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법무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법무부는 검찰, 보호처분 및 보안관찰처분의 관리·집행, 행형, 소년 보호·보호관찰, 갱생보호, 인권옹호 등 일반 법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7월 17일 법무부로 설치되었으며, 법무연수원, 국립법무병원, 교정본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등 3개 소속기관과 다수의 소속 위원회를 두고 있다. 법무부 장관은 국무위원으로, 소속 공무원의 정원은 787명이며, 2023년 예산은 총 4조 2310억 8450만 원이다. 역대 법무부 장관으로는 이인, 조국, 한동훈 등이 있다. 현재는 박성재가 법무부 장관으로 재임 중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1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국립 미술관으로, 서울, 과천, 덕수궁, 청주 4곳에서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방대한 소장품을 통해 한국 미술의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48년 설립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대한민국 법무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기관명법무부
로마자 표기Beobmu-bu
한자 표기法務部
영어 표기Ministry of Justice
설립일1948년 7월 17일
관할대한민국 정부
본부경기도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1동
직원 수787명
예산세입: 1조 4149억 9100만 원
세출: 4조 2310억 8450만 원
모토반듯한 사회, 행복한 국민
공식 웹사이트법무부 공식 웹사이트
주요 인물
장관박성재
차관김석우
조직
주요 산하 기관검찰청

2. 소관 사무

대한민국 법무부는 다음 사무를 소관한다.


  • 검찰에 관한 사무
  • 보호처분 및 보안관찰처분의 관리와 집행
  • 행형(교도소 운영)
  • 소년 보호 및 보호관찰
  • 갱생보호
  • 국가보안사범 보도
  • 사면
  • 인권옹호
  • 북한인권기록 보존·관리
  • 공증
  • 송무(소송 관련 업무)
  • 국적 이탈 및 회복
  • 귀화
  • 사법시험 및 군법무관 임용시험
  • 법조인 양성제도 연구·개선
  • 법무 관련 자료조사
  • 대통령·국무총리 및 각 부처 법령 자문, 민사·상사·형사(다른 법령의 벌칙 조항 포함)·행정소송 및 국가배상 관계 법령 해석
  • 출입국·외국인 정책
  • 기타 일반 법무행정


검찰은 위 사무 외에도 형 집행, 소년 보호, 보호관찰, 갱생보호, 국가보안사범 보고, 인권옹호, 공증, 소송 업무, 국적 관련 업무, 귀화, 사법시험 및 법무관 임용시험, 법조인 양성제도 연구·개선, 법무 관련 자료 조사, 대통령, 국무총리 및 각 부처 법령 자문, 민사, 형사(다른 법령 벌칙 조항 포함), 행정소송 및 국가배상 관련 법령 해석, 출입국관리 업무 등 일반 법무행정에 관한 사무를 수행한다.

3. 연혁


  • 1948년 7월 17일: 법무부 설치.[18]
  • 1955년 2월 7일: 국무총리 소속 법제처를 법무부 외국 법제실로 흡수.[19]
  • 1960년 7월 1일: 법제실을 국무원사무처 법제국으로 개편, 분리.[20]

3. 1. 역대 로고

4. 조직

대한민국 법무부의 조직은 장관, 차관 아래 여러 실·국 및 소속기관으로 구성된다.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설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법무부는 총무과, 법무실, 형사정책국, 범죄예방정책국, 인권국, 한국형무소청, 한국출입국관리소로 구성된다.[3]

법무부 조직은 장관 산하 하부조직, 차관 산하 하부조직, 소속기관으로 나뉜다.

4. 1. 장관 산하 하부조직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대변인실홍보담당관실[21]
감찰관실[21]감찰담당관실ㆍ감사담당관실
인사정보관리단인사정보1담당관실ㆍ인사정보2담당관실
장관정책보좌관실[22]


