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 다연장로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 다연장로켓은 대한민국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대우중공업에서 생산한 한국 최초의 136mm 36연장 다연장 로켓 시스템이다. 1970년대 북한의 BM-21 다연장로켓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1981년 실전 배치되었다. 구룡은 KM809A1 5톤 트럭에 탑재되어 130mm 로켓탄 36발을 18초 만에 발사할 수 있으며, 사거리는 최대 36km이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운용되었으며, 이집트에도 수출되었다. 후속 모델로는 K239 천무가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포 - KH-179
KH-179는 대한민국 육군이 포병 화력 강화를 위해 개발한 155mm 견인 곡사포로, 일반 탄약 사용 시 18.1km, 로켓 보조 탄약 사용 시 30km의 사거리를 가지며, NATO 표준 탄약과 호환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용된다. - 대한민국의 대포 - KH-178
KH-178은 대한민국이 M101A1 곡사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하여 1983년 육군과 해병대에 배치되었으나 2000년에 퇴역한 105mm 곡사포이며, 칠레와 인도네시아에 수출되었고 최대 사거리는 18km이다. - 일제사격무기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일제사격무기 - 화차 (무기)
화차는 고려 시대 최무선이 만든 주화를 시초로 조선 시대에 개발된 다연발 로켓 병기로, 문종 때 개량되어 화살이나 총통을 연발로 발사할 수 있으며 임진왜란 때 신기전 발사 용도로 널리 활용되어 행주산성 전투에서 큰 활약을 하였다. -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로켓포 - RPG-7
RPG-7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의 판처파우스트 250을 발전시킨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1961년 소련군에 채용되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구룡 다연장로켓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종류 | 다연장 로켓 |
개발 국가 | 대한민국 |
설계 | 국방과학연구소 (발사대), 한화그룹 (로켓) |
설계 시기 | 1973년-1978년 |
제조사 | 대우중공업 |
사용 국가 | 대한민국 |
사용 시기 | K136: 1981년–1987년, K136A1: 1987년–현재 |
제원 | |
무게 | 16.4톤 |
길이 | 7.7미터 |
너비 | 2.5미터 |
높이 | 2.9미터 |
속도 | 시속 80킬로미터 |
구경 | 130mm 36×1 (K30), 131mm 36×1 (K33), 130mm 36×1 (K37), 130mm 36×1 (K38) |
사거리 | 23킬로미터 (K30), 36킬로미터 (K33), 22킬로미터 (K37), 30킬로미터 (K38) |
성능 | |
발사 속도 | 18초당 36발 |
엔진 | 디젤 엔진 |
마력 | 236마력 |
승무원 | 4명 |
2. 역사
K136 구룡은 북한의 BM-21 122mm 다연장로켓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가 1973년부터 개발을 시작하여, 1978년 성능 시험을 거쳐 1981년에 실전 배치되었다.[1] 대우중공업이 생산을, 로켓은 한화에서 개발을 담당했다.
2. 1. 개발 배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량으로 보유한 방사포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은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36연장 136mm 다연장로켓인 구룡 로켓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구룡"이라고 불리는 이 무기체계는 군단 및 사단의 야전포병을 위한 것으로 대우중공업이 생산을 담당하고, 로켓은 한화에서 개발하였다.[1]K136 구룡 36연장 다연장로켓 (MRL)은 1973년 국방과학연구소 (ADD)에서 북한이 보유한 BM-21 122mm 다연장로켓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 개발을 시작하여 1978년 성능 시험을 거쳐 1981년 K136이 실전 배치되었다.[1] 이후 스테인리스강 발사관과 유압 시스템을 추가한 개량형 K136A1이 1987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 배치되었으며, 사거리 36km와 30km의 K33 및 K38 로켓이 1988년에 개발되었다.[1]
1978년에는 28연장(7x4)의 시제 차량이 완성되었고, 1980년대부터 36연장으로 양산차가 배치되었다.[14][15] 총 생산 대수는 158대[16], 양산차의 생산 대수는 156대[17]이다. 이집트에 36대가 수출되었다.[18]
후계 차량으로는 K239 천무가 개발되었다. 이는 230mm 자주 다연장로켓 발사기이지만, K-136의 131mm 로켓탄의 사용도 가능한 시스템이다.[19]
2. 2. 개발 과정
