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우스 젬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우스 젬갈스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라트비아의 제3대 대통령이었다. 러시아 제국 쿠를란트에서 태어나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언론인으로도 활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군 복무를 했으며, 라트비아 독립 선언에 참여하고 리가 시장을 역임했다. 1927년부터 1930년까지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사면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했고, 퇴임 후에는 국회의원과 재무부 장관을 지냈다. 1939년에 사망하여 리가에 안장되었고, 출생지인 죽스테에는 기념상이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야니스 착스테
야니스 착스테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이자 법률가로, 라트비아 독립 운동에 헌신하여 라트비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인민 평의회 의장으로서 독립 선언을 이끌고 파리 강화 회의에서 라트비아 독립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도록 노력했다. - 라트비아의 변호사 - 에비카 실리냐
에비카 실리냐는 2023년 9월부터 라트비아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라트비아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복지부 장관을 거쳐 총리가 되었다. - 라트비아의 변호사 - 알베르츠 크비에시스
알베르츠 크비에시스는 라트비아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1930년부터 1936년까지 라트비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 라트비아의 대통령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에드가르스 린케비치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202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2023년 7월부터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외무장관을 역임했고, 2014년에는 자신이 동성애자임을 공개했다. - 라트비아의 대통령 - 카를리스 울마니스
카를리스 울마니스는 라트비아의 초대 총리를 역임하고 쿠데타로 권위주의 통치를 시작했으나 소련에 의해 해임되어 추방, 투옥되었으며, 독립의 상징과 독재자라는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구스타우스 젬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순서 | 제2대 |
직책 | 라트비아의 대통령 |
임기 시작 | 1927년 4월 8일 |
임기 종료 | 1930년 4월 9일 |
총리 | 마르게르스 스쿠예니엑스 페테리스 유라셰우스키스 후고 첼민슈 |
전임 | 파울스 칼닌슈 (대행) |
후임 | 알베르츠 크비에시스 |
출생일 | 1871년 8월 12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쿠를란트 주크스테 교구(현재의 투쿰스시, 라트비아) |
사망일 | 1939년 1월 6일 |
사망지 | 라트비아, 리가 |
배우자 | 에밀리야 젬갈스 |
자녀 | 2명 |
소속 정당 | 민주중앙당 (1922–1934) |
수상 | 삼성훈장 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령관 등급 |
2. 생애
구스타우스 젬갈스는 러시아 제국 쿠를란트 (지금의 라트비아 죽스테)에서 태어났다. 사카 교구의 초등학교를 거쳐 리가 니콜라이 학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899년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라트비아로 돌아와 변호사, 신문 편집장, 정치활동가로 활동했다.
1904년 러일 전쟁에 징집되어 1년 반 동안 복무하다 대위로 진급하였다. 1905년 라트비아 귀국 후 진보 성향의 일간지 〈야우나 디에나스 라파〉 (Jaunā Dienas Lapa)의 창간자 겸 편집장을 맡았다. 이후 해당 신문의 뒤를 잇는 '무수 라이키' (Mūsu Laiki)의 편집도 맡았다. 1907년 7월 리가지구 법원에서 3개월형을 선고받아 투옥되기도 했다. 출소 후 라트비아 민주당을 창당하였고, 1912년부터 1914년까지는 잡지 《도마스》(Domas)에서 일하였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재징집되어 핀란드에서 복무했다.[1] 1917년 4월 23일 리가 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가을 리가 임시시의회에서 다시 시장으로 추대되었다. 당시 라트비아 급진민주당에서 활동했다.[1]
1918년 라트비아 임시국가위원회에서 라트비아 영유권 관련 직무를 맡았다.[1] 타우타스 파도메 (인민의회) 제2부의장으로서 1918년 11월 18일 라트비아 독립 선언 회의를 주재했다.[1] 1918년 12월 3일 리가 시의회 의장으로 당선됐다.[1]
볼셰비키 정권의 위협 속에서 야니스 착스테와 함께 라트비아 대표로 해외에 파견되었다.[1] 영국 군함을 타고 코펜하겐으로 갔으나, 두 달 뒤 귀국하여 타우타스 파도메를 다시 일으키려다 독일군에게 체포되기도 하였다.[1]
라트비아 의회에서 민주중앙당 소속 의원으로 활동하며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다.[1] 1927년 야니스 착스테 대통령 사망 후 라트비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대통령 재임 중 단 한 차례 입법 거부권을 행사했고, 총 820명을 사면했다.[1] 1930년 대통령 임기 종료 후 재선을 포기하고 정계에서 물러났다.[1]
이후 정계 활동을 계속하였고 라트비아 의회 제4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외무, 재정, 무역산업위원회 위원을 맡았으며,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30년대에는 신문 〈야우나카스 지냐스〉(Jaunākās Ziņas)에 기사를 기고하였다.
