나 구치(오키나와 방언)와 그 대역이 빈번하게 등장한다. 작가 나카이마 츠요시가 오키나와 출신인 까닭이다. 또한 컬링을 소재로 한 그의 작품 '하에바루 컬링 스톤즈'는 오키나와가 무대가 되어 더 많은 우치나 구치가 등장한다.
  • 파라다이스 뷰 (1985년) - 전체 오키나와어·일본어 공통어 자막으로 제작·공개되었다.
  • 웅타마기루 (1989년) - 전체 오키나와어·일본어 공통어 자막으로 제작·공개되었다.
  • 류큐의 바람 (1993년) · 템페스트 (2012년) - 류큐 왕국을 무대로 한 NHK 드라마. 오리지널 음성은 일본어지만, 오키나와 방송국 한정으로 오키나와 말 더빙판도 제작·방영되었다.
  • The World of GOLDEN EGGS (2005년) - GUSHI 켄 밴드 및 GUSHI 켄 오케스트라 멤버에 의해 오키나와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 류진 마부야 (2008년)
  • 유가후후 (2011년) - 오키나와 텔레비전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오키나와 방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47 도도부견 (2011년) - 성우 버라이어티 SAY! YOU! SAY! ME! 내에서 방영된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향토의 명산을 모티브로 한 개들이 등장한다. 오키나와현은 시사가 모티브인 오키나와견으로 등장하여 '마아부야, 마아부야~' 등 말한다. 성우는 오키나와현 출신의 아라가키 타르스케가 담당하고 있다.
  • 하이타이 나나하 (2012년)
  • 팝 팀 에픽 (2018년) - 제9화 (B 파트만)
  • 오키나와에서 좋아하게 된 아이가 방언을 너무 심해서 괴로워 (2020년) - 2025년, TV 애니메이션이 방송 예정[80]
  • 우치나데 아소보 (2021년) - NHK 오키나와 방송국의 미니 프로그램.
  • 하얀 모래의 아쿠아토프 (2021년)
  • 치무돈돈 (2022년)

11. 오키나와어에서 유래한 명칭

세계에서 두 번째이자 일본에서는 최초로 동굴성 개미가 오키나와섬에서 발견되었는데, Aphaenogaster gamagumayaa|아파에노가스터 가마구마야일본어(가마아시나가개미)라고 명명되었다. 이 종소명은 "동굴에 틀어박히는 것"이라는 뜻의 오키나와어 "가마구마야"에서 유래하였다.

