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니스 착스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니스 착스테는 라트비아의 정치인으로, 초대 라트비아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법학을 전공했으며, 학생 시절부터 라트비아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에 참여했다.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 의원으로 활동하며 라트비아의 자치를 옹호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라트비아 난민을 지원했다. 1918년 라트비아 독립 선언 당시 부재중이었으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립 라트비아의 내정 안정과 외교 관계 강화에 힘썼다. 1927년 임기 중 사망했으며, 라트비아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구스타우스 젬갈스
    구스타우스 젬갈스는 라트비아의 제3대 대통령으로, 변호사, 언론인, 리가 시장을 역임했으며, 대통령 재임 중 사면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했다.
  • 라트비아의 변호사 - 에비카 실리냐
    에비카 실리냐는 2023년 9월부터 라트비아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라트비아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복지부 장관을 거쳐 총리가 되었다.
  • 라트비아의 변호사 - 알베르츠 크비에시스
    알베르츠 크비에시스는 라트비아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1930년부터 1936년까지 라트비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망했다.
야니스 착스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26년의 착스테
이름야니스 크리스탑스 착스테
로마자 표기Jānis Kristaps Čakste
출생일1859년 9월 14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쿠를란트 현 세사바 교구(현재의 옐가바 시 라트비아)
사망일1927년 3월 14일 (향년 67세)
사망지리가, 라트비아
야니스 착스테의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입헌민주당 (1906년)
라트비아 농민 연합 (1917–1919년)
민주중앙당 (1922–1927년)
라트비아 대통령
대수초대
임기 시작1918년 12월 17일
임기 종료1927년 3월 14일
임기임시: 1918년 12월 17일 – 1922년 11월 14일
총리카를리스 울마니스
지그프리츠 안나 메이로비츠
야니스 파울룩스
지그프리츠 안나 메이로비츠
볼데마르스 자무엘스
후고 첼미ņš
카를리스 울마니스
아르투르스 알베링스
마르게르스 스쿠예닉스
이전(해당사항 없음)
이후파울스 칼닌슈(대행)
학력
출신 학교모스크바 대학교
개인 정보
배우자유스티네 착스테
자녀5남 4녀

2. 유년 시절과 교육

야니스 착스테는 1859년 9월 14일(율리우스력 9월 1일) 러시아 제국 쿠를란트(현재 라트비아 서부 쿠르제메)의 리엘세사바 교구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2] 성 안나 초등학교와 예르가바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러시아어, 라틴어, 프랑스어 등을 습득했다.[2] 1882년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하여 1886년에 졸업하였다.

2. 1. 민족의식 형성

예르가바 김나지움 재학 시절, 착스테는 쿠르제메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인 마테루 유리스의 영향을 받아 라트비아 민족의식에 눈을 뜨게 되었다.[2] 그는 신 라트비아 이상을 옹호하는 학생 모임에 참여했다.[2] 1882년 모스크바 대학교 법학부에 입학한 후에는, 모스크바에서 지역 라트비아 학생회를 창립했는데(1883년), 이 단체는 나중에 학술 단체 "아우스트룸"이 되었다.[2] 그는 크리샤니스 발데마르스 등과 교류하며 지역 라트비아 공동체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2]

3. 정치 입문과 독립 운동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한 착스테는 쿠를란트 주의 법률 부서에서 일했으며, 1888년부터 옐가바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2] 1889년에는 신문 "테비야"(조국)의 편집자가 되었는데, 이 신문은 쿠를란트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라트비아어 신문 중 하나였다. 1895년에는 옐가바에서 열린 제4회 라트비아 민요 축제의 주요 조직자 중 한 명이었으며, 자신의 사비로 이 행사를 부분적으로 지원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과정에서 그는 러시아 제국 내의 라트비아 민족 자치 창설 프로젝트에 협력했다.

