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니가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니가미어는 오키나와섬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주변 섬에서도 사용되는 언어이다. 글로토로그는 구니가미어를 오키나와어의 방언으로 분류하며, 유네스코는 위험에 처한 언어로 지정했다. 구니가미어는 5모음 체계를 가지며, 음운과 억양에서 특징을 보인다. 문법적으로는 부사로 사용되는 '-sa' 형태가 일본어와 다르다. 나카소네 세이젠의 '오키나와 나키진 방언 사전'과 오시오 무츠코의 '오키나와 이에지마 방언 사전'과 같은 연구 자료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큐어파 - 이하 후유
    이하 후유는 류큐 왕국 출신으로 오키나와학의 선구자로 불리며 오키나와 역사, 언어, 민속, 문화 등을 연구했고, 오키나와인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으나 오키나와 동화 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이하 후유상이 제정되었다.
  • 류큐어파 - 오키나와어
    오키나와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며 오키나와 제도에서 주로 사용되던 언어로, 류큐 왕국 시대에 발전했으나 일본의 류큐 병합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어와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이다.
구니가미어
개요
이름구니가미어
원어명야마바루 쿠투바 (山原言葉/ヤンバルクトゥーバ)
다른 이름오키나와 북부 방언/구니가미 방언/구니가미어
언어 정보
사용 국가일본
사용 지역오키나와 제도 북부
사용자 수5,000명 (2004년)
언어 분류
어족일본어족
어파류큐어파
어군북류큐어군
언어오키나와어
언어 코드
ISO 639-3xug
Glottologkuni1268
문자 체계
문자일본어
지도 정보
오키나와어파 언어 경계
오키나와어파 언어 경계 (파란색: 구니가미어)

2. 사용 지역

구니가미어는 오키나와섬 북부 지역 외에도, 이헤야섬, 쓰켄섬, 쿠다카섬과 같은 인근 작은 섬들에서도 사용된다.[1]

구체적인 방언 사용 지역은 다음과 같다.

방언사용 지역
이헤야섬 방언이헤야섬
쿠니가미촌 방언쿠니가미촌
나키진 방언나키진촌
모토부 방언모토부정
이에섬 방언이에섬
세소코섬 방언세소코섬
나고 방언나고시


3. 분류

글로토로그는 펠라드(2009)를 따라 구니가미어를 오키나와어의 두 방언인 중부 오키나와어와 함께 분류한다. 에스놀로그는 오키노에라부어와 요론어를 추가한다. 이들은 (북부 류큐 열도의 다른 모든 언어와 함께) 글로토로그에 의해 아마미어로 분류된다. 유네스코의 ''위험에 처한 세계의 언어 지도''는 우에무라(2003)를 따라 오키노에라부어와 요론어를 구니가미어의 변종으로 포함한다.[2]

4. 방언

구니가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언어", "방언", "말투"에 대한 다양한 단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언어학자 나카소네 세이젠 (1907–1995)은 자신의 고향인 나키진촌 요나미의 방언에 kʰu⸢tsʰii|쿠치일본어 (표준 일본어: ''kuchi''), hut˭uu⸢ba|후투바일본어 (표준 일본어: ''kotoba'') 및 munu⸢ʔii|무누이일본어 (표준 일본어: ''monoii'')가 있다고 말했다. 자신의 공동체 언어는 simaagu⸢tsʰii|시마구치일본어 또는 sima(a)kʰu⸢t˭uu⸣ba|시마쿠투바일본어라고 불렸다.[3] 요나미 방언은 ʔirinsimaa kʰut˭uba|이린시마 쿠투바일본어라고 불리는 나키진의 서부 방언의 일부였다.[4] 오키나와 북부는 구어체로 얀바루라고 불리며, 따라서 그 언어를 jˀan⸢ba⸣rukʰut˭uuba|얀바루쿠투바일본어라고 부르기도 했다.[5]

5. 음운

구니가미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 그리고 억양으로 구성된다.