국방과학연구소는 북한이 대량으로 보유한 방사포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연장 로켓 '구룡'을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이 무기체계는 군단 및 사단의 야전포병을 위한 것으로 한국에서 설계, 시험평가, 제작되었다. 생산은 대우중공업이 담당하고 있으며 로켓은 한화에서 개발하였다.[1]K136 구룡 36연장 다연장로켓 (MRL)은 1973년 국방과학연구소 (ADD)에서 북한이 보유한 BM-21 122mm 다연장로켓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 개발을 시작하여 1978년 성능 시험을 거쳐 1981년 K136이 실전 배치되었다.[1] 이후 스테인리스강 발사관과 유압 시스템을 추가한 개량형 K136A1이 1987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 배치되었으며, 사거리 36km와 30km의 K33 및 K38 로켓이 1988년에 개발되었다.[1]
1978년에는 28연장(7x4)의 시제 차량이 완성되었고, 1980년대부터 36연장 양산차가 배치되었다.[14][15] 총 158대가 생산되었고,[16] 이 중 양산차는 156대이다.[17] 이집트에 36대가 수출되었다.[18]
후계 차량으로는 K239 (천무)가 개발되었다. 이는 230mm 자주 다연장로켓 발사기이지만, K-136의 131mm 로켓탄도 사용할 수 있다.[19]
2. 3. 개량 및 성능 향상
1987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민국 육군에 스테인리스강 발사관과 유압 시스템을 추가한 K136A1 개량형이 배치되었다.[1] 1988년에는 사거리 36km, 30km인 K33 및 K38 로켓이 개발되었다.[1]3. 제원 및 성능
구룡은 다연장로켓으로, 넓은 지역을 제압하고 적의 기동력을 갖춘 중요 표적을 무력화하는 데 사용되는 무기 체계이다. KM809A1 5톤 트럭에 탑재되어 운용되지만, 다른 종류의 트럭이나 궤도차량에도 탑재할 수 있다.
구룡은 기본형 로켓과 개량형 로켓 두 종류를 사용한다. 기본형은 길이 2.4m, 무게 54kg이며, 개량형은 길이 2.54m, 무게 64kg이다. 탄두는 무게 21kg으로, 재래식 고폭탄두와 16,000개의 성형파편으로 구성된 개량형 고폭탄두 두 종류가 있다. 기본형 로켓의 최대 사거리는 22km, 개량형은 30km 이상이다.
탄약 보급은 KM813A1 탄약차를 사용하며, 72발을 적재할 수 있다.
3. 1. 발사 체계
구룡은 KM809A1 5톤 트럭을 기반으로 한 발사 체계를 갖추고 있다.[5] 36연장 발사관을 가지고 있으며,[5] K30 130mm 및 K33 131mm 로켓을 발사한다.[1][6] 발사대의 방위각/고각 구동과 안정판 작동에는 유압 모터를 사용하며, 필요시에는 수동 조작도 가능하다.발사 통제는 운전석 또는 발사대 차량 밖에서 발사통제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단발, 부분 일제사, 완전 일제사 사격이 가능하다. 일제사 시 발사 간격은 0.5초이다. 사격 제원 계산은 사표 또는 사격제원계산기를 사용한다.
사격 정확도 향상을 위해 저공풍 측정 장비가 사용된다. 이 장비는 1¼톤 트럭 KM450에 탑재되어 10.25m 높이에서 저공풍을 측정, 평균값과 순간 측정값을 사격제원계산기에 제공한다.
3.4m의 포신과 36연장(9연장 4단) 발사기를 갖추고 있으며, 130mm 로켓탄 36발을 18초 만에 발사할 수 있다. 명중 정밀도는 9-16m이며, 250m 사방을 제압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3. 2. 로켓탄
구룡 다연장로켓은 다양한 종류의 로켓탄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K30 130mm 로켓과 K33 131mm 로켓을 발사하며,[1][5][6] 성능 향상을 위해 개량된 K37 로켓도 사용한다.[1]K30(구룡 1)은 원형 로켓탄이며, K33(구룡 2)은 2000년에 사거리가 연장된 개량형이다. 각 로켓탄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로켓탄 | K30 | K33 |
---|---|---|
직경 | 130mm | 131mm |
전장 | 2.4m | 2.54m |
무게 | 54kg | 64kg |
사정거리 | 23km | 36km |
탄두 중량은 모두 21kg이며, K27 고폭탄과 16,000개의 파편을 살포하는 K28 개량형 고폭탄, 그리고 K37 개량형 고폭탄 및 16,000개의 강철 구슬이 포함된 K37 파편형 고폭탄이 사용된다.[1]
3. 3. 탄약 운반 및 재장전
KM809A1 5톤 트럭을 기반으로 한 탄약 운반차는 72발의 로켓을 적재할 수 있다.[1] 탄약차에는 별도의 급탄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재장전은 수동으로 이루어진다.[1] 재장전에는 약 10분이 소요된다.[1]4. 운용 현황
대한민국은 구룡 다연장로켓 약 150대를 생산하여 운용하고 있다.[6] 2004년 이집트는 구룡 다연장로켓 약 36대를 구매했다.[7]
4. 1.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군단 또는 사단 단위의 화력 지원으로 운용되었다.[16]2010년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연평도와 백령도에 임시 배치되었으며, 2011년에는 상시 주둔으로 전환되었다.[23][24]
4. 2. 해외 수출 및 이전
