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161년에 태어난 로마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그는 귀족 가문 출신이었으나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군 복무를 통해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115년에 집정관을 역임했으며, 유구르타 전쟁에 참여하여 레가투스로 활동했다. 그는 검열관과 원로원 으뜸원로를 거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유구르타 전쟁에서의 뇌물 수수 혐의, 동맹시 전쟁 관련 혐의 등으로 여러 차례 기소되기도 했다. 스카우루스는 로마의 도로 건설 등 토목 사업에도 기여했으며, 기원전 88년경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60년대 출생 - 요한 히르카노스
요한 히르카노스는 하스몬 왕조 유대의 지도자로서,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향력 약화를 틈타 유대 독립을 공고히 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며, 사마리아 정복, 이두매아인 강제 개종, 로마 공화국과의 우호 관계 강화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기원전 160년대 출생 - 유구르타
유구르타는 로마 공화정과 대립한 누미디아 왕족 출신으로, 왕위 쟁탈전과 유구르타 전쟁을 통해 로마에 저항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기원전 2세기 로마의 집정관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기원전 122년 집정관을 역임하고 갈리아 지역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콜로니아 나르보 마르티우스 건설과 도미티우스 가도 건설을 주도하여 로마의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 기원전 2세기 로마의 집정관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알로브로기쿠스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알로브로기쿠스는 기원전 2세기 로마 공화정 귀족으로 기원전 121년 집정관을 지냈으며, 갈리아 트란살피나에서 알로브로게스족과 아르베르니족을 정복하여 "알로브로기쿠스" 칭호를 얻고 개선식과 개선문을 세웠으며,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의 장례 연설을 맡은 웅변가이자 문필가였다.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
라틴어 표기 | M. Aemilius M. f. L. n. Scaurus |
출생 | 기원전 162년경 |
사망 | 기원전 89년 11월 중반 ~ 88년 2월 |
국적 | 로마 공화국 |
![]() | |
가문 | |
씨족 | 아이밀리우스 씨족 |
출신 | 파트리키 |
경력 | |
신관 | 기원전 123년 ~ 89년 |
상급 안찰관 | 기원전 122년경 |
법무관 | 기원전 119년 |
집정관 | 기원전 115년 |
원로원 수석 | 기원전 115년 - 89년 |
레가투스 | 기원전 112년, 기원전 111년, 기원전 93년? |
감찰관 | 기원전 109년 (사임) |
유구르타 수뢰 조사 위원회 | 기원전 109년 |
곡물 공급 책임자 | 기원전 104년 |
정치 | |
정적 | L. 아풀레이우스 사투르니누스 Q.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
가족 | |
배우자 | 카이킬리아 메텔라 |
자녀 | 2명 |
2. 가문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161년경 로마 공화국의 명문 귀족 가문인 아에밀리아 씨족에서 태어났다.[42] 아에밀리우스 씨족은 고대 역사가들에 따르면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가문 중 하나로 여겨진다.[15] 가장 오래된 17개의 농촌 트리부스 중 하나가 이 씨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6] 그 조상은 피타고라스[14] 또는 제2대 로마 왕 누마 폼필리우스라고도 한다.[17] 플루타르코스가 인용한 한 설에서는 아이네이아스와 라비니아 사이의 딸이 아에밀리아이며, 초대 로마 왕로물루스를 낳았다고 한다.(통설에서는 레아 실비아가 어머니)[18][19]
스카우루스는 로마 공화국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벌인 전쟁에 일반 병사로 참전하면서 군 경력을 시작했다.[1] 이베리아에서의 복무는 그가 정치에 입문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귀족 신분에도 불구하고, 스카우루스 가문은 씨족의 다른 분파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았다. 스카우루스의 조상은 기원전 317년에서 230년 사이에 여러 집정관을 배출한 아이밀리 바르불래의 후손일지라도, 집정관 직을 맡은 사람은 알려져 있지 않다. 스카우루스는 자서전에서 아버지로부터 35,000 세스테르티우스의 재산과 6명의 노예만 물려받았다고 썼다.[43] 그는 은행업을 해야 할지, 정치에 투신해야 할지 확신이 서지 않았다.[43] 키케로는 스카우루스가 너무 가난해서 "노부스 호모처럼 일해야 했다"고 언급하고 있다.[44] 스카우루스의 아버지 역시 마르쿠스라는 이름을 가졌는데, 숯 상인으로 알려져 있었다.[3]
3. 생애
기원전 126년에서 124년 사이에는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총독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의 참모로 활동하며 가이우스 그라쿠스와 대립했다.[2] 기원전 123년에는 신탁관으로 임명되었고,[3] 기원전 122년에는 쿠룰 에딜을 거쳐[4] 기원전 120년 또는 119년에 프라에토르로 선출되었다.[5]
기원전 119년, 스카우루스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투표 개혁 법안과 유구르타의 누미디아 왕위 주장에 반대했다.[6],[7]
