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베르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베르니족은 고대 갈리아의 부족으로, 현재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에 거주했다. 그들은 기원전 3세기부터 2세기에 걸쳐 루에르니우스와 비투이투스 왕 아래에서 세력을 확장하여 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 중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121년 이세르 강 전투에서 로마에 패배하며 세력이 약화되었다.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했으나 알레시아 전투에서 패배하며 로마에 복속되었다. 이후 로마 정치에 편입되었지만 자치권을 유지했으며, 6세기까지 원로원이 활동하며 프랑크 왕국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네르비족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하며 용맹한 벨가이족으로 알려졌으나, 로마에 저항하다 프랑크족에 동화되었다.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아르베르니족 | |
---|---|
지도 정보 | |
부족 정보 | |
이름 | 아르베르니족 |
로마자 표기 | Arverni |
민족 | 갈리아인 |
지리 | |
위치 | 갈리아 (현재의 프랑스 중남부) |
주요 도시 | 네메토숨 (Nemetosum, 현재의 클레르몽페랑) 게르고비아 (Gergovia) |
역사 | |
기원 | 기원전 3세기 경 |
전성기 | 기원전 2세기 |
주요 사건 | 게르고비아 공방전 알레시아 공방전 |
사회와 문화 | |
정치 체제 | 귀족 과두정 |
종교 | 켈트족의 다신교 |
주요 인물 | 루에리우스 비투이투스 베르킨게토릭스 |
기타 정보 | |
언어 | 갈리아어 |
멸망 | 로마 공화정에 병합 (기원전 52년) |
2. 명칭
아르베르니족은 여러 고대 문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언급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Arvernos'로[1], 리비우스는 'Arvernorum'으로[2], 스트라본은 'A̓roúernoi'(Ἀρούερνοι)로[3], 프톨레마이오스는 'A̓rouernō͂n'(Ἀρουερνῶν)으로 기록했다.[4][5]
아르베르니족의 로마 이전 영토는 로마 시대의 ''아르베르노룸(civitas Arvernorum)''의 경계와 대략 일치했으며, 이후 중세 초기의 클레르몽교구로 계승되었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그들의 영토는 오늘날 데파르트망인 퓌드돔과 캉탈, 오트루아르, 알리에의 일부, 크뢰즈, 루아르 및 아베롱의 작은 지역을 포함했을 것이다.[6]
아르베르니족의 중심 도시는 클레르몽페랑 근교의 게르고비아였다.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 족장 루엘니오스 아래에서 세력을 키웠으나, 그의 아들 비투이투스는 기원전 123년 로마 공화정에 패배하여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Arverni'라는 부족 이름은 골어 *'Aruernoi'(*'Aruernos'의 단수)의 라틴어화된 형태이다. 그 어원은 불분명하다. 피에르-이브 랑베르는 이 이름을 *'ar(e)-uer-no'-* (라틴어 'supernus'와 비교)로 분해하여 "위에 있는 사람들"로 해석하는 것을 제안했다. 또는 골어 어간 *'uernā'-* ("오리나무"; 프랑스어 'vergne', 옥시탄어 'verne'와 비교)와의 관련성도 제안되었다.
오베르뉴 지역(511년에 'ecclesiae Arvenicae'로 확인됨, 9세기에 'pagus Arvenicus' 또는 'pago Alvernio', 1071~1127년경에 'Alvernhe')은 이 갈리아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지리
그들은 레모비체스와 페트로코리이 동쪽에, 비투리게스 쿠비와 아에두이 남쪽에, 루테니, 카두르치와 벨라비 북쪽에, 그리고 세구시아비와 암바리 서쪽에 거주했다.[6] 아르베르니족의 중심 도시는 게르고비아(현재의 클레르몽페랑 근교)였다.
4. 역사
기원전 52년, 갈리아 전쟁 중 베르킨게토릭스가 족장이 되어 로마에 반기를 들었으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끈 알레시아 전투에서 패배했다.
4. 1. 초기 역사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아르베르니족은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 왕 루에르니우스와 그의 아들 비투이투스 치하에서 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 중 하나였다. 이들의 힘은 발달된 야금 기술, 풍부한 농업, 광업, 무역, 그리고 주변 부족들에 대한 군사적 지배력에 기반을 두었다.[7]
그리스 민족지학자 포세이도니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루에르니우스는 전차를 타고 다니면서 추종자들에게 금화와 은화를 뿌렸다고 한다. 루에르니우스 아래에서 아르베르니족은 라인강에서 대서양 해안에 이르는 강력한 갈리아 군사 패권의 수장이었다.
4. 2. 로마와의 충돌 (기원전 2세기 ~ 기원전 1세기)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경에 걸쳐 족장 루엘니오스 아래에서 알베르니족은 세력을 키워나갔다. 루엘니오스의 아들 비투이투스는 기원전 123년에 로마에게 패배하여 그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기원전 52년, 갈리아 전쟁 중 베르킨게토릭스가 족장이 되어 로마에 반기를 들었으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알레시아 전투에서 패배했다.
4. 3.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 ~ 기원전 51년)
아르베르니족은 기원전 58년부터 기원전 51년까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아르베르니 귀족들이 카이사르의 초기 침략에 맞서는 것을 피하려 했다. 그들은 모든 갈리아인에 대한 주권을 얻으려 했던 것으로 보이는 지도자 켈틸루스를 처형했다.[8] 기원전 52년 켈틸루스의 아들 베르킨게토릭스는 지지자들을 모아 로마인과 싸웠지만, 그의 삼촌 고바니티오를 포함한 귀족들에 의해 게르고비아에서 추방당했다. 그는 그 후 이 지역에서 대규모 군대를 모집하여 도시에 돌아와 반대파를 몰아내고 왕으로 선언되었다.[8] 베르킨게토릭스는 최소 15개의 갈리아 부족과 동맹을 맺고 동맹을 증명하기 위해 족장의 아들들의 참석을 요청했다. 그는 이후 대부분의 갈리아인들을 이끌고 율리우스 카이사르와의 게르고비아 전투에서 승리했고, 그의 기병대는 로마군을 추격하는 데 놀라운 활약을 했다.
앞서 병력을 분산시킨 카이사르는 동맹 갈리아인으로부터 보급을 받으면서 그들의 귀환을 기다렸다. 베르킨게토릭스는 그 후 알레시아 전투에서 카이사르에게 패했는데, 이는 군단병들이 도시 주변에 갈리아 병사들을 포위하기 위해 14개의 군사장비를 건설한 수개월 후에 일어난 일이었다. 도시 밖에서 베르킨게토릭스를 지원하기 위해 대규모 병력이 투입되면서 서부 갈리아인들의 몇 주간의 지원을 받은 후, 갈리아인들은 두 차례에 걸쳐 내외부의 병력을 합칠 뻔했다. 외부 병력이 떠나기로 결정하자,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로마인에게 항복하기로 결정했다.[9]
4. 4. 로마 시대
갈리아 전쟁 이후 아르베르니족 군인들은 사면되었고, 원로원은 권력을 회복했다. 아르베르니족과 대부분의 다른 갈리아 국가들은 로마 정치권에 편입되었지만, 완전한 권리와 자치권을 유지했다. 투르의 그레고리와 그의 저서 《프랑크족의 역사》에 따르면, 아르베르니족 원로원은 6세기에도 여전히 활동했으며, 신생 프랑크 왕국의 정치에 깊이 관여했다.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2]
서적
Periochae
[3]
서적
Geōgraphiká
[4]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5]
논문
Arveni
[6]
지도
[7]
서적
Ab Urbe condita
[8]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9]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