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로 미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로 미셸은 야생 바나나 Musa acuminata의 3배체 품종으로, AAA 그룹에 속한다. 한때 중앙아메리카에서 유럽과 북아메리카로 수출되는 주요 품종이었으나, 파나마 병에 의해 재배가 어려워지면서 캐번디시 품종으로 대체되었다. 현재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에서 재배되며, 파나마 병에 저항성을 가진 개량 품종 개발과 유전자 변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로 미셸은 바나나 향료의 원형으로 여겨지며, 20세기 초 파나마 병으로 인한 품귀 현상은 문화적으로도 언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나나 - 바나나보트
    바나나보트는 위키백과 본문 내용이 없어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다.
  • 바나나 - 마토케
    마토케는 동아프리카 고지대에서 재배되는 바나나 품종으로, 쪄서 으깬 후 다양한 소스와 함께 섭취하며 우간다에서는 '음식'을 의미하는 단어로 통용될 정도로 중요한 주식 작물이다.
  • 열대 과일 - 아보카도
    아보카도는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녹나무과 아보카도나무의 배 모양 열매로, 높은 지방 함량과 영양가로 인해 '숲의 버터'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지만, 최근 재배로 인한 환경 및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열대 과일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그로 미셸

2. 분류

그로 미셸은 야생 바나나 ''Musa acuminata''의 3배체 품종이며, AAA 그룹에 속한다.[16] 공식적인 명칭은 '''''Musa acuminata'' (AAA Group) 'Gros Michel''''이다.

스페인어에서는 Guineo Gigante, Banano, 또는 Plátano Roatán라고 부른다. 또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에서는 Pisang Ambon, 미얀마에서는 Thihmwe, 캄보디아에서는 Chek Ambuong, 태국에서는 Kluai hom thong이라고 한다.[16]

Musa acuminata의 삼배체 재배 품종으로, 게놈 구성은 AAA이다.[5] 정식 명칭은 '''''Musa acuminata'' (AAA Group) 'Gros Michel''''이며, ''Musa acuminata'' L. cv. 'Gros Michel' 또는 ''Musa × paradisiaca'' L. cv. 'Gros Michel'와 같이 표기되기도 한다.

필리핀에서는 "Pisang Ambon" (인도네시아와 동일), 베트남에서는 "Chuoi Tieu Cao #2"라고 부른다.[5][6]

3. 재배 역사

3. 1. 초기의 인기와 쇠퇴

Brandes: 마나나 마름병—코스타리카의 그로 미셸 바나나 농장이 마름병 미생물에 공격받았다. (1919)


그로 미셸은 프랑스 박물학자 니콜라 보댕이 동남아시아에서 가져와 카리브해 섬 마르티니크의 식물 정원에 심은 것에서 시작되었다. 1835년 프랑스 식물학자 장 프랑수아 뿌아는 보댕의 식물을 마르티니크에서 자메이카로 가져갔다.[17] 이후 그로 미셸 바나나는 온두라스, 코스타리카를 비롯한 중앙 아메리카에서 대규모 플랜테이션으로 재배되었다.

이 품종은 한때 중앙아메리카에서 유럽과 북아메리카로 가는 주된 수출품이었으나, 1950년대 ''Fusarium oxysporum f.sp. cubense'' 곰팡이가 일으키는 마름병인 파나마 병에 의해 중앙아메리카 그로 미셸 플랜테이션의 거대한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18] 1960년대까지 그로 미셸 수출업자들은 이런 취약한 품종을 거래할 수 없어서, 캐번디시 군에 속하는 내성 있는 품종을 기르기 시작하였다.[8]

캐번디시 바나나도 파나마 병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과학자들은 새로운 바나나 품종을 개발 중이다.[18]

3. 2. 계속된 이용

본래의 ‘그로 미셸’ 품종은 말레이시아와 타이에서 최고 수출품이다.[19] 온두라스 농업 연구 재단은 파나마병 내성 ‘그로 미셸’ 바나나 품종 개량을 시작하였으며, 개선된 이배체 (SH-3142)를 개발하여 다양한 잡종을 개발하는데 이용하였다. (FHIA-01, FHIA-18, FHIA-21 and FHIA-250).[19] 현재까지 공개된 잡종들은 좋은 송이와 농경법적인 특성을 가지며, 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고,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호주의 다양한 농업-생태 조건에서 자라고 있다.[19] 유전자 공학의 성과로 파나마병에 저항성을 가진 그로 미셸이 개발되고 있다.[9] 또한 개발된 카벤디시와 그로 미셸의 잡종도 파나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고 한다.[10] 2013년 논문은 다른 진균 감염증인 검은 시가토카병/black sigatoka영어에 저항성을 가진 그로 미셸을 개발하는 실험에 대해 밝히고 있다.[11]