기원전 116년 집정관 선거에서 패배했지만,[21] 기원전 115년 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와 함께 집정관에 당선되었다.[22] 그는 사치 금지법과 해방 노예의 투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갈리아와 리구리아 부족을 상대로 군사 작전을 성공시켜 개선식을 거행했다.[24],[25] 같은 해,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임명되어[6]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유구르타 전쟁 발발 전, 스카우루스는 누미디아 왕 아데르발에 대한 적대 행위를 중단하라는 요구와 함께 누미디아에 사절로 파견되었다.[46] 유구르타가 요구를 거부하자 전쟁이 선포되었고, 스카우루스는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베스티아의 ''레가투스'' 중 한 명으로 참전했다.[47]ref name="wiki-48"/>
3. 1. 초기 경력
스카우루스의 초기 경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스카우루스는 로마 공화국이 여러 차례 장기간, 불확실한 전쟁을 치른 스페인에서 일반 병사로 복무했다. 로널드 사이엄은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가 누만티아를 상대로 성공적으로 지휘한 군대에 입대했던 많은 야심찬 젊은이들 중 한 명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는데, 이들 중에는 나중에 스카우루스의 반대자가 되는 가이우스 마리우스,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 가이우스 멤미우스가 있었다.[1] 이 시기 스페인에서의 뛰어난 복무가 스카우루스가 정치에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126년에서 124년 사이에 사르데냐와 코르시카에서 집정관이자 총독으로 있었던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오레스테스의 참모로 사르데냐에서 다시 발견된다. 아마도 이때 그는 오레스테스의 퀘스토르로 활동했던 가이우스 그라쿠스의 적이 되었을 것이다. 스카우루스는 누미디아의 왕 미킵사로부터 곡물을 확보하는 데 성공한 그라쿠스를 불쾌하게 여긴 오레스테스의 참모들 중 한 명이었을 수 있다. 기원전 124년, 스카우루스는 123년의 민중 재판관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일찍 직무를 떠난 혐의로 그라쿠스를 감찰관 앞에서 고발했을 가능성이 있다.[2]
기원전 123년에 그는 신탁관으로 보임되었다.[3] 그 다음 그는 기원전 122년에 공공 경기를 담당하는 쿠룰 에딜로 활동했으며,[4] 그 후 기원전 120년 또는 119년에 프라에토르로 선출되었다.[5] 기원전 119년, 스카우루스는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투표 개혁 법안에 반대했는데, 이 법안은 후원자가 ''코미티아''에서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을 것이다.[6] 그는 또한 그 해 누미디아 왕위에 대한 유구르타의 주장에 반대했다.[7]
3. 2. 집정관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116년 집정관 선거에 출마했지만,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에부르누스에게 패배했다.[21] 기원전 115년 마르쿠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와 함께 집정관에 선출되어, 이듬해 집정관직을 수행했다.[22] 그의 정적이었던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는 스카우루스를 암비투스(부정선거) 혐의로 기소했으나, 스카우루스는 같은 혐의로 루푸스를 맞고소하여 둘 다 무죄 선고를 받았다.[23]
스카우루스는 특정 귀족 요리를 금지하고 연회 지출을 제한하는 사치 금지법을 통과시켰고,[24] 해방 노예의 투표에 관한 법률도 제정했으나, 내용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갈리아와 리구리아 부족을 상대로 성공적인 군사 작전을 수행하여 개선식을 거행했다.[25]
스카우루스의 집정관 임기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건은 법무관 푸블리우스 데키우스 수불로에 대한 공개적인 모욕이었다. 스카우루스는 데키우스의 옷을 찢고, 그의 좌석을 부수었으며, 데키우스에게 소송을 제기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는 데키우스가 집정관에게 경의를 표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스카우루스의 동맹인 오피미우스를 기소했던 데키우스의 과거 행적을 고려하면 정치적인 의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스카우루스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 또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델마티쿠스에 의해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임명되어[6]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이는 당대 최고의 영예로, 주로 고위 귀족에게 주어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젊은 스카우루스가 이 직책을 받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3. 3. 유구르타 전쟁
유구르타 전쟁 (기원전 112년~기원전 106년) 이전에, 스카우루스는 누미디아 왕 아데르발에 대한 적대 행위를 중단하라는 요구와 함께 누미디아에 사절로 파견되었다.[46] 증거에 따르면 스카우루스는 "유구르타나 그의 음모에 호의적이지 않았다".[25] 유구르타가 요구를 거부하자 전쟁이 선포되었고, 집정관 루키우스 칼푸르니우스 베스티아가 아프리카로 파견되었다.
