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도미티우스 씨족 출신이다. 그는 기원전 122년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갈리아 원정을 통해 알로브로게스족을 격파하고 "임페라토르" 칭호를 받았다. 이후 갈리아에 로마 식민지인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를 건설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연결하는 도미티우스 가도를 건설하는 등 갈리아 지역의 로마 지배를 강화했다. 기원전 115년에는 감찰관으로 활동하며 원로원 개혁을 추진했고, 폰티펙스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로마의 집정관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로, 집정관, 감찰관을 역임하고 원로원 의장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유구르타 전쟁 관련 뇌물 수수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 기원전 2세기 로마의 집정관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알로브로기쿠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알로브로기쿠스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귀족으로 기원전 121년 집정관을 지냈으며, 갈리아 트란살피나에서 알로브로게스족과 아르베르니족을 정복하여 "알로브로기쿠스" 칭호를 얻고 개선식과 개선문을 세웠으며,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의 장례 연설을 맡은 웅변가이자 문필가였다. - 로마 공화국의 원로원 의원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기원전 106년에 태어난 로마의 정치가이자 웅변가, 문인으로, 로마 공화정 시대에 활동하며 뛰어난 웅변술과 저술 활동으로 라틴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공화국의 원로원 의원 - 파우스투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파우스투스 코르넬리우스 술라는 로마의 독재관 술라의 아들이자 폼페이우스의 사위로, 군사 호민관, 삼두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카이사르 내전에서 폼페이우스를 지지하다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기원전 104년 사망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기원전 104년 사망 - 동중서
동중서는 전한 시대의 유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무제에게 유학을 국교로 삼을 것을 주장하여 받아들여졌으며, 천인감응론, 오행사상, 역사순환론 등의 사상을 전개하고 《춘추번로》를 저술했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
라틴어 표기 | Cn. Domitius Cn. f. Cn. n. Ahenobarbus |
출생 | 불명 |
사망 | 기원전 104년경 |
가문 | 아헤노바르부스 가문 |
씨족 | 도미티우스 씨족 |
경력 | |
레가투스 | 기원전 129년-126년 |
법무관 | 기원전 125년 |
집정관 | 기원전 122년 |
동료 집정관 | 가이우스 판니우스 |
전직 집정관 | 기원전 121년-120년 또는 117년 |
감찰관 | 기원전 115년 |
신기관 | ? - 기원전 104년 |
군사 지휘 | 대 갈리아 (알웨르니족 상대) |
군사 활동 | |
참전 전투 | 빈달리움 전투 |
가족 관계 | |
자녀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96년 집정관)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94년 집정관) |
기타 정보 | |
별칭 | 아헤노바르부스 |
로마 속주 총독 | 트란살피나 갈리아 |
![]() |
2. 가문 배경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명문 도미티우스 씨족 중 평민 가문인 아헤노바르부스 가문의 일원이었다.[14][2] 그의 아버지는 기원전 162년에 보충 집정관을 지낸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이며, 할아버지는 기원전 192년에 집정관을 지낸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였다.[14][2]
기원전 129년부터 레가투스로서 집정관 마니우스 아퀼리우스 휘하에서 아탈로스 왕조의 내란 진압에 종군했다.[12] 기원전 126년에 아퀼리우스가 로마로 귀국하여 개선식을 거행했지만, 아헤노바르부스는 갈리아에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125년에 프라에토르(법무관)에 취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3]
기원전 129년부터 레가투스로서 집정관 마니우스 아퀼리우스 휘하에서 아탈로스 왕조의 내란 진압에 종군했다. 기원전 126년에 귀국한 아퀼리우스는 개선식을 거행했지만, 아헤노바르부스는 아마도 다음 해 기원전 125년에 프라에토르에 취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기원전 96년,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기원전 94년에 집정관을 역임했다.[14][2] 그는 기원전 54년 집정관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의 할아버지였다.[14][2] 그의 가문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네로(재위: 54년 - 68년)의 조상이 된다.[14][2]
3. 초기 경력
4. 갈리아 전쟁 및 업적
기원전 122년, 집정관에 선출되었다. 동료는 가이우스 파니우스였다. 아헤노바르부스는 전년도의 프로콘술 가이우스 섹스티우스 칼비누스를 이어받아 갈리아인에 대처했다. 알로브로게스족이 살리에스족의 투토모툴루스 왕을 지원하여 친로마파인 하에두이족의 땅을 황폐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군사적 보복을 가해 빈달리움 전투(현 베다리드 부근)에서 승리했다.[12]
이듬해에도 프로콘술로서 집정관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알로브로기쿠스와 함께 알로브로게스 및 아르베르니족, 루테니족과 싸워 승리했다. 이 승리로 로마는 갈리아 트란살피나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했고, 이후 20년간 이 지역에서 큰 군사적 충돌은 없었다. 빈달리움 전투의 승리로 "임페라토르" 칭호를 받았다.[3] 기원전 120년에 귀국하여 성대한 개선식을 거행했다.[13]
4. 1. 도미티아 가도 건설
현재 서부 랑그도크에 해당하는 지역을 정복한 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기원전 118년에 갈리아에 최초의 로마 식민지인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나르본)를 건설했다.[5] 그는 이 시기에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로마 속주를 연결하는 도미티아 가도를 건설했는데, 이 도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6] 도미티아 가도는 고대 교역로를 따라 건설되었으며, 몽제네브르 고개를 통해 알프스를 통과하는 가장 쉬운 통로 중 하나를 이용했다.[5][6]
4. 2.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 설립
기원전 122년, 도미티우스는 알로브로게스족에 대한 군사 작전을 이끌었다. 알로브로게스족은 친로마 부족인 아이두이족에게 피해를 입혔고, 살루비족의 지도자 테우토말리우스 왕을 숨겨주었다.[3] 로마는 알로브로게스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이후 20년간 이 지역에서 다른 군사 작전이 없을 정도로 완벽한 승리를 거두었다.[3]
이후 도미티우스는 기원전 118년에 갈리아에 최초의 로마 식민지인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오늘날의 나르본)를 건설했다.[5] 이 식민지는 훗날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로마의 갈리아 지배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그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로마 속주를 연결하는 도미티우스 가도를 건설했는데, 이 도로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6]
5. 후기 활동 및 사망
기원전 115년, 루키우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와 함께 감찰관으로 선출되었다. 감찰관으로서 원로원에서 32명의 의원을 제명했는데, 그중에는 전년도 집정관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게타와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후원자인 카시우스 스바코도 포함되어 있었다.[13] 일부 가수를 제외한 연예인을 거리에서 추방하고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를 원로원 제1인자로 지명했다.[13]
언제부터인지는 불분명하지만 신관에도 취임했으며, 기원전 104년경에 사망했을 때 아들이 계승할 수 없었다.[13]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pro Font.
[6]
서적
[7]
서적
Epit.
[8]
서적
pro Cluent.
[9]
서적
[10]
서적
Nero
[11]
서적
[12]
서적
ペリオカエ
[13]
서적
首都創建以来の略史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