류큐 조어의 억양에 상정되는 A, B, C 3계열(유형)의 구별은 킨 방언이나 나키진 방언에서 비교적 명료하게 보존되어 있다.[10] 반면, 이에지마 방언에서는 A계열과 C계열이 같은 억양형으로 통합되어 있다.[11]

킨 방언의 음조는 다음과 같다. 음높이가 높은 부분은 윗선, 상승 위치는 [, 하강 위치는 ]로 나타낸다. 1음절 명사는 조사를 붙였을 때 A계열은 높고 평탄한 발음, B계열은 처음이 낮고 마지막 1음절만 높은 발음이 되어 구별된다. 2음절 명사의 경우, B계열은 조사 없이 최종 음절이 장음화되어 상승조가 나타나지만, 조사가 붙으면 장음화되지 않고 처음 2음절만 높아지며, C계열에서는 최종 음절이 장음화되지 않고 높아진다. 표에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2음절 명사의 C계열은 제1음절도 높아지거나, 제1음절만 높고 조사가 높아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10]

킨 방언의 음조[10]
1음절 명사2음절 명사3음절 명사
A계열, ʃi[] (피)
(피가)
(코)
(코가)
(연기)
] nu (연기가)
B계열ti[] (손)
tiː[ (손이)
]na[] (꽃)
]na nu (꽃이)
]mi[] (거울)
]miː nu (거울이)
C계열해당어 없음naː[ (안)
naːka [ (안이)
kata[ (칼)
katana [ (칼이)



쿠니가미촌 하마 방언의 경우, a, b, c의 3종류의 음조형이 있다(각각의 소속 어휘는 A계열, B계열, C계열과는 반드시 대응하지 않는다). a형은 모든 음절이 높고, b형은 어구의 최종 음절만 높고, c형은 어말에서 2번째 음절이 높아진다.[12]

하마 방언의 음조
(하이픈이 붙은 것은 1음절 조사를 붙인 경우의 고저)[12]
2음절 명사3음절 명사
a형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높음
[tʔʃiː] (피), [ɸana] (코)[çibuʃi] (연기)
b형낮음높음
낮음낮음-높음
낮음낮음높음
낮음낮음낮음-높음
[tiː] (손), [ɸana] (꽃)[kagaɴ] (거울)
c형높음낮음
높음낮음-낮음
낮음높음낮음
낮음높음낮음-낮음
[naka] (안)[ʔatʃaː] (내일)


5. 1. 모음

오키나와어와 같이 i, u, e, o, a의 5모음 체계이다. 본토 일본어의 o가 u에, e가 i에 대응된다. 오키노에라부섬 북단 지역은 이들 외에 ɪ를 가진다.[14] 이 ɪ는 일본어의 에단(エ段)에 대응하는데, 아마미오시마 방언이나 도쿠노시마 방언에 보이는 중설모음 ï의 잔존형으로 보인다. 다른 지역에서도 과거에는 비슷한 중설 모음이 있었다가 나중에 i에 통합되었다고 추정된다.

5. 2. 자음

오키나와어와 같이 i, u, e, o, a의 5모음 체계이다. 본토 일본어의 o가 u에, e가 i에 대응된다. 오키노에라부 섬 북단 지역 이들 외에 ɪ를 가진다.[14] 이 ɪ는 일본어의 에단(エ段)에 대응하는데, 아마미오시마 방언이나 도쿠노시마 방언에 보이는 중설모음 ï의 잔존형으로 보인다. 다른 지역에서도 과거에는 비슷한 중설 모음이 있었다가 나중에 i에 통합되었다고 추정된다.

본토 일본어의 어두의 "카・케・코"의 자음 k가 h로 변화한 것이 공통적 특징이다. 또 요론 방언과 오키노에라부 방언(및 아마미어)에서는 어중의 k도 h가 되어 있다. 또한 오키노에라부어 중에서도 북부 방언은 카행(カ行) 이단(イ段)의 구개화가 일어나 일본어의 키(キ)가 [tʃi]에, 기(ギ)가 [dʒi]에 대응되지만, 남부 방언은 구개화가 일어나지 않았다.[14]

하행(ハ行)의 자음은 오키나와 북부의 나고 일대나 요론 섬 등지에서는 p에, 오키노에라부 섬에서는 h나 ɸ에 대응된다.