스카우루스는 전쟁 첫 해(기원전 112년)에 베스티아의 ''레가투스'' 중 한 명으로 복무했다.[47]ref name="wiki-48"/>
3. 4. 검열관과 원로원 으뜸원로
기원전 109년, 스카우루스는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와 함께 감찰관으로 선출되었다.[28] 드루수스가 임기 중 갑자기 사망하자, 스카우루스는 원치 않았지만 감찰관 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호민관들이 그를 감옥으로 끌고 가라고 명령한 후에야 비로소 그는 그 직에서 물러났다.[28] 스카우루스는 파르마에서 포 강까지 운하를 건설하여 배수했고, 피사에서 델토나에 이르는 아에밀리아 스카우리 가도를 건설했다.[29] 또한 무르비우스 다리를 건설했다.
같은 해에 스카우루스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디아데마투스 또는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 메텔루스 델마티쿠스에 의해[6] 원로원 으뜸원로(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지명되었고,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이것은 당시 최고의 영예였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고위 귀족에게 주어졌다. 비교적 젊은 스카우루스가 이 영예를 얻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3. 5. 기원전 90년대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96년에서 98년 사이에 동방으로의 사절단(legatio Asiatica)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그가 여행에 참여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사절단을 지원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이 사절단에는 가이우스 마리우스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는 '마그나 마테르'에 대한 서약을 이행한다는 구실로 여행했지만, 미트리다테스 6세의 카파도키아에서의 활동을 의심을 사지 않고 조사하기 위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사절단 이후, 원로원은 퀸투스 무키우스 스카이볼라 폰티펙스와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를 아시아로 파견하여 그 지역을 성공적으로 관리하게 했다. 몇 년 후인 기원전 92년에는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 또한 프로프라에토르 자격으로 키리키아로 파견되어 미트리다테스의 카파도키아 진출에 맞섰다.
스카우루스는 카이피오 재판에서 폭력을 사용한 노르바누스에 대한 기소를 지지하며, 기소 측의 주요 증인으로 증언했다. 그는 또한 로마 시민의 특권을 침해하는 이탈리아인들을 조사하기 위한 법인 '렉스 리키니아 무키아'를 지지했는데, 이는 국가에서 원로원의 입장을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원전 92년, 스카우루스는 아시아 속주에서 레가투스(사절)로 재직하는 동안 정직한 통치로 '에퀴테스'의 적대감을 샀던 푸블리우스 루틸리우스 루푸스의 변호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무죄임이 널리 알려졌음에도 유죄 판결을 받았다. 루푸스 재판 이후, 스카우루스 자신은 퀸투스 세르빌리우스 카이피오 더 영거에 의해 '레페툰디스'(강탈)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른 사람이 강탈한 돈을 받았다는 혐의였다. 스카우루스는 어떻게든 반소에서 젊은 카이피오를 먼저 재판에 넘기는 데 성공했고, 두 사람 모두 무죄로 풀려났다.
이 사건은 스카우루스가 기원전 91년에 마르쿠스 리비우스 드루수스가 선출된 호민관의 법 개혁을 지지하게 만들었고 약 300명의 '에퀴테스'를 추가하여 원로원을 확대하고, 법정 배심원단을 '에퀴테스'로부터 원로원으로 다시 이전하는 데 기여했다. 스카우루스는 드루수스의 주요 조언자 중 한 명이었다.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와 함께, 스카우루스는 드루수스의 주요 보수파 지지자였으며 그의 광범위한 입법 프로그램을 통과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기원전 91년 9월 크라수스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드루수스는 원로원에서 빠르게 지지를 잃었고, 집정관 루키우스 마르키우스 필리푸스는 종교적 기술적인 이유로 드루수스의 법을 폐지하는 데 성공했다.