이집트는 2004년에 구룡 다연장로켓 약 36대를 구매했다.[7]필리핀 육군은 육군 포병 연대의 신규 다연장로켓 대대를 위해 대한민국 정부와 K136 구룡 발사기 이전을 협상했다. 2020년에 대한민국으로부터 3개 포대의 K136 구룡이 인도될 예정이었으나,[2]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3][4] 당초 필리핀 육군과 필리핀 해병대에 각각 3개 포대와 1개 포대를 배치하고, 2개 포대는 대한민국으로부터 기증받을 예정이었다.[8][9][10] 그러나 2023년 필리핀은 K136 구룡 도입을 중단하고 더 현대적인 시스템 획득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K239 천무는 K136 구룡의 후계 기종으로, 새로운 MLRS 조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세 가지 시스템 중 하나이다.[11]
5. 평가 및 전망
구룡은 대한민국 다연장로켓 기술 발전의 초기 단계를 대표하는 무기 체계이다. 구룡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과 경험은 한국형 다연장로켓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 현재는 후속 모델인 K239 천무가 개발되어 점차 대체되고 있다.
5. 1. 후속 모델
K239 천무는 230mm 자주 다연장로켓 발사기이지만, K-136 구룡의 131mm 로켓탄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19]참조
[1]
웹사이트
견인포 같은 K136A1 구룡 다련장 로켓포
http://www.defenseto[...]
Defense Today
2019-08-12
[2]
웹사이트
Philippine Army to receive K136 Kooryong MLRS from South Korea
https://www.armyreco[...]
2020-06-29
[3]
뉴스
PH military to boost arsenal with South Korean hardware
https://globalnation[...]
2021-11-11
[4]
웹사이트
South Korea-donated rocket system expected this June
https://www.pna.gov.[...]
2022-04-27
[5]
웹사이트
Kooryong
https://www.globalse[...]
[6]
웹사이트
K136 Kooryong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military-[...]
Military Today
[7]
웹사이트
Army Equipment- Egypt
https://www.globalse[...]
[8]
웹사이트
Army to activate Aviation Regiment within this year
https://www.pna.gov.[...]
2019-08-14
[9]
웹사이트
Philippine Army to acquire rocket systems from South Korea
https://newsinfo.inq[...]
2019-10-03
[10]
웹사이트
Discussing the K-136 Kooryong MLRS Acquisition of the Philippine Armed Forces
https://www.pitzdefa[...]
2019-11-17
[11]
웹사이트
K239 Chunmoo - A Potential and Cheaper HIMARS Alternative for the Philippine Army
https://www.pitzdefa[...]
2024-01-21
[12]
웹사이트
M-809 5-TON TRUCK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13]
웹사이트
K-136
http://jcs.mil.kr/us[...]
대韓民国統合参謀本部
[14]
웹사이트
자주포/견인포- K136 36연장 130mm 다연장로켓 구룡
http://www.bluedrago[...]
해병대 청룡회(R.O.K. Marine Corps OCS ALUMINI Association)
2012-01-03
[15]
웹사이트
130mm 다련장 로켓(구룡)
http://www.add.re.kr[...]
국방과학연구소
[16]
웹사이트
Kooryong 130mm Multiple Rocket Launch System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17]
간행물
ARTILLERY: FUTURE INSIGHT
http://www.future-ar[...]
2014-01
[18]
논문
THE EGYPTIAN MILITARY AND THE ARAB-ISRAELI MILITARY BALANCE
https://csis.org/fil[...]
전략국제문제연구소
2011-02-10
[19]
웹사이트
미국이 먼저 주목한 우리 방산업체의 히트작, 뜻밖에…
http://blog.donga.co[...]
동아일보
2013-11-04
[20]
웹사이트
Kooryong Specification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1]
웹사이트
Kooryong KM809A1
http://www.army-guid[...]
Army Guide
[22]
웹사이트
Kooryong Picture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3]
웹사이트
多連装ロケット砲 西海の島に固定配備
http://world.kbs.co.[...]
KBS World
2011-04-25
[24]
웹사이트
130ミリ多段階ロケット砲の「九竜」、延坪島近くで武力を誇示
https://web.archive.[...]
중앙일보
2011-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