오키나와 북부의 많은 지역(나고 등)에서는, p, t, k, c의 각 자음에서 무기후두화음이 발전하여 유기음과 대립하고 있다. 일본어와 대응시켜 볼 때, 이단·우단에 대응하는 박이 후두화하여 아단·에단·오단과의 구별을 남기고 있는 경우나, 이단·우단의 박이 생략되어 직후의 자음이 후두화되는 경우가 있다.[15] 오키노에라부 섬에서는 후두화음은 약해지고, 요론 섬에서는 음운 대립은 없어져 있다.

대부분의 오키나와 중부 방언 북쪽의 류큐어와 마찬가지로, 구니가미어는 소위 "긴장된" 또는 "성문 파열음화된" 자음 계열을 가지고 있다. 비음과 활음은 실제로 성문 파열음화되지만, 파열음은 "평범한" 파열음의 유기음화와는 대조적으로 무성음이다.[6] 구니가미어는 또한 대부분의 다른 일본어족 언어에서의 의 역사적 근원이라고 여겨지는 음소와는 별개의 음소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구니가미어 는 대신 두 가지 다른 출처를 가지고 있다: 원시 일본어 또는 특정 조건 환경에서 0으로 시작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구니가미어의 나키진 방언에는 (빛, 램프, 쇼지)가 있는데,[7] 이는 일본어 (빛, 램프)와 동족어이다. 구니가미어 형태는 시작 , 무성 , 그리고 원시 일본어 *r이 *i 앞에서 생략된 점으로 일본어 동족어와 구별된다. 구니가미어는 또한 나키진 방언 (구름)과 (거미)와 같이 특정 단어 쌍에서 구별을 하는데, 이는 일본어에서는 거의 동음이의어이다( 및 ).

6. 음조(억양)

류큐 조어의 억양은 A, B, C 세 가지 계열(유형)로 나뉘는데, 킨 방언과 나키진 방언에서는 이러한 구별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10] 반면, 이에지마 방언에서는 A계열과 C계열이 같은 억양으로 통합되었다.[11]

쿠니가미촌 하마 방언에는 a, b, c 세 종류의 음조 유형이 있는데, 각각의 소속 어휘는 킨 방언의 A, B, C 계열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12]

6. 1. 킨 방언의 음조

류큐 조어의 억양에 상정되는 A, B, C 3계열(유형)의 구별은 킨 방언에서 비교적 명료하게 보존되어 있다.[10] 킨 방언의 음조는 아래 표와 같다. 음높이가 높은 부분을 , 상승 위치를 [, 하강 위치를 ]로 나타낸다.

킨 방언의 음조[10]
1음절 명사2음절 명사3음절 명사
A계열, ʃi[] (피)
(피가)
(코)
(코가)
(연기)
] nu (연기가)
B계열ti[] (손)
tiː[ (손이)
]na[] (꽃)
]na nu (꽃이)
]mi[] (거울)
]miː nu (거울이)
C계열해당어 없음naː[ (안)
naːka [ (안이)
kata[ (칼)
katana [ (칼이)



1음절 명사는 조사를 붙였을 때, A계열은 높고 평탄한 발음, B계열은 처음이 낮고 마지막 1음절만 높은 발음이 되어 구별된다. 2음절 명사의 경우, B계열은 조사 없이 최종 음절이 장음화되어 상승조가 나타나지만, 조사가 붙으면 장음화되지 않고 처음 2음절만 높아지며, C계열에서는 최종 음절이 장음화되지 않고 높아진다. 2음절 명사의 C계열은 제1음절도 높아지거나, 제1음절만 높고 조사가 높아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10]

