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연혁
- 3. 주요 내용 (협약 조항)
- 3.1. 제1장 – 총칙
- 3.2. 제2-1장 – 구조 – 구획 및 복원성, 기계 및 전기 설비
- 3.3. 제2-2장 – 방화, 화재 탐지 및 소화
- 3.4. 제3장 – 구명 설비 및 장치
- 3.5. 제4장 – 무선 통신
- 3.6. 제5장 – 항해 안전
- 3.7. 제6장 – 화물 운송
- 3.8. 제7장 – 위험물 운송
- 3.9. 제8장 – 원자력 선박
- 3.10. 제9장 –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관리
- 3.11. 제10장 – 고속 선박에 대한 안전 조치
- 3.12. 제11-1장 – 해상 안전 강화를 위한 특별 조치
- 3.13. 제11-2장 – 해상 보안 강화를 위한 특별 조치
- 3.14. 제12장 – 벌크선에 대한 추가 안전 조치
- 3.15. 제13장 – 준수 여부 확인
- 3.16. 제14장 – 극지 해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 조치
- 4. 대한민국과 SOLAS
- 5. 비가입국
- 참조
1. 개요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은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된 국제 협약으로,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최초의 조약이 체결되었다. 1974년 개정된 SOLAS 협약은 기술 혁신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한 개정을 가능하게 했으며,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테러 대책으로 항만 시설의 보안을 강화하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SOLAS는 선박의 건조, 장비, 운항에 대한 최소 안전 기준을 규정하며, 14개의 장으로 구성된 부속서를 통해 총칙, 구조, 구명 설비, 무선 통신, 항해 안전, 화물 운송 등 다양한 안전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체결된 조약 -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미일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은 1951년 체결되어 1952년 발효되었으며, 일본에 대한 공격 시 미국이 방어할 의무를 명시하고 미일 동맹의 근간을 이루는 조약이다.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 |
---|---|
개요 | |
명칭 |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SOLAS) |
종류 | 국제 조약 |
배경 | 타이타닉 침몰 사고 (1912년) |
조약 정보 | |
초판 | 1914년 |
발효일 | 1960년 버전: 1965년 5월 26일 1974년 버전 (현재): 1980년 5월 25일 |
당사국 | 167개국 |
관련 국제 기구 | 국제 해사 기구 (IMO) |
목적 및 적용 범위 | |
목적 | 해상에서의 인명 안전 보장 |
적용 대상 | 상선 |
주요 내용 | |
일반 규정 | 협약의 목적, 적용 범위, 정의 등 일반적인 사항 규정 |
구조 - 구획 및 안정, 기관 | 선박의 구조적 안전 및 설비 기준 규정 |
화재 방지, 화재 검출 및 소화 | 선박의 화재 안전 기준 규정 |
구명 설비 및 장치 | 선박의 구명 설비 및 장비 기준 규정 |
무선 통신 | 선박의 통신 장비 및 절차 규정 |
항해의 안전 | 선박의 항해 안전 기준 규정 |
액체 화학 물질을 산적 운송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한 특별 조치 | 액체 화학 물질 운반선의 안전 기준 규정 |
가스 연료 또는 저인화점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안전을 위한 특별 조치 | 가스 연료 또는 저인화점 연료 사용 선박의 안전 기준 규정 |
핵 동력선 | 핵 동력선의 안전 기준 규정 |
고체 산적 화물의 안전 관리를 위한 특별 조치 | 고체 산적 화물 운반선의 안전 기준 규정 |
고속정 안전을 위한 특별 조치 | 고속정의 안전 기준 규정 |
보안에 대한 특별 조치 | 선박 및 항만 시설의 보안 기준 규정 |
안전 관리 |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규정 |
하역 장치 | 하역 장치에 대한 규정 |
추가 안전 조치 | 추가적인 안전 조치 규정 |
기타 | |
비고 | 협약은 지속적으로 개정 및 보완되고 있음 |
2. 연혁