1926년 삼성훈장 3급, 1929년 1급을 수여받았다. 1939년 1월 6일 사망하여 리가에 안장되었다. 1990년 죽스테에 젬갈스 기념상이 세워졌다.
2. 1. 젊은 시절
러시아 제국 쿠를란트 (지금의 라트비아 죽스테)에서 태어났다. 사카 교구의 초등학교에 진학하였고, 리가 니콜라이 학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899년에는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라트비아로 가서 변호사, 신문 편집장, 정치활동가로 활동했다.1904년 러일 전쟁 당시 젬갈스는 군 징집을 받아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1년 반 동안 복무하다 대위로 진급하였다. 1905년 라트비아로 귀국한 뒤에는 진보 성향의 일간지 〈야우나 디에나스 라파〉 (Jaunā Dienas Lapa)의 창간자 중 한 명이 되었고 편집장을 맡았다. 이후 해당 신문의 뒤를 잇는 '무수 라이키' (Mūsu Laiki)의 편집도 맡았다. 그러나 이때의 언론 활동으로 1907년 7월, 리가지구 법원이 젬갈스에게 3개월형을 선고해 투옥되기도 했다. 출소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젬갈스는 여타 정치운동단체와 라트비아 민주당을 창당하였다. 1912년부터 1914년까지는 잡지 《도마스》(Domas)에서도 일하였다.
2. 2. 정계 입문과 대통령 재임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젬갈스는 재징집되어 핀란드에서 복무했다.[1] 1917년 4월 23일 리가 시장으로 당선되었으며, 그해 가을 리가 임시시의회는 젬갈스를 다시 시장으로 추대하였다.[1] 이때 젬갈스는 라트비아 급진민주당에서 활동하고 있었다.[1]1918년 라트비아 임시국가위원회에서 활동하며 라트비아의 영유권 관련 직무를 맡았다.[1] 타우타스 파도메 (인민의회)의 제2부의장으로서 1918년 11월 18일 라트비아 독립 선언 회의를 주재했다.[1] 1918년 12월 3일에는 리가 시의회 의장으로 당선됐다.[1]
볼셰비키 정권의 위협 속에서 야니스 착스테와 함께 라트비아 대표로 해외에 파견되었다.[1] 젬갈스는 영국 군함을 타고 코펜하겐으로 갔으나, 두 달 뒤 귀국하여 타우타스 파도메를 다시 일으키려다 독일군에게 체포되기도 하였다.[1]
이후 라트비아 의회에서 민주중앙당 소속 의원으로 활동하며 여러 장관직을 역임했다.[1] 1927년 야니스 착스테 대통령 사망 후 라트비아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 대통령 재임 중 단 한 차례 입법 거부권을 행사했고, 총 648명을 감형 및 사면하고 172명을 완전히 사면하는 등 사면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했다.[1] 1930년 대통령 임기 종료 후 재선을 포기하고 정계에서 물러났다.[1]
2. 3. 퇴임 이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뒤 젬갈스는 정계 활동을 계속하였고 라트비아 의회 제4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때 외무, 재정, 무역산업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1931년부터 1932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1930년대에는 신문 〈야우나카스 지냐스〉(Jaunākās Ziņas)에 기사를 기고하였다.1926년 삼성훈장 3급, 1929년 1급을 수여받았다. 1939년 1월 6일 사망하여 리가에 안장되었다. 1990년 죽스테에 젬갈스 기념상이 세워졌다.
참조
[1]
서적
Prezidenti : Latvijas valsts un ministru prezidenti (1918-1940).
Latvijas Vēstnesis
[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m.gov.lv[...]
2020-07-27
[3]
뉴스
Rīgas Ziņas
http://www.periodika[...]
1925-03-16
[4]
서적
Latvijas Valsts Apbalvojumi (Latvian National Awards)
Balt Art Group
2014
[5]
서적
Prezidenti : Latvijas valsts un ministru prezidenti (1918-1940).
Latvijas Vēstne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