4. 2. 차관 산하 하부조직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실기획재정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시설담당관실ㆍ정보화데이터담당관실ㆍ양성평등정책담당관실[21]ㆍ형사사법공통시스템 운영단
비상안전기획관실
colspan="2" |운영지원과
법무실법무심의관실법무과ㆍ통일법무과ㆍ상사법무과ㆍ법조인력과
송무심의관실[21]국가소송과ㆍ행정소송과
검찰국검찰과ㆍ형사기획과ㆍ공공형사과ㆍ국제형사과ㆍ형사법제과
범죄예방정책국범죄예방기획과ㆍ보호정책과ㆍ치료처우과ㆍ보호관찰과ㆍ소년보호과ㆍ전자감독과ㆍ범죄예방디지털정책팀[23]ㆍ소년범죄예방팀[24]
인권국[21]인권정책과ㆍ인권구조과ㆍ인권조사과ㆍ여성아동인권과
국제법무국[21]국제법무정책과ㆍ국제법무지원과ㆍ국제투자분쟁과
교정본부교정정책단교정기획과ㆍ직업훈련과ㆍ사회복귀과ㆍ복지과
보안정책단보안과ㆍ분류심사과ㆍ의료과ㆍ심리치료과ㆍ마약사범재활팀[23]ㆍ특별점검팀[2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출입국정책단출입국기획과ㆍ출입국심사과ㆍ체류관리과ㆍ이민조사과ㆍ이민정보과ㆍ외국인정보빅데이터팀[25]
국적·통합정책단외국인정책과ㆍ국적과ㆍ이민통합과ㆍ난민정책과ㆍ난민심의과


4. 3. 소속기관

법무연수원, 국립법무병원,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법무부 장관의 관장 사무를 지원하는 기관이다.[3] 지방교정청(교도소, 구치소), 소년원, 소년분류심사원, 보호관찰심사위원회, 보호관찰소, 위치추적관제센터, 출입국·외국인청,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외국인보호소,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는 법무부 장관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는 기관이다.[3]

  • 법무연수원
  • * 용인분원
  • 치료감호소
  • * 약물중독재활센터
  • 지방교정청
  • * 서울지방교정청
  • ** 교도소 (안양, 화성직업훈련, 여주, 서울남부, 의정부, 춘천, 원주, 강릉, 영월)
  • ** 구치소 (서울, 서울남부, 성동, 수원, 인천)
  • * 대구지방교정청
  • ** 교도소 (대구, 경북북부제1, 경북북부제2, 경북북부제3, 포항, 안동, 김천소년, 경주, 부산, 창원, 진주, 경북직업훈련, 상주)
  • ** 구치소 (부산, 대구, 울산, 밀양, 통영)
  • * 대전지방교정청
  • ** 교도소 (대전, 공주, 홍성, 천안개방, 천안, 청주, 청주여자)
  • ** 구치소 (충주)
  • * 광주지방교정청
  • ** 교도소 (광주, 순천, 목포, 장흥, 전주, 군산, 제주, 해남, 정읍)
  • 소년원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전주, 대전, 청주, 안양, 춘천, 제주)
  • 소년분류심사원 (서울)
  • 보호관찰심사위원회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 보호관찰소 (서울, 서울동부, 서울남부, 서울북부, 서울서부, 의정부, 인천, 수원, 춘천, 대전, 청주, 대구, 부산, 울산, 창원, 광주, 전주, 제주)
  • 위치추적관제센터 (중앙(서울), 대전)
  • 출입국관리사무소 (인천공항, 서울, 부산, 인천, 수원, 서울남부, 김해, 제주, 대구, 대전, 여수, 양주, 울산, 김포, 광주, 창원, 전주, 춘천, 청주)
  • 외국인보호소 (화성, 청주)
  •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 (인천)

4. 4. 소속 위원회

위원회명설치 근거비고
가석방심사위원회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119조
감찰위원회법무부감찰위원회규정 제1조
공증인징계위원회공증인법 제85조
국적심의위원회국적법시행령 제28조
범죄피해구조본부심의회범죄피해자보호법 제24조
범죄피해자보호기금운용심의회범죄피해자보호기금법 제7조
범죄피해자보호위원회범죄피해자보호법 제15조
법교육위원회법교육지원법 제4조
법무부본부배상심의회국가배상법 제10조
법무자문위원회법무자문위원회 규정 제1조
변호사시험관리위원회변호사시험법 제14조
변호사징계위원회변호사법 제92조
보안관찰처분심의위원회보안관찰법 제12조
사면심사위원회사면법 제10조의2
사법시험관리위원회사법시험법 제14조
외국법자문사징계위원회외국법자문사법 제40조
장애인차별시정심의위원회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3조
주택임대차위원회주택임대차보호법 제8조의2
치료감호심의위원회치료감호법 제37조


5. 정원

대한민국 법무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15]