1912년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선박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구명정 및 무선 장치 등의 장비 규칙을 정하는 조약이 1914년에 체결되었다. 이것이 최초의 SOLAS 조약이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발효되지 못했다.[5]
1929년과 1948년에 각각 1914년 조약에 새로운 안전 규제를 추가하는 등의 수정을 가한 조약이 체결 및 발효되었다. 1960년 협약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첫 번째 주요 성과였다.[7]
현재의 SOLAS 조약은 1974년 조약으로, 기술 혁신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묵시적 수락 절차를 도입하여 수정안 발효 기간을 단축했다.[1] 1975년 IMO 총회는 SI (미터법) 단위만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8]
1988년 개정안은 모스 부호를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으로 대체했다. 2011년 5월에는 추가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2015년에는 컨테이너 중량 검증 규정이 추가되었다.[10]
2. 1. 1914년 최초의 SOLAS 협약
RMS ''타이타닉''호 침몰에 대응하여 1914년 최초의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이 통과되었다. 이 협약은 구명정의 수와 기타 비상 장비, 연속적인 무선 감시를 포함한 안전 절차를 규정했다.[5] 그러나 1914년 협약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발효되지 못했다.2. 2. 1929년 및 1948년 협약
1914년 최초의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은 RMS ''타이타닉''호 침몰에 대한 대응으로 통과되었으며, 구명정의 수와 기타 비상 장비, 연속적인 무선 감시를 포함한 안전 절차를 규정했다.[5] 그러나 1914년 협약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발효되지 못했다.이후 1929년과 1948년에 추가적인 협약이 채택되었다.[6]
2. 3. 1960년 협약
1960년 협약은 1960년 6월 17일에 채택되어 1965년 5월 26일에 발효되었다. 이 협약은 네 번째 해상 인명 안전 협약 (SOLAS)이었으며, 국제 해사 기구 (IMO)의 첫 번째 주요 성과였다. 이는 규정을 현대화하고 해운 산업의 기술 발전에 발맞추는 데 있어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7]2. 4. 1974년 협약 (현행)
1974년, 이전의 수정 절차가 매우 느리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에, SOLAS를 합리적인 기간 내에 수정하고 시행할 수 있도록 완전히 새로운 협약이 채택되었다.[1] 1960년 SOLAS 하에서는 국가들이 IMO에 수락을 통지해야 했고, 최소 국가 및 톤수 임계값이 있었기 때문에 수정안이 발효되는 데 수년이 걸릴 수 있었다. 1974년 SOLAS 하에서는 수정안이 묵시적 수락 절차를 통해 발효된다. 이는 수정안에 대한 이의가 합의된 수의 당사자로부터 접수되지 않는 한, 수정안이 지정된 날짜에 발효되도록 허용한다.[1]1974년 SOLAS는 최소 25개국이 비준하고 총 톤수의 최소 50%를 충족한 후 12개월 뒤인 1980년 5월 25일에 발효되었다.[1] 이후 여러 차례 업데이트 및 수정되었으며, 현재 발효 중인 협약은 때때로 수정된 1974년 SOLAS라고 불린다.[7]
1975년 IMO 총회는 1974년 협약에서 앞으로 SI (미터법) 단위만을 사용할 것을 결정했다.[8]
일본은 1980년 5월 15일에 이 협약에 가입했다. 그 후 30회 이상에 걸쳐 개정을 거듭했는데, 최근에는 2001년 미국 동시 다발 테러를 계기로 2002년에 개정이 이루어졌으며('''개정 SOLAS 조약'''), 테러 대책으로 항만 관련 시설에 대해서도 침입 방지 등의 보안 대책을 강화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또한, 개정 SOLAS 조약에 따라 외항선과 국제 항만이 준수해야 할 국제 규칙인 ISPS 코드가 2004년 7월 1일 자로 발효되었다. 외항 컨테이너 정기선 업계에서도 ISPS 코드에 적응하여 선박·화물의 수송 과정에서의 안전과 보안 확보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지만, 운송업체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화주에 대해서 ISPS 차지 등의 비용 전가도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 개정으로 자동 선박 식별 장치의 탑재가 의무화되었다.