스카우루스가 이탈리아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려는 드루수스의 제안을 지지하고 '소키'에게 동정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역사가들은 '소키'에 대한 스카우루스의 입장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드루수스의 암살과 사회 전쟁 발발 이후,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90년에 호민관 퀸투스 바리우스 세베루스에 의해 기소되었다. 바리우스는 스카우루스를 인민 재판에 소환했다. 이 시점에서 노령이고 통풍에 시달리며 허약했던 스카우루스는 고발자에게 다음과 같이 응수했다.
> [퀸투스] 바리우스 더 스페인인은 마르쿠스 스카우루스, 즉 '프린켑스 세나투스'가 동맹국들을 무장시켰다고 말합니다. 마르쿠스 스카우루스, 즉 '프린켑스 세나투스'는 그 혐의를 부인하며, 증인은 없습니다. 우리 중 누구를, 퀴리테스(시민) 여러분, 믿어야 할까요?
대중의 외침 속에서 혐의는 즉시 기각되었다. 바리우스는 아마도 스카우루스에 대한 혐의를 "메텔루스 파벌의 가장 저명한 구성원에 대한 공격... 유죄 판결은 메텔루스 블록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것"의 일환으로 제기했을 것이다.
젊은 카이피오 또한 법정에서 스카우루스를 고발했다. 혐의가 기각되었는지, 취하되었는지, 아니면 단순히 실효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카이피오는 기원전 90년 초에 전투에서 사망했고, 스카우루스는 기원전 88년에 그의 아내 카이킬리아 메텔라가 술라와 결혼할 때 사망했다. 정확한 사망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카우루스가 기원전 89년에 다시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임명되었고, 그의 사제직은 기원전 88년에 계승되었기 때문에 기원전 89년 11월 중순에서 기원전 88년 2월 사이로 좁혀질 수 있다.[11]
기원전 91년경 스카우루스가 아시아에서 레가투스로 근무하던 기간 동안 정무관에 의한 공갈 강요 규제법(repetundis) 또는 국가 반역죄에 해당한다며 고발당했다. 둘 다 수뢰죄였으며, 미트리다테스 6세로부터의 수뢰는 국가를 배신하는 행위로 간주되었다. 이로부터, 기원전 93년경에 아시아에 주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6. 동맹시 전쟁과 죽음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제 개혁으로 로마 시민과 마찬가지로 병력을 제공하던 동맹국 사이에서 불만이 높아졌고, 그들은 반란을 일으켰다. 기원전 90년의 호민관 퀸투스 바리우스 세베루스 히브리다는 이 동맹시 전쟁에 박차를 가한 모든 사람들을 국가 반역죄로 묻는 바리우스 법(Lex Varia de Maiestate)을 통과시켰다.[34] 전쟁 중에도 이 재판은 계속 진행되었고[34], 코타가 추방되었다.[35][36] 스카우루스도 피고 중 한 명이 되었지만 무죄를 이끌어낸 것으로 보인다.[37] 바리우스는 갈리아 키살피나 출신의 평민이었고, 이 재판에서 스카우루스는 신참 바리우스와 자신 중 누구를 신뢰할 수 있느냐고 질문한 에피소드가 남아있다. 바리우스는 이듬해 자신의 법에 의해 추방되었다.
아마도 기원전 89년에 켄소르였던 크라수스의 아버지 푸블리우스나 루키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기원전 90년 집정관)에 의해 프린켑스 세나투스로 지명되었다. 이 해에, 최고 신관이었던 아헤노바르부스가 사망했다. 스카우루스는 이 해 혹은 다음 해인 기원전 88년에 사망했고, 후임 신관으로 스키피오 아시아게누스가 취임했다고 비문 등에 기록되어 있다.
4. 유산
스카우루스의 명성은 그의 죽음 이후에도 오래도록 이어졌고, 후대 로마인들에게 매우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었다. 특히 키케로는 그를 열렬히 존경하여 "거의 온 세상이 그의 눈짓에 의해 다스려졌다"(''cuius nutu prope terrarum orbis regebatur'')라고 언급했다.[48] 키케로 시대에 스카우루스의 연설 내용은 아직 남아 있었고, 루키우스 후피디우스에 의해 3권의 전기가 전해졌다. 이에 따르면 스카울루스는 사려 깊음과 자연스럽게 풍기는 신뢰감으로 원로원에서도 아버지처럼 존경받았으며, 키케로는 이 전기와 관련하여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은 훌륭한 작품이지만, 우리 정체와 관습에 맞는 스카울루스의 단순한 성실함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평했다.