6. 2. 하마 방언의 음조

쿠니가미촌 하마 방언에는 a, b, c 세 종류의 음조형이 있다(각각의 소속 어휘는 A계열, B계열, C계열과는 반드시 대응하지 않는다). a형은 모든 음절이 높고, b형은 어구의 최종 음절만 높고, c형은 어말에서 2번째 음절이 높아진다.[12]

하마 방언의 음조
(하이픈이 붙은 것은 1음절 조사를 붙인 경우의 고저)[12]
2음절 명사3음절 명사
a형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
높음높음높음-높음
[tʔʃiː] (피), [ɸana] (코)[çibuʃi] (연기)
b형낮음높음
낮음낮음-높음
낮음낮음높음
낮음낮음낮음-높음
[tiː] (손), [ɸana] (꽃)[kagaɴ] (거울)
c형높음낮음
높음낮음-낮음
낮음높음낮음
낮음높음낮음-낮음
[naka] (안)[ʔatʃaː] (내일)


7. 문법

구니가미어는 일본어 표준어와 형태론적 표기 사용에 차이가 있다. 구니가미어에서는 /sa/|사ojp 형태가 부사로 사용되는 반면, 일본어 표준어에서는 /ku/|쿠일본어 형태가 부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나키진 방언 /tʰuusá pʰanaaɽít˭un/|투사 파나리툰ukn은 "그것은 멀리 떨어져 있다"라는 뜻으로, 일본어 표준어의 'toókú hanárete irú'와 동일하다. 일본어 표준어에서 /sa/|사일본어 형태는 형용사 어간에서 추상 명사("-ness" 형태)를 파생하는 데에만 사용된다.[13]

7. 1. 동사

다음은 모토부정 세소코 방언의 동사에 대해 해설한다[13]。세소코 방언의 동사는 기본, 연용, 파생, 음변의 4가지 어간으로 나뉘어 활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7. 1. 1. 어간

세소코 방언의 동사 활용은 기본 어간, 연용 어간, 파생 어간, 음변 어간의 4가지 어간에 활용 어미가 붙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동사의 종류별로 어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소코 방언의 동사 1A류의 어간
한국어머리 어간어간 말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변 어간
쓰다hakkku
가다ʔikkku
젓다ɸugggu
죽이다kurusssu
서다taQtttu
죽다sinnnu
날다tubbbur
묶다kuNbbbu
자다niNbbbut
읽다jummmur



세소코 방언의 동사 1B류의 어간
한국어머리 어간어간 말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변 어간
잡다turit



1B류에는 그 외에 hain(베다), waraːin(웃다), hoːin(사다), ʔumuin(생각하다), wuin(있다), ʔain(있다)이 속한다.

세소코 방언의 동사 2류의 어간
한국어머리 어간어간 말
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변 어간
보다miriiiitʃ
일어나다ʔukiriiiit


7. 1. 2. 활용형

위의 어간에는 각각 활용 어미가 붙어 활용형을 이룬다. 아래 표에는 각 활용 어미와 예시로 1A류의 "쓰다", 1B류의 "잡다", 2류의 "보다"의 어형을 나타낸다.

모토부정 세소코 방언의 동사 활용 어미
 지향형미연형조건형1조건형2명령형1명령형2연체형1연용형조건형3종지형연체형2du계 결합형ga계 결합형금지형준체형접속형
어간기본 어간연용 어간파생 어간음편 어간
활용 어미/aa//a//i//ee//i//ee//u//i//ra//N//N//ru//ra//i/
쓰다hakaːhakahakihakeːhakihakeːhakuhakihakurahakunhakunhakuruhakurahakuhakuhatʃi
잡다turaːturaturitureːturitureːturutuituiratuintuintuirutuiratuituituti
보다miraːmiramirimireːmirimireːmirumiːmiːramiːnmiːnmiːrumiːramiːmiːmitʃi
주요 접속 형식ba(조건)jo(요)ba체언na



세소코 방언에는 위에 제시된 활용 이외에도 ʔjuːn|말하다ojp, keːn|먹다ojp, suːn|하다ojp, kuːn|오다ojp이 있다.