개정 SOLAS 조약의 지정 구역에 대한 침입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불법 침입 이상으로 엄격한 벌칙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관리자가 처벌받는 경우도 있다.
2. 5. 1988년 협약
1988년 개정안은 1987년 국제 무선 통신 규칙 개정에 따라 모스 부호를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으로 대체했으며, 1992년 2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1]2. 6. 2002년 개정 (테러 대책 강화)
2001년 미국 동시 다발 테러를 계기로 2002년에 개정이 이루어졌다(''개정 SOLAS 조약''). 이 개정으로 테러 대책으로 항만 관련 시설에 대해서도 침입 방지 등의 보안 대책을 강화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또한, 개정 SOLAS 조약에 따라 외항선과 국제 항만이 준수해야 할 국제 규칙인 ISPS 코드가 2004년 7월 1일 자로 발효되었다.외항 컨테이너 정기선 업계에서도 ISPS 코드에 적응하여 선박·화물의 수송 과정에서의 안전과 보안 확보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지만, 운송업체의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화주에 대해서 ISPS 차지 등의 비용 전가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개정으로 자동 선박 식별 장치의 탑재가 의무화되었다.
개정 SOLAS 조약의 지정 구역에 대한 침입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불법 침입 이상으로 엄격한 벌칙 규정이 마련되어 있으며, 관리자가 처벌받는 경우도 있다.
2. 7. 2015년 개정 (컨테이너 중량 검증)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제VI/2조의 컨테이너 중량 검증 규정이 2015년에 SOLAS를 개정했다.[10] IMO 해사안전위원회(MSC)가 시행한 이 규정은 해상 선박에 싣기 전에 모든 적재된 컨테이너의 총 중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중량은 적재된 컨테이너를 계량하거나 화물 요소와 포장을 계량하고 이 중량에 빈 컨테이너 중량을 더하여 계산할 수 있다.[11]중량 값을 전달하기 위해 VGM(Verified Gross Mass, 검증된 총 질량) 또는 VERMAS(Verification of Mass, 질량 검증)라는 새로운 전자 데이터 교환(EDI) 통신 프로토콜을 도입해야 하며, 이는 해운사, 운송 주선인/NVOCC, EDI 제공업체 및 수출업체 간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이 규정은 수출업자(선적업자)가 최종적으로 검증된 컨테이너 중량을 확보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한다.[12]
이 규정은 원래 2016년 7월 1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13] 2016년 10월 1일까지 유연성과 실질적인 개선을 허용했다.[14]
3. 주요 내용 (협약 조항)
1974년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은 선박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칙들을 담고 있으며, 크게 조약 본문과 부속서로 구성된다. 부속서는 2016년과 2017년에 두 개의 장이 추가되어 총 1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은 선박의 구조, 장비, 운항 등 다양한 측면에서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제5장은 국제 항해를 하는 상선뿐만 아니라 개인 요트 및 소형 선박에도 적용되는 유일한 장으로, 모든 해상 선박의 안전 운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장 | 내용 |
---|---|
제1장 | 총칙: 선박 검사 및 인증 |
제2-1장 | 구조: 구획 및 복원성, 기계 및 전기 설비 |
제2-2장 | 방화, 화재 탐지 및 소화 |
제3장 | 구명 설비 및 장치 |
제4장 | 무선 통신: 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 관련 장비 탑재 |
제5장 | 항해 안전 |
제6장 | 화물 운송 |
제7장 | 위험물 운송 |
제8장 | 원자력 선박 |
제9장 | 선박의 안전 운항 관리 |
제10장 | 고속선 안전 조치 |
제11-1장 | 해상 안전 강화 조치 |
제11-2장 | 해상 보안 강화 조치 |
제12장 | 벌크선 추가 안전 조치 |
제13장 | 준수 여부 확인 |
제14장 | 극지 해역 운항 선박 안전 조치 |
3. 1. 제1장 – 총칙
여러 종류의 선박을 검사하고 협약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인증한다.3. 2. 제2-1장 – 구조 – 구획 및 복원성, 기계 및 전기 설비