1906년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 의원 선출 및 비보르크 선언 관련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1915년 타르투 이주, 라트비아 난민 지원 중앙 위원회 설립 참여, 미국 방문 시도 및 러시아 2월 혁명 소식 접한 내용, 독일어 팜플렛 저술, 임시 라트비아 국민 위원회 외교 부서 활동, 타우타스 파도메 의장 선출, 파리 강화 회의 참석등의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러시아 제국 국가 두마 의원 활동

1906년, 착스테는 러시아 제국 하원(국가 두마)의 입헌 민주당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황제 니콜라이 2세에 의해 의회가 해산되자 다른 166명의 의원들과 함께 비보르크 선언에 서명하고, 의회 소집 때까지 세금 납부와 징병을 거부할 것을 시민들에게 호소했다. 이로 인해 착스테는 정치범으로 체포되어 1908년 여름에 3개월간 옥살이를 했다.

3. 2. 제1차 세계 대전과 독립 운동

1906년의 착스테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독일군의 침공을 피해 착스테는 아내와 함께 1915년에 에스토니아 타르투로 이주했다.[2] 전쟁으로 40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하자,[3] 라트비아 난민 지원 중앙 위원회 설립에 참여하여 부위원장이 되었고, 1917년 3월 위원장 사망 후 후임 위원장이 되었다.[2]

착스테는 라트비아 독립 운동의 일환으로 미국으로 가려 했으나, 스웨덴 스톡홀름 체류 중 러시아 2월 혁명 소식을 듣고 도미를 중단했다. 그는 스톡홀름에서 Die Letten und ihre Latwija: Eine lettische Stimme|라트비아인과 그들의 라트비아 ― 라트비아의 목소리de라는 독일어 팜플렛을 저술하여,[8] “라트비아 국민은 라트비아에서 자체적인 국가적, 문화적, 경제적 발전을 이끌어갈 자유를 확보하기를 원한다”고 선언했다.

1917년 가을, 착스테는 임시 라트비아 국민 위원회 외교 부서에서 일하며 발트 지역 독일 점령에 항의하는 연설문을 외국 정부에 보냈다. 1918년 11월 18일, 타우타스 파도메 의장으로 선출되었고,[9]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라트비아 대표단을 이끌었다.[9]

4. 초대 대통령 재임

1922년 라트비아 헌법 의회의 자유 선거로 구성된 제1회 세이마(라트비아 의회)에서 야니스 착스테는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92명의 의원이 찬성하고 6명이 반대하여, 라트비아 대통령 선거 역사상 단일 후보에게 주어진 가장 많은 득표수를 기록했다. 1925년에는 재선에 성공하여 1927년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4. 1. 대통령으로서의 업적

착스테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402개의 법을 공포하고, 3개의 법을 검토를 위해 세이마로 되돌려 보냈으며, 549명을 사면했다. 그는 1926년 반독일 라트비아 괴뢰 정부의 전 수장이자 반역죄로 복역 중이던 저명한 작가 안드리예프스 니에드라를 사면하여 논란을 일으켰으나, 사면 후 니에드라가 국가를 떠날 것을 요구했다.

착스테와 핀란드 대통령 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더의 1926년 핀란드 공식 방문. 배경에는 핀란드 외무부 장관 에밀 네스토르 세텔래가 있다.


착스테는 대통령으로서 주로 의례적인 역할을 맡았지만, 외교 문제, 특히 신생 유럽 국가로서 라트비아의 국제적 지위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1925년 대통령 선거에서 착스테는 민주 중앙당에서, 라이니스는 사회 민주당에서, 카를리스 울마니스는 라트비아 농민 연합에서 각각 후보로 제안되었다.[1] 1차 투표에서 착스테는 29표를 얻어 라이니스(33표), 울마니스(32표)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1] 이후 사회 민주당이 라이니스의 의사에 반하여 후보를 철회하면서, 착스테는 60표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되었다.[1]

5. 사망과 유산

야니스 착스테는 1927년 3월 14일 리가에서 사망했으며, 리가 숲 묘지에 안장되었다.[4] 그는 재임 중 사망한 유일한 라트비아 대통령이다.[4]