참조

[1] 문서 45-CAC-ai comprises most of Central Okinawa, including Shuri (Naha), Ginowan and Nishihara; 45-CAC-aj comprises the southern tip of Okinawa Island, including Itoman, Mabuni and Takamine; 45-CAC-ak encompasses the region west of Okinawa Island, including the Kerama Islands, Kumejima and Aguni
[2] 웹사이트 Central Okinawan in Japan {{!}} UNESCO WAL https://en.wal.unesc[...]
[3] 서적 Asian Translation Traditions Routledge
[4] 논문 Language Planning and Language Ideology in the Ryūkyū Islands
[5] 뉴스 Okinawans push to preserve unique language http://www.japantime[...] 2012-05-19
[6] 뉴스 A little corner of Brazil that is forever Okinawa https://www.bbc.com/[...] 2018-02-04
[7] 서적 Handbook of the Ryukyuan Languages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8] 서적 The Making of Monolingual Japan
[9] 뉴스 In Okinawa, saving the local languages is about more than words — it's about identity, too https://www.washingt[...] 2023-04-04
[10] 서적 Festschrift
[11]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Central Okinawan https://en.wal.unesc[...] 2023-05-26
[13] 웹사이트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09
[14] 간행물 Language loss and revitalization in the Ryukyu Islands 2005
[15] 웹사이트 Linguistic Comparison in Vocabulary for Japanese to Understand Okinawan https://zenodo.org/r[...]
[16] 문서 沖縄語辞典 (Okinawan dictionary). "前書き" (Preface) 国立国語研究所
[17]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Japanese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문서 外間(1977)(大野・柴田編、212頁。)
[19] 문서 飯豊・日野・佐藤編(1984)5頁。
[20] 문서 中本(1976)
[21] 문서 Pellard (2015)
[22] 문서 林・衣畑・木部編(2021)、p.18(五十嵐陽介「分岐学的手法に基づいた日琉諸語の系統分類の試み」)
[23] 웹사이트 うちなあぐち(ウチナアグチ)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10-09
[24] 문서 南西諸島以外で使われる日本語(日本語本土方言)はヤマトグチやヤマトゥグチなどと呼ばれる。ヤマトとは大和、すなわち日本のこと。
[25] 문서 『岩波講座 日本語11方言』212-213頁。
[26] 문서 国際連合教育科学文化機関(2009)“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第3版)
[27] 문서 外間(1977)(大野・柴田編、212頁。)
[28] 문서 飯豊・日野・佐藤編(1984)5頁。
[29] 문서 中本(1976)
[30] 문서 『岩波講座 日本語11方言』213頁。
[31] 문서 飯豊ほか(1984)189頁。
[32] 문서 儀間進(2006)
[33] 문서 飯豊ほか(1984)190-195頁。
[34] 문서 『岩波講座 日本語11方言』217頁。
[35] 문서 中本(1976)、276頁。
[36]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37] 간행물 内間・野原 2006
[38] 간행물 野原 1977
[39] 문서 "[dʒ]~[ʒ]"
[40] 간행물 中本 1976
[41] 간행물 中本 1976
[42]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43] 간행물 飯豊ほか 1984
[44] 서적 Thorpe 1983
[45]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46]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47] 서적 日本祖語の再建 岩波書店 2018
[48] 논문 琉球アクセントの歴史的形成過程:類別語彙2拍語の特異な合流の仕方を手がかりに 1998
[49] 간행물 内間・野原 2006
[50] 간행물 半田 1999
[51] 간행물 野原 1976
[52] 문서 語幹と活用語尾の分け方については内間(1984)による
[53] 간행물 内間 1984
[54]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55]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56]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57] 간행물 国立国語研究所 2001
[58] 간행물 野原 1976
[59] 문서 語幹と活用語尾の分け方については内間(1984)による
[60] 간행물 鈴木 1960
[61] 간행물 半田 1999
[62] 서적 平山編 1997
[63] 간행물 半田 1999
[64] 문서 例文はいずれも内間(1984)、588-589頁からの引用
[65] 서적 平山編 1997
[66] 간행물 飯豊ほか 1984
[67] 서적 平山編 1997
[68] 서적 平山編 1997
[69] 간행물 飯豊ほか 1984
[70] 간행물 内間 1984
[71] 웹사이트 asahi.com(朝日新聞社):世界2500言語消滅危機、ユネスコ「日本は8語対象」 - 社会 http://www.asahi.com[...] 2009-02-20
[72] 웹사이트 沖縄の言語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www.sangiin.g[...] 2009-03-23
[73] 문서
[74] 웹사이트 参議院議員糸数慶子君提出沖縄の言語に関する質問に対する答弁書 http://www.sangiin.g[...] 2009-03-31
[75] Ethnologue Ethnologue report for Japan http://www.ethnologu[...]
[76] 서적 言語学大辞典セレクション 日本列島の言語 三省堂 1997
[77] SIL international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ryu http://www.sil.org/i[...]
[78] SIL international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yoi http://www.sil.org/i[...]
[79] SIL international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tkn http://www.sil.org/i[...]
[80] 웹사이트 TVアニメ『沖縄で好きになった子が方言すぎてツラすぎる』公式 https://okitsura.com[...] 2024-10-09
[81] 뉴스 "洞窟に引きこもるアリ」発見、日本初 世界でも2例目"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18-07-24
[82] 간행물 "Aphaenogaster gamagumayaa" '''sp. nov.''': the first troglobiotic ant from Japan (Hymenoptera: Formicidae: Myrmicinae) https://doi.org/10.1[...]
[83] 에스놀로그 Okinawan https://www.ethnolog[...] 2015
[84] 문서 류큐국의 초대 국왕
[85] 문서 류큐국의 관직명
[86] 문서 오키나와의 고유시
[87] 문서 노,교겐 등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류큐의 공연예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