지향형 어미는 -aː가 보통이지만, -an이 되는 경우도 있다.

미연형에는 n(부정), sun(-시키다), riːn|되다ojp, ba(조건)가 접속한다.

연체형 1에는 gariː|까지ojp, haːdʒi|할 때마다ojp 등이 붙는다. 또한 nuːga|왜ojp의 종결형으로도 사용된다.

연용형에는 buʃeːn|하고 싶다ojp, nʃeːn|하시다ojp, bakeː|뿐ojp, n(-도) 등이 붙는다.

연체형 2의 어미는 n이 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nu나 ru가 되는 경우도 있다.

준체형에는 mi(가. 묻다), sa(사), ʃi(의), gaja|일까ojp 등이 붙는다.

파생 어간에서는 위에 제시된 것 외에 hakutan|쓰고 있었다. 지속 과거ojp, hakuteːn|쓰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지속 결과 과거ojp와 같은 형식도 형성된다. 또한 1B류나 2류의 파생 어간 말미의 i 대신에 ju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종지형은 tujun|잡다ojp, mijun|보다ojp, du계 결합형은 tujuru|ojp, mijuru|ojp 등이다.

접속형에서는, 더욱이 hatʃiːn|쓰고 있다. 지속ojp, hatʃan|썼다. 과거/완료ojp, hatʃen|쓰여져 있다. 결과 과거ojp과 같은 형식도 형성된다.

7. 2. 기타

구니가미어와 일본어 표준어 사이의 눈에 띄는 차이점 중 하나는 부사로 사용되는 형태소 표기의 차이이다. 구니가미어에서는 /sa/|사ojp 형태가 부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나키진 방언 /tʰuusá pʰanaaɽít˭un/|투사 파나리툰ukn은 일본어 표준어 ''toókú hanárete irú'' ("그것은 멀리 떨어져 있다")와 같은 의미이다. 일본어 표준어에서는 /ku/|쿠일본어 형태가 부사로 사용되지만, /sa/|사일본어 형태는 형용사 어간에서 추상 명사("-ness" 형태)를 만드는 데에만 사용된다.

8. 연구 자료


  • 나카소네 세이젠의 ''오키나와 나키진 방언 사전'' (나키진촌 요나미네 방언 사전)[1]
  • 오시오 무츠코의 ''오키나와 이에지마 방언 사전'' (이에 방언 사전)[2]

참조

[1] 서적 "Zusetsu Ryūkyū-go jiten 図説 琉球語辞典"
[2] 웹사이트 Kunigami http://www.unesco.or[...] UNESCO 2014-02-01
[3] 웹사이트 "Nakijin Dialect Dictionary: kotoba" http://ryukyu-lang.l[...] 2014-02-01
[4] 웹사이트 Nakijin Dialect Dictionary: Nakijin-hōgen gaisetsu http://ryukyu-lang.l[...] 2014-02-01
[5] 웹사이트 "Nakijin Dialect Dictionary: yanbaru kotoba" http://ryukyu-lang.l[...] 2014-02-01
[6] 논문 "Shodon: A Dialect of the Northern Ryukyus" 1970-01
[7] 문서 Acute accent indicates a high tone
[8] 웹사이트 Kunigami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9] 문서 [[ユネスコ]]の[[危機に瀕する言語]]では[[沖永良部与論沖縄北部諸方言]]をさして「国頭語」としており、沖縄北部はその方言としている。
[10] 논문 "沖縄本島金武方言の体言のアクセント型とその系列:「琉球調査用系列別語彙」の開発に向けて" 2009
[11] 논문 "琉球アクセント調査のための類別語彙の開発:沖永良部島の調査から" 2000
[12] 서적 琉球方言と九州方言の韻律論的研究 明治書院 2006
[13] 서적 琉球方言文法の研究 笠間書院 1984
[14] 서적 琉球方言音韻の研究 法政大学出版局 1976
[15] 서적 講座方言学 10 沖縄・奄美の方言 国書刊行会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