총계787명
정무직 계2명
장관1명
차관1명
별정직 계4명
고위공무원단1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1명
6급 상당 이하2명
일반직 계749명
고위공무원단8명
3급 이하 5급 이상296명
6급 이하443명[26]
전문경력관2명
경찰공무원 계2명
경정 이하2명
검사 계30명
검사 또는 고위공무원단10명
검사20명[27]


6.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16][17]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13.458조-0.73%
교도작업특별회계6480억+0.15%
범죄피해자보호기금430억-0.73%
합계14.149조-0.67%



구분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법무 및 검찰40.818조+1.41%
교도작업특별회계법무 및 검찰6650억-0.47%
범죄피해자보호기금법무 및 검찰8270억+0.04%
합계42.31조+1.35%


7. 역대 법무부 장관

성명(한자)취임일퇴임일대통령
1이인 (李仁)1948년 8월 2일1949년 6월 5일이승만
2권승렬 (權承烈)1949년 6월 6일1950년 5월 21일이승만
3이우익 (李愚益)1950년 5월 22일1950년 11월 22일이승만
4김준연 (金俊淵)1950년 11월 23일1951년 5월 6일이승만
5조진만 (趙鎮滿)1951년 5월 7일1952년 3월 4일이승만
6서상환 (徐相懽)1952년 3월 5일1954년 6월 29일이승만
7조용순 (趙容淳)1954년 6월 30일1955년 9월 15일이승만
8이호 (李浩)1955년 9월 16일1958년 2월 19일이승만
9홍진기 (洪璡基)1958년 2월 20일1960년 3월 23일이승만
10권승렬 (權承烈)1960년 4월 25일1960년 8월 19일허정 (권한대행)
11조재천 (曺在千)1960년 8월 23일1961년 5월 2일윤보선
12이병하 (李丙夏)1961년 5월 3일1961년 5월 18일윤보선
13고원증 (高元増)1961년 5월 20일1962년 1월 8일윤보선
14조병일 (趙炳日)1962년 1월 9일1963년 1월 31일박정희 (권한대행)
15장영순 (張榮淳)1963년 2월 1일1963년 4월 21일박정희 (권한대행)
16-18민복기 (閔復基)1963년 4월 22일1966년 9월 25일박정희
19권오병 (權五柄)1966년 9월 26일1968년 5월 20일박정희
20이호 (李浩)1968년 5월 21일1970년 12월 20일박정희
21배영호 (裵榮浩)1970년 12월 21일1971년 6월 3일박정희
22신직수 (申稙秀)1971년 6월 4일1973년 12월 2일박정희
23이봉성 (李鳳成)1973년 12월 3일1974년 9월 17일박정희
24-25황산덕 (黄山徳)1974년 9월 18일1976년 12월 3일박정희
26이선중 (李善中)1976년 12월 4일1978년 12월 21일박정희
27김치열 (金致烈)1978년 12월 22일1979년 12월 13일박정희
28백상기 (白相基)1979년 12월 14일1980년 5월 21일최규하
29-30오탁근 (吳鐸根)1980년 5월 22일1981년 4월 9일전두환
31이종원 (李鍾元)1981년 4월 10일1982년 5월 20일전두환
32정치근 (鄭致根)1982년 5월 21일1982년 6월 23일전두환
33배명인 (裵命仁)1982년 6월 24일1985년 2월 18일전두환
34김석휘 (金錫輝)1985년 2월 19일1985년 7월 15일전두환
35김성기 (金聖基)1985년 7월 16일1987년 5월 25일전두환
36-37정해창 (丁海昌)1987년 5월 26일1988년 12월 4일노태우
38허형구 (許亨九)1988년 12월 5일1990년 3월 18일노태우
39이종남 (李種南)1990년 3월 19일1991년 5월 26일노태우
40김기춘 (金淇春)1991년 5월 27일1992년 10월 8일노태우
41이정우 (李正雨)1992년 10월 9일1993년 2월 25일노태우
42박희태 (朴熺太)1993년 2월 26일1993년 3월 7일김영삼
43김두희 (金斗喜)1993년 3월 8일1994년 12월 23일김영삼
44안우만 (安又萬)1994년 12월 24일1997년 3월 5일김영삼
45최상엽 (崔相曄)1997년 3월 6일1997년 8월 4일김영삼
46김종구 (金鍾求)1997년 8월 5일1998년 3월 2일김영삼
47박상천 (朴相千)1998년 3월 3일1999년 5월 23일김대중
48김태정 (金泰政)1999년 5월 24일1999년 6월 7일김대중
49김정길 (金正吉)1999년 6월 8일2001년 5월 20일김대중
50안동수 (安東洙)2001년 5월 21일2001년 5월 23일김대중
51최경원 (崔慶元)2001년 5월 24일2002년 1월 28일김대중
52송정호 (宋正鎬)2002년 1월 29일2002년 7월 10일김대중
53김정길 (金正吉)2002년 7월 11일2002년 11월 5일김대중
54심상명 (沈相明)2002년 11월 9일2003년 2월 26일김대중
55강금실 (康錦実)2003년 2월 27일2004년 7월 29일노무현
56김승규 (金昇圭)2004년 7월 29일2005년 6월 29일노무현
57천정배 (千正培)2005년 6월 29일2006년 7월 26일노무현
58김성호 (金成浩)2006년 8월 30일2007년 9월 3일노무현
59정성진 (鄭城鎭)2007년 9월 4일2008년 2월 29일노무현
60김경한 (金慶漢)2008년 2월 29일2009년 9월 29일이명박
61이귀남 (李貴男)2009년 9월 30일2011년 8월 10일이명박
62권재진 (權在珍)2011년 8월 11일2013년 3월 10일이명박
63황교안 (黃敎安)2013년 3월 11일2015년 6월 13일박근혜
64김현웅 (金賢雄)2015년 7월 9일2016년 11월 29일박근혜
65박상기 (朴相基)2017년 7월 19일2019년 9월 8일문재인
66조국 (曺國)2019년 9월 9일2019년 10월 14일문재인
김오수 (金浯洙) (권한대행)2019년 10월 14일2020년 1월 1일문재인
67추미애 (秋美愛)2020년 1월 2일2021년 1월 27일문재인
68박범계 (朴範界)2021년 1월 28일2022년 5월 9일문재인
69한동훈 (韓東勳)2022년 5월 17일2023년 12월 21일윤석열
70박성재 (朴性載)2024년 2월 20일현직윤석열