여객선이 선체 손상 후에도 부유 및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방수 구획으로 나누는 것을 규정한다. 여기에는 선체 복원성 국제 기준 준수가 포함된다.3. 3. 제2-2장 – 방화, 화재 탐지 및 소화
모든 선박에 대한 화재 안전 조항에는 FSS 코드에 따른 여객선, 화물선 및 유조선에 대한 상세 조치와 IGF 코드에 따른 연료로서의 가스 운송 요구 사항이 포함된다.3. 4. 제3장 – 구명 설비 및 장치
선박 유형에 따른 구명정, 구조정 및 구명조끼 요구 사항을 포함한 구명 설비 및 장치에 대해 규정한다. 구체적인 기술 요구 사항은 국제 구명 설비(LSA) 코드에 명시되어 있다.3. 5. 제4장 – 무선 통신
세계 해상 조난 및 안전 시스템(GMDSS)은 국제 항해를 하는 여객선 및 화물선이 위성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 표지(EPIRB) 및 수색 및 구조 응답 장치(SART)를 포함한 무선 장비를 갖추도록 요구한다.3. 6. 제5장 – 항해 안전
이 장은 모든 선박에 적용되는 항해 안전 관련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정부는 모든 선박이 안전 관점에서 충분하고 효율적으로 인원을 배치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모든 선박은 출항 전 항해 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하며, 여기에는 잠재적 위험, 기상 예보, 조석 예측, 승무원 역량 등 모든 관련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또한, 모든 선박의 선장은 조난자를 구조할 의무가 있으며, 위험 및 조난 메시지, 구명 신호 사용과 관련된 특정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이 장은 요트 및 개인 선박을 포함한 모든 선박과 그 승무원에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다른 장들과 구별된다. 즉, 국제 항해를 하는 상선뿐만 아니라 소형 선박도 이 장의 적용을 받는다. 많은 국가에서 이러한 국제적 요구 사항을 자국 법으로 전환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3. 7. 제6장 – 화물 운송
벌크 액체 및 가스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화물 및 컨테이너의 적재 및 고정에 대한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 목재 데크 화물을 운송하는 선박의 안전 관행 규약 준수도 포함한다.3. 8. 제7장 – 위험물 운송
모든 종류의 위험물 운송은 국제 벌크 화학물질 코드(IBC 코드), 액화 가스를 벌크로 운송하는 선박의 구조 및 설비에 대한 국제 코드(IGC 코드) 및 국제 해상 위험물 코드(IMDG 코드)를 준수해야 한다.3. 9. 제8장 – 원자력 선박
원자력 추진 선박은 특히 방사선 위험과 관련하여 핵 상선의 안전 규약을 준수해야 한다.3. 10. 제9장 –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한 관리
모든 선주와 선박에 대한 책임을 맡은 모든 개인 또는 회사는 국제 안전 관리 코드(ISM)를 준수해야 한다.3. 11. 제10장 – 고속 선박에 대한 안전 조치
고속 선박 (HSC 코드)에 대한 국제 안전 규약을 의무화한다.3. 12. 제11-1장 – 해상 안전 강화를 위한 특별 조치
검사 및 조사를 수행하는 기관, 강화된 검사, 선박 식별 번호 체계 및 운항 요구 사항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3. 13. 제11-2장 – 해상 보안 강화를 위한 특별 조치
국제 선박 및 항만 시설 보안 코드(ISPS 코드)를 포함한다. 선박 보안 유지를 위한 선장의 역할은 회사, 용선자 또는 그 밖의 다른 사람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제한될 수 없음을 확인한다. 항만 시설은 보안 평가를 수행하고 항만 시설 보안 계획을 개발, 구현 및 검토해야 한다. 항만에서의 선박 지연, 억류, 제한 또는 추방을 통제한다. 선박이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을 갖추도록 요구하며, 다른 조치 및 요구 사항을 자세히 설명한다.3. 14. 제12장 – 벌크선에 대한 추가 안전 조치
길이가 150m가 넘는 벌크선에 대한 특정 구조적 요구 사항을 담고 있다.3. 15. 제13장 – 준수 여부 확인
2016년 1월 1일부터 국제해사기구(IMO) 회원국 감사 제도가 의무화되었다.3. 16. 제14장 – 극지 해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 조치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 제14장은 2017년 1월 1일부터 극지 해역에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국제 코드(극지 코드)의 서론 및 제I-A부를 의무화하고 있다.4. 대한민국과 SOLAS
대한민국은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SOLAS) 가입국이다.