야니스 착스테 묘비, 리가 숲 묘지

6. 가족

착스테는 1891년 유스티네 베셀레와 결혼하여 슬하에 9명의 자녀를 두었다.[1] 그의 아들 비스발디스 착스테 소위는 1915년 옐가바 방어 중 입은 부상으로 사망했다. 또 다른 아들 콘스탄틴스 착스테(1901–1945)는 아버지처럼 변호사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라트비아 민족 저항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1943년 2월에는 라트비아 중앙 위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이 위원회는 지하 라트비아 국가 정부였다. 콘스탄틴스 착스테는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1945년 2월 슈투트호프 강제 수용소에서 강제 행진 중 사망했다.

7. 한국과의 관계

야니스 착스테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모두 자국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무장 투쟁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데 비해, 착스테는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는 데 주력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참조

[1] 서적 Prezidenti : Latvijas valsts un ministru prezidenti (1918–1940). Latvijas Vēstnesis
[2] 서적 Latvijas Encyclopēdija Trīs Zvaigznes
[3]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Latvian Riflemen Battalions in the Summer of 1915 http://www.sargs.lv/[...] 2009-03-29
[4] 웹사이트 Jānis Čakste: The First President of Latvia, 1922–1927 https://www.presiden[...]
[5] 웹사이트 Чаксте Иван Христофорович https://catalog.shm.[...]
[6] 웹사이트 Умер Янис ЧАКСТЕ | Рижский Краеведческий Сайт http://rigacv.lv/thi[...] 2009-03-11
[7] 간행물 日露協会報告 第14号 (ラトビアの現状)10頁 https://dl.ndl.go.jp[...] 日露協会
[8] 웹사이트 Latvieši un viņu Latvija: kāda latvieša balss https://www.janisroz[...]
[9] 논문 ソ連崩壊後の歴史の見直し : ラトヴィヤ共和国成立史を例にして https://doi.org/10.5[...] ロシア・東欧学会
[10] 웹사이트 Pauls Kalniņš as the Acting President of Latvia (1944–1945) https://www.presiden[...] 2021-03-19
[11] 웹사이트 Gustavs Zemgals https://www.presiden[...] 2021-03-16
[12] 웹사이트 Hall of Freedom https://liberal-inte[...]
[13] 트윗 "#Switzerland`s Jungfraujoch, known as the Top of Europe, is home to the Hall of Freedom. This…" https://twitter.com/[...] 2019-09-15
[14] 뉴스 'Presidential oaks' planted in Jelgava https://eng.lsm.lv/a[...] 2022-09-15
[15] 웹사이트 Krišjānis Čakste https://timenote.inf[...]
[16] 웹사이트 Karolīne Matilde Čakste https://timenote.inf[...]
[17] 웹사이트 Justīne Čakste https://timenote.inf[...]
[18] 웹사이트 Latvijas pirmā lēdija — prezidenta Jāņa Čakstes sieva Justīne https://www.santa.lv[...] 2019-08-06
[19] 웹사이트 Mintauts Čakste https://www.at.gov.l[...]
[20] 웹사이트 Par Konstantīnu Čaksti mūsu piemiņā https://www.vestnesi[...] 2002-10-15
[21] 웹사이트 Ringolds Čakste https://timenote.inf[...]
[22] 웹사이트 The gene of kindness: Anna J. Čakste-Rollins https://www.fonds.lv[...] 2020-05-11
[23] 웹사이트 Anna J. Čakste-Rollins and Kāvusis Foundation of Education and Culture https://www.fonds.lv[...]
[24] Youtube Latvija izvēlas demokrātiju! Stāsta Kristīne Čakste https://www.youtube.[...]
[25] 뉴스 Ināra Mūrniece: democracy was the method Jānis Čakste chose for the development of Latvia https://www.saeima.l[...] 2019-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