8.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정부과천청사 1동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j.go.kr[...] 2014-01-01
[2]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oj.go.kr[...] 2011-10-20
[3] 법률 Decree On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Justice And Institutions Under Its Jurisdiction https://elaw.klri.re[...] 2021-02-25
[4] 뉴스 기관연혁 상세정보 http://theme.archive[...] 국립기록원 2014-09-04
[5] 학술지 The Lawyer Kwon Seung-Ryul's Activities in the 1920s and 1930s http://www.dbpia.co.[...] 2010-10-01
[6] 뉴스 '딸 편법입학' 박희태, 또 '부정부패'로 사퇴하나 http://www.mediatoda[...] 2012-01-11
[7] 뉴스 {{bracket|안법무 사퇴까지 긴박 43시간}} '장관이 거짓말을… 포기하자' http://news.naver.co[...] 2001-05-23
[8] 뉴스 {{bracket|파격장관}} 첫 여성 법무 강금실 장관 http://news.naver.co[...] 2003-02-27
[9] 웹사이트 법무부장관 연혁 http://www.moj.go.kr[...] Ministry of Justice
[10] 웹사이트 Former Ministers https://www.moj.go.k[...] Ministry of Justice
[11] 뉴스 새 법무장관에 박상기 경제정의실천연합 대표 지명 http://www.sedaily.c[...] 2017-06-27
[12] 기타 MOJ List
[13] 뉴스 문 대통령, 조국 후보자 임명... 2시 대국민 메시지 예정 http://www.ohmynews.[...] 2019-09-09
[14] 웹사이트 Yoon appoints new justice minister https://en.yna.co.kr[...] 2024-02-20
[15] 기타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6 및 별표 9
[16]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1
[17]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1
[18] 법률 법률 제1호
[19] 법률 법률 제354호
[20] 법률 법률 제552호
[21] 기타 개방형 직위
[22] 기타 2명을 두며 1명은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별정직공무원으로, 나머지 1명은 3급 또는 4급 상당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23] 기타 2026년 5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4] 기타 2025년 6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5] 기타 2023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26] 기타 한시정원 1명 포함
[27] 기타 사법연수원 부원장 1명 포함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