4. 유전자 변형

유전자 공학을 통해 파나마병에 저항성을 가진 그로 미셸이 개발되고 있다.[9] 개발된 캐번디시와 그로 미셸의 잡종도 파나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낸다고 한다.[10] 2013년 논문은 다른 진균 감염증인 검은 시가토카병/black sigatoka영어에 저항성을 가진 그로 미셸을 개발하는 실험에 대해 밝히고 있다.[11]

5. 맛

인공 바나나향은 캐번디시 바나나가 아닌 '그로 미셸' 맛을 흉내 내려 했기 때문에 "가짜"라는 도시 전설이 있다.[20] 이는 바나나 향료의 주 화학 물질인 이소아밀 아세테이트(isoamyl acetate) 때문인데, 이것은 모든 바나나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물질이다.[20]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화합물은 다양한 용도와 쉬운 사용 때문에 인기 있다.[20] 그로 미셸은 이 품종이 다른 바나나에 비하여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농도가 높고 다른 “휘발성 성분”이 적기 때문에 그 맛이 이소아밀 아세테이트와 가깝다고 느껴진다.[20] 캐번디시 바나나는 훨씬 더 복잡한 성분을 갖고 있고 따라서 순수한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맛이 덜 난다.[20] 바나나 향료가 일부러 그로 미셸 맛에 더 가깝게 설계된 것인지는 분명치 않다.[20]

6. 문화적 언급

1922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Make It Snappy''의 노래 "Yes! We Have No Bananas"는 20세기 초반 파나마병으로 인한 그로 미셸 바나나 품귀 현상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21][12] 이러한 역사적 사례는 식량 안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Dissemination of Bananas in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and Its Relationship to the Occurrence of Radophouls similis Scientific Societies
[2] 웹사이트 Jamaican bananas and plantains http://wwwchem.uwimo[...] The Department of Chemistry, 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2006-08-25
[3] 뉴스 Yes, We Will Have No Bananas https://www.nytimes.[...] 2008-06-18
[4] 뉴스 The History of Banana Flavoring http://luckypeach.co[...] 2016-05-19
[5] 웹사이트 Sorting Musa names http://www.plantnam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02-07-19
[6] 서적 Advancing Banana and Plantain R and D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Plant Genetic Resources Institute 2021-12-08
[7] 서적 Banana: the fate of the fruit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Hudson Street Press
[8] 웹사이트 Panama Disease: An Old Nemesis Rears Its Ugly Head Part 1: The Beginnings of the Banana Export Trades http://www.apsnet.or[...] 2016-03-15
[9] 논문 Transgenic Cavendish bananas with resistance to Fusarium wilt tropical race 4 2017-11-14
[10] 웹사이트 Fusarium wilt http://www.promusa.o[...] 2022-05-12
[11] 논문 Expression of a rice chitinase gene in transgenic banana('Gros Michel', AAA genome group) confers resistance to black leaf streak disease
[12] 웹사이트 Can This Fruit Be Saved? http://www.popsci.co[...] Popsci.com 2005-06-19
[13] 웹사이트 ScienceFriday: Why Don't Banana Candies Taste Like Real Bananas? https://www.sciencef[...] 2022-05-12
[14] 뉴스 Yes, We Will Have No Banana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8-06-18
[15] 뉴스 The History of Banana Flavoring - Lucky Peach http://luckypeach.co[...] 2016-05-19
[16] 웹인용 Sorting Musa names http://www.plantnam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02-07-19
[17] 서적 Banana: the fate of the fruit that changed the world https://archive.org/[...] Hudson Street Press
[18] 웹인용 Panama Disease: An Old Nemesis Rears Its Ugly Head Part 1: The Beginnings of the Banana Export Trades http://www.apsnet.or[...] 2017-11-23
[19] 웹인용 Fundación Hondureña de Investigación Agrícola – FHIA – Knowledge and news on bananas from ProMusa http://www.promusa.o[...]
[20] 웹인용 The Secret of fake flavours http://www.bbc.com/f[...] BBC 2014
[21] 웹인용 Can This Fruit Be Saved? http://www.popsci.co[...] Popsci.com 2005-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