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사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사록은 주자와 여조겸이 편찬한 유교 경전으로, 우주와 세계를 파악하는 방법, 학문의 방법, 수양, 정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점이 보물 및 지방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대전광역시 시립박물관, 개인 소장 등으로 나뉘어 보관되어 있다. 또한, 여러 번역서와 연구서가 출판되었다.

2. 구성

近思錄|근사록중국어주희와 여조겸이 송나라 때의 학자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의 저서 중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뽑아 편찬한 책이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주자의 머리말
  • 1장 도체(道體) - 우주와 세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
  • 2장 위학대요(爲學大要) - 학문의 방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
  • 3장 격물궁리(格物窮理) -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에 대한 간략한 내용.
  • 4장 존양(存養) - 마음의 근본을 기르고 키우는 것에 대한 간략한 내용.
  • 5장 개과천선극기복례(改過遷善克己復禮) - 잘못을 고치고, 선을 지향하며, 사욕을 버리고, 천리에 따르는 것에 대한 간략한 내용.
  • 6장 제가지도(齊家之道) - 가정의 모습에 대한 간략한 내용.
  • 7장 출소진퇴사수지의(出所進退辭受之義) - 올바른 출처와 진퇴의 모습에 대한 간략한 내용.
  • 8장 치국평천하지도(治國平天下之道) -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
  • 9장 제도(制度) - 사회 제도의 정비에 대한 간략한 내용.
  • 10장 군자처사지방(君子處事之方) - 군자로서의 처신에 대한 간략한 내용.
  • 11장 교학지도(敎學之道) - 교육의 방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
  • 12장 개과급인심자병(改過及人心疵病) - 잘못을 발견하고, 마음의 병을 고치는 것에 대한 간략한 내용.
  • 13장 이단지학(異端之學) - 이단의 학문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간략한 내용.
  • 14장 성현기상(聖賢氣象) - 선배 성인과 현인에 대한 내용.
  • 여조겸의 후기

2. 1. 1장 도체(道體)

근사록 1장 도체(道體)는 우주와 세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 2. 2장 위학대요(爲學大要)

근사록 2장 위학대요(爲學大要)는 학문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2. 3. 3장 격물궁리(格物窮理)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을 설명한다.

2. 4. 4장 존양(存養)

존양(存養)은 마음의 근본을 기르고 키우는 것을 의미한다.

2. 5. 5장 개과천선극기복례(改過遷善克己復禮)

잘못을 고치고 선으로 나아가며, 자신의 욕심을 이겨내고 예(禮)로 돌아가는 것을 설명한다.

2. 6. 6장 제가지도(齊家之道)

근사록에서는 가정의 모습을 설명한다.

2. 7. 7장 출처진퇴사수지의(出處進退辭受之義)

7장 출소진퇴사수지의(出所進退辭受之義)는 올바른 출처와 진퇴의 모습을 담고 있다.

2. 8. 8장 치국평천하지도(治國平天下之道)

근사록 8장 치국평천하지도(治國平天下之道)는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태평하게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2. 9. 9장 제도(制度)

9장 제도(制度)는 사회 제도의 정비를 다룬다.

2. 10. 10장 군자처사지방(君子處事之方)

근사록 10장에서는 군자가 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2. 11. 11장 교학지도(敎學之道)

敎學之道|교학지도중국어는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 장이다.

2. 12. 12장 개과급인심자병(改過及人心疵病)

잘못을 고치고 마음의 병을 고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2. 13. 13장 이단지학(異端之學)

근사록의 13장 이단지학(異端之學)에서는 이단의 학문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한다.

2. 14. 14장 성현기상(聖賢氣象)

聖賢氣象중국어

3. 한국의 문화재 지정

보물, 시도유형문화재, 시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된 근사록은 다음과 같다.

지정 번호소장처
보물 제1077호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8호개인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8호대전시립박물관


3. 1. 보물

3. 2.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대전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15년 1월 19일 대전광역시의 문화재자료 제58호로 지정되었다.

3. 3.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근사록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58호로, 개인이 소장하고 있다.

4. 번역서 및 연구서


  • 유아사 코우손 역, 『근사록』, 타치바나 출판(타치바나 교양 문고, 상·중·하), 1996년
  • 원판: 아사히 신문사 (중국 문명선 4·5), 1972-1974년, 재판 1977년
  • 이치카와 야스시 역, 『근사록 신석 한문 대계 37』, 메이지 서원, 초판 1975년 (여러 번 재판)
  • 스즈키 유지로 외 역주, 『근사록 주자학 대계 9』, 메이토쿠 출판사, 1974년
  • 『근사록 난외 서류 사토 잇사이 전집 4』, 오카다 타케히코 외 감수, 메이토쿠 출판사, 1992년
  • 후쿠다 코이치 역해, 『기초부터 잘 아는 "근사록" 주자학의 입문서』, 명창 출판, 1998년 (개정판 2009년)
  • 야마자키 미치오, 『근사록』(중국 고전 신서), 메이토쿠 출판사, 1983년 외 (발췌본)
  • 아키즈키 타네츠구 역주, 『근사록』, 이와나미 문고, 초판 1940년 (아키즈키 테이지로의 사위)
  • 이노우에 테츠지로 외 교정, 『초사 근사록』, 후잔보 (한문 대계 22), 증보판 1984년 (초간은 다이쇼 시대 초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