고대 역사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스카우루스를 엄격한 아버지 목록에 포함시켰으며, 특히 킴브리족과의 전투에서 아들이 도망친 것에 대한 스카우루스의 반응을 언급했는데, 그는 아들의 행동에 불만을 품었고, 그 결과 아들은 자살했다.
그러나 스카우루스에 대한 평가는 항상 긍정적이지는 않았다. 특히 역사가 살루스티우스는 그의 저서 ''유구르타 전쟁''에서 스카우루스를 부도덕하고 탐욕스러운 정치가로 묘사한다. 살루스티우스는 스카우루스가 누미디아 왕 유구르타로부터 뇌물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그를 "힘이 넘치고, 파벌적이며, 권력, 명예, 부를 탐하지만, 자신의 결점을 교묘하게 숨기는 귀족"(homo nobilis impiger factiosus, avidus potentiae honoris divitiarum, ceterum vitia sua callide occultans)이라고 칭했다.
스카우루스는 그의 명성의 주요 원천으로서 ''원로원 의장'' 직함을 주장한 마지막 사람이었다. 그의 죽음 이후, 키나와 술라의 내전의 혼란은 군대의 힘 아래 명성과 권위를 잠식시켰다.
5. 사생활
스카우루스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첫 번째 아내와의 사이에서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그 아들에 관해 전해지는 유일한 정보는 군단장 계급을 지냈고 전투에서 패배한 후 자살했다는 것이다.[13] 스카우루스의 두 번째 아내는 루키우스 카에킬리우스 메텔루스 델마티쿠스의 딸인 카에킬리아 메텔라였으며, 그녀는 후에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네 번째 아내가 되었다. 이 결혼으로 스카우루스는 두 자녀를 두었다.
참조
[1]
서적
L'Annalistique romaine
[2]
서적
The Orators in Cicero's Brutus: Prosopography and Chronology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3
[3]
서적
M. Aemilius Scaurus
[4]
서적
Fragments
[4]
서적
Fragments
[5]
간행물
Aemilius (RE 140) Scaurus (1), Marcus
Oxford University Press
[6]
학술지
The Consuls, 179-49 BC
https://publications[...]
1990
[7]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Sallust's Bellum Jugurthinum
https://www.worldcat[...]
F Cairns
1984
[8]
간행물
Norbanus (RE 5), Gaius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Last age of the Roman republ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0]
학술지
Princeps senatus
https://journal.fi/a[...]
1972
[11]
학술지
The Death of M Aemilius Scaurus (cos. 115 BC)
https://www.jstor.or[...]
2003
[12]
문서
pro Fonteio
[13]
문서
2009
[13]
문서
[13]
문서
Str.
[14]
문서
フォンテイウス弁護
[15]
문서
対比列伝:アエミリウス・パウルス
[16]
문서
Aemilius
1893
[17]
문서
対比列伝:ヌマ・ポンピリウス
[18]
문서
対比列伝:ロームルス
[19]
문서
Aemilius
1893
[20]
문서
ローマ建国史
[21]
문서
ムレナ弁護演説
[22]
문서
ブルトゥス
[23]
문서
弁論家について
[24]
문서
アッティカの夜
[25]
문서
Strategemata
[26]
문서
弁論家について
[27]
문서
ブルトゥス
[28]
문서
モラリア
[29]
문서
地理誌
[30]
문서
歴史叢書
[31]
문서
セスティウス弁護
[32]
문서
弁論家について
[33]
문서
有名言行録
[34]
문서
ブルトゥス
[35]
문서
ブルトゥス
[36]
서적
キケロ『弁論家について』3.11
[37]
서적
キケロ『セスティウス弁護』101
[38]
서적
キケロ『ブルトゥス』112
[39]
서적
プルタルコス『対比列伝』スッラ, 6.10-11
[40]
서적
プルタルコス『対比列伝』スッラ, 33.3
[41]
간행물
L'Annalistique romaine
[42]
서적
The Orators in Cicero's Brutus: Prosopography and Chronology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73
[43]
간행물
Fragments
[44]
백과사전
Aemilius (RE 140) Scaurus (1), Marcus
Oxford University Press
[45]
저널
The Consuls, 179-49 BC
https://publications[...]
1990
[46]
서적
A historical commentary on Sallust's Bellum Jugurthinum
https://www.worldcat[...]
F Cairns
1984
[47]
저널
The Death of M Aemilius Scaurus (cos. 115 BC)
https://www.jstor.or[...]
2003
[48]
간행물
pro Fonte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