4. 1. 협약 가입 및 이행
대한민국은 1980년에 이 협약에 가입하였으며, 국제선박·항만보안법 등 국내 법규를 통해 협약 내용을 이행하고 있다.4. 2. 국내 항만 보안
일본에서는 국제 선박·항만 보안법 및 동법 시행 규칙에 의거하여 지정 항만에서의 제한 구역 설정 등의 보안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1]4. 3. SOLAS 지정 항만
2015년 현재, 일본에서는 111곳의 항만이 SOLAS 지정 항만으로 지정되어 있다. 도도부현별로 살펴보면 홋카이도가 가장 많은 지정 항만을 보유하고 있다. 홋카이도의 주요 SOLAS 지정 항만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서는 국제 선박·항만 보안법 및 동법 시행 규칙에 의거하여 지정 항만에서의 제한 구역 설정 등의 보안 조치가 이루어지고 있다.[1]
5. 비가입국
1974년 국제해상인명안전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에는 많은 내륙 국가뿐만 아니라 엘살바도르, 미크로네시아 연방, 동티모르가 포함된다. 볼리비아, 레바논, 스리랑카 등 일부 국가는 모두 편의치적 국가로 간주되며, 비준과 관련하여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여겨진다.[3]
참조
[1]
웹사이트
Status of Conventions
https://www.imo.org/[...]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22-05-21
[2]
간행물
Implications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for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Study by the Secretariat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ttp://www.imo.org/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2-01-19
[3]
웹사이트
Shipping Industry Flag State Performance Table 2018/2019
https://www.ics-ship[...]
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2022-05-21
[4]
웹사이트
IBC Code
http://www.imo.org/e[...]
2017-07-02
[5]
서적
Text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Signed at London, January 20, 1914 [with Translation.]
https://archive.org/[...]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by Harrison and Sons
[6]
간행물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1948, London, 10th June, 1948
http://www.imo.org/K[...]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2012-12-08
[7]
웹사이트
New amendments into force from 1st July 2014 for SOLAS Convention
http://www.ukpandi.c[...]
2016-04-16
[8]
간행물
Resolution A.351(IX) Use of metric units in the SI system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1974, and other future instruments
http://www.imo.org/b[...]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2-09-04
[9]
웹사이트
SOLAS 1974: Brief History – List of amendments to date and where to find them
http://www.imo.org/K[...]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3-04-06
[10]
웹사이트
IMO Requirement For Container Weight Verification
http://www.worldship[...]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6-06-03
[11]
문서
Verified Gross Mass: Industry FAQs
https://www.cma-cgm.[...]
TT Club and other partners
2015-12
[12]
웹사이트
MSC 94th Session Summary of SOLAS Container Weight Requirements
http://www.worldship[...]
2016-06-03
[13]
웹사이트
IMO Implementation and Action Dates Including SOLAS
http://www.imo.org/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14]
웹사이트
IMO MSC.1/Circular 1548 ADVICE TO ADMINISTRATIONS, PORT STATE CONTROL AUTHORITIES, COMPANIES, PORT TERMINALS AND MASTERS REGARDING THE SOLAS REQUIREMENTS FOR VERIFIED GROSS MASS OF PACKED CONTAINERS
http://www.